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9435B1 -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 - Google Patents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435B1
KR101559435B1 KR1020150033623A KR20150033623A KR101559435B1 KR 101559435 B1 KR101559435 B1 KR 101559435B1 KR 1020150033623 A KR1020150033623 A KR 1020150033623A KR 20150033623 A KR20150033623 A KR 20150033623A KR 101559435 B1 KR101559435 B1 KR 101559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amp
dimming
led
control board
constant cur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영
Original Assignee
시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4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05B33/0803
    • F21Y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50); 설정스위치(40); 타이머(11);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50)가 인체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설정스위치(40)에서 설정된 온오프 및 디밍조건과 상기 타이머(11)의 설정시간에 따라 펄스폭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정전류부(20)에 전송하는 마이컴(30); 및 일반 교류전원과 연결되는 정류부(1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전류부(20)는, 상기 정류부(10)로부터 직류전압을 제공받아 정전류 파형을 생성하고, 상기 펄스폭 제어신호를 상기 정전류 파형과 결합하여 온오프 또는 디밍 전류신호를 생성한 후에, 상기 정류부(10)에서 LED 램프에 제공하는 직류전압 제공 배선에 상기 온오프 또는 디밍 전류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A LED LAMP CONTROLLING BOARD DIRECTLY COUPLED WITH ALTERNATING CURRENT}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50); 설정스위치(40); 타이머(11);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50)가 인체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설정스위치(40)에서 설정된 온오프 및 디밍조건과 상기 타이머(11)의 설정시간에 따라 펄스폭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정전류부(20)에 전송하는 마이컴(30); 및 일반 교류전원과 연결되는 정류부(1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전류부(20)는, 상기 정류부(10)로부터 직류전압을 제공받아 정전류 파형을 생성하고, 상기 펄스폭 제어신호를 상기 정전류 파형과 결합하여 온오프 또는 디밍 전류신호를 생성한 후에, 상기 정류부(10)에서 LED 램프에 제공하는 직류전압 제공 배선에 상기 온오프 또는 디밍 전류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사무실에 사용되는 형광등은 램프 두 개와 안정기 하나가 연결된 구조로서(도 1 참조), 32W 형광등 2등용 안정기는 32W 형광 램프 두 개를 한꺼번에 점소등하는 구조이다. 여기에서, 안정기는 형광 램프 내부의 전류가 지나치게 증가하면 램프가 파괴될 염려가 있으므로 전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형광등과 달리 LED 램프는 AC 전원을 인가받아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구조로서(도 2 참조), 모든 LED 램프는 각각 1개씩의 A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점소등을 하게 된다.
그런데 LED 램프는 발광다이오드의 특성상 빛 80% 및 열 20%로 전력을 소비하나, 형광 램프는 빛 20% 및 열 80%로 전력을 소비하므로, LED 램프가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빛의 밝기가 더 좋은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32W 형광 램프의 밝기 보다는 17~18W LED 램프의 밝기가 더 좋으며, 램프의 수명보다 LED 칩의 수명이 훨씬 긴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LED 제조업체는 에너지 절감 LED 조명등을 목표로 조명등에 센서를 이용한 디밍 또는 점소등 기능을 추가하여 왔다. 즉 센서와 더불어서 디밍 컨버터 또는 점소등 컨버터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자동차 등의 물체를 감지한 경우에 100% 점등을 수행하고, 물체가 없는 경우에는 소등 또는 디밍(예를 들어, 20%) 점등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은 물론 LED 조명의 수명을 더욱 연장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그러나 종래에는 디밍 또는 점소등 컨버터를 별개로 이용함으로써, 디밍 또는 점소등만 구동되는 LED 램프가 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많은 LED 업체가 LED 조명 시장에 진입한 상황에서 소비자가 선택한 LED 조명등의 제조업체가 폐업한다면, 디밍 또는 점소등 컨버터가 고장시 컨버터만 교체하면 될 것을 LED 조명등을 전부 교체해야하는 일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인체 동작의 검출 유무에 따라 디밍 또는 점소등 제어되는 램프에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채용되어 왔는데, 적외선센서와 초음파센서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적외선센서는 사용자의 동작이 크지 않으면 감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적외선센서 및 초음파센서는 램프 커버의 내측에 센서가 설치되면, 커버에 의해서 센서가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적외선센서 및 초음파센서는 램프와 일체화하여 구성되지 못하고 램프의 측면 또는 주변에 별도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밖에 없다.
총괄적으로 정리하여 보면, 본 발명자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기능, 마이컴과 정전류부를 이용하여 디밍 또는 점소등을 구현하는 기능 및 정전류부를 이용하여 LED 소자에 충분히 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함께 모은 제어보드를 만들 수 있다면, 굳이 점소등 또는 디밍컨버터를 별개로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또한 적외선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마이크로웨이브센서를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센싱이 가능하고, 나아가서 LED 제어보드에 일체형으로 내장하되 주요부분인 안테나 부분만을 노출하도록 하면 LED 램프 내부에서 제어보드가 점유하는 공간을 적게 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본 출원인이 특허등록한 등록번호 10-1448962호 참고)
또한 하나의 제어보드로 두 개의 LED 기판에 디밍 또는 온오프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하면, 원가절감 효과는 물론 두 개의 LED 램프 모두를 점소등 또는 디밍하거나 선택적으로 하나는 점소등, 또 다른 하나는 디밍 제어하여, 소비자의 선택을 넓게 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고 판단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6294호(2008.12.17)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1781호(2009.11.19) 등록특허공보 제10-1020713호(2011.03.09)
본 발명은,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기능과, 마이컴과 정전류부를 이용하여 디밍 또는 점소등을 구현하는 기능 및 정전류를 이용하여 LED 소자에 충분히 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함께 모은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적외선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마이크로웨이브센서를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센싱이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제어보드로 한개 또는 두 개의 LED 기판에 선택적으로 디밍 또는 점소등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원가 절감, 소비자 선택의 폭 확대 및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50); 설정스위치(40); 타이머(11);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50)가 인체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설정스위치(40)에서 설정된 온오프 및 디밍조건과 상기 타이머(11)의 설정시간에 따라 펄스폭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정전류부(20)에 전송하는 마이컴(30); 및 일반 교류전원과 연결되는 정류부(1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전류부(20)는, 상기 정류부(10)로부터 직류전압을 제공받아 정전류 파형을 생성하고, 상기 펄스폭 제어신호를 상기 정전류 파형과 결합하여 온오프 또는 디밍 전류신호를 생성한 후에, 상기 정류부(10)에서 LED 램프에 제공하는 직류전압 제공 배선에 상기 온오프 또는 디밍 전류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로 디밍 또는 점소등을 구현하여 원가를 절감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센서를 이용하여 정확한 센싱이 가능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제어보드로 한 개 또는 두 개의 LED 램프에 디밍 또는 점소등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소비자 선택의 폭을 확대하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하나의 안정기와 두 개의 형광 램프가 결합된 일반적인 형광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LED 램프의 구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에 사용되는 리모컨 인터페이스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의 일 예를, 도 4는 다른 예를, 도 5는 또 다른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에 사용되는 리모컨 인터페이스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100)를 이용한 조명시설은 하나의 제어보드(100)로 한 개 또는 두 개의 LED 기판에 디밍 또는 점소등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제1 LED 램프에 포함된 하나의 제어보드(100)로, 제1 LED 램프와 제2 LED 램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제1 LED 램프와 제2 LED 램프 사이의 간격은 2등용 형광등과 같은 간격은 물론 수 미터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어보드(1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마이크로웨이브센서(50)의 감지범위에 맞추어서 두 개의 LED 램프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램프 제어보드(100)는 디밍 컨버터 및 점소등 컨버터를 이용하지 않고, 마이컴(30) 및 정전류부(20)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제1 LED 기판과 제2 LED 기판에 디밍 신호 또는 점소등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종래기술은 디밍 컨버터 또는 점소등 컨버터의 신호를 받아서 디밍 또는 점소등을 구현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센서를 제어보드(100)에 내장하고, 이 센서 신호와 마이컴(30) 및 제1 정전류부(20)의 기능적 결합을 이용하여 디밍 및 점소등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램프 제어보드(100)는 각 구성요소가 모두 제어보드(10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LED 램프 내부에서 최소한의 공간을 점유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구성요소들의 종류가 IC 칩으로 모을 수 있는 경우에는 IC 칩으로 구성하여 보드에 내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보드(100)는, 정류부(10), 타이머(11), 제1 정전류부(20), 마이컴(30), 설정스위치(40) 및 마이크로웨이브센서(50)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설계조건에 따라 조도센서(12)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정류부(10)는 교류 전원을 인가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제1 정전류부(20)에 직류전압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 LED 기판 및 제2 LED 기판에 제공되는 전력과, 제2 LED 기판까지의 유선연결로 인한 전압강하 분까지 고려하여 직류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LED 기판 및 제2 LED 기판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제2 커넥터(61, 62)가 포함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제1 LED 기판에만 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커넥터만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에 기재된 제2 정전류부(21)는 LED 램프에 포함된 LED 소자의 개수에 따라 추가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LED 소자의 개수가 많을 경우에 추가 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4의 경우에는 제1 LED 기판에 포함된 소자가 많을 경우이고, 도 5의 경우에는 두 개의 LED 기판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타이머(11)는 사용자가 점등 시간이나 디밍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요소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경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마이컴(30)에 시간 정보만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또한 마이컴(30)에 타이머(11)가 포함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점등 시간은 마이크로웨이브센서(50)에서 인체(물체)를 감지하여 LED 램프를 100% 점등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디밍 시간은 인체(물체)를 감지하지 못하여 LED 램프를 설정된 출력으로(예를 들어, 10~20%) 점등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점등 시간 및 디밍 시간 이후에도 사용자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 LED 램프는 소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물론 LED 램프가 소등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LED 램프는 100% 밝기로 점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타이머(11)에 설정된 시간은 인체(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최대로 출력하는 제1 시간(100% 출력), 인체(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제 2 시간(50% 출력), 인체(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제3 시간(20% 출력) 및 소등하는 시간(0%) 등으로 더욱 세분화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정전류부(20)는 정류부(10)로부터 직류 전압을 제공받아서 정전류 파형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정전류는 마이컴(30)의 펄스폭 제어신호와 결합되어 펄스폭변조 신호 방식으로, 제1 커넥터(61)를 거쳐서 제1 LED 기판에, 제2 커넥터(62)를 거쳐서 제2 LED 기판에 각각 디밍 또는 온오프 전류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정전류부(20)는 오프 전류 신호를 보낸 후에는 정류부(10)로부터 전달되는 직류 전압으로 정전류 파형을 생성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가 내부적으로 포함되도록 설계된다.
마이컴(30)은 마이크로웨이브센서(50)가 인체(물체)를 감지한 경우에 설정스위치(40)에서 설정된 온오프 및 디밍 조건과 타이머(11)의 신호에 기반하여 펄스폭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정전류부(20)에 전송하게 된다. 제1 정전류부(20)에서는, 펄스폭 제어신호가 정전류 파형과 결합되어 디밍 또는 온오프 전류 신호가 생성되고 이 전류 신호가 각각 제1 또는 2 LED 기판으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마이컴(30)은 마이크로웨이브센서(50)가 인체(물체)를 감지한 경우에 제1 정전류부(20)가 정전류 파형을 생성하고 있지 않다면 제1 정전류부(20)가 동작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정전류부(20)가 전송하는 디밍 또는 온오프 전류신호는 제1, 2 LED 기판에 모두 동일하게 전송할 수도 있고, 각각의 LED 기판에 선택적으로 디밍 또는 온오프 전류신호를 줄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리모컨(400)으로 마이컴(30)을 설정하여 각 LED 램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마이크로웨이브센서(50)는 인체(물체)를 감지한 경우에 감지 신호를 마이컴(3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마이크로웨이브센서의 특징을 살펴보면, 마이크로웨이브센서는 열악한 조건(열, 온도, 소음, 습기, 기류 및 먼지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오작동이 거의 없다. 또한 안테나부의 특성에 따라 최대 25 ~ 30m까지 감지가 가능하며, 또한 360°의 감지각도로 직하방 직경 10m 이내의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석고보드 등도 고주파가 투과되므로 램프 커버를 설치하여도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마이크로웨이브센서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는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마이크로웨이브센서(50)는 360°의 감지각도로 직하방 직경 10m 이내의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등기구의 간격보다 더 넓은 범위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웨이브센서가 구비된 1개의 램프로 그 인접한 램프의 조광범위를 포함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검출할 수 있으므로, 조명 시설의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설정스위치(40)는 딥스위치나 로타리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점소등의 설정 또는 복수 개의 디밍 출력(20, 30, 60, 80% 출력)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리모컨(200)의 설정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설정스위치(40)의 구성을 제외시킬 수도 있다. 리모컨(200)이 추가되는 경우에는 마이컴(30)에 리모컨(200)과의 통신을 위한 구성이 추가되는 것은 물론이다.
조도센서(12)는 제1 LED 램프 주변의 조도를 검출한다. 조도센서(12)에서 검출된 조도에 근거하여 마이컴(30)이 제1 정전류부(20)를 구동 제어한 후에 펄스폭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2 LED 기판에 온오프 또는 디밍 전류 신호를 보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2 LED 램프를 점등하지 않아도 충분한 조도가 검출되는 경우(주간 시간)에는 제1, 2 LED 램프가 점등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는 검출된 조도와 제1, 2 LED 램프에서 발광되는 광에 의한 조도의 합이 설정된 조도에 이르도록 제1, 2 LED 램프에서 발광되는 광을 디밍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웨이브센서(50)에서 움직임이 검출되더라도 자연광 등에 의한 조도가 충분하면 제1, 2 LED 램프가 점등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또한 자연광이 충분하지 않으면 제1, 2 LED 램프를 점등하되 최대 필요한 조도에 맞추어서 디밍되도록 구성되어 필요 이상의 조도로 점등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제1, 2 LED 램프는 외부 장치를 통해 그룹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마이컴(30)마다 개별 ID(Identification)가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마이컴(30)은 ID 및 디밍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구비되거나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LED 램프는 마이컴(30)에 부여된 ID를 기준으로 일정한 그룹 단위로 묶어서 통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그룹으로 묶여진 LED 램프는 그룹 단위로 디밍제어는 물론, 설정되는 조건(타이머의 설정시간, 조도, 디밍율)을 일률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보면, 종래기술은 디밍 컨버터 또는 점소등 컨버터의 신호를 직접 사용하여 디밍 또는 점소등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어서, 디밍 또는 점소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디밍 컨버터 또는 점소등 컨버터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원가가 상승하고 제품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디밍 또는 온오프 제어 프로그램을 마이컴(30)에 내장하고 제1 정전류부(20)와 연동되게끔 함으로써 통합적으로 디밍 또는 점소등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인한 인한 원가 절감의 장점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40W급 하나의 제어보드(100)로 소비전력 20W급 2개 LED 램프를 한꺼번에 디밍 또는 점소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는 것은 물론 소비자가 사용 용도에 따라서 자유롭게 디밍 또는 점소등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입력 전력 40W 급 한 개의 제어보드(100)로 제1 LED 램프는 온오프, 제2 LED 램프는 디밍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류 직결형으로 제어보드를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일반 컨버터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서 원가 절감이 되는 효과를 보유하게 된다.
도 6은 리모컨(200)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마이컴(30)과의 통신을 통해서 각 LED 램프의 점등시간 및 밝기(디밍)조절은 물론 마이크로웨이브센서의 감도 조절/온오프 설정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각 기능을 혼동없이 설정하기 위해서 LED 램프의 깜박임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LED 램프를 설정하기 위해, 리모컨(200)의 시간조절 버튼 중 하나를 누르면 LED 램프가 1번 깜박이면서 점등시간 설정이 된다. 그 후에, 리모컨(200)의 밝기(디밍)조절 버튼 중 하나를 누르면 2번 깜박이면서 디밍 설정이 된다.
그 후에 램프설정 버튼 중 UNL 버튼을 누르게 되면 첫 번째 LED램프가 계속 깜박이면서, 두 번째 LED 램프를 설정하는 도중에 첫 번째 램프의 설정이 변경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도록 한다.
그 후에는 두 번째 LED 램프를 첫 번째 LED 램프를 설정하듯이 설정하고 LOC 버튼을 누르면 첫 번째 LED 램프는 더 이상 깜박이지 않으면서, 두 개의 LED 램프의 설정이 마치게 된다.
여기에서, 밝기(디밍)조절 버튼 중 소등 버튼은 물체 감지후 점등시간 동안 점등 후 즉시 소등되거나 서서히 50, 40, 30, 20, 0%로 어두어지도록 하는 경우에 모두 쓰일 수 있도록 미리 마이컴(30)에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센서의 감도 조절 버튼 중 하나를 누르면 LED 램프가 3 번 깜박이면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센서의 온/오프 버튼은 제어보드(100)의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설정으로서, 오프 버튼이 설정되는 경우에는 물체 감지에 따른 점소등이나 디밍이 아니라 직접 벽면에 부착된 스위치를 통해서 조명을 점소등할 수 있게 되므로, 굳이 자동으로 디밍이나 점소등을 원하지 않는 분야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일반 LED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서술한 리모컨(200)의 사용법은 일 예일 뿐으로서, 램프의 깜박임을 이용하여 혼동없이 시간, 디밍 및 센서의 강도를 설정하는 것, 센서의 오프를 이용하여 일반 LED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 및 제1 램프를 설정한 후에 제2 램프를 설정하기 위해서 제1 램프의 설정이 변경되지 않도록 록킹하는 것이 주요한 설계사항인바, 이러한 설계사항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 서술한 리모컨(200)은 하나의 램프에만 제어보드(100)가 구비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6의 구성 및 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정류부 11: 타이머
12: 조도센서 20: 제1 정전류부
30: 마이컴 40: 설정스위치
50: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61: 제1 커넥터
62: 제2 커넥터 100: 제어보드
200: 제1 LED 램프 300: 리모컨

Claims (6)

  1. 제어보드(100); 제1 LED 램프; 및 제2 LED 램프를 포함하는 LED 조명시설에 사용되는 상기 제어보드(100)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100)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50); 설정스위치(40); 타이머(11);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50)가 인체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설정스위치(40)에서 설정된 온오프 및 디밍조건과 상기 타이머(11)의 설정시간에 따라 펄스폭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정전류부(20)에 전송하는 마이컴(30); 및 일반 교류전원과 연결되는 정류부(1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전류부(20)는, 상기 정류부(10)로부터 직류전압을 제공받아 정전류 파형을 생성하고, 상기 펄스폭 제어신호를 상기 정전류 파형과 결합하여 온오프 또는 디밍 전류신호를 생성한 후에, 상기 정류부(10)에서 LED 램프에 제공하는 직류전압 제공 배선에 상기 온오프 또는 디밍 전류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보드(100)는 제1 LED 램프에 포함되고,
    상기 제어보드(100)로부터 제2 LED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보드(100)에 설정스위치(40) 및 타이머(11)의 설정은 리모컨(200)을 이용해서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설정하고자 하는 제1 또는 제2 LED 램프의 깜박임 횟수를 달리하여 혼동없이 각 LED 램프의 시간, 밝기 및 마이크로웨이브 센서(50)의 감도/온오프를 설정하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50)의 오프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LED 램프를 일반적인 LED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도센서(12)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조도센서(12)의 조도값을 추가로 고려하여 펄스폭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 제어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압 제공 배선에 제2 정전류부(21)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 제어보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보드(100); 제1 LED 램프; 및 제2 LED 램프를 포함하는 LED 조명시설에 있어서,
    상기 제1 LED 램프 및 제2 LED 램프는 조명시설에 배치되되,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50)의 감도가 상기 제1, 제2 LED 램프의 조광범위를 포함한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 조명시설.
KR1020150033623A 2015-03-11 2015-03-11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 Active KR101559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623A KR101559435B1 (ko) 2015-03-11 2015-03-11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623A KR101559435B1 (ko) 2015-03-11 2015-03-11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435B1 true KR101559435B1 (ko) 2015-10-13

Family

ID=5434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623A Active KR101559435B1 (ko) 2015-03-11 2015-03-11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4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483B1 (ko) 2017-05-23 2018-03-27 강홍기 개폐서지를 방지할 수 있는 ac직결형 led조명 시스템
WO2018184517A1 (zh) * 2017-04-06 2018-10-11 汪玉华 照明灯具
US10757788B2 (en) 2017-03-01 2020-08-25 Yuhua Wang Illuminating lam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74B1 (ko) 2011-09-05 2012-01-31 주식회사 하나디에스 조명제어용 무선 디밍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
JP2014160803A (ja) 2013-02-19 2014-09-04 Princeton Technology Corp Led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74B1 (ko) 2011-09-05 2012-01-31 주식회사 하나디에스 조명제어용 무선 디밍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
JP2014160803A (ja) 2013-02-19 2014-09-04 Princeton Technology Corp Led駆動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7788B2 (en) 2017-03-01 2020-08-25 Yuhua Wang Illuminating lamp
WO2018184517A1 (zh) * 2017-04-06 2018-10-11 汪玉华 照明灯具
KR101842483B1 (ko) 2017-05-23 2018-03-27 강홍기 개폐서지를 방지할 수 있는 ac직결형 led조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3812B2 (ja) 主電源及び補助電源から電力供給するための照明デバイス
KR101448962B1 (ko) 마이크로웨이브센서가 구비된 디밍용 led 램프, led 램프 제어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설
KR101124478B1 (ko) 엘이디 조명의 조도 자동 제어장치
JP2016201218A (ja) 照明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1555236B1 (ko) 스마트 led 조명장치
KR101559435B1 (ko) Led 램프의 디밍 및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교류 직결형 제어보드
RU2560311C2 (ru) Световой короб и способ его освещения
US20120056726A1 (en) Radio Controlled Step Dimmer Control for Fluorescent Light Fixtures
KR20130099492A (ko) 대기전력 소모를 감소키는 엘이디 센서등 제어장치
KR20080088016A (ko)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KR20110067560A (ko) 교류 전원을 온/오프하는 방식의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감성조명 조절 기능이 내장된 에너지 절약형 led램프
KR101458688B1 (ko) 정전시에도 작동되는 충전형 엘이디 조명등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조명 시스템
CN203368872U (zh) 三光度感应灯
KR20130030925A (ko) Led 조명기구의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한 그룹제어 디밍시스템
GB2459180A (en) Adjusting light output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
TW201436640A (zh) 開關系統及使用於該開關系統之牆壁開關
JP6771198B2 (ja) センサ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4654924B2 (ja) 人体検出型自動スイッチ
JP5421604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993280B1 (ko) 교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방식의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디밍 기능이 내장된 에너지 절약형 led 램프
CN102748694A (zh) 照明装置与照明系统
JP2012074151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00004603A (ko) 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시스템
JP2008010332A (ja)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点灯方法
KR20110008402U (ko) 엘이디 센서등 점등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4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9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