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8450B1 - 볼 엔드밀 - Google Patents

볼 엔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450B1
KR101548450B1 KR1020140011493A KR20140011493A KR101548450B1 KR 101548450 B1 KR101548450 B1 KR 101548450B1 KR 1020140011493 A KR1020140011493 A KR 1020140011493A KR 20140011493 A KR20140011493 A KR 20140011493A KR 101548450 B1 KR101548450 B1 KR 101548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mill
ball end
chisel
present
b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618A (ko
Inventor
김현
진병순
한진용
김영흠
강광현
권우혁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4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45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엔드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엔드밀은, 치즐 파트를 측면에서 볼때에 물결모양으로 형성시킨 것으로써, 치즐 파트에 작용되는 절삭력을 분산하여 인선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물결모양을 통하여 절삭유를 통과시킬 수 있어서 공구의 냉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볼 엔드밀 {Ball end mill}
본 발명은 볼 엔드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 엔드밀의 치즐(Chisel) 구조를 개선하여 치즐부에서 마찰열 발생을 저감시키고 치즐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며, 공구의 결손 및 치핑을 방지하여 가공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 엔드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엔드밀은 선단부가 볼(Ball)처럼 대략 구(球)형상을 이룬다. 또한, 볼 엔드밀의 최선단에 치즐 파트가 존재한다. 종래에 알려진 볼 엔드밀은 치즐 파트가 첨예부로 뾰족한 형상을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뾰족한 치즐 파트를 갖는 볼 엔드밀은 절삭 가공할 때에 절삭가공된 표면에서 피드 마크(Feed Mark)가 생성한다. 피드 마크는 가공 표면의 면조도의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7951호(2010.01.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1910호(2011.11.0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볼 엔드밀의 치즐 파트에 구성을 개선하여 치즐 파트에 작용되는 절삭력을 분산하여 인선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볼 엔드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 엔드밀의 치즐 파트에 구성을 개선하여 치즐 파트의 정밀도를 개선하고 아울러 피드 마크(Feed mark)의 생성을 억제하여 가공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 엔드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볼 엔드밀은, 볼 엔드밀 바디(1); 상기 볼 엔드밀 바디(1)의 한쪽에 형성된 제1, 2 절삭날(2a, 2b); 상기 제1 절삭날(2a)과 상기 제2 절삭날(2b)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1, 2 플루트(3a, 3b); 상기 볼 엔드밀 바디(1)의 단부에서 상기 제1, 2 절삭날(2a, 2b)에 각각 연속되게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에 볼 형상으로 형성된 제1, 2 볼 절삭날(4a, 4b); 및 상기 볼 엔드밀 바디(1)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볼 절삭날(4a)과 상기 제2 볼 절삭날(4b)이 연결되는 치즐 파트(7)를 포함하고,
상기 치즐 파트(7)는, 상기 볼 엔드밀 바디(1)의 측면에서 상기 치즐 파트(7)를 바라볼 때, 중앙에 돌부(21)가 돌출되고, 돌부(21)의 양측에 요부(22)가 형성되며, 볼 엔드밀 바디(1)의 선단부와 상기 치즐 파트(7)의 경계를 이루는 치즐 경계부(23)는 상기 요부(22)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서, 상기 치즐 파트(7)는, 상기 돌부(21)와 상기 복수의 요부(22)와 상기 치즐 경계부(23)는 변곡점이 없이 곡면으로 이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서, 상기 치즐 파트(7)는, 상기 돌부(21)의 높이가 상기 치즐 경계부(23)의 높이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서, 상기 치즐 파트(7)는, 상기 돌부(21)의 높이가 상기 치즐 경계부(23)의 높이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서, 상기 치즐 파트(7)는, 상기 돌부(21)의 높이가 상기 치즐 경계부(23)의 높이보다 낮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서, 상기 치즐 파트(7)는 폭(8)이 상기 볼 엔드밀 바디(1)의 직경에 대하여 0.10 내지 0.01인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은 치즐 파트를 종래에 단일의 첨예부 형상에서 웨이브 형상으로 변경함으로써, 절삭 가공을 수행할 때에 치즐 파트에서 절삭력이 분산되어 인선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절삭가공을 수행할 때에 날의 결손이 없을 수 있으며, 볼 엔드밀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은 치즐 파트를 종래에 단일의 첨예부 형상에서 웨이브 형상으로 변경함으로써, 치즐 파트에 대한 정밀도가 개선되고, 절삭가공의 면조도가 향상되어 가공표면의 품질이 향상된다.
도 1 및 도 2는 볼 엔드밀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는 볼 엔드밀에서 치즐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C-C선 단면도로서, 도 4의 (a)는 비교예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5는 치즐 파트의 폭 크기에 따른 가공 품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비교예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서 절삭공구의 외경에 대하여 치즐 파트의 폭 비율에 따른 가공 품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은 비교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표면의 품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비교예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서 치즐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는 가공표면의 표면거칠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12은 비교예이고,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14 및 도 15은 가공표면의 표면 조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14는 비교예이고,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16 및 도 17은 가공표면의 표면 조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16는 비교예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볼 엔드밀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볼 엔드밀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는 볼 엔드밀에서 치즐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면이다.
볼 엔드밀은 볼 엔드밀 바디(1)에 제1, 2 절삭날(2a, 2b)이 형성되고, 제1 절삭날(2a)과 제2 절삭날(2b)의 사이에 각각 제1, 2 플루트(3a, 3b)가 형성된다. 또한, 볼 엔드밀 바디(1)의 선단부에는 제1, 2 절삭날(2a, 2b)에 각각 연장되게 제1, 2 볼 절삭날(4a, 4b)이 형성된다.
제1, 2 절삭날(2a, 2b)의 각각에는 외주부 여유면(5)이 형성되고, 제1, 2 볼 절삭날(4a, 4b)의 각각에는 볼 파트 여유면(6)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볼 절삭날(4a)과 제2 볼 절삭날(4b)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즐(chisel) 파트(7)로 연결된다.
상술한 치즐은 종래의 비교예에서는 평면에서 보면 직선으로 보이고, 측면에서보면 뾰족한 모서리를 가진 형상으로 보인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즐은 치즐 파트(7)에 폭(8)이 형성되고, 그 폭(8)에는 물결 모양의 형상이 형성된다. 치즐 파트(7)의 측면 형상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도 3의 C-C선 단면도로서, 도 4의 (a)는 비교예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4의 (a)는 비교예로서, 중앙에 뾰족한 부분의 양쪽으로 여유각이 형성되고, 중앙의 뾰족한 부분에는 매우 작은 곡면이 형성된다. 그 곡면은 예를 들면 곡률 반경이 0.01mm일 수 있다.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치즐 파트(7)에 단면을 살펴보면, 볼 엔드밀 바디(1)의 측면에서 치즐 파트(7)를 바라볼 때에 웨이브 형상을 이룬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웨이브 형상은 중앙에 돌부(21)가 형성되고, 돌부(21)의 양쪽에 요부(22)가 형성된다. 한편, 돌부(21)와 요부(22)와 치즐 파트(7)의 치즐 경계부(23)는 물결모양의 곡면이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치즐 파트(7)는 변곡점이 없이 하나의 연속된 곡선처럼 보일 수 있다.
한편, 돌부(21)의 곡면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면 0.076mm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부(21)의 곡률 반경은 종래의 치즐 파트에 형성된 단일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술한 치즐 파트(7)의 폭 크기에 따라 가공품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첨부도면 도 5를 참조하여 치즐 파트(7)의 폭의 하한 값에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는 치즐 파트의 폭 크기에 따른 가공 품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비교예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5의 (a)는 비교예로서, 볼 엔드밀의 외경(D)은 5mm를 기준으로, 치즐 파트(7)의 폭은 볼 엔드밀의 외경(D)에 대하여 0.002의 비율을 적용한 것이다. 즉, 도 5의 (a)는 볼 엔드밀의 외경(D) 5mm에 대하여 0.002비율을 적용하여 치즐 파트(7)의 폭은 0.01mm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즐 파트(7)의 폭을 0.01mm로 형성하여 절삭가공을 수행하면, 절삭이 수행되지 않는 미절삭 구간이 발생한다.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볼 엔드밀의 외경(D)은 5mm를 기준으로, 치즐 파트(7)의 폭은 볼 엔드밀의 외경(D)에 대하여 0.02의 비율을 적용한 것이다. 즉, 도 5의 (b)는 볼 엔드밀의 외경(D) 5mm에 대하여 0.02비율을 적용하여 치즐 파트(7)의 폭은 0.1mm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즐 파트(7)의 폭을 0.1mm로 형성하여 절삭가공을 수행하면, 대부분의 면적에서 절삭이 양호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치즐 파트(7)의 폭은 너무 작게 형성되면 미절삭 구간이 발생되기 때문에 치즐 파트(7)의 최소한의 폭은 제한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치즐 파트(7)의 폭(8)에 대한 상한 값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서 절삭공구의 외경에 대하여 치즐 파트의 폭 비율에 따른 가공 품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은 비교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6은 비교예로서, 볼 엔드밀의 외경(D)은 5mm를 기준으로, 치즐 파트(7)의 폭은 볼 엔드밀의 외경(D)에 대하여 0.1의 비율을 적용한 것이다. 즉, 도 6은 볼 엔드밀의 외경(D) 5mm에 대하여 0.1 비율을 적용하여 치즐 파트(7)의 폭이 볼의 중심으로부터 이루는 각도(a)는 11도를 초과하는 정도로 매우 크게 형성된다. 특히 도 6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지름 구간(F)은 매우 크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지름 구간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공구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단축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문지름 구간이 과다하게 큰 경우에는 정밀가공에서 정밀가공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내마모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볼 엔드밀의 외경(D)은 5mm를 기준으로, 치즐 파트(7)의 폭(8)은 볼 엔드밀의 외경(D)에 대하여 0.02의 비율을 적용한 것이다. 즉, 도 7은 볼 엔드밀의 외경(D) 5mm에 대하여 0.02 비율을 적용하면 치즐 파트(7)의 폭이 볼의 중심으로부터 이루는 각도(a)는 대략 2도 정도로 매우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치즐 파트(7)의 폭(8)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문지름 구간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될 수 있고, 이로써 공구의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단축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가공표면의 면조도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문지르는 부분의 크기에 따른 가공표면의 품질 차이를 설면한다. 첨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표면의 품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비교예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8의 (ac)는 비교예로서, 볼 엔드밀의 문지르는 부분(9a)이 포인트로서 매우 작은 예이다. 볼 엔드밀이 가공을 수행하면, 볼 엔드밀은 자전하면서 소재에는 상대 운동한다. 예를 들면, 볼 엔드밀이 제자리에서 자전하고, 소재가 이동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의 (b)는 비교예로서, 볼 엔드밀가 소재에 대하여 절삭가공을 수행하였을 때에 치즐 파트의 궤적을 보인 것이다.
도 8의 (c)는 비교예로서, 절삭 가공된 표면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지르는 부분(9a)이 포인트로서 매우 좁게 형성되는 경우에, 가공 표면은 산과 골이 명확한 형태로 가공된다. 즉, 가공 표면의 조도가 불양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8의 (d)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볼 엔드밀의 문지르는 부분(9b)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 의해 절삭가공이 이루어지면, 도 8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즐파트의 폭이 넓은 형태의 궤적이 형성된다.
도 8의 (f)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절삭가공된 표면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문지르는 부분(9b)의 폭을 가질 때에, 가공 표면의 산과 골의 높낮이는 매우 미미한 수준을 보인다, 즉, 가공 표면의 조도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서 치즐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즐 파트(7)를 플렛 타입(Flat Type)으로 나타낸 것이다.
플렛 타입의 치즐 파트(7)는 중앙의 돌부(21)와 양쪽의 포인트 경계부(23)의 높이가 대등하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플렛 타입의 치즐 파트(7)는 치즐 파트(7)의 폭(8)을 볼 엔드밀의 외경(D)에 대하여 0.01 ~ 0.1비율로 설정하여 가공면 조도를 개선한 것이다. 또한, 플렛 타입의 치즐 파트(7)는 직선 가공 프로파일(Profile)에 접하는 요철부(21, 22)를 가지는 치즐을 생성함으로써 치즐 파트(7)에 대한 정밀도를 상승 시킨다.
한편, 요철부(21, 22)는 치즐 파트(7)와 소재간의 접촉면의 증가로 인한 마모의 증가를 방지한다.
다른 한편, 요철부(21, 22)는 절삭 가공할 때에 절삭유의 통로로 사용될 수 있어 공구냉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즐 파트(7)를 라운드 타입(Round Type)으로 나타낸 것이다.
라운드 타입의 치즐 파트(7)는 돌부(21)가 양쪽의 포인트 경계부(23)보다 높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라운드 타입의 치즐 파트(7)는 돌부(21)와 요부(22)의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직선과 곡면의 접촉으로 발생할 수 있는 모서리(절삭공구의 Weak Point)를 방지함으로써 공구수명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즐 파트(7)를 콘케이브 타입(Concave Type)으로 나타낸 것이다.
콘게이브 타입의 치즐 파트(7)는, 중앙의 돌부(21)가 포인트 경계부(23)보다 낮게 형성된 것이다.
콘게이브 타입의 치즐 파트(7)는, 미절삭(잔삭) 부위를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가공표면의 면조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콘게이브 타입의 치즐 파트(7)는 소재와 접촉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내마모성이 증가되고, 이로써 볼 엔드밀의 수명개선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7는 다음의 절삭 조건으로 시험한 결과이다.
절삭 시험 조건: 볼 엔드밀의 직경 12mm, 볼 엔드밀의 회전속도 6000rpm, 이송속도 500mm/min, 축방향 절입량 0.1mm, 반경방향 절입량 0.3mm
비교예에 사용된 볼 엔드밀은 치즐부에 별다른 형상이 형성되지 않고 뾰족한 첨예부만 형성된 종래의 볼 엔드밀이다.
실시예에 사용된 볼 엔드밀은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인 물결 형상의 치즐 파트(7)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볼 엔드밀이다.
도 12 내지 도 17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절삭조건에서 절삭시험을 수행하고,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여 그래프와 3차원 컬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도면 도 12 및 도 13는 가공표면의 표면거칠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12은 비교예이고,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12은 비교예로서, 평균 거칠기(Ra)가 132.97nm로 측정되었다. 반면에,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평균 거칠기(Ra)가 40.62nm로 측정되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엔드밀에 의한 가공은 가공표면 거칠기가 매우 고르고 매끈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은 가공표면의 표면 조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14는 비교예이고,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14는 비교예로서, 등고선의 차이가 극명하게 보인다. 즉, 파랑색과 붉은색이 모두 명확하게 보이는 것으로, 표면 조도가 불량함을 의미한다. 반면에,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비교예에 비교하여 상대적을 등고선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붉은색 영역이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표면 조도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가공표면의 표면 조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16는 비교예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16은 비교예로서, 파랑색과 붉은색이 모두 명확하게 보이는 것으로, 표면 조도가 불량함을 의미한다. 비교예에 따른 평균 거칠기(Ra)는 273.13nm가 측정되었다. 반면에,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비교예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색분포가 고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평균 거칠기(Ra)는 154.94nm가 측정되었다. 한편, 육안으로 보더라도 파랑색등고선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붉은색 영역이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표면 조도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엔드밀은 절삭가공을 수행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 볼 엔드밀 바디 2a, 2b: 제1, 2 절삭날
3a, 3b: 제1, 2 플루트 4a, 4b: 제1, 2 볼 절삭날
5: 외주부 여유면 6: 볼 파트 여유면
7: 치즐 파트 8: 치즐 파트의 폭
9a, 9b: 문지르는 부분
21: 돌부 22: 요부
23: 치즐 경계부 D: 볼 엔드밀의 외경
C: 센터 라인

Claims (6)

  1. 볼 엔드밀 바디(1);
    상기 볼 엔드밀 바디(1)의 한쪽에 형성된 제1, 2 절삭날(2a, 2b);
    상기 제1 절삭날(2a)과 상기 제2 절삭날(2b)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1, 2 플루트(3a, 3b);
    상기 볼 엔드밀 바디(1)의 단부에서 상기 제1, 2 절삭날(2a, 2b)에 각각 연속되게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에 볼 형상으로 형성된 제1, 2 볼 절삭날(4a, 4b); 및
    상기 볼 엔드밀 바디(1)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볼 절삭날(4a)과 상기 제2 볼 절삭날(4b)이 연결되는 치즐 파트(7)를 포함하고,
    상기 치즐 파트(7)는,
    상기 볼 엔드밀 바디(1)의 측면에서 상기 치즐 파트(7)를 바라볼 때,
    중앙에 돌부(21)가 돌출되고, 돌부(21)의 양측에 요부(22)가 형성되며, 볼 엔드밀 바디(1)의 선단부와 상기 치즐 파트(7)의 경계를 이루는 치즐 경계부(23)는 상기 요부(22)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돌부(21)와 상기 복수의 요부(22)와 상기 치즐 경계부(23)는 변곡점이 없이 곡면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엔드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즐 파트(7)는, 상기 돌부(21)의 높이가 상기 치즐 경계부(23)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엔드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즐 파트(7)는, 상기 돌부(21)의 높이가 상기 치즐 경계부(23)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엔드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즐 파트(7)는, 상기 돌부(21)의 높이가 상기 치즐 경계부(23)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엔드밀.
  6. 제 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즐 파트(7)는 폭(8)이 상기 볼 엔드밀 바디(1)의 직경에 대하여 0.10 내지 0.01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엔드밀.
KR1020140011493A 2014-01-29 2014-01-29 볼 엔드밀 Expired - Fee Related KR10154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493A KR101548450B1 (ko) 2014-01-29 2014-01-29 볼 엔드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493A KR101548450B1 (ko) 2014-01-29 2014-01-29 볼 엔드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618A KR20150090618A (ko) 2015-08-06
KR101548450B1 true KR101548450B1 (ko) 2015-08-28

Family

ID=5388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4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8450B1 (ko) 2014-01-29 2014-01-29 볼 엔드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3128B3 (de) * 2016-02-26 2017-06-29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 Kress KG Fräswerk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4234A (ja) 2001-02-23 2002-09-10 Hitachi Tool Engineering Ltd ボールエンドミル
JP2010030044A (ja) 2009-11-18 2010-02-12 Mitsubishi Materials Corp ボールエンドミル
JP2011189463A (ja) 2010-03-15 2011-09-29 Mitsubishi Materials Corp エンドミ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4234A (ja) 2001-02-23 2002-09-10 Hitachi Tool Engineering Ltd ボールエンドミル
JP2010030044A (ja) 2009-11-18 2010-02-12 Mitsubishi Materials Corp ボールエンドミル
JP2011189463A (ja) 2010-03-15 2011-09-29 Mitsubishi Materials Corp エンドミ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618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432B1 (ko) 볼 엔드밀
JP6848160B2 (ja) 切削工具
CA2679762C (en) End mill
JP5615053B2 (ja) 総形カッターの製造方法および総形カッターの研削工具
CN104209565B (zh) 一种三刃成型刀
KR101919721B1 (ko) 총형 회전 절삭 공구
JP2015062978A (ja) ボールエンドミル
KR101548450B1 (ko) 볼 엔드밀
CN110370104B (zh) 制造切削刀具的方法和切削刀具
JP7601452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7140786B2 (ja) 硬脆材切削加工用回転切削工具
JP6036487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US11471958B2 (en) End mill and machining method
JP2020040179A (ja) リブ溝の壁面の加工方法およびテーパエンドミル
JP3786904B2 (ja) 総形回転切削工具
JP6869527B2 (ja)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
US9694431B2 (en) Milling cutter and method of use
US20200070257A1 (en) Improved milling head with constant profiles
JP2015188979A (ja) エンドミル
JP7152673B2 (ja) リブ溝の壁面の加工方法およびテーパエンドミル
JP6519091B2 (ja) エンドミル
JP2015188973A (ja) ラフィングエンドミル
JP2012011505A (ja) 翼溝加工用クリスマスカッタ
JP2013188818A (ja) シェービングカッ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