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0994B1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994B1
KR101550994B1 KR1020130151589A KR20130151589A KR101550994B1 KR 101550994 B1 KR101550994 B1 KR 101550994B1 KR 1020130151589 A KR1020130151589 A KR 1020130151589A KR 20130151589 A KR20130151589 A KR 20130151589A KR 101550994 B1 KR101550994 B1 KR 101550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housing
main body
retain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254A (ko
Inventor
조하영
박준서
이영종
김세권
김경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994B1/ko
Priority to US14/319,335 priority patent/US9252529B2/en
Priority to DE102014212925.7A priority patent/DE102014212925B4/de
Priority to CN201410329468.5A priority patent/CN104701652B/zh
Publication of KR2015006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9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by means of inter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플랫 케이블상에 단자를 강제 압착하는 방식이 가지는 플랫 케이블의 도체 손상 및 압착 불량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 부분이 접혀져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 위에 씌워진 상태로 결합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플랫 케이블 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 양면에 결합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 부분의 노출된 도체부를 단자 접속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리테이너 사이에 결합된 플랫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Conneector for flat cable}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 케이블상에 단자를 강제 압착하는 방식이 가지는 플랫 케이블의 도체 손상 및 압착 불량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박형화에 따른 공간 절약화와 간편한 접속을 목적으로 전자기기 내의 배선이나 가동부의 배선에 가요성(可撓性, flexibility)이 우수한 연성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성 플랫 케이블은 평편 케이블 또는 다심 케이블이라고도 하며, 컴퓨터나 그 주변장치, TV, 복합기, 디지털기기, 차량의 전자기기 또는 그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고, 가요성이 우수하므로 가동되는 부품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과 단자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플랫 케이블의 도체와 단자 사이를 접속 및 결합하는 종래의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랫 케이블(1)과 단자(2) 간 접촉 및 결합방식에서는 단자(2)의 압착부(2a)가 플랫 케이블(1)을 관통하여 플랫 케이블의 도체(1a)를 강제 압착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압착부(2a)와 도체(1a)의 압착을 통해 단자(2)와 플랫 케이블(1) 간의 전류 흐름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도시된 결합구조를 적용할 경우, 플랫 케이블과 단자 간의 결속시 플랫 케이블의 도체에 단자를 강제 관통시키는 과정에서 플랫 케이블의 도체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착 위치의 불량, 즉 단자와 도체 간의 압착시 위치가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정 위치에 압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압착 불량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그로 인해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단자 압착 방식의 경우, 플랫 케이블상에 각각의 단자를 압착하는 공정이 요구됨에 따라 제조 공정의 어려움이 있고, 생산 효율이 낮은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 공개특허 10-2001-0053736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플랫 케이블상에 단자를 강제 압착하는 방식의 문제점, 즉 플랫 케이블의 도체 손상 및 압착 불량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를 개별 압착하던 방식에 비해 불량 감소, 공정 축소 및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 부분이 접혀져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 위에 씌워진 상태로 결합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플랫 케이블 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 양면에 결합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 부분의 노출된 도체부를 단자 접속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리테이너 사이에 결합된 플랫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리테이너의 본체부 및 본체부에 결합된 플랫 케이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본체부 및 플랫 케이블 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노출홀은 리테이너의 본체부 양면에 결합된 각 플랫 케이블 부분의 노출된 도체부를 노출시키도록 하우징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노출홀은 상기 하우징에서 플랫 케이블 부분의 노출된 도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플랫 케이블 부분의 나란한 도체부들을 노출시키도록 복수 개의 노출홀이 하우징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서 이웃한 노출홀 사이의 격벽 부분은 직선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길게 형성된 단자가 하우징 내 도체부와의 접속을 위해 상기 각 노출홀에 삽입될 때 상기 격벽 부분이 단자를 안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격벽 부분이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플랫 케이블을 리테이너의 본체부에 밀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리테이너의 본체부에 형성되어 플랫 케이블의 끼움홀에 관통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돌기는 플랫 케이블의 끼움홀을 관통하여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돌기는 플랫 케이블이 씌워지는 리테이너의 본체부 끝단부에 본체부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은 하우징에서 본체부 끝단부 대응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플랫 케이블 부분이 하우징과의 사이에 'ㄷ'자 형태로 접혀져 밀착 결합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어지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과 리테이너 사이에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우징과 리테이너의 결합물에서 플랫 케이블이 돌기와 홀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단자가 하우징 양면에 노출되어 있는 도체부에 양면 접속되는 구성(2점의 접점 구조)을 가지는바, 커넥터에서 플랫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단자를 플랫 케이블에 관통 삽입하여 압착하는 방식에 비해 도체부 손상 및 접속 불량 등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특히, 플랫 케이블과 단자 사이에 2점의 접점을 가지므로 접속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단자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가이드에 의해 단자와 도체부 간의 접속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단자를 일일이 플랫 케이블에 관통 삽입하여 압착하는 방식에 비해 조립이 용이하고, 공정 축소 및 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과 단자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랫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플랫 케이블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플랫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단자가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는 필요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이외의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부분 또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요소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서 조정이 가능하며,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커넥터(200)(수 커넥터 형태)는 리테이너(210)와 하우징(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의 커넥터(200)에서는, 압착식 단자를 이용하여 플랫 케이블과 단자 간을 관통 및 압착 방식으로 결속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플랫 케이블(100)을 리테이너(210)와 하우징(220)으로 구성되는 커넥터(200)에 결합한 뒤 단자(도 8에서 도면부호 300임)(암 커넥터의 단자)를 플랫 케이블(100)의 도체부(110)에 직접 접촉시키는 구조가 적용된다.
따라서, 개별 단자의 압착 공정이 삭제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이 용이하고,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실시예의 커넥터(200)는 플랫 케이블(100)이 고정되는 부품이면서 플랫 케이블(100)과 단자가 접속되도록 하는 리테이너(210)와 하우징(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리테이너(210)는 플랫 케이블(100)이 밀착 결합되는 부품이면서 하우징(220) 내에서 플랫 케이블(100)을 고정하는 부품으로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211)와, 본체부(211)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213)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13)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하우징(2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14)가 형성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는 'ㄷ'자 형태로 접혀진 플랫 케이블(100)이 씌워져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는 하우징(220)과의 조립시에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 된다.
또한, 이러한 본체부(211)의 양면은 플랫 케이블(100)이 밀착되는 부분으로, 본체부(211)의 양면이 하우징(22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100)을 하우징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부분이 된다.
플랫 케이블과의 결합시에는, 플랫 케이블(100)을 'ㄷ'자 형태로 접어준 뒤, 상기한 구조의 리테이너(210) 위에 플랫 케이블을 씌우게 되는데, 'ㄷ'자 형태로 접힌 플랫 케이블의 양면이 리테이너의 본체부(211) 양면 위로 씌워지며, 플랫 케이블(100)에서 접힌 부분의 끝단부는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 끝단부 위로 결합되어진다.
이때, 플랫 케이블(100)이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리테이너(210)에는 플랫 케이블(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플랫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 끝단부에 케이블 폭방향(리테이너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위치고정돌기(212)가 될 수 있고, 이때 위치고정돌기(212)는 플랫 케이블(100)에 관통 형성된 끼움홀(120)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100)에서 끼움홀(120)은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 끝단부에 접하게 되는 케이블 부분,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 부분에서 도체부(110)가 없는 케이블 피복재 부분에 형성된다.
즉, 플랫 케이블(100)에서 도체부(110)가 손상되지 않도록 도체부가 위치한 부분의 측방으로 위치고정돌기 대응위치(리테이너의 위치고정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위치)의 피복재 부분에 케이블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플랫 케이블(100)은 케이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도체부가 피복재에 의해 피복된 구성을 가지는바, 커넥터(200)에 결합되는 부분, 즉 리테이너(210) 및 하우징(220)과 결합되는 플랫 케이블 부분에 단자(도 8에서 도면부호 300임)와의 접속을 위해 부분적으로 피복재를 제거하여 노출시킨 도체부(110)(단자가 접속되는 부분임)를 갖는다.
도 4는 실시예의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랫 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로, 플랫 케이블(100)에서 커넥터와 결합되는 부분이 도시되어 있으며, 리테이너의 위치고정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홀(120)을 보여주고 있고, 더불어 플랫 케이블(100)에서 피복재를 제거하여 노출시킨 도체부(110)를 보여주고 있다.
플랫 케이블(100)의 노출된 도체부(110)는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 양면에 각각 접하는 케이블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플랫 케이블(100)의 나란한 전체 도체부 중 커넥터(200)와 결합되는 케이블 부분의 일부 구간(후술하는 단자가 접속될 구간)을 노출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노출된 도체부(110) 역시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형상을 가진다.
이때,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 양면 쪽에 각각 접하여 위치되는 양측의 노출된 도체부(110) 배열 사이에 상기 끼움홀(120)이 위치된다.
다음으로, 하우징(220)은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와 이에 씌워진 플랫 케이블(100)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조립시 끼움홀(120)에 위치고정돌기(212)가 끼워지도록 하여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와 플랫 케이블(100)을 결합한 뒤,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와 플랫 케이블(100)을 하우징(220) 내측으로 삽입하여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220)은 리테이너(210)에 결합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100)을 보호하면서 플랫 케이블을 리테이너에 밀착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220)은 'ㄷ'자 형상으로 접힌 후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 위에 안착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100)의 양면을 모두 감쌀 수 있는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220)이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와 이에 결합된 플랫 케이블(100)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하우징 내부에 본체부와 플랫 케이블 부분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이 내부에 수용된 본체부와 플랫 케이블 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220)은 플랫 케이블(100)의 양면에 각각 접하는 면을 가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때 플랫 케이블(100)의 노출된 도체부(110)를 단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우징(220)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홀(도 2에서 도면부호 221임)이 하우징(220) 양면에 형성된다.
상기 노출홀(221)은 하우징(220) 양면에서 플랫 케이블(100)의 나란한 도체부(110)(노출된 도체부)를 개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출된 도체부(110) 전체를 하우징(220) 외부로 길게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노출홀(221)은 하우징(220)에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20) 양면에서 각각의 노출홀(221)은 실시예의 커넥터(200)(수 커넥터)가 단자(도 8에서 도면부호 300임)와의 접속을 위해 암 커넥터에 삽입되는 방향, 즉 단자(300)와의 결합방향 및 노출된 도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20) 양면에서 각각의 노출홀(221)은 플랫 케이블(100)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20)에서 이웃한 노출홀(221) 사이에는 격벽 형태의 가이드(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가 삽입되는 위치의 좌우 양 측방에 돌출 형성된 상기 가이드(222)는 단자(300)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바(도 8 참조), 플랫 케이블과 단자 간의 접점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준다.
즉, 이웃한 노출홀(221) 사이의 격벽 부분인 가이드(222)가 직선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암 커넥터 내에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단자(300)들이 하우징(220) 내 각 도체부(110)와의 접속을 위해 하우징(220)의 각 노출홀(도 2에서 도면부호 221임)에 삽입될 때, 상기 직선형의 가이드(222)가 길게 형성된 단자(30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도 8 참조).
이에 따라, 단자 접속시 각 단자(300)가 가이드(222)에 의해 구분된 각각의 노출홀(221)에 삽입된 후 플랫 케이블(100)상에서 슬라이드 됨과 동시에 가이드(222)에 의해 안내되면서 도체부(110)와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각 가이드(222)는 하우징(220) 내측으로 위치된 플랫 케이블(100) 및 노출된 도체부(1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접속을 위해 노출홀(221)로 삽입되는 단자(300)를 가이드(222)가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더불어, 이렇게 돌출된 구조의 가이드(222)가 형성된 하우징(220)은, 플랫 케이블(100)의 노출된 도체부(110)를 감싸도록 리테이너(210)와 조립된 상태에서, 낙하시에도 도체부(110)를 손상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20)에는 리테이너(210)의 각 위치고정돌기(212)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홀(223)이 형성되며, 이 고정홀(223)은 하우징(220)의 끝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요컨대, 실시예의 커넥터(200)에서 플랫 케이블(100)의 끼움홀(120)에 삽입되는 리테이너(210)의 위치고정돌기(212)가 플랫 케이블(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이 되며, 조립시 각 위치고정돌기(212)가 플랫 케이블(100)의 끼움홀(120)을 통과하여 하우징(220)의 각 고정홀(223)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위치고정돌기(212)는 플랫 케이블(100)이 씌워지는 리테이너(210) 끝단부(본체부 끝단부)에 리테이너 폭방향(플랫 케이블의 폭방향과 같은 방향임)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고정홀(223)은 하우징(220)에서 리테이너 끝단부 대응면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과 리테이너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로서, 상기 하우징(220)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리테이너(210)의 플랜지부(213)에 체결되는 체결후크(224)가 형성되는데, 각 체결후크(224)는 플랜지부(213)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214)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랜지부(213)에 걸릴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5a 내지 도 5e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플랫 케이블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며, 도 7은 플랫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노출된 도체부(110)를 갖는 플랫 케이블(100)의 끼움홀(120)에 리테이너(210)의 위치고정돌기(212)를 끼운 뒤, 그 위로 하우징(220)을 씌워 리테이너(210)의 본체부(211)가 하우징(22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플랫 케이블(100)이 하우징(220) 내측에서 'ㄷ'자 형태로 접혀지며, 체결후크(224)가 리테이너(210)의 플랜지부(213)에 걸리도록 하여 하우징(220)을 조립하면, 리테이너(210)의 위치고정돌기(212)가 하우징(220)의 각 고정홀(223)에 끼워지면서 고정된다.
결국, 리테이너(210)에 결합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100)이 하우징(220) 내측에서 위치고정돌기(212)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되며, 특히 위치고정돌기(212)는 플랫 케이블(100)이 하우징(220) 및 리테이너(210)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20)의 가이드(222), 즉 플랫 케이블(100)의 도체부(11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하우징(220)의 격벽 부분이 플랫 케이블(100)을 리테이너(210)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플랫 케이블(100)이 리테이너(210)의 표면에서 들뜨거나 밀리지 않고 균일하게 안착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단자와의 안정된 접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00)이 하우징(220)의 내측에서 보호될 수 있고, 특히 하우징(220)의 두께, 특히 가이드(222)(격벽 부분)의 두께가 존재하므로 플랫 케이블(100)이 조립된 상태로 커넥터(200)가 낙하하거나 다른 물체에 부딪히더라도 플랫 케이블(100)의 도체부(110)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접혀진 플랫 케이블(100)의 양면에 노출되어 있는 도체부(110)가 하우징(220)의 노출홀(2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하우징(220)의 노출홀(221)에 암 커넥터의 단자(300)가 끼워지면, 도체부(110)와 단자(300) 간이 접속되면서 플랫 케이블(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실시예의 커넥터에 단자가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단자(300)가 하우징(220)의 노출홀(221)에 끼워진 뒤 슬라이드 되고 나면, 노출홀(221)에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220) 양면에 노출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100)의 도체부(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플랫 케이블(100)과 단자(300) 간에는 2점의 접점이 형성되며, 이러한 2점의 접점 구조에 의해 플랫 케이블과 단자는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고, 양측 간의 접촉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커넥터(200)에서 리테이너(210)와 하우징(220)의 결합물은 조인트 커넥터(200)의 기능을 갖는 구조물이 된다.
즉, 실시예의 커넥터(200)는, 양면에 노출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100)의 도체부(110)에 하나의 단자(300)가 접속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각 단자(300)에서 발생한 입력 값을 플랫 케이블(100)의 양쪽으로 분배 및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자(300)를 입력 측으로 하고 커넥터(200)를 중심으로 플랫 케이블(100) 양측을 출력 측으로 하여 전기적인 신호의 분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플랫 케이블(100)의 도체부(110)와 단자(300)의 개수, 배열을 변경할 경우 각각의 다른 회로 연결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실제 적용시 각 유닛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플랫 케이블 110 : 도체부
120 : 끼움홀 200 : 커넥터
210 : 리테이너 211 : 본체부
212 : 위치고정돌기 213 : 플랜지부
214 : 결합부 220 : 하우징
221 : 노출홀 222 : 가이드
223 : 고정홀 224 : 체결후크
300 : 단자

Claims (10)

  1. 플랫 케이블 부분이 접혀져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 위에 씌워진 상태로 결합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플랫 케이블 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 양면에 결합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 부분의 노출된 도체부를 단자 접속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리테이너 사이에 결합된 플랫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리테이너의 본체부에 형성되어 플랫 케이블의 끼움홀에 관통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플랫 케이블 부분의 나란한 도체부들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복수 개의 노출홀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이웃한 노출홀을 구획하도록 형성된 격벽 부분인 가이드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 도체부와의 접속을 위해 각 노출홀에 삽입되는 단자를 안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리테이너의 본체부 및 본체부에 결합된 플랫 케이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본체부 및 플랫 케이블 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노출홀은 리테이너의 본체부 양면에 결합된 각 플랫 케이블 부분의 노출된 도체부를 노출시키도록 하우징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격벽 부분이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플랫 케이블을 리테이너의 본체부에 밀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돌기는 플랫 케이블의 끼움홀을 관통하여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돌기는 플랫 케이블이 씌워지는 리테이너의 본체부 끝단부에 본체부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은 하우징에서 본체부 끝단부 대응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플랫 케이블 부분이 하우징과의 사이에 'ㄷ'자 형태로 접혀져 밀착 결합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어지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130151589A 2013-12-06 2013-12-06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Active KR10155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589A KR101550994B1 (ko) 2013-12-06 2013-12-06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US14/319,335 US9252529B2 (en) 2013-12-06 2014-06-30 Connector for flat cable
DE102014212925.7A DE102014212925B4 (de) 2013-12-06 2014-07-03 Verbindungselement für ein Flachkabel
CN201410329468.5A CN104701652B (zh) 2013-12-06 2014-07-10 用于扁平电缆的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589A KR101550994B1 (ko) 2013-12-06 2013-12-06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254A KR20150066254A (ko) 2015-06-16
KR101550994B1 true KR101550994B1 (ko) 2015-09-07

Family

ID=5318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589A Active KR101550994B1 (ko) 2013-12-06 2013-12-06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2529B2 (ko)
KR (1) KR101550994B1 (ko)
CN (1) CN104701652B (ko)
DE (1) DE10201421292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474A1 (en) * 2015-07-01 2017-01-05 Intel Corporation Fpc connector for better signal integrity and design compaction
JP6738531B2 (ja) * 2016-05-11 2020-08-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電線の接続構造
WO2020039721A1 (ja) * 2018-08-22 2020-02-27 ソニー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2020068168A (ja) * 2018-10-26 2020-04-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KR102740180B1 (ko) * 2019-09-20 202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US11296446B2 (en) * 2020-07-02 2022-04-0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US12237596B2 (en) 2022-03-18 2025-02-25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Cable housing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9444A (ja) 2001-04-20 2002-10-3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752A (en) 1984-04-04 1986-03-04 Parlex Corporation Flat cable connection system
JPH04123093U (ja) 1991-04-24 1992-11-06 ケル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プラグコネクタ構造
US6039600A (en) * 1997-10-10 2000-03-21 Molex Incorporated Male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ircuit
JPH11329622A (ja) 1998-05-20 1999-11-30 Omron Corp コネクタ構造
US6755683B2 (en) * 2000-02-15 2004-06-29 Miraco, Inc. Printed circuit connector
JP2002110272A (ja) 2000-09-28 2002-04-1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プラグコネクタ
US6558186B1 (en) * 2001-10-11 2003-05-06 Molex Incorporated Keyed connector assembly for flat flexible circuitry
DE10250929B4 (de) * 2002-10-31 2005-03-10 Framatome Connectors Int Steckverbinderanordnung zur Verbindung zweier Flachbandleiter
JP4291800B2 (ja) 2005-06-21 2009-07-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的接続装置及びコネクタ
JP4818833B2 (ja) 2006-06-30 2011-11-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平形柔軟ケーブルの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9444A (ja) 2001-04-20 2002-10-3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2700A1 (en) 2015-06-11
DE102014212925A1 (de) 2015-06-11
KR20150066254A (ko) 2015-06-16
DE102014212925B4 (de) 2023-02-02
CN104701652B (zh) 2020-07-21
US9252529B2 (en) 2016-02-02
CN104701652A (zh)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99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6741040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JP575670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の組立方法
KR102647718B1 (ko)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US851207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oldering holes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tacts
US8317543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288689B1 (ko) 커넥터 하우징의 방수구조
KR20070081111A (ko) 장착부품 및 이것이 장착된 커넥터 및 전자기기
US20140151118A1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of camera module for vehicle
US8851928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04597020U (zh) 电连接器组合
CN103779745A (zh) 同轴连接器和连接器单元
US9401553B2 (en) Connector device
US7854626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small diameter shielded cable
KR20130060642A (ko)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CN111480396A (zh) 用于车辆用天线装置的缆线连接构造
KR101626371B1 (ko)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JP5218786B2 (ja) コネクタ装置
KR20160092628A (ko)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어셈블리
JP2006221863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38382B1 (ko) 전기 접속용 커넥터
KR101000253B1 (ko) 다선식 커넥터
JP2010015930A (ja) 端子部材、コネクタ、及び、端子部材接続方法
JP2009289550A (ja) 分割ジョイントボックス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