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368B1 - Heat-resistant pottery and glaze using ba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Heat-resistant pottery and glaze using ba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2368B1 KR101542368B1 KR1020140165235A KR20140165235A KR101542368B1 KR 101542368 B1 KR101542368 B1 KR 101542368B1 KR 1020140165235 A KR1020140165235 A KR 1020140165235A KR 20140165235 A KR20140165235 A KR 20140165235A KR 101542368 B1 KR101542368 B1 KR 1015423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alt
- powder
- weight
- pottery
- glaz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현무암을 이용하여 제조된 옹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옹기는, 현무암 분말; 오부점토 또는 산청고령토 중에서 선택되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내열소지; 상기 현무암과 내열소지를 혼합하여 성형된 옹기 본체; 상기 옹기 본체에 파여져 형성된 고임 자리; 상기 고임 자리에 채워져 용융된 현무암 충진층; 및 옹기 본체의 표면을 형성하고 현무암 성분이 함유된 유약층;을 포함함으로써, 옹기를 석기질화하여, 반투수성, 열전도율과 열지속성을 높이고, 다량의 원적외선을 내용물로 전달하는 위생 옹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gyo made using basalt. Onggi, basalt powder; A refractory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bi clay and Sanskrit kaolin, or a mixture thereof; A pottery body formed by mixing the basalt and the heat resistant base; An elongated recess formed in the pot body; A molten basalt filling layer filled in the upper portion; And a glaze layer forming the surface of the pot body and containing a basalt component, thereby providing a sanitary pot with a semi-permeable property,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a heat-releasing property, and a large amount of far- .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및 유약 그리고 옹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현무암을 이용하여 옹기를 제작, 옹기를 석기질화 하여, 반투수성, 열전도율과 열지속성을 높이고, 다량의 원적외선을 내용물에 전달하는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및 유약과 옹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pottery, pottery, pottery, pottery, pottery, pottery, pottery, and pottery using basalt, To a method for producing pottery, pottery, pottery, pottery, pottery, pottery, pottery, pottery, pottery, and pottery.
점토(clay)와 고령토(caolin)에 포함된 실리콘, 알루미늄, 타이타늄, 지르코늄 등과 같은 금속원소는 세라믹스 공정으로 산소, 탄소, 질소 등과 결합하여 단단한 산화물 및 탄화물의 세라믹을 만든다. 예로부터 점토와 고령토는 가볍고 단단하면서 통기성이 있는 옹기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재료로 선택되었다. 전통적으로 옹기를 제조할 때 점토의 선택은 산지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는데, 실제로 산지에 따라 질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국내 점토의 경우 함평 점토는 규석질과 알루미나질을 다량으로 함유하면서 입자가 미세하고, 산청 점토는 알루미나질 성분이 많고 입자가 함평 점토에 비해 비교적 굵다.Metal elements such as silicon, aluminum, titanium, zirconium and the like contained in clay and caolin are combined with oxygen, carbon, nitrogen and the like by a ceramics process to make ceramics of hard oxides and carbides. From the past, clay and kaolin have been selected as useful materials for making lightweight, hard and breathable pottery. Traditionally, the clay selection was made by dividing the clay into mountain areas when manufacturing Onggi. For example, in the case of domestic clay, Hampyeong clay contains a large amount of silicate and alumina, fine grains, and sankung clay has a large amount of alumina and the grains are relatively thick compared to Hampyeong clay.
옹기 제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01956호에는 이러한 산지 자원을 특정하여 세라믹 옹기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함평 점토, 산청 점토, 고령토, 세리사이트(sericite)의 원료 조성을 갖는 바이오 세라믹 옹기로 기재되어 있으며 저온 용융 광물로서 굵은 입자의 세리사이트를 혼입재로 사용하고 있다. 세리사이트는 도자기를 제조할 때 혼입재로 첨가하는 광물질로서 세라믹스 공정 중 세라믹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세라믹 결정상의 공극,무게, 통기성 등에 관여하는 것일 수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8-0001956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ceramic pots by specifying such mountainous resources in connection with the production of Onggi, and it has been proposed that a raw material composition of hanpyeong clay, sancong clay, kaolin, and sericite It is described as bioceramic pottery, and sericite of coarse particles is used as a mixed material as low-temperature melting minerals. Cerisite is a mineral added as a filler material in the production of ceramics and affects ceramic crystals in ceramics process. For example, a porosity of a ceramic crystal phase, weight, air permeability, or the like.
최근의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0114호에는 팽창성 점토 및 탄화규소를 포함하는 기공 형성제를 옹기소지 조성물에 포함시켜 다공성 옹기를 제조하는 제안이 개시되어 있는데, 마찬가지로 세라믹 결정상의 기공 사이즈와 분포 변화를 유도, 이를 통해 좀더 가벼운 개질 옹기를 얻는 것이다. A recent 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20114, discloses a proposal to prepare a porous Ingot by incorporating a pore-forming agent comprising expandable clay and silicon carbide into a pottery base composition. In the same manner, Inducing a change in distribution, thereby obtaining a lighter reforming pot.
그리고, 세라믹 옹기 소성에서는, 토련, 성형, 조각, 초벌소성(소성온도 750℃-800℃), 시유, 유약 손질을 순차적으로 행하고 1200℃-1250℃에서 재벌 소성으로 소성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In ceramic green onion firing, there is known a method in which the firing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stoichiometry, molding, sculpture, preliminary firing (firing temperature 750 ° C. to 800 ° C.), fuel oil and glaze firing, and baking at 1200 ° C. to 1250 ° C.
현무암(basalt)은 감람석, 희석, 사장석 및 자철석 등의 광물조성이고, 생성지역(국내는 강원 철원지역과 제주 일원에 다량 분포) 및 시기에 따라 화학성분들이 다르게 함유되어 있다.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이고, 그 밖에 산화물 성분을 포함하며, 용융점은 약 1,100 내지 1,500℃ 정도로서 다른 세라믹 재료들에 비해 낮은 편이다. 산.알칼리에 대한 내약품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열을 받으면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업분야 적용은 원석을 1차 가공하여 석물, 골재, 벽돌, 생활용품 등에 이용하거나, 또는 원석을 용융하여 일정 모양의 금형에 부어 냉각시켜 이를 공예품이나 건축용 벽돌 등에 사용하는 정도로 제한적인 범위에서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Basalt is a mineral composition such as olivine, dilution, plagioclase and magnetite, and chemical compon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neration area (domestic distribution is large in Gangwon Cheolwon area and Jeju area) and time. Silicon dioxide is the main component, and other oxide components are included, and the melting point is about 1,100 to 1,500 DEG C, which is lower than other ceramic materials. It ha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against acid and alkali and is known to emit a large amount of far-infrared rays upon receiving heat. The industrial application is limit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for stone, aggregate, brick, household goods, etc. by primary processing of the ore, or by cooling the ore by pouring it into a certain mold and cooling it for use in crafts or building bricks In fact.
현재 현무암 가공과정에서는 원석의 약 50% 이상이 폐석 및 석분슬러지로 발생하여 산업폐기물로 남는다. 석분슬러지는 매립지 확보의 문제로 야적 방치되고 있어 분진을 발생시켜 대기와 토양 및 지하수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는데 이에 대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현무암 폐석분슬러지의 재활용에 관한 사례들은 석분슬러지를 소성하여 특정 제품을 제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6153호에는 다공질 경량 발포골재로 활용하는 제안이 개시되어 있으나 옹기 제조 분야와 관련성이 없다. At present, more than 50% of the ore is generated as waste stone and stone dust in the basalt process, and it is left as industrial waste. Because of the problem of securing landfill, the stone dust sludge is caused by dust, which cause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soil and groundwater pollution. Examples of the recycling of the basalt waste sludge sludge have been proceeded to produce a specific product by calcining the sludge sludg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136153 discloses a proposal to utilize it as a porous lightweight foamed aggregate, There is no relevance to the field.
본 출원인 발명자는 현무암 또는 버려지거나 야적 방치된 폐현무암은 내열옹기 제조에서 소지와 유약부분에 유용한 재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confirmed that basalt or abandoned or discarded waste basalt can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for the base and glaze parts in the manufacture of heat resistant toilets.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01956호(공개 1998. 03. 30)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1998-0001956 (published on March 30, 1998)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0114호(공고 2014. 07. 18)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1420114 (Bulletin 2014. 07. 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무암 성분을 포함하는 옹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tery containing a basalt com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도에 의해 원적외선 방사율과 항균성을 갖는 위생 옹기를 제조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sanitary ointment having a far-infrared emissivity and antibacterial property by heat condu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무암을 옹기소지 부분 및 유약부분의 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basalt as a component of an Onggi-bearing part and a glaze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채광된 현무암, 폐현무암 및 석분슬러지를 포함하는 현무암의 활용과 재활용도를 높이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hance utilization and recycling of basalt, including mined basalt, spent basalt and limestone slud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방법은, 채취된 현무암 원석 또는 버려지는 폐현무암을 세척 건조하고 건조된 현무암 원석 또는 폐현무암을 분말 입자로 가공하는 단계; 분말 상으로 가공된 상기 현무암 분말을 옹기소지 분말과 유약에 혼합하여 옹기를 만드는 주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제조된 주재료 중 옹기소지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점성이 있는 반죽을 만들어 기물을 성형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기물을 700 내지 800℃ 온도 범위에서 소성 하는 제1 소성단계; 제1 소성단계를 거친 기물을 건조시킨 후 상기 주재료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유약을 시유하는 단계; 유약이 시유된 기물을 1150 내지 1230℃ 온도 범위에서 다시 소성하는 제2 소성단계; 및 상기 제2 소성 단계를 마친 기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pottery using basalt r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ashing basalt gypsum or abandoned basalt rock, drying and drying dried basalt gypsum or pulverized basalt to powder particles; Mixing the basalt powder processed into a powder phase with an inorganic base powder and a glaze to prepare a main material for making pottery; Adding water to the Onggi-based powder of the main material prepared from the above step to form a viscous dough; molding and drying the dough; A first baking step of baking the dried material at a temperature range of 700 to 800 ° C; Drying the gauze produced through the first firing step, and then glazing the glaze produced in the main material producing step; A second baking step of re-baking the glazed material at a temperature range of 1150 to 1230 캜; And recovering the finished product after the second firing step.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방법은, 기물의 제1 소성단계 후 기물을 물에 담궈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건조와 제1 소성에서 기물 표면에 형성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pottery using basalt r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moving a foreign substance by dipping the object in water after the first firing step of the object so that the dus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in the drying and first firing And foreign matter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에 사용되는 현무암은, 주성분이 SiO2이고, Al2O3, Fe2O3, MgO, CaO, Na2O, TiO2, K2O인 산화물 성분을 포함하며, 발포조성은, SiO2 60 내지 70중량%, Al2O3 15 내지 25중량%, Fe2O3 5 내지 10중량%, CaO+MgO 0 내지 6중량%, Na2O+K2O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채광되거나 채집된 현무암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Basalt used for pottery production using a basa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mponent is SiO 2, Al 2 O 3, Fe 2 O 3, MgO, an oxide CaO, Na 2 O, TiO 2, K 2 O It comprises a component, the foam composition, SiO 2 60 to 70 wt%, Al 2 O 3 15 to 25 weight%, Fe 2 O 3 5 to 10 wt%, CaO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에 사용되는 폐현무암은, 채취된 원석 가공에서 발생되는 폐석, 또는 입도 30 내지 250㎛ 범위인 석분슬러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으로, 석분슬러지는 볼밀, 제트밀 등의 분말 가공 없이 저비용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The waste basalt used in the production of pottery using basalt rock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waste sludge generated in the processing of the extracted ore and the sludge sludge having a particle size ranging from 30 to 250 μm, Can be recycled at low cost without processing powder such as a ball mill or a jet mil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재료 제조단계에서 선택하는 옹기소지는, 내열소지로서, 오부점토나 산청고령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nggi basin selected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main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ugitive clay and sankyu kaolin or a mixture thereof is used as the heat resistant bas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재료 제조단계에서 옹기소지의 조성은, 오부점토나 산청고령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내열소지 70 내지 80중량%, 현무암 분말 20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내열소지와 현무암을 포함하는 옹기 소지로 조성된다.In the step of preparing the main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of the Onggi basin is 70 to 80% by weight of the heat-resistant base composed of any one of the clay and the kaolin or a mixture thereof, and 20 to 30% It is mixed to form a pottery containing pottery and basal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재료 제조단계에서 유약의 조성은, 물 5 내지 15중량%, 애쉬 35 내지 40중량%, 현무암 분말 35 내지 40 중량%, 황토 분말 15 내지 25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ain material manufacturing ste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of the glaze is composed of 5 to 15 wt% of water, 35 to 40 wt% of ash, 35 to 40 wt% of basalt powder, and 15 to 25 wt% of loess powder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약 조성에 포함되는 애쉬는, 초목을 태워서 형성되는 분체를 채집하거나 회수 후 여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sh contained in the glaz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der formed by burning vegetation is collected or recovered and filter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물 성형 단계에서는, 기물의 바닥면을 따라 안으로 파여진 고임 자리를 형성하고, 그 고임 자리에 현무암 분말을 채워넣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고임 자리에 별도의 현무암 충진층을 형성하여 열을 가하였을 때 원적외선 발생량을 증가시킨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forming an elongated ridge extending inwardly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cle and filling the ridge with basalt powder, And the generated amount of far infrared ray is increased when heat is appli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현무암; 오부점토 또는 산청고령토 중에서 선택되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내열소지; 상기 현무암과 내열소지를 혼합하여 성형된 옹기 본체; 상기 옹기 본체에 파여져 형성된 고임 자리; 상기 고임 자리에 채워져 용융된 현무암 충진층; 및 상기 옹기 본체의 표면을 형성하고 현무암 성분이 함유된 유약층;을 포함하는 현무암을 이용하여 제조된 옹기를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alt rock; A refractory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bi clay and Sanskrit kaolin, or a mixture thereof; A pottery body formed by mixing the basalt and the heat resistant base; An elongated recess formed in the pot body; A molten basalt filling layer filled in the upper portion; And a glaze layer forming a surface of the pot body and containing a basalt compon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하여 제조된 옹기의 현무암은, 융점이 1100 ~ 1160℃인 현무암으로써, 1100 ~ 1160℃ 사이에서 용융되어 소지알갱이들 사이에서 융착하여 소지를 석기질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salt of Onggi produced using basa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alt which has a melting point of 1100 to 1160 ° C and melts at a temperature of 1100 to 1160 ° C and fuses between the base grains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하여 제조된 옹기의 유약층은, 물 5 내지 15중량%, 애쉬 35 내지 40중량%, 현무암 분말 35 내지 40 중량%, 황토 분말 15 내지 25중량%로 조성된 유약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laze layer of Onggi produced using basalt r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5 to 15% by weight of water, 35 to 40% by weight of ash, 35 to 40% by weight of basalt powder and 15 to 25% Is formed using a glaz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악은, 물 5 내지 15중량%, 애쉬 35 내지 40중량%, 현무암 분말 35 내지 40중량%, 황토 분말 15 내지 25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yuak manufactured by using the basalt r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5 to 15% by weight of water, 35 to 40% by weight of ash, 35 to 40% by weight of basalt powder and 15 to 25%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약 성분에 포함되는 애쉬는, 초목을 태워서 형성된 여과 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sh contained in the glaze component manufactured using the basalt r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powder formed by burning veget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한 옹기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옹기에 의하면, 가온 상태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 하는 광물질을 포함하는 현무암 성분을 옹기 본체의 주요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율을 높은 수준으로 지속시키고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무암을 이용하여 옹기를 제작함으로써, 옹기를 석기질화 하여, 반투수성, 열전도율과 열지속성을 높이고, 다량의 원적외선을 내용물에 전달하는 위생 옹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pottery using basalt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po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asalt components including minerals emitting a large amount of far-infrared rays in a warm state are included as main components of the pottery main body It has the effect of sustaining and maintaining the far-infrared emissivity at a high level which i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In addition, by producing pottery using basalt, pottery is nitrided to provide a hygienic pottery that is semi-permeable, has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heat-release property, and transfers a large amount of far-infrared rays to the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한 옹기 제조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옹기 제조를 위한 기물 성형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소성과 제2 소성을 마쳐서 성형된 옹기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옹기의 원석외선 방사 분포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옹기에 포함되는 현무암 충진층의 예시도.1 is a flow chart of an ongyo manufacturing process using basalt rock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llustration of a veneer for making po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ttery that has been formed by completing a first firing and a second f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stribution chart of the outer circle of the raw stone of Onggi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 basalt filling layer included in Ongg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현무암 및 폐현무암을 옹기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제시된다. 국내 현무암 분포는 강원도 철원지역, 제주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이에 관한 지질학적 연구를 포함하여 특성에 관한 보고 및 연구, 그 활용에 관한 연구가 있어 왔다. <논문> '철원지역 현무암의 암석학적 및 물리적·화학적 특성'(석재연논문집4('99.6) pp.255-262, 강원대학교 석재복합신소재제품연구센터 1999.)등 이와 관련하여 다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for utilizing basalt and waste basalt as a pottery material. The distribution of domestic basalts is mainly distributed in Cheolwon area and Jeju area in Gangwon province.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reporting, research, and utilization of geological features including geological studies. Petrology an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basalt from the Cheolwon area (Kwon, Jae - Yeon 4 ('99 .6) pp.255-262,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현무암은 다량의 원적외선 방출 외에 습도조절이 용이하고 곰팡이균 성장을 억제하는 등 다양한 치료 및 항균 활성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용과 활용이 미흡했다. 특히 강원도 철원 전 지역에 산재된 현무암은 채취 후 1차 토산품을 만들고 버려지는 폐현무암의 양이 상당량에 이르고 있으며, 대부분 방치되거나 야적 상태에 있어 분진으로 날려 공해 발생과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Basalt is known to have a variety of therapeutic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such as easy control of humidity and inhibition of fungal growth, besides a large amount of far-infrared radiation, but its use and application are insufficient. In particular, basalt scattered throughout Cheorwon area in Gangwon province has produced a large amount of abandoned basalt rock after making primary souvenirs after being collected. Most of them are discharged or dusted by dust, causing pollu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은 현무암을 채집 가공하거나 재활용하여 옹기 분야의 재료로 활용함으로써 원적외선 및 항균 효과를 포함하여 옹기의 석기질화를 용이하게 구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stonitization of Onggi, including far-infrared and antimicrobial effects, by collecting or recycling the basalt as a material in the field of potter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의 제조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기물의 형상의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옹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flow chart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pottery using basa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the shape of the article mad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ot m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현무암 성분을 포함하는 옹기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ttery containing basalt composition
채취된 현무암 원석 또는 버려지는 폐현무암을 세척하고 건조한다. 폐현무암중 석분슬러지는 세척 없이 여과하여 그대로 현무암 분말로 사용한다. 그리고, 석분슬러지를 제외한 건조된 현무암 원석 또는 폐현무암을 분쇄하여 분말상태로 가공한다. Clean and dry the collected basalt gravel or discarded basalt. The calcareous sludge in the pulverized basalt is filtered without washing and used as basalt powder. Then, dried basalt rock or lava basalt except crushed stone sludge is crushed and processed into a powder state.
현무암의 분쇄는 볼밀(planetary ball milling) 또는 제트 밀(jet milling)에 의하면 입도 1㎛ 이하까지 분말체로 성형할 수 있으며 성질이 다른 분말과의 혼합에 대해서도 높은 혼합률로 혼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lanetary ball milling or jet milling, the basalt can be pulverized to a particle size of 1 μm or less and can be mixed with other powders at a high mixing ratio.
분말 상으로 가공된 현무암 분말을 옹기소지 분말과 유약에 각각 혼합하여 옹기를 만들 수 있는 주재료를 제조한다. 옹기를 만드는 주재료는 옹기소지와 유악으로서, 주재료의 의미는 옹기소지와 유약의 의미이다.The basalt powder processed into a powder phase is mixed with a pottery powder and a glaze to prepare a main material capable of making pottery. The main ingredients for making Onggi are Onggi bean janggwa and janggak, meaning the meaning of the main ingredients is Onggi beige and glaze.
제조가 완료된 주재료 중 먼저 옹기소지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점성이 있는 반죽을 만들어 기물(A)을 성형하고 건조한다. 도 2는 상기 작업 공정들을 통해 기물(A)로 성형된 옹기 중, 주방용 옹기의 예로 제시되었다. First of all, the water is added to the powder of Onggi Powder to make a viscous dough, and the material (A) is molded and dried. Fig. 2 shows an example of a pot for pottery molded into a pottery (A) through the above-described working processes.
이같이 옹기소자 분말과 현무암 분말을 혼합한 후 반죽하고 그 반죽물을 사용하여 기물(A) 성형을 완료하면, 기물을 건조한다. 기물의 건조는 자연건조나 강제건조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자연건조의 경우 건조시간은 절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절기와 구분없이 1 내지 3일 정도 범위이다. 강제건조는 건조로에 넣어 온도를 높이고 바람을 붙어 말리는 것으로 자연건조에 비해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지만 건조 상태는 자연건조에 비해 나빠진다.After mixing the Onggi device powder with the basalt powder, kneading and kneading the kneaded product to complete the molding of the article (A), the article is dried. The drying of the material can be carried out freely by natural drying or forced drying. In the case of natural drying, the drying time varies depending on season, but it ranges from about 1 to 3 days regardless of season. Forced drying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temperature by putting it in a drying furnace and drying it with wind, which reduces the drying time compared with natural drying, but the drying condition is worse than the natural drying.
기물(A)의 건조가 완료되면, 기물을 700 내지 800℃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는 제1 소성 공정을 거친다. 바람직한 제1 소성 온도는, 700 내지 750℃의 내외이다. 이것은 도자기 제조 공정의 예와 비교하면 초벌 굽기에 해당한다.After drying of the article (A) is completed, the article is subjected to a first baking step in which the article is heat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700 to 800 ° C. The preferred first baking temperature is around 700 to 750 占 폚. This corresponds to rough baking compared with the example of the ceramics manufacturing process.
700 내지 750℃ 내외의 비교적 낮은 온도(일반적인 옹기제조 소성온도 1100℃ 이상)로 기물을 소성 하는 이유는, 기물(A)에 유약을 두껍게 입히는데 적합한 온도이기 때문이다. 즉 소성온도가 낮으면 유약의 흡수력이 좋아진다. 따라서 소성온도를 낮게 하면 이후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유약 시유 작업 조건을 유리하게 한다. 예를 들면, 유약을 스프레이 시유법등으로 여러번 시유과정을 거처 유약의 두께를 늘려가면서 1~2mm 이상으로 충분히 유약을 도포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article is bak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700 ° C to 750 ° C or more and a sintering temperature of 1100 ° C or more in general, manufactured by Onggi) is suitable for thickening the glaze on the article (A). That is, when the firing temperature is low, the absorption power of the glaze is improved. Therefore, if the firing temperature is lowered, it is advantageous to continuously operate the glazing system. For example, the glaze is sprayed several times with a spraying method, and the glaze is coated with 1 to 2 mm or more while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glaze.
이와 같이 700 내지 750℃ 내외로 제1 소성을 거친 기물(A)을 다시 건조시킨 후 주재료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현무암이 포함된 유약을 시유 한다.After the first fired product (A) is dried again at about 700 to 750 ° C, the glaze containing the basalt produced in the main material production step is sieved.
유약 시유는, 기물(A) 표면에 스프레이 시유법 등으로 여러 번 유약을 분사하는 시유과정을 거처 유약의 두께를 늘려가면서 1~2mm 이상으로 충분히 유약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laz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rticle (A) by applying a glaze several times over the surface of the article (A) by spraying the glaze several times while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glaze.
기물(A) 표면에 대한 유약 시유가 완료되면 1150 내지 1230℃ 온도 범위로 조절된 소성로에 넣어 기물(A)을 다시 소성 하는 제2 소성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소성시간은 정해진 것은 없으나 약 10 시간 이상으로 한다. 제2 소성은 재벌 굽기에 해당한다.When the glazing system for the surface of the object A is completed, the object A is subjected to a second firing process in which the object A is re-fired in a furnace controlled at a temperature ranging from 1150 to 1230 ° C. Here, the baking time is not set but is set to about 10 hours or more. The second firing corresponds to chaebol burning.
모든 소성을 마친 기물(A)을 회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무암 성분을 포함하는 옹기 본체(110)로 성형 되고, 그 표면은 현무암 성분을 포함하는 유약층(120)이 형성된 옹기(100)로 제품화한다.3, the surface of the calcined body A is formed into 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방법을 실시 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pottery using basalt r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제1 소성과정을 거친 기물(A)을 물에 담궈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작업 과정을 포함하는 경우, 기물(A) 표면에서 이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유약 시유에서 기물 표면에 유약을 균일하고 매끄럽게 시유 도포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object A having been subjected to the first firing process is immersed in water to remove a foreign substance, impurities such as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A to uniformize the glaze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So that it can be smoothly applied.
옹기소지 및 유약에 혼합하는 현무암Basalt mixed with pottery and glazes
현무암은, 주성분이 SiO2이고, Al2O3, Fe2O3, MgO, CaO, Na2O, K2O인 산화물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그 조성은 SiO2 60 내지 70중량%, Al2O3 15 내지 25중량%, Fe2O3 5 내지 10중량%, CaO+MgO 0 내지 6중량%, Na2O+K2O 1 내지 10중량%, TiO2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현무암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광되거나 채집된 현무암은 상기 조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며 현무암 원석을 입도 30 내지 250㎛ 범위로 분쇄 가공하여 현무암 분말로 조성할 수 있다. Basalt, as a main component contains an oxide component is SiO 2, Al 2 O 3, Fe 2 O 3, MgO, CaO, Na 2 O, K 2 O, the composition of SiO 2 60 to 70% by weight, Al 2 O 3 15 to 25 weight%, Fe 2 O 3 5 to 10 wt%, CaO +
폐현무암의Of lung basalt 활용 uses
폐현무암 분말은, 원석 채취, 원석 가공에서 발생 되는 폐석, 또는 석분슬러지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특히 입도 범위 30 내지 250㎛인 석분슬러지는 분쇄 및 분말화 가공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무암을 별도의 분쇄 가공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통상 현무암 석재 가공과정에서는 원석의 약 50% 이상이 폐석 및 석분슬러지로 발생되어 산업폐기물로 남는다. 특히 원석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석분슬러지는 입도가 75㎛ 이하가 65%, 75∼250㎛가 34%일 정도로 미세하지만 매립지 확보 등의 문제로 야적되고 있어 분진을 대량으로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대기와 토양 및 지하수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미세 입도를 가지는 버려지거나 야적 방치되고 있는 석분슬러지를 본 발명에서는 옹기를 성형하는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한다. 필요에 따라, 석분슬러지는 볼밀 또는 제트밀 등의 분쇄작업을 통해 1㎛이하의 미세 입자 분말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pulverized basalt rock powder is selected from waste stones collected from waste stones, waste stones generated from gem stone processing, or stone dust sludge. Particularly, the stone dust sludge having a particle size range of 30 to 250 μm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going through pulverization and pulveriz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utilize basalt rocks at a low cost without any additional crushing. Generally, in the processing of basalt stone, about 50% or more of the ore is generated as waste sludge and stone sludge, and remains as industrial waste. Particularly, the stone sludg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ing of gemstones is fine to the extent that the particle size of 75 μm or less is 65% and 75 to 250 μm is 34%, but it is caused by problems such as securing landfill, which generates a large amount of dust. This cause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air, soil and groundwater pollu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tone waste sludge having such fine particle size is discarded or left in the field, which is utilized as a useful resource for molding pottery. If necessary, the stone dust sludge may be processed into a fine particle powder of 1 탆 or less through a grinding operation such as a ball mill or a jet mill.
현무암의 Basaltic 석기질화Stone nitrification
현무암 또는 폐현무암은, 융점이 1100 ~ 1160℃ 사이인 현무암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무암 중 융점이 1100 ~ 1160℃ 사이를 갖는 현무암은 다른 암석 및 광물에 비해 낮은 녹는점을 갖는다. 이를 이용하여 소성과정에서 옹기소지 알갱이들 사이에 융착하여 소지를 석기질화 하는데 용이하며, 소지의 석기질화를 통해 옹기소지 입자와 현무암 성분 입자 상호 간 긴밀한 친화력으로 결속 구조를 완성한다.Basalt or lava basal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among basalt rocks having a melting point between 1100 and 1160 ° C. Basalt, which has a melting point between 1100 and 1160 ℃ in basalt, has a lower melting point than other rocks and minerals. Using this method, it is easy to fuse between the granules of Onggi during the firing process to stonitize the granular material, and the binding structure is completed by the close affinity between the Onggi granules and the basalt granules.
현무암을 통해 석기질화되는 옹기는 입자간 치밀성을 강화시켜 수분에 대하여 반투수성을 나타내고 높은 열전도율과 열지속성을 높이며, 다량의 원적외선을 내용물에 전달한다.The pottery which is stonitized by basalt strengthens the intermolecular denseness so as to exhibit semi-permeability against moisture,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heat-release property, and transmit a large amount of far-infrared rays to the contents.
옹기소지Possession of Onggi
옹기소지는, SiO2 60 내지 80중량%, Al2O3 15 내지 20중량%, Fe2O3 3 내지 5중량%, K2O 1 내지 3중량%, Na2O 0.1 내지 1중량%, CaO 0.1 내지 0.9중량%, TiO2 1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옹기소지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내열소지로 분류되는 오부점토나 산청고령토 중에서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소지를 사용하는 경우 고열에 견딜 수 있는 옹기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The Onggi substrate comprises 60 to 80 wt% of SiO 2 , 15 to 20 wt% of Al 2 O 3 , 3 to 5 wt% of Fe 2 O 3 , 1 to 3 wt% of K 2 O, 0.1 to 1 wt% of Na 2 O, 0.1 to 0.9% by weight of CaO, and 1 to 3% by weight of TiO 2 .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of a clay or a clay of Sancheong, which is classified as a heat resistant base, or a mixture thereof. When the heat-resistant base paper is used, it becomes possible to manufacture a pot that can withstand high temperatures.
주재료의 제조Manufacture of main materials
옹기소지의 조성은, 오부점토나 산청고령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내열소지 70 내지 80중량%, 현무암 분말 20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도한 현무암 분말 혼합시 기물(A) 형성에서 형태의 일그러짐 현상으로 불량률이 많아질 수 있다. 오부점토나 산청고령토에서 선택된 내열소지 70 내지 80중량%, 현무암 분말 20 내지 30중량%의 혼합비는 기물(A) 형성에서 형태의 일그러짐 등의 불량을 줄이면서 기물을 순조롭게 성형할 수 있는 혼합 비율로 선택된 것으로, 수분을 제외한 바람직한 혼합비율은 내열소지 70중량%와 현무암 분말 30%중량의 혼합비율, 또는 내열소지 80중량%와 현무암 분말 20중량%의 혼합비율로 조성하는 것이 적당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of the Onggi basin is prepared by mixing 70 to 80% by weight of the heat-resistant base material composed of any one of pentagonal clay and sagittal kaolin or a mixture thereof and 20 to 30% by weight of the basalt powder. When the excessive basalt powder is mixed, the defective rate may increase due to the shape distortion in the formation of the material (A). The blending ratio of 70 to 80% by weight of the heat-resistant base selected from the clay or the kaolin and 20 to 30% by weight of the basalt powder is mixed at a mixing ratio capable of smoothly molding the material while reducing the defects such as distortion As a preferable mixing ratio excluding mois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lending ratio of 70% by weight of heat resistant base and 30% by weight of basalt powder, or a mixture ratio of 80% by weight of heat resistant base and 20% by weight of basalt powder is suitable.
유약의 조성은, 물 5 내지 15중량%, 애쉬 35 내지 40중량%, 현무암 분말 35 내지 40 중량%, 황토 분말 15 내지 25중량%로 조성될 수 있다. 유약은 친환경성을 주기 위해 자연에서 얻은 재료만을 이용한다. 애쉬(ash)는 초목을 태운 분말 재를 수거한 것을 사용하는데 주로 짚재 태워서 남은 재를 여과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초목을 연소시킨 후에 남는 재는 유기질이 연소하여 무기질이 분연성 물질로 되어 남은 것이다. 칼륨, 나트륨, 칼슘 등의 산화물, 탄산염, 인산염, 규산염 등의 성분을 함유한다.The composition of the glaze may be composed of 5 to 15% by weight of water, 35 to 40% by weight of ash, 35 to 40% by weight of basalt powder and 15 to 25% by weight of loess powder. Glazes use only materials obtained from nature in order to give eco-friendliness. Ashes are used to collect powdered materials that have been harvested from the vegetation. It is preferable to filter the remaining materials by burning the stones. The ashes remaining after the vegetation is burned, the organic matter burns, will be. Potassium, sodium and calcium, carbonates, phosphates and silicates.
조성비는, 물 5 내지 15중량%, 초목을 태운 애쉬 35 내지 40중량%, 현무암 분말 35 내지 40중량%, 황토 분말 15 내지 25중량%의 분말 비율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황토 분말은, 기물(A) 표면에서 유약의 흐름을 방지하고 화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상황에 따라 매트한 유약으로 변화를 줄 때에는 황토 분말의 양을 증가시켜 맞춘다. 애쉬는, 초목을 태워서 형성되는 분체를 채집하거나 회수 후 여과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쉬는, 일반적으로 토도 제품의 표면에 씌워 가열하여 용착된 균질의 규산염 혼합물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기능을 한다. 유약은 통상적으로 유리 잿물로 불려지고, 도자기 표면에 입힌 경질의 유리층을 말한다. 제품에 미관을 주고, 오염 방지, 화학적 저항성, 전기적 저항성, 기계적 강도를 주는데, 성분은, Al2O3, SiO2, Na2O3 기타의 조성이 쓰인다. 현무암은 일반적인 유약 성분에 포함되는 다량의 Al2O3, SiO2, Na2O3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유약 재료로 적합하게 쓰인다.The composition ratio is preferably 5 to 15% by weight of water, 35 to 40% by weight of ash bearing vegetation, 35 to 40% by weight of basalt powder, and 15 to 25% by weight of loess powder. Here, the loess powder prevents the flow of glaze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A) and enhances the degree of flare. When the glaze is changed into a matte glaz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amount of the loess powder is increa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sh is collected by collecting or collecting the powder formed by burning vegetation, followed by filtration. Ash generally has a general function of covering the surface of a tobacco product to form a homogeneous silicate mixture which is heated and fused. Glazing is commonly referred to as glass lye and refers to a hard glass layer on the surface of ceramics. It gives aesthetics to the product, provides anti-pollution, chemical resistance, electrical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Its composition is composed of Al 2 O 3 , SiO 2 , Na 2 O 3 and others. Basalt contains a large amount of Al 2 O 3 , SiO 2 , and Na 2 O 3 components, which are commonly used as glaze materials.
기물의 형성 Formation of material
기물(A)의 성형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물(A)의 바닥면을 따라 안으로 파여진 고임 자리(B)를 형성하고, 그 고임 자리(B)에 현무암 분말을 채워넣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후 작업 공정으로 고임 자리(B)에 현무암 분말을 채워넣고, 이를 통해 현무암 성분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는데, 특히 주방용 가열 옹기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물(A)의 가운데 부분에 고임 자리(B)를 형성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무암 충진층(C)을 형성하면, 가열 옹기로 사용 시 평면형인 경우에 비해 원적외선 방사율을 더 높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in the molding of the article A, a step of forming a prime position B inwar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cle A, filling the prime position B with basalt powd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amount of far-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basalt component through the filling of the basalt powder with the basement rock (B) in the post-work proces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kitchen heating pot, As shown in FIG. 3, when the basalt filler layer C is formed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substrate A, the far infrared ray emissivity can be further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planar type using the heating basin .
옹기 제품Onggi Produ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옹기(10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무암, 오부점토 또는 산청고령토 중에서 선택되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내열소지, 현무암과 내열소지를 혼합하여 성형된 옹기 본체(110), 옹기 본체(110)에 파여져 형성된 고임 자리(130), 고임 자리(130)에 채워져 용융된 현무암 충진층(C), 옹기 본체(110)의 표면을 형성하고 현무암 성분이 함유된 유약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140은 옹기 본체(110)에 얹혀지는 뚜껑을 나타낸다.3, the composition of the
여기서, 현무암은, 융점이 1100 내지 1160℃인 현무암 중에서 선택된다. 1100 내지 1160℃ 사이에 용융되는 현무암은 다른 광물 및 암석에 비해 낮은 녹는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오부점토 또는 산청고령토 중에서 선택된 내열소지 알갱이들 사이에서 융착 하여 내열소지의 석기질화를 용이하게 촉진한다.Here, basalt is selected from among basalt rocks having a melting point of 1100 to 1160 ° C. The basalt melted between 1100 and 1160 ° C has a lower melting point than other minerals and rocks. Accordingly, it fuses between the heat-resistant base grains selected from the open-pit clay or the sankyo kaolin to facilitate the stoning of the heat-resistant base.
유약층(130)은, 물 5 내지 15중량%, 초목을 태워서 수득한 애쉬 35 내지 40중량%, 현무암 분말 35 내지 40 중량%, 황토 분말 15 내지 25중량%로 조성된 유약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 충진층(C)을 포함하는 옹기(100)의 원적외선 방사 분포를 나타낸 예시이다.FIG. 4 is an illustration showing far-infrared radiation distribution of
옹기 본체(110)의 구성 성분은 내열소지 성분과 현무암 성분을 포함한다. 그리고 옹기 본체(110)의 표면을 형성하는 유약층(120)도 마찬가지로 현무암 성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열원(200)으로부터 옹기(100)로 열이 전도되면 현무암 성분이 포함된 옹기 본체(110) 및 유약층(120)은 원적외선을 옹기 본체(110)의 전체에 걸쳐 R1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방사 한다. 이에 비해 옹기 본체(110)의 가운데 부분에 충진된 현무암 충진층(C)은 다른 곳에 비해 형성 두께가 두텁고 다량의 현무암 성분이 적층 되어 있어 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원적외선 방사량 R2 을 증가시킨다. 주방 가열용 옹기(100) 제품의 경우 전체 옹기 본체(110)의 구조 결함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국부적인 부분에 원적외선 방사량을 집중시켜 바람직한 위생 옹기를 설계할 수 있다.The components of the pottery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 충진층(C)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기 본체(110)에 형성하는 고임 자리(130)에 예를 들면, 고임 자리(130)의 상부로 돌출된 형상의 다수의 지지대(150)를 두어 현무암 충진층(C)을 보강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salt filling layer 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무암을 이용한 옹기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옹기는, 가온 상태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 하는 광물질을 포함하는 현무암 성분을 옹기 본체의 주요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율을 높은 수준으로 지속시키고 항균성이 우수하다. 또한 현무암을 이용하여 옹기를 제작함으로써, 옹기를 석기질화 하여, 반투수성, 열전도율과 열지속성을 높이고, 다량의 원적외선을 내용물에 전달하는 위생 옹기를 제공한다. 또한 버려지는 폐현무암의 재활용성을 높여 환경 오염을 줄인다.The method for producing pottery using basalt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po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alt composition including a mineral material that emits a large amount of far infrared rays in a warm state as a main component of the pottery body, And the antimicrobial effect is excellent. In addition, by making pottery using basalt, pottery is nitrided to provide semi-permeability, thermal conductivity and thermal properties, and a large amount of far-infrared rays are delivered to the contents. It also reduce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y increasing the recyclability of discarded waste basal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
A: 기물 B: 고임 자리
C: 현무암 충진층 100: 옹기
110: 옹기 본체 120: 유약층
130: 고임 자리 140: 뚜껑
150: 지지대
A: Material B: Senior position
C: Basalt filling layer 100: Pottery
110: Onggi body 120: Glaze layer
130: Senior seat 140: Lid
150: Support
Claims (15)
상기 제1 소성단계 후 기물을 물에 담궈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removing foreign matter by immersing the object in water after the first firing step.
상기 폐현무암 분말은, 채취된 원석 가공에서 발생되는 폐석, 또는 입도 30 내지 250㎛ 범위인 석분슬러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ste basalt rock powder is either a waste slag generated in the processing of the extracted gemstones or a stone sludge having a particle size in the range of 30 to 250 mu m, or a basalt mixed with the same.
상기 현무암 분말 또는 폐현무암 분말은, 융점이 1100 ~ 1160℃ 사이인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alt powder or the pulverized basalt powder is basalt rock having a melting point of between 1100 and 1160 ° C.
상기 주재료 제조단계에서 선택하는 옹기소지는, 내열소지로서, 오부점토나 산청고령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혼합물인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producing pottery using the basalt pot which is a mixtur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lay and clay, and a mixture of them, is used as the heat resistant base selected in the main material producing step.
상기 주재료 제조단계에서 옹기소지의 조성은, 오부점토나 산청고령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내열소지 70 내지 80중량%, 현무암 분말 20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된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material producing step, the composition of the Onggi basin is 70 to 80% by weight of the heat-resistant base composed of any one of the ou clay and the sophora kaolin or a mixture thereof, and the basalt composed of the mixture of 20 to 30%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nggi machine to be used.
상기 애쉬는, 초목을 태워서 형성되는 분체를 채집하거나 회수 후 여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h is collected by collecting or collecting the powder formed by burning the vegetation, and then filtering and using the basalt.
상기 기물 성형 단계에서는, 기물의 바닥면을 따라 안으로 파여진 고임 자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임 자리에 현무암 분말을 채워넣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무암을 이용하는 옹기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terial forming step, a stepped portion is form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And filling basalt rock powder with the basalt rocks.
상기 현무암 분말은, 융점이 1100 ~ 1160℃인 현무암을 이용하여 제조된 옹기.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asalt powder was produced using basalt rock having a melting point of 1100 to 1160 ° C.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5235A KR101542368B1 (en) | 2014-11-25 | 2014-11-25 | Heat-resistant pottery and glaze using ba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5235A KR101542368B1 (en) | 2014-11-25 | 2014-11-25 | Heat-resistant pottery and glaze using ba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2368B1 true KR101542368B1 (en) | 2015-08-07 |
Family
ID=5388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5235A Active KR101542368B1 (en) | 2014-11-25 | 2014-11-25 | Heat-resistant pottery and glaze using ba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2368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4634B1 (en) * | 2017-03-29 | 2019-01-02 | 이상엽 | A Glaze Composition With An Excellent Far Infrared Radiation And Antibiosis And A Potter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KR101976283B1 (en) * | 2017-11-29 | 2019-05-07 | 이상엽 | A Method of Fabricating Basalt Block, A Basalt Block Fabricated Thereof And A Ripening Storage Using The Same |
KR101983840B1 (en) * | 2017-12-21 | 2019-05-29 | 한국세라믹기술원 | Method of fabrication of natural glaze comprising basalt, and method of fabrication of heat resistance dinner ware using the same |
KR20220021648A (en) * | 2020-08-14 | 2022-02-22 | 일 허 | Heat-resistant pottery for tea roas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N115403272A (en) * | 2022-08-08 | 2022-11-29 | 湖南陶润会文化传播有限公司 | Formula of basalt glaz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by using basalt glaz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3128B1 (en) | 2008-12-10 | 2009-06-16 | 김운용 | Functional ceramics manufacturing method using volcanic stone |
-
2014
- 2014-11-25 KR KR1020140165235A patent/KR1015423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3128B1 (en) | 2008-12-10 | 2009-06-16 | 김운용 | Functional ceramics manufacturing method using volcanic ston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4634B1 (en) * | 2017-03-29 | 2019-01-02 | 이상엽 | A Glaze Composition With An Excellent Far Infrared Radiation And Antibiosis And A Potter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KR101976283B1 (en) * | 2017-11-29 | 2019-05-07 | 이상엽 | A Method of Fabricating Basalt Block, A Basalt Block Fabricated Thereof And A Ripening Storage Using The Same |
KR101983840B1 (en) * | 2017-12-21 | 2019-05-29 | 한국세라믹기술원 | Method of fabrication of natural glaze comprising basalt, and method of fabrication of heat resistance dinner ware using the same |
KR20220021648A (en) * | 2020-08-14 | 2022-02-22 | 일 허 | Heat-resistant pottery for tea roas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2428357B1 (en) | 2020-08-14 | 2022-08-01 | 일 허 | Heat-resistant pottery for tea roas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N115403272A (en) * | 2022-08-08 | 2022-11-29 | 湖南陶润会文化传播有限公司 | Formula of basalt glaz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by using basalt glaz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2368B1 (en) | Heat-resistant pottery and glaze using ba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Rhodes | Clay and Glazes for the Potter | |
CN102617123B (en) | Formul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tile blank bodies and glazed tiles by utilizing polished waste residues | |
KR101830911B1 (en) | Glaze composition containing ashes of wormwood and method of manufacturinfg thereof | |
CN105669173A (en) | Thermal insulating decorative ceramic plate produced by comprehensive utilization of perlite was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CN101786844B (en) | Light heat-preserving brick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CN107266023A (en) | Colored polished brick in porcelain character and preparation method are oozed in the gentle ink-jet as jade has translucency in surface | |
ES2385570B1 (en) | METHOD OF MANUFACTURE OF A CERAMIC PRODUCT FROM FLYING ASHES AS RAW MATERIAL. | |
CN101164961A (en) | Formulation for producing ceramic tile by using phosphorus slag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 |
CN107352967A (en) | Large size ceramic plate and its manufacture method | |
CN105565848A (en) | Active carbon red stonewa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JP4246961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visiting stone stone clay and pottery | |
CN101665370B (en) | Method for producing ceramic brick with lava tunnel effect on surface | |
JP2006008502A (en) | Production method of visiting clay and pottery | |
CN111807702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glazed tile with glazed three-dimensional effect | |
KR20040026744A (en) | Ceramic clay brick and pavers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ing kaoline, feldspar and black granule | |
KR10140387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white porcelain glaze composite for expressing high transparency | |
KR101525356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ouble layered porcelain having basalt in hantan river and the porcelain using the same | |
KR101529561B1 (en) | Thermotherapy board panel using ba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50020825A (en) | The pottery using basalt in hantanga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790205B1 (en) |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basalt, artificial basalt prepare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JPH1095658A (en) | 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 and ceramic tiles by effectively recycling garbage incineration molten-ash slag | |
ES2281999A1 (en) | Ceramic pastes having a non-standard formulation with a phosphorous content greater than 2 % by weight,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the advantages of same | |
JP5037797B2 (en) | Porous lightweight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9748505A (en) | A kind of high-strength anti-skid candy glaze that can melt down double teem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