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8171B1 -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171B1
KR101558171B1 KR1020150064735A KR20150064735A KR101558171B1 KR 101558171 B1 KR101558171 B1 KR 101558171B1 KR 1020150064735 A KR1020150064735 A KR 1020150064735A KR 20150064735 A KR20150064735 A KR 20150064735A KR 101558171 B1 KR101558171 B1 KR 10155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melt adhesive
breathable
weight
thermoplastic h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티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티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티피
Priority to KR102015006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171B1/ko
Priority to PCT/KR2015/011071 priority patent/WO2016182144A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제형 접착제를 대신하면서 플렉서블하며 우수한 투습 방수성을 가지면서 뛰어난 기재 간 결속력을 유지시키며, 인체에 채용되는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오랜 시간 동안 향발산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습 기재층; 상기 투습 기재층의 일면에 적층된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 및 상기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의 일면에 적층된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을 포함하는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ILM LAMINATE INCLUDING BREATHABLE HOT-MELT ADHESIVE LAYER AND MANUFACTURING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제형 접착제를 대신하면서 플렉서블하며 우수한 투습 방수성을 가지면서 뛰어난 기재 간 결속력을 유지시키며, 인체에 채용되는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오랜 시간 동안 향발산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등산화 및 운동화 등의 신발류와 등산복 등의 스포츠 웨어에는, 일반적으로 착용 시의 활동성이나 경량성 등 이외에, 뛰어난 투습방수성 등이 요구된다.
"투습방수성"이라는 것은 물방울은 통과시키지 않지만 땀이나 물방울이 증발되는 수증기와 같은 것은 통과시키는 성질을 일컫는다. 이러한 "투습성"과 "방수성" 획득의 원리는 수증기의 크기와 물방울의 크기 (물방울의 직경은 1mm이상이고 수증기의 직경은 0.0004μm 이하)가 크게 다른 점을 이용한 것으로서, 물방울의 크기보다 작은 다공성 구조를 직물의 표면에 형성시키게 되면, 피부로부터 나온 수증기나 탄산가스 분자는 섬유간의 공간을 통해 바깥으로 발산되고 물방울은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투습방수포 제조를 위한 기술적 방법으로는 초극세섬유를 사용해 고밀도 직물로 가공하거나, 직물에 미세한 다공성막을 라미네이팅하거나 투습방수성 수지를 직접 코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투습방수포의 제조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 성과를 보이는 것은 이형지 위에 수지를 코팅하여 친수무공형 또는 다공성 필름을 제조한 후 이것을 접착제로 원단과 접합시켜 투습방수포를 제조하는 라미네이팅 방법이다. 이 경우 접합은 도트(dot)상 접합과 전면 접합의 두가지 방법이 있으나 고기능성(고투습, 부드러운 촉감)이 요구되는 제품은 도트상 접합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도트상 접합 방식에 의해 복수의 기재가 적층된 적층체는, 통상, 기재와 접착제와의 접점이 매우 적기 때문에, 충분한 상태(常態)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없어, 기재간의 박리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의복 등을 물세탁하면, 물이나 세제 등의 영향에 의해 접착제의 접착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고, 그 결과 기재간의 박리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1568호(2005.11.25)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5092호(2015.01.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용제형 접착제를 대신하면서 플렉서블하며 우수한 투습 방수성을 가지면서 뛰어난 기재 간 결속력을 유지시키며, 인체에 채용되는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오랜 시간 동안 향발산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투습 기재층; 상기 투습 기재층의 일면에 적층된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 및 상기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의 일면에 적층된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을 포함하는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투습 기재층은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핫멜트 접착층은 융점이 7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a)친수성 폴리에테르 폴리올류(Polyethylene Glycol,Polytetram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 45~55중량%, (b)글리콜류(1,4BD, 1,6HD, 1,5PD, HQEE, CHDM, MEG, DEG, MPD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 5 ~ 15중량%, (c)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50 ~ 30중량%를 상기 (a)+(b)에 대한 (c)의 분자량 비율인 지수가 0.90 내지 1.01가 되는 양으로 반응시켜 통기적 물성을 가지며 130 ~ 140℃의 저융점에서 성형한, 고형분 100%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분자량 2,000 ~ 6,000사이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5 ~ 10%와 친수성 퓸드 실리카 0.5 ~ 2%를 첨가, 혼합 및 펠레타이징한 수지로 압출하여 형성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습 필름층은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는 향발산 미립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향발산 미립자는 i) 소디움 스테아레이트 2.5∼3.0 중량부; d-리모넨 40∼60 중량부; 3-MMB 25 중량부 및 향 오일 10∼22 중량부를 혼합 분산시킨 유성겔 방향제 또는 수성겔 방향제 95∼50 중량부와 (ii) 향 오일을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또는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로 캡슐화한 향캡슐 5∼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은 두께가 10 ~ 150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습 필름층은 두께가 10 ~ 30u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용제형 접착제를 대신하면서 플렉서블하며 우수한 투습 방수성을 가지면서 뛰어난 기재 간 결속력을 유지시키며, 인체에 채용되는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오랜 시간 동안 향발산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를 제조히기 위한 공정의 일 예로, 하향식 T-다이스 압출 및 라미네이팅 복합라인의 공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구성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일 예로, 하향식 T-다이스 압출 및 라미네이팅 복합라인의 공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습 기재층(1); 상기 투습 기재층(1)의 일면에 적층된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 및 상기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의 윗면에 합착된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3)을 포함하는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를 제공한다.
상기 투습 기재층(1)은 부직포, 직포, 편포 등의 섬유질의 모든 직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보다 구체적으로 직물은 부직포, 면직물, 모시직물, 합성섬유 및 이들의 혼합직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투습 기재층(1)이 외관으로 보일 정도의 홀을 갖는 경우, 투습기재층(1)에 용제형 접착제를 사용하면 특히 접점이 줄어들어 투습 필름 층의 접착력이 저하되나, 본 발명의 필름형태의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이 구비되므로 그 접점이 크게 늘어남으로써 높은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은 융점이 70 내지 150℃가 되도록 (a)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tetraml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폴리에테르 폴리올류 45~55중량%, (b)1,4부탄디올(1,4-Butane Diol), 1,6헥산디올(1,6hexane Diol), 1,5펜탄디올(1,5Pentane Diol), 하이드로퀴논디-(ß-하이드로제틸) 에테르(Hydroquinonedi-(ß-hydrozyethyl) ether), 사이클로헤산디메탄올(Cyclohexandimethan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3-메틸 1,5-펜탄디올(3-Methly 1,5-Pentandiol)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글리콜류 5 ~ 15중량%, (c)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50 ~ 30중량%를 상기 (a)+(b)에 대한 (c)의 분자량 비율인 지수가 0.90 내지 1.01가 되는 양으로 반응시켜 통기적 물성을 가지며 130 ~ 140℃의 저융점에서 성형한, 고형분 100%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또한, (a)는 평균분자량이 약2000정도의 것을 사용하고 폴리우레탄의 화학구조 중에서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soft 세그멘트부분을 이루며 친수성 폴리올을 45 ~ 55중량% 사용함으로 인해 일반적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비해 우수한 통기적 물성, 핫멜트에 적합한 압출 가공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b)글리콜류 1,4BD(1,4-Butane Diol), 1,6HD(1,6hexane Diol), 1,5PD(1,5Pentane Diol), HQEE(Hydroquinonedi-(ß-hydrozyethyl) ether), CHDM(Cyclohexandimethanol), MEG(Ethylene Glycol), DEG(Diethylene Glycol),MPD(3-Methly 1,5-Pentandiol)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평균분자량 약 50 ~ 150인 것을 혼합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폴리우레탄 반응의 쇄 연장제로 작용하여 Hard 세그멘트 부분을 이루며 5 ~ 15중량% 조성으로 탄성과 유연성을 결정하고, 경도 70 ~ 75A인 저융점 폴리우레탄 핫멜트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조성물중 디이소시아네이트(c)는 폴리우레탄 제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중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의 투습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분자량 2,000 ~ 6,000사이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5 ~ 10%와 친수성 퓸드 실리카 0.5 ~ 2%를 첨가하여 헨셀믹서 등의 혼합기에서 혼합된 수지를 형성하고 이를 다시 트윈 스크류 타입의 컴파운딩 기계에서 펠레타이징한다.
그리고 상기 컴파운딩기에서 펠레타이징된 수지는 권출롤러가 두 개로 이루어지며 피착될 기재가 용융 및 압출되는 필름을 기준으로 그 양 측에서 동시에 투입되는 타입의 싱글스크류 T-다이 압출 및 라미네이팅 복합라인에서 그 권출롤러의 일측에는 상기 투습 기재층(1)을 거치하고 또 다른 일측에는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3)을 거치하여 양측에서 동시에 피착 층을 투입하면서 그 피착 층 사이로 상기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을 두께가 10 ~ 150um이 되도록 압출하고 이어서 냉각수가 유입되는 탄성롤과 스틸롤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압착하고 인취 라인을 거쳐 권취롤러에서 적당한 길이의 롤 형태로 권취한다(도 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용 원료를 제습 및 건조된 상태로 압출기 호퍼에 투입하면, 상기 원료는 3 내지 6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각 구역별로 온도를 콘트롤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실린더; 상기실린더에 연결되어 T-다이스(6)와 연결하는 아답터; 및 상기 아답터에 연결되고, 5 내지 7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각 구역별로 온도와 개구 부분의 갭을 콘트롤 할 수 있도록 설계된 T-다이스(6)를 통과하여, 용융된 필름상태의 핫멜트 접착층(2)이 압출된다. 상기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은 제 1 권출롤러(4)에서 공급되는 투습기재층(1); 및 제 2권출롤러(5)에서 공급되는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3)의 사이로 압출하여 탄성터치롤(7) 및 냉각&무늬 롤(8)에서 압착 및 냉각된다.
이어서, 상기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는 냉각롤(9)을 거쳐 Rewinder(10)에서 롤 상태로 권취함으로써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3)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그 두께가 10 ~ 30um이고 투습성이 높은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3)은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여 대전방지성이 부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는 향발산 미립자를 더 포함한다. 이 향발산 미립자는 투습 기재층(1),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 투수 필름층(3)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거나 사이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i) 소디움 스테아레이트 2.5∼3.0 중량부; d-리모넨 40∼60 중량부; 3-MMB 25 중량부 및 향 오일 10∼22 중량부를 혼합 분산시킨 유성겔 방향제 또는 수성겔 방향제 95∼50 중량부와 (ii) 향 오일을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또는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로 캡슐화한 향캡슐 5∼5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향캡슐은 천연고분자 또는 폴리우레탄계; 멜라민계; 에폭시계 중에서 선택된 고분자수지 1∼3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5∼2 중량부 및 물 40∼50 중량부의 혼합물에 향 오일 30∼40 중량부를 가하고 유화시킨 후, 포르말린 4∼5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1∼0.5 중량부, 멜라민 2∼3 중량부 및 트리에틸아민 2∼4 중량부를 가하고 40∼80℃로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얻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두께와 외관을 갖는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의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투습 기재층(1); 상기 투습 기재층(1)의 일면에 합착된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 및 상기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의 윗면에 합착된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3)을 구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상기한 바와 같이 양측에 동시에 피착층을 투입하면서 그 사이로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을 용융 압출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생산을 완료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별도로 핫멜트필름을 생산하기 위해 이형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두번째, 상기와 같은 방법 외에도 설비 상의 문제 등이 있다면 권출롤러 한 개에서 공급되어지는 상기 투습 기재층(1)의 일면에 상기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을 먼저 Extrusion Laminating하고 다시 Heating 설비가 갖추어진 Dry Lamination기에서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3)을 합포하는 두단계의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세번째, 권출롤러 한 개에서 공급되어지는 이형지(PP, PE, PET, 실리콘 이형 처리된 종이류를 포함한다.)에 상기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을 먼저 Extrusion Laminating하고 상기 투습 기재층(1)의 일면에 다시 Heating 설비가 갖추어진 Dry Lamination기에서 합포하고 이형지를 벗겨내고 다시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3)을 Dry laminating하는 세단계의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으나 여건이 된다면 첫 번째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공정 로스 및 추가공정비, 이형지 사용에 따른 추가비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험 결과에 따른 실시예 및 시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2에 제시한 공정도를 따라서,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 직경 120mm, L/D비 30:1의 싱글 스크류 T-다이스형 압출기에서 제 1 권출롤러(4)에서 공급되는 투습 기재층(1); 및 제 2 권출롤러(5)에서 공급되는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3)의 사이로 T-다이스(6)를 통과하여 압출된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을 탄성터치롤(7) 및 냉각/무늬 롤(8)에서 압착 및 냉각시켰다.
이때 압출기의 실린더 1번 130℃ 2번 140℃ 3번 150℃ 4번 160℃ 5번 165℃로 하였고 헤드 부위 160℃ T-다이스는 1번에서 7번까지 동일하게 160℃로 설정하였다.
압출기의 스크류 RPM은 10rpm/min으로 하고 Line 속도는 12m/min으로 하여 두께 100um인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압출하였고, 다시 Line 속도를 24m/min으로 변경하여 두께 50um인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압출하였다.
이어서 상기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는 냉각롤(9)을 거쳐 Rewinder(10)에서 롤 상태로 권취함으로써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제품을 제조하였다. 이때 투습 기재층(1)으로는 Nylon 20데니아로 직조된 고밀도 평직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3)으로는 일본 TECONE Co., LTD의 15um두께의 투습방수필름을 사용하였다.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의 원료는 동아화학의 투습성 핫멜트 수지인 EP-775A를 사용하였고 투습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한 첨가제로 동남합성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M-PEG4000(분자량 4,000)을 5% 첨가하고 다시 투습성과 흐름성 개선을 위해 OCI사의 친수성 퓸드 실리카 K300을 1% 첨가하여 헨셀 믹서에서 40℃의 열을 가하면서 20분간 가열 혼합하고 혼합된 수지를 다시 트윈 스크류 타입의 컴파운딩 기계에 투입하여 펠렛 타입으로된 수지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에 대하여, ASTM E96-2000, INVERTED CUP WATER METHOD에 따라 투습도를 측정하였고, 또한 JISL1092B에 따라 내수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투습핫멜트층
두께(um)
내수압
(mm/H2O)
투습도(g/m2*24h)
1차 2차 평균
1 50 10,000이상 19,342 24,459 21,901
2 100 10,000이상 21,838 17,346 19,59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는 우수한 내수압도 및 투습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로 접착층을 구성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는 VOC규제에 직면한 용제형 접착제를 대신하면서 플렉서블하며 접착력과 투습 방수성이 우수한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또한 150um정도의 두꺼운 접착층에서도 우수한 통기성을 가지므로 의류 등의 박막이 요구되는 제품 외에도 특히 신발류 등의 상당한 두께의 통기성 핫멜트필름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투습기재층
2: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
3: 투습 필름층
4: 제1 권출롤러
5: 제2 권출롤러
6: T-다이스
7: 탄성터치롤
8: 냉각/무늬 롤
9: 냉각롤
10: 권취롤러

Claims (5)

  1. 투습 기재층(1);
    상기 투습 기재층(1)의 일면에 적층된 통기성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 및
    상기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의 일면에 적층된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습 필름층(3);을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의 핫멜트 접착층(2)은
    (a)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tetraml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폴리에테르 폴리올류 45~55중량%, (b)1,4부탄디올(1,4-Butane Diol), 1,6헥산디올(1,6hexane Diol), 1,5펜탄디올(1,5Pentane Diol), 하이드로퀴논디-(ß-하이드로제틸) 에테르(Hydroquinonedi-(ß-hydrozyethyl) ether), 사이클로헤산디메탄올(Cyclohexandimethan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3-메틸 1,5-펜탄디올(3-Methly 1,5-Pentandiol)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글리콜류 5 ~ 15중량%, (c)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50 ~ 30중량%를 상기 (a)+(b)에 대한 (c)의 분자량 비율인 지수가 0.90 내지 1.01가 되는 양으로 반응시켜 통기적 물성을 가지며 130 ~ 140℃의 저융점에서 성형한, 고형분 100%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분자량 2,000 ~ 6,000사이의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5 ~ 10%와 친수성 퓸드 실리카 0.5 ~ 2%를 첨가, 혼합 및 펠레타이징한 수지;로 압출하여 형성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습 필름층(3)은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습 기재층(1)은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핫멜트 접착층(2)은 융점이 7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는 향발산 미립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향발산 미립자는 i) 소디움 스테아레이트 2.5∼3.0 중량부; d-리모넨 40∼60 중량부; 3-MMB 25 중량부 및 향 오일 10∼22 중량부를 혼합 분산시킨 유성겔 방향제 또는 수성겔 방향제 95∼50 중량부와 (ii) 향 오일을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또는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로 캡슐화한 향캡슐 5∼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2)은 두께가 10 ~ 150um이며,
    상기 투습 필름층(3)은 두께가 10 ~ 30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KR1020150064735A 2015-05-08 2015-05-08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5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35A KR101558171B1 (ko) 2015-05-08 2015-05-08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PCT/KR2015/011071 WO2016182144A1 (ko) 2015-05-08 2015-10-20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35A KR101558171B1 (ko) 2015-05-08 2015-05-08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171B1 true KR101558171B1 (ko) 2015-10-07

Family

ID=5434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8171B1 (ko) 2015-05-08 2015-05-08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8171B1 (ko)
WO (1) WO201618214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841B1 (ko) * 2018-01-05 2018-12-18 주식회사 영우티피 투습성 및 방수성 의류용 섬유 원단
KR101929840B1 (ko) * 2018-01-05 2018-12-18 주식회사 영우티피 투습성 및 방수성 신발용 갑피
KR20200018755A (ko) 2018-08-10 2020-02-20 이정운 고내수성 및 투습성 신발용 갑피
KR20200026463A (ko) *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한길엔씨티 신발갑피용 재생가죽 합포 공정을 위한 열반응 접착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505B1 (ko) 2017-08-10 2023-12-22 주식회사 쿠라레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CN115044182A (zh) * 2022-06-06 2022-09-13 广东汇齐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降解生物基透湿防水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488B1 (ko) * 2013-07-05 2013-10-29 성일산업 주식회사 양방향 신축 편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습방수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027A (ko) * 2000-01-24 2001-08-11 롤프 에취, 켈러, 카즈노리 이마무라 도트프린팅을 이용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KR20090041581A (ko) * 2007-10-24 2009-04-29 강영봉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쇄방법
KR20120140009A (ko) * 2011-06-20 2012-12-28 성일산업 주식회사 아라미드와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이용한 환편물 및 이를 이용한 투습방수가 가능한 원단 제조방법
KR20130083281A (ko) * 2012-01-12 2013-07-22 주원테크 주식회사 재 박리성이 낮은 접착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내열성이 우수한 보호층용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수지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488B1 (ko) * 2013-07-05 2013-10-29 성일산업 주식회사 양방향 신축 편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습방수 원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841B1 (ko) * 2018-01-05 2018-12-18 주식회사 영우티피 투습성 및 방수성 의류용 섬유 원단
KR101929840B1 (ko) * 2018-01-05 2018-12-18 주식회사 영우티피 투습성 및 방수성 신발용 갑피
KR20200018755A (ko) 2018-08-10 2020-02-20 이정운 고내수성 및 투습성 신발용 갑피
KR20200026463A (ko) *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한길엔씨티 신발갑피용 재생가죽 합포 공정을 위한 열반응 접착필름
KR102174657B1 (ko) 2018-09-03 2020-11-05 주식회사 한길엔씨티 신발갑피용 재생가죽 합포 공정을 위한 열반응 접착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2144A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171B1 (ko)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JP5073650B2 (ja) 医療用シート基材及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シート
US20100041295A1 (en) Laminate comprising film and web based on thermoplastic polyurethane
US6784127B1 (en) Polyurethane elastic fiber nonwoven fabric and its production and synthetic leather using the same
KR101527146B1 (ko) 바이러스 방어용 합지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바이러스 방어 의류
KR101718314B1 (ko) 폴리에스터를 이용한 인조피혁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11245B1 (ko)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48558A1 (en) Multilayered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foamed granules
KR100946200B1 (ko) 투습방수성 원단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원단 및상기 원단을 이용한 시임리스형 투습방수성 장갑의제조방법
KR100824437B1 (ko) 폴리우레탄 수지 박막 층의 형성 방법
KR20120028693A (ko) 투습성이 뛰어난 자외선 경화형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4718B1 (ko) 투습방수성 아웃도어용 니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01412297A (zh) 共挤压防水透湿薄膜结构及纺织品
KR101929841B1 (ko) 투습성 및 방수성 의류용 섬유 원단
KR101929840B1 (ko) 투습성 및 방수성 신발용 갑피
KR102235485B1 (ko) 바이러스 차단성능이 우수한 보호복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2828B1 (ko) 무팽윤성 기공타입의 통기방수성 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용도
KR20170064875A (ko) 하이브리드 마스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9971378B (zh) 高低温贴合膜及其材料和工艺
KR20000071181A (ko) 통기성 다층 박막
US20220349119A1 (en) Water vapor-permeable composite material
KR20160022706A (ko) 나노웹을 이용한 투습방수 자카드 원단의 제조방법
KR970010841B1 (ko) 생 분해성 일회용 기저귀
KR102001863B1 (ko) 접착공정 일체형 전기방사 나노웹 원단의 제조 방법
KR101185584B1 (ko) 자외선 경화형 촉감이 우수한 투습방수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