[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5405B1 -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405B1
KR101565405B1 KR1020090009375A KR20090009375A KR101565405B1 KR 101565405 B1 KR101565405 B1 KR 101565405B1 KR 1020090009375 A KR1020090009375 A KR 1020090009375A KR 20090009375 A KR20090009375 A KR 20090009375A KR 101565405 B1 KR101565405 B1 KR 101565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umidity
laundry
drying time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088A (ko
Inventor
이동수
유혜경
고철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405B1/ko
Priority to US12/700,176 priority patent/US8490438B2/en
Priority to PCT/KR2010/000713 priority patent/WO2010090472A2/en
Priority to EP10738756.5A priority patent/EP2393973B1/en
Priority to CN201080004986XA priority patent/CN102282303B/zh
Publication of KR2010009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4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여부를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양(이하, 포량)에 따라 설정되는 최소건조시간동안에는 습도센서의 측정없이 세탁물을 건조하되, 상기 최소건조시간의 경과후에는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낮으면 설정된 최대건조시간에도 불구하고 건조장치의 작동을 종료시킴으로써 세탁물의 건조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조장치, 건조도, 습도, 습도센서, 히트펌프

Description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A Luandry Dryer and a Controlling Method of the Laundry Dryer}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조장치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장치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장치 및 가스식 건조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장치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장치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장치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장치와 배기식 건조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장치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장치 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장치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장치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장치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장치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장치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한편, 종래 건조장치는 스스로 피건조물의 건조도를 판단하여 건조과정의 종료를 스스로 제어할 수 있도록 건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들을 구비하였다.
그러나 종래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들은 측정된 건조도와 실제 건조도 사이에 큰 오차가 있었고, 그로 인해 필요 이상으로 건조장치를 가동하여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피건조물, 즉 세탁물의 건조도를 정확하게 측정가능한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시 사용되는 전력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조공간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 감지된 포량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설정하는 건조시간설정단계, 상기 건조공간에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단계, 설정된 건조시간의 경과 후 상기 건조단계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단계, 측정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습도보다 낮으면 상기 건조단계를 종료하는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습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습도가 상기 기준습도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단계가 다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시간설정단계는 상기 포량감지단계에서 감지된 포량에 따른 최소건조시간 및 최대건조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습도측정단계는 상기 최소건조시간의 경과 후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조단계의 진행시간이 최대건조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습도측 정단계에서 측정된 습도가 상기 기준습도보다 높더라도 상기 건조단계를 종료하는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습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습도를 건조장치의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건조공간에 연통하여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 유입덕트로 유입되는 다습한 공기를 제습하여 가열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열풍공급유닛에 의해 제습 및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출덕트, 상기 건조공간을 순환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열풍공급유닛은 냉매를 증발시켜 상기 유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 냉매를 응축하여 상기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유입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건조장치는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한 습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도를 정확하게 측정가능한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시 사용되는 전력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구성, 방법 기타의 실시예는 실시에 필요한 구성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 건조장치의 개념도로 캐비닛(1)의 전면과 캐비닛 내부의 구성을 모두 도시하기 위해 캐비닛의 전면부(11)는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도1을 참고하여 본 발명 건조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건조장치(100)는 캐비닛(1), 건조공간(3), 유입덕트(5), 열풍공급유닛(7) 및 유출덕트(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에 앞서 상기 열풍공급유닛(7)의 위치에 관한 특징을 먼저 설명한다.
상기 열풍공급유닛(7)은 캐비닛(1)의 내부 공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과 상기 건조공간(3)이 형성하는 공간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과 상기 건조공간(3)이 형성하는 공간에 별도의 하우징(미도시)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상기 열풍공급유닛(7)을 구비시킬 수 도 있다.
상기 건조장치(100)의 내부에 상기 열풍공급유닛(7)을 구비시키는 것은 상기 건조공간(3)과 건조장치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건조장치의 외형이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 건조공간(3)과 구별되는 별도의 하우징을 마련하여 상기 히트펌프모듈을 구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이 서랍의 형태로 상기 건조장치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풍공급유닛(7)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건조장치의 전방으로 상기 하우징을 인출함으로써 상기 열풍공급유닛(7)의 점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 및 건조장치의 외형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유입덕트(5)와 유출덕트(9)는 상기 하우징이 건조장치의 전방으로 인출된 경우에도 상기 열풍공급유닛(7)과 연통 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구성(예를 들면 flexible tube)'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별도의 구성'은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유입덕트(5)와 유출덕트(9)는 상기 하우징이 건조장치(100)의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건조공간(3)과 분리되고, 상기 하우징이 건조장치의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건조공간(3)과 연결되는 형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우징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열풍공급유닛(7)을 구비하는 경우(도1참고)를 중심으로 본 발명 건조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캐비닛(1)은 상기 건조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건조공간(3)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공간(3)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댐퍼와 같은 진동감쇠를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세탁물이 투입되는 방향에 전면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11)에는 디스플레이수단(P), 알람수단(A), 도어(111) 및 건조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P)는 후술할 습도센서(S)와 연동하여 습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습도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습도센서가 건조공간(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구성이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P)는 종래 건조장치 및 건조겸용 세탁장치에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상술한 기능만을 구현하도록 별도로 구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알람수단(A)은 세탁물의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건조장치(100)의 오작동 시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도어(111)는 캐비닛(1)의 전면부(11)에 구비되어 후술할 건조공간(3)으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111)는 전면부(11)에 힌지결합을 통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건조공간(3)은 건조를 위한 세탁물이 투입되어 후술할 열풍공급유닛에서 제공되는 제습되고 건조된 공기와 열교환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상기 건조공간(3)은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할 열풍공급유닛(7)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입덕트(5)는 일측이 상기 건조공간(5)에 연통하고, 타측은 후술할 열풍공급유닛(7)에 연통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유입덕트(5)는 상기 건조공간(3)에서 열교환을 마친 뒤 다습해진 공기가 건조공간(3)에서 배출되어 열풍공급유닛(7)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열풍공급유닛(7)은 상기 유입덕트(5)를 통해 상기 건조공간(3)에서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열풍공급유닛(7)은 히트펌프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히트펌프모듈은 증발기(71), 응축기(73)를 포함한다.
상기 히트펌프모듈은 상기 증발기(71)와 응축기(73)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공기와 열교환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상기 증발기(71)는 히트펌프모듈을 순환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증발기(71)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열은 흡수함으로써 다습한 공기를 제습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응축기(73)는 히트펌프모듈을 순환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에 냉매의 응축으로 발생하는 열을 공급하여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71)는 상기 유입덕트(5)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할 수 있도록 유입덕트에 연이어 위치하고, 상기 응축기(73)는 상기 증발기(71)에서 제습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71)와 후술할 유출덕트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는 상기 열풍공급유닛(7)의 일례로 히트펌프모듈을 개시하고 있으나, 열풍공급유닛(7)으로 히트펌프모듈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유닛(7)이 캐비닛(1)의 내/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해 상기 유입덕트(5)를 통해 상기 건조공간(3)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가 열선과 같은 히터를 통해 가열한 뒤 후술할 유출덕트(9)를 통해 상기 건조공간(3)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유출덕트(9)는 일측이 상기 열풍공급유닛(7)에 연통하고, 타측이 상기 건조공간(3)과 연통하여 열풍공급유닛(7)을 통해 제습 및 가열된 공기를 건조공간(3)으로 유입시켜주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유출덕트(9)와 상기 열풍공급유닛(7)이 결합되는 위치에 팬(91)을 구비시켜 열풍공급유닛(7)으로의 공기유입 및 유출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건조장치(100)는 세탁물이 건조된 정도를 판단함으로써 건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만 하면 건조장치가 스스로 세탁물의 건조도를 판단함으로써 세탁물의 양(포량)과 건조과정에서 세탁물의 교반 정도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건조시간을 건조장치 스스로 판단하여 건 조과정을 종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스스로 세탁물의 건조도를 판단하여 건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은 건조장치의 작동을 위한 전력량의 절감 및 건조시간 절감에 있어서 중요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도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세탁물과 열교환 후 유입덕트(5)로 배출되어 열풍공급유닛(7)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센서(S)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습도센서(S)에서 측정된 습도는 기 설정된 기준습도와 비교될 수 있고, 본 발명 건조장치(100)는 상기 습도센서(S)를 통해 측정된 측정습도가 상기 기준습도보다 낮으면 세탁물이 원하는 수준으로 건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풍공급유닛(7)을 통해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는 상기 유출덕트(9)를 통해 건조공간(3)으로 유입되어 세탁물과 열교환을 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공간(3) 내부의 세탁물은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면서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 뒤 상기 유입덕트(5)를 통해 다시 열풍공급유닛(7)으로 유입된다.
건조과정의 초기에는 상기 유입덕트(5)를 통해 열풍공급유닛(7)으로 유입되는 건조공간(3)의 공기는 습도가 높을 것이나, 시간이 경과할 수록 건조공간에서 열풍공급유닛(7)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는 낮아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습도센서(S)는 열풍공급유닛(7)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와 기 설정된 습도를 비교하여 세탁물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습도센서(S)의 위치는 상기 건조공간(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증발기(71) 이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덕트(5)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증발기(71)와 응축기(73) 사이에 습도센서가 구비되거나, 유출덕트(9)에 습도센서가 구비된다면 건조공간(3)에서 배출되어 열풍공급유닛에서 열교환을 마쳐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게 되는 결과 세탁물의 건조도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 습도센서(S)가 증발기(71)와 응축기(73)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 증발기(71)에서 제습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므로 세탁물의 건조도를 판단하기 위한 습도데이터로는 부적합하다.
또한, 상기 응축기(73)와 팬(91) 사이 또는 상기 유출덕트(9)에 습도센서(S)가 구비되면 증발기(71)에서 제습되어 응축기(73)에서 가열된 뒤 상기 건조공간(3)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므로 세탁물의 건조도를 판단하기 위한 습도데이터로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 건조장치에 구비되는 습도센서(S)는 세탁물의 건조도 판단에 필요한 습도데이터의 수집 위치를 유입덕트(5) 또는 상기 증발기(71) 이전으로 한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건조장치의 제어부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2를 참고하여, 본 발명 건조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C)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C)는 습도센서(S), 시간측정수단(T) 및 포량감지수단(W)으로부터 측정되는 측정습도데이터, 건조장치의 가동시간데이터 및 포량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측정 데이터들과 데이터저장수단(D)에서 제공되는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건조장치(100), 디스플레이수단(P) 및 알람수단(A)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기 습도센서(S)는 건조공간(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C)에 제공하고, 상기 시간측정수단(T)은 건조장치(100)의 가동시간 데이터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C)에 제공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건조장치(100)의 "가동시간"이라 함은 세탁물과 상기 열풍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열풍의 열교환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가동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포량감지수단(W)은 건조공간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포량감지가 가능할 것이며 건조공간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중량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일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공간(3)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건조공간(3)의 회전을 위한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경우 모터의 회전시 감지되는 부하의 크기를 바탕으로 포량을 감지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데이터저장수단(D)은 포량에 따른 건조장치의 최소 구동시간인 최소건조시간 및 최대건조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세탁물의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치인 기준습도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최소건조시간은 세탁물이 건조공간 내부에서 엉켜있어 열풍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충분한 열교환을 하지 못하는 결과 세탁물의 실제 건조도보다 낮은 건조도를 가진 것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최소건조시간은 습도센서(S)가 측정하는 습도데이터의 편차에 의해 건조장치가 세탁물의 건조정도를 잘못 판단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상기 데이터저장수단(D)은 포량의 정도에 따른 최소건조시간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제어부(C)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C)는 최소건조시간동안습도센서(S)를 통한 습도의 측정 없이도 건조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조장치의 구동과 동시에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경우, 세탁물이 건조공간에서 엉켜있거나 습도데이터의 편차에 의해 습도센서로 측정된 건조도보다 낮은 건조도를 가지고 있음에도 충분히 건조된 것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최대건조시간은 세탁물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습도센서의 고장이나 습도데이터의 편차에 의해 세탁물의 습도를 측정할 수 없거나 확정할 수 없는 경우 건조장치가 계속 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습도센서로 측정한 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높더라도 최대가동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건조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킴으로써 건조장치의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최소건조시간과 최대건조시간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는 데 상기 최소건조시간 및 최대건조시간은 포량에 따라 기준습도에 도달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의 하한값과 상한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대건조시간은 상술한바와 같이 설정하되 최소건조시간은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습도데이터의 편차가 안정화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최소건조시간은 습도센서(S)에서 측정되는 포량에 따른 습도데이터의 추이를 관찰하여 설정하여야 하며 최대건조시간 데이터의 70~80% 수준으로 설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데이터저장수단(D)과 시간측정수단(T)은 상기 제어부(C)와 별개의 구성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이터저장수단(D)과 시간측정수단(T)의 기능도 할 수 있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3은 본 발명 건조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고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은 포량감지단계(S10), 건조시간설정단계(S11), 건조단계(S12), 습도측정단계(S13), 습도비교단계(S14) 및 종료단계(S15)를 포함한다.
상기 포량감지단계(S10)는 건조장치(100)의 건조공간(3)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S10)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포량감지수단(W)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저장부(D)에서 제공되는 중량에 따른 포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세탁물의 포량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포량감지단계(S10)에 이어서 건조시간설정단계(S11)가 이어진다.
상기 건조시간설정단계(S11)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데이터저장부(D)에서 제공되는 건조시간데이터 중 상기 포량감지단계에서 측정한 포량에 상응하는 최소건조시간을 건조장치에 설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C)가 최소건조시간을 상기 건조장치(100)에 설정하면 곧바로 건조단계(S12)가 진행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단계는 설정된 최소건조시간이상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습도센서(S)가 측정하는 습도데이터의 편차에 의해 세탁물이 건조된 정도를 오판하는 경우나, 세탁물이 꼬여있어 신뢰할 수 없는 습도데이터에 의한 건조정도의 오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건조단계(S12)는 건조공간(3)에 투입된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열풍공급유닛(7)을 가동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단계(S12)가 진행되면 열풍공급유닛에서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는 상기 건조공간(3)을 유입덕트(5)와 유출덕트(9)를 통해 순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건조단계(S12)의 진행 시간이 최소건조시간을 초과하는 때로부터 건조공간(3)을 순환하는 공기의 습도를 습도센서(S)가 측정하는 습도측정단계(S13)와 측정습도와 기준습도를 비교하 는 습도비교단계(S15)를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기준습도"라 함은 건조장치(100)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세탁물의 건조정도를 의미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상기 습도측정단계(S13)는 건조장치(100)의 열풍공급유닛(7)이 동작하는 동안 진행될 수도 있고, 습도측정단계(S13)가 진행되는 동안 열풍공급유닛(7)이 동작을 중지한 상태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
다만, 습도측정단계(S13)가 진행되는 동안 팬(91)은 구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습도측정이 용이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습도측정단계(S13)와 동시에 습도측정단계가 진행 중이라는 표시 및 습도측정단계를 통해 측정된 습도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단계(S1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본 발명 건조장치(100)의 기능이 구현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효과와, 세탁물의 습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여 건조시간을 예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상기 습도비교단계(S15)는 상기 습도센서(S)에서 측정되어 제어부(C)에 제공되는 측정습도와 데이터저장부(D)에서 제어부에 제공되는 기준습도를 제어부가 비교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습도비교단계(S15)에서 측정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낮다고 판단하면 제어부(C)는 세탁물이 충분히 건조된 것으로 판단하여 건조장치(100)의 가동을 중단시켜 건조단계를 종료시키게 된다(종료단계(S15)).
그러나 측정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높으면 아직 세탁물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것이므로 상기 건조단계(S12) 이후의 단계들이 계속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습도비교단계(S15)는 별도의 단계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방편이므로 설계자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습도측정단계(S13)와 동시에 진행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그 일례가 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은 포량에 따른 최소건조시간의 경과 전까지는 건조장치를 가동시키되, 최소건조시간이 경과 되면 습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엉킴에 의한 부정확한 습도측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준습도에 도달한 경우 건조장치의 가동을 곧바로 종료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장치의 전력량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포량감지단계(S110), 건조시간설정단계(S120), 건조단계(S130), 건조시간측정단계(S140), 비교단계(S150), 습도측정단계(S160), 표시단계(S170), 습도비교단계(S180) 및 종료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량감지단계(S110)는 건조장치의 건조공간(3)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S110)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포 량감지수단(W)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저장부(D)에서 제공되는 중량에 따른 포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세탁물의 포량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포량감지단계(S110)에 이어서 건조시간설정단계(S120)가 이어진다.
상기 건조시간설정단계(S120)는 제어부(C)가 상기 데이터저장부(D)에서 제공되는 최소건조시간 및 최대건조시간 데이터 중 상기 포량감지단계(S110)에서 측정된 포량에 따라 데이터를 선택한 뒤 건조장치에 설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시간설정단계(S120)에 이어서 설정된 최소건조시간 이상 최대건조시간 동안 건조장치를 구동시키는 건조단계(S130)가 진행되게 된다.
건조단계(S130)가 진행되는 동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건조장치의 가동시간을 측정하는 건조시간측정단계(S140)가 진행되는데, 이는 상술한 시간측정수단(T)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시간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건조시간은 제어부(C)에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시간설정단계(S120)에서 설정된 최대건조시간과 측정건조시간을 비교하는 비교단계(S150)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비교단계(S150)에서 측정건조시간이 최대건조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습도측정단계(S160)가 수행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비교단계(S15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단계로 표현한 것일 뿐 건조단계(S130)의 진행과 동시에 시간측정수단(T)에 의해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습도측정단계(S160)는 도3에 개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단계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습도측정단계(S160)와 동시에 습도측정단계가 진행 중이라는 표시 및 습도측정단계를 통해 측정된 습도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단계(S1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본 발명 건조장치(100)의 기능이 구현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효과와, 세탁물의 습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여 건조시간을 예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상기 습도측정단계(S160)에서 건조공간(3)을 순환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표시단계(S170)에서 측정된 습도를 디스플레이하고 나면, 기준습도와 측정습도를 비교하는 습도비교단계(S180)가 진행된다.
상기 기준습도는 상기 데이터저장수단(D)에서 상기 제어부(C)로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는 습도센서(S)에서 측정되어 제공되는 측정습도와 상기 기준습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습도비교단계(S18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습도비교단계(S180)에서 측정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높으면 세탁물이 원하는 수준으로 건조되지 않은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C)는 세탁물을 계속해서 건조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단계(S130) 이후의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습도비교단계(S180)에서 측정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낮으면 세탁물이 원하는 수준으로 건조된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알람단계(S190)를 거쳐 건조장치의 가동을 종료하는 종료단계(S200)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다만, 상기 습도비교단계(S180)는 도3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편의상 구분된 단계에 불과하므로 상기 습도측정단계(S160)의 진행과 동시에 수행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알람단계(S190)는 측정습도가 기준습도에 도달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단계로 제어부(C) 및 알람수단(A)에 의해 구현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비교단계(S150)에서 측정된 건조시간이 최대건조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본 발명 건조장치의 제어부(C)는 상기 알람단계(S190)를 거쳐 상기 종료단계(S200)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습도측정단계(S160)에서 측정된 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건조단계의 진행시간이 최대건조시간을 경과하면 건조단계(S130)를 종료시킨다.
이는 습도센서의 고장이나 측정된 습도데이터의 편차와 같은 문제로 세탁물의 건조여부를 확실히 판단할 수 없는 경우 최대건조시간까지만 건조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건조장치의 계속된 구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건조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세탁물의 건조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건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건조장치의 제어부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건조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건조장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건조장치:100 캐비닛:1 건조공간:3
유입덕트:5 열풍공급유닛:7 증발기:71
응축기:73 유출덕트:9 팬:91
제어부:C 데이터저장부:D 습도센서:S
시간측정수단:T 포량감지수단:W

Claims (9)

  1. 건조공간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
    감지된 포량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설정하는 건조시간설정단계;
    상기 건조공간에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단계;
    설정된 건조시간의 경과 후 상기 건조단계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단계;
    측정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습도보다 낮으면 상기 건조단계를 종료하는 단계;
    상기 건조시간설정단계는 상기 포량감지단계에서 감지된 포량에 따른 최소건조시간 및 최대건조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최소건조시간 및 최대건조시간은 포량에 따라 기준습도에 도달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의 하한값과 상한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습도가 상기 기준습도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단계가 다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측정단계는 상기 최소건조시간의 경과 후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의 진행시간이 최대건조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습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습도가 상기 기준습도보다 높더라도 상기 건조단계를 종료하는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습도를 건조장치의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09375A 2009-02-05 2009-02-05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65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75A KR101565405B1 (ko) 2009-02-05 2009-02-05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700,176 US8490438B2 (en) 2009-02-05 2010-02-04 Laundry treatment device
PCT/KR2010/000713 WO2010090472A2 (en) 2009-02-05 2010-02-05 Laundry treatment device
EP10738756.5A EP2393973B1 (en) 2009-02-05 2010-02-05 Laundry treatment device
CN201080004986XA CN102282303B (zh) 2009-02-05 2010-02-05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75A KR101565405B1 (ko) 2009-02-05 2009-02-05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88A KR20100090088A (ko) 2010-08-13
KR101565405B1 true KR101565405B1 (ko) 2015-11-03

Family

ID=4275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37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65405B1 (ko) 2009-02-05 2009-02-05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48137A1 (ko) * 2023-08-25 2025-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 및 건조 방법을 가이드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103B (zh) * 2020-12-25 2021-10-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除湿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493A (ja) * 2003-04-17 2004-11-11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電気洗濯機
JP2008104625A (ja) * 2006-10-25 2008-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493A (ja) * 2003-04-17 2004-11-11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電気洗濯機
JP2008104625A (ja) * 2006-10-25 2008-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48137A1 (ko) * 2023-08-25 2025-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 및 건조 방법을 가이드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88A (ko) 201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4828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10136628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2008215295B2 (en) Ductless dryer
US10724169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7489008B (zh) 用于运行冷凝干燥机的方法以及冷凝干燥机
KR101138139B1 (ko)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46995A (ko) 세탁건조기/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KR102679836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CN107208350A (zh) 用于求取洗涤物特性的方法和适用于此的冷凝干燥机
JP2008067996A (ja) 衣類乾燥機
CN106715782A (zh) 衣物干燥机
US20220220662A1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65405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30662A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87494A1 (en) Heat pump type laundry dryer and method of drying laundry using the same
US11603624B2 (en) Lint filter clogging detection in a dryer appliance based on airflow
JP7345082B2 (ja) 衣類乾燥機
US11346043B2 (en) Dryer applian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response to restricted air flow
US20220228312A1 (en) Lint filter clogging detection in a dryer appliance using compressor temperature and referigerant mass flow
KR102490844B1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JP2016036482A (ja) 乾燥機
KR101168888B1 (ko) 의류건조기의 정전보상 제어방법
KR10119121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EP4212664B1 (en) Dryer with a heat pump and a water container comprising an electrode and process for its operation
KR20060120883A (ko) 응축식 건조기의 검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10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