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1211B1 - 건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211B1
KR101191211B1 KR1020100042799A KR20100042799A KR101191211B1 KR 101191211 B1 KR101191211 B1 KR 101191211B1 KR 1020100042799 A KR1020100042799 A KR 1020100042799A KR 20100042799 A KR20100042799 A KR 20100042799A KR 101191211 B1 KR101191211 B1 KR 10119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value
drum
air
relative humidity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360A (ko
Inventor
김동현
고효진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4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21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1249157A priority patent/AU2011249157B2/en
Priority to EP11777578.3A priority patent/EP2567018B1/en
Priority to PCT/KR2011/003348 priority patent/WO2011139097A2/en
Priority to RU2012150276/12A priority patent/RU2517815C1/ru
Priority to CN201180022482.5A priority patent/CN102884245B/zh
Priority to BR112012028154A priority patent/BR112012028154B8/pt
Priority to DE202011110331U priority patent/DE202011110331U1/de
Priority to US13/100,541 priority patent/US8869421B2/en
Publication of KR20110123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에 적층된 린트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습도 센서에 의해 드럼 내부 또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습도값을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습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습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습도값이 기준 습도값 이상이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걸러주는 필터의 자동 청소를 시작하는 자동청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기의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of a drying device}
본 발명은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에 적층된 린트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통상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한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물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세탁물 수용부 내의 습 공기를 배기시키는 과정을 거쳐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건조기는 세탁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이러한 건조기는 또한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의 형태에 따라 나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 타입 건조기와 드럼 타입 건조기가 있다.
상기 캐비닛 타입 건조기는 세탁물이 옷걸이 등을 통해 세탁물 수용부 내부에 걸려 있거나, 선반 등을 통해 뉘여 있게 된다.
상기 드럼 타입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건조기에서 건조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중에는 린트(lint)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린트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설치된 린트 필터에 의해 걸러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건조 행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필터를 청소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에 적층된 린트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습도 센서에 의해 드럼 내부 또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상대습도값을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상대습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대습도값이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이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걸러주는 필터의 자동 청소를 시작하는 자동청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준 상대습도값은 상대습도값 80 내지 90%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청소 단계의 시작 이후 건조 시간에 따라 자동청소 실시 횟수가 제어되는 자동청소 반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청소 단계는 총 건조 시간 중 적어도 50%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시점에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 상대습도값은 건조 대상물의 함습율이 30 내지 40%일 때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필터의 자동 청소 시기 및 회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유지 및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건조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시점을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배기식 건조기나 응축식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 등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식 건조기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 내로 공급하고,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된 후 습해진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건조기이다.
응축식 건조기는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습한 공기를 응축기 또는 히트펌프 모듈을 통해 제습한 후 가열하여 다시 드럼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건조기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용 건조기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20)과, 드럼(20)의 개방된 전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런트 서포터와, 드럼(20)의 후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널 베어링부재(24)와, 드럼(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0)로 구성된다.
또한, 건조기에는 프런트 서포터(30)에 연결된 배출덕트(50)와, 캐비닛(10)의 후면으로 연결되어 드럼(20)에 연통되는 공급 덕트(40)와, 배출덕트(50) 내에 설치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송풍팬(52)과, 공급 덕트(40) 상에 설치되어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42)가 구비된다.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고 습해진 공기는 응축기(70)를 통해 제습되며, 응축기(70)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80)에 의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응축기(70)의 일측에는 응축기(70)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72) 및 구동모터(60)가 설치된다.
캐비닛(10)의 전방에는 드럼(20)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21a)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된 부분은 도어(15)에 의해 개폐된다.
프런트 서포터(30) 및 저널 베어링부재(24)는 드럼(20)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드럼(20)의 전방 상부 또는 하부는 롤러(90)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드럼(20)이 회전하더라도 프런트 서포터(30)는 회전하지 않고 캐비닛(10) 내측에 고정된다.
또한, 저널 베어링부재(24) 역시 캐비닛(10)의 내측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며, 저널 베어링부재(24)의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중심으로 드럼(20)이 상대 회전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의 하측에는 배출덕트(50)가 연결되고, 배출덕트(50) 내에는 송풍팬(52)이 설치되어 건조가 완료된 후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배출덕트(50)의 일단은 프런트 서포터(3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 덕트(40)와 연통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배출덕트(50)의 연결 부위에는 건조 후 드럼(20)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0)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송풍팬(52)은 모터(60)에 직결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킨다.
캐비닛(10)의 후방에는 다수의 관통홀(10a)이 형성되고, 배출덕트(5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드럼(2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덕트(40)가 연결된다. 공급 덕트(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다른 곳으로 유출되지 않고 드럼(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후방 내측면과 드럼(20)의 후방 외측면 사이에는 커버(22)가 장착된다.
드럼(20)의 후방에도 공기 연통을 위한 다수의 통기홀(20b)이 형성되며, 캐비닛(10)에 형성된 관통홀(10a)과 드럼(20)에 형성된 통기홀(20b)은 커버(22)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10a)과 통기홀(20b)이 커버(22)의 내측에 위치해야 공급 덕트(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드럼(20) 내부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급 덕트(40) 상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2)가 설치된다.
히터(42)는 건조 완료 후 송풍팬(52)에 의해 순환된 습한 공기가 후술할 응축기(70)를 통과해 제습된 후 공급 덕트(40)로 유입되면, 유입된 건조 공기를 가열한다. 건조된 공기는 히터(42)에 의해 가열되어 공급 덕트(40)를 통해 드럼(20)에 재공급된다.
즉, 드럼(20)이 회전하면서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송풍팬(52)에 의해 배출덕트(50)를 통해 배기되면, 공급 덕트(40)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20)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가열된 공기가 공급 덕트(40)를 통해 드럼(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히터(42)는 공급 덕트(40)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단이나 공급 덕트(4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60)는 두 개의 회전축을 구비하며, 하나의 회전축은 송풍팬(52)과 연결되어 송풍팬(52)을 구동한다. 모터(60)의 다른 하나의 회전축은 풀리(62)에 결합되어 풀리(62)를 회전시킨다. 풀리(62)는 벨트(64)로 드럼(20)과 연결되므로, 벨트(64)의 회전에 의해 드럼(20)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70)는 배출덕트(50)와 공급 덕트(40)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덕트(50)를 통해 배기되는 습한 공기를 제습하여 공급 덕트(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응축기(70)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공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조 후 습해진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기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교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매 또는 냉각수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교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의 사용시 발생하는 응축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80)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공냉식 응축기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공냉식 응축기(70)가 사용되는 경우, 열교환에 의해 건조 후 습해진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캐비닛(10)의 외부로부터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 덕트(40)가 구비되어 그 일측이 응축기(7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모터(60) 및 송풍팬(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외기공급 덕트(40)는 캐비닛(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고, 일단이 응축기(7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건조 행정이 계속되면 필터 어셈블리(100)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적층된다.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건조기의 사용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린트 필터를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확보 및 온도 과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50) 상에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어셈블리(100)는 필터 바디(110)와, 필터 바디(1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필터부(120)와, 필터부(120)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필터청소부(미도시)로 구성된다.
필터 바디(110)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되고, 공기 유입구(111a)에 대향되는 타측을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린트 포집 공간이 형성된다. 즉, 전면(112)과 후면(114), 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측면(116)과 하면(118)으로 형성된다. 전면(112)에 필터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112)이 양측면(116)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개폐된다(편의상 공기가 빠져나가는 면을 필터 바디의 정면, 이에 대향되는 면을 후면, 공기 유입구 쪽을 상측, 반대쪽을 하측이라고 정의하기로 함).
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된 필터 바디(110)의 상부는 결합 부위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공기 유입구(111a)를 통해 필터 바디(110)로 유입되어 필터 바디(110)의 전면(112)에 형성된 필터부(120)를 통해 빠져나간다.
필터부(120)는 적어도 필터 바디(110)의 전면(112)에 일체로 형성되며, 추가적으로 필터 바디(110)의 후면(114)에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20)가 양면에 형성될 경우 한쪽으로만 공기가 빠져나가는 경우 보다 풍량 확보에 유리하여 건조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필터부(120)는 공기 유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가 필터링되는 부분으로, 가늘고 촘촘한 원형의 메쉬(122)와, 메쉬(122)를 지지하는 다수의 리브(124)로 구성된다. 메쉬(122)가 원형이므로 리브(124)는 원형의 메쉬(122)를 골고루 지지하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원형 및 직선형이 복합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120)를 통해 린트가 제거된 공기가 빠져나가면 린트는 필터부(120)에 달라붙어 있는 상태로 서서히 적층되며, 이를 자동으로 청소하기 위해 필터 바디(110)의 내측에는 필터청소부가 설치된다.
필터청소부는 주기적으로 작동하여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필터청소부가 자동으로 작동하는데 상대습도값, 건조 시간 및 건조 대상물의 함습율 등이 기준이 되며, 상대습도값 산정을 위해 별도의 습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전술한 순환유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있어서, 필터어셈블리에서 린트를 자동으로 청소하기 위한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시점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건조기의 마이컴 또는 제어부에서는 건조기가 일정 회수 이상 사용되어 필터에 린트가 적층되면 건조 효율 저하 방지를 위해 필터어셈블리의 자동 청소를 실시하도록 제어한다.
자동 청소의 시작 시기는 건조 행정의 실행 회수나 건조 대상물의 물량 등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대습도값 등의 인자에 의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 또는, 건조 행정을 수회 이상 실행한 이후 상대습도값을 기준으로 하여 자동 청소 시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순환 유로상에 설치된 습도 센서에 의해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상대습도값을 감지한다(감지 단계, S100). 이때 상대습도값은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상대습도값을 감지하는 이유는 건조 대상물의 건조가 시작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건조 대상물로부터 수분이 건조되면서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상대습도값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제어부는 상기 감지 단계(S100)에서 감지된 상대습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지 판단한다(판단 단계, S200).
상기 판단 단계(S200)에서 감지된 상대습도값이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걸러주는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도록 자동청소 단계(S300)를 실시한다. 자동청소 단계(S300)가 실시된 후 건조 시간에 따라 자동청소 실시 횟수를 제어하여 자동청소 반복단계(S400)를 실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행정 초기(A 구간)에는 건조 대상물이 젖어있기 때문에 린트 발생량이 적고, 건조 대상물로부터 증발이 적게 일어나는 상태이므로 상대습도값의 변화도 거의 없는 상태이다(굵은 실선 참조).
따라서 이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에는 필터부(120)를 자동으로 청소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동청소 단계(S300)는 시작되지 않는다.
건조 대상물로부터 건조가 어느 정도 완료되어 함습율이 30 내지 40% 정도일 때부터 린트 발생량이 많아지기 시작하며, 이 시기의 상대습도값이 바로 기준 상대습도값이 된다.
따라서 최초로 자동청소 단계(S300)가 시작되는 시점(C 시점)은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상대습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시점이 된다. 이때, 기준 상대습도값은 상대습도값 80 내지 90%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자동청소 단계(S300)가 시작된 이후에는 모터의 신뢰성 확보 및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건조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필터부(120)의 자동 청소 반복 횟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400).
또한, 공기의 상대습도값이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시점(C 시점)은 총 건조 시간 중 적어도 50%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B 구간)에 해당한다. 따라서 잔여 건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자동 청소 반복을 적어도 1회 이상 실시하고 잔여 건조 시간이 소정 시간 이내이면 자동 청소 반복을 하지 않는 등 건조 시간을 기준으로 필터부(120)의 자동 청소 반복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건조 행정은 건조 대상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켜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건조 공기의 온도를 차츰 저하시켜 나중에는 건조 대상물을 쿨링할 수 있도록 쿨링 단계로 구성된다.
린트는 건조 대상물이 어느 정도 건조 완료되는(함습율 30~40% 정도) 건조 단계의 후반부에 많은 양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때에는 필터부(120)의 자동 청소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쿨링 단계에서는 건조 대상물을 식혀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린트 발생량이 거의 없으므로 필터부(120)의 자동 청소를 반복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건조 시간을 기준으로 잔여 건조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여 필터부(120)의 자동 청소 반복 여부 및 자동 청소 실시 횟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캐비닛 20 : 드럼
50 : 배출덕트 70 : 응축기
100 : 필터어셈블리 110 : 필터 바디
120 : 필터부

Claims (5)

  1. 습도 센서에 의해 드럼 내부 또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상대습도값을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상대습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대습도값이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이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걸러주는 필터의 자동 청소를 시작하는 자동청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상대습도값은 습도값 80 내지 90%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청소 단계의 시작 이후 건조 시간에 따라 자동청소 실시 횟수가 제어되는 자동청소 반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청소 단계는 총 건조 시간 중 적어도 50%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시점에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상대습도값은 건조 대상물의 함습율이 30 내지 40%일 때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20100042799A 2010-05-04 2010-05-07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19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99A KR101191211B1 (ko) 2010-05-07 2010-05-07 건조기의 제어방법
EP11777578.3A EP2567018B1 (en) 2010-05-04 2011-05-04 Control technology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PCT/KR2011/003348 WO2011139097A2 (en) 2010-05-04 2011-05-04 Control technology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RU2012150276/12A RU2517815C1 (ru) 2010-05-04 2011-05-04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AU2011249157A AU2011249157B2 (en) 2010-05-04 2011-05-04 Control technology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201180022482.5A CN102884245B (zh) 2010-05-04 2011-05-04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技术
BR112012028154A BR112012028154B8 (pt) 2010-05-04 2011-05-04 Método de controle de equipamento para tratamento de roupas
DE202011110331U DE202011110331U1 (de) 2010-05-04 2011-05-04 Steuervorrichtung für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US13/100,541 US8869421B2 (en) 2010-05-04 2011-05-04 Control technology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99A KR101191211B1 (ko) 2010-05-07 2010-05-07 건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60A KR20110123360A (ko) 2011-11-15
KR101191211B1 true KR101191211B1 (ko) 2012-10-15

Family

ID=4539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799A KR101191211B1 (ko) 2010-05-04 2010-05-07 건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647755T3 (en) * 2013-03-13 2019-01-21 V Zug Ag Laundry detergent with adjustable fil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045A (ja) 2006-06-29 2008-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KR100902564B1 (ko) 2007-09-04 200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JP2010155032A (ja) 2009-01-05 2010-07-15 Inamoto Seisakusho:Kk 洗濯物乾燥機のリント除去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045A (ja) 2006-06-29 2008-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KR100902564B1 (ko) 2007-09-04 200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JP2010155032A (ja) 2009-01-05 2010-07-15 Inamoto Seisakusho:Kk 洗濯物乾燥機のリント除去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60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4828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US20060101589A1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885145B2 (en) Laundry drying apparatus
KR10104182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41915B1 (ko) 건조기
KR101199392B1 (ko) 건조기
KR10131462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3085778A (ja) 洗濯乾燥機
KR10119121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110123333A (ko) 건조기
KR101253193B1 (ko) 건조기
KR101191208B1 (ko) 건조기
KR101729555B1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1191209B1 (ko) 건조기
JP5297314B2 (ja) 洗濯乾燥機
KR20110123359A (ko) 건조기
KR101191207B1 (ko) 건조기
KR101685977B1 (ko) 건조기
KR101177479B1 (ko) 건조기
JP2004344238A (ja) 衣類乾燥機
KR20100055599A (ko) 드럼식 건조기의 제어방법
JP2013000371A (ja) 乾燥機
KR101692725B1 (ko) 건조기
KR20120008645A (ko)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