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0722B1 -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 Google Patents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722B1
KR101540722B1 KR1020150063080A KR20150063080A KR101540722B1 KR 101540722 B1 KR101540722 B1 KR 101540722B1 KR 1020150063080 A KR1020150063080 A KR 1020150063080A KR 20150063080 A KR20150063080 A KR 20150063080A KR 101540722 B1 KR101540722 B1 KR 10154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electric wire
connection box
wire
e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혁
Original Assignee
(주)넥스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웜 filed Critical (주)넥스웜
Priority to KR102015006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72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40/00Characterizing positions, e.g. of sensors, inlets, outlets
    • F24D2240/10Placed within or inside 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몸체와, 상기 패널몸체의 측면에 삽입되는 연결박스와, 상기 연결박스 내부에 위치되는 전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박스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중앙벽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되, 일측면 중앙 부분에 상기 전선이 통과되는 내부출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부출입구와 마주보는 타측면의 양 끝부분에 상기 전선이 통과되는 외부출입구가 형성된 테두리벽과; 상기 내부출입구 옆에 설치되어 내부출입구를 통과하는 전선을 안내하고 안쪽 끝부분이 상기 테두리벽과 이격되는 내부가이드벽과; 상기 외부출입구 옆에 설치되어 외부출입구를 통과하는 전선을 안내하고, 안쪽 끝부분이 상기 테두리벽과 이격되며, 끝단에 둥근 지지봉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절곡부분을 지지하는 외부가이드벽과; 상기 내부가이드벽의 끝단과 테두리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의 절곡부분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봉과; 상기 테두리벽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선은 연결박스 내부에 'ㄹ'자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전선을 연결박스 내부로 밀어 넣으면 전선 일정길이가 연결박스 내부에 삽입되어, 다수의 이웃하는 난방패널 간에 연결된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Heating Panel which Electric Wire Insert is easy}
본 발명은 난방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난방패널을 연결한 후 난방패널 사이로 전선이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조립식 주택, 사무실 및 기숙사 등과 같이 난방이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는 비교적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난방패널()의 시공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난방패널은 난방을 위해 발열을 해야 하므로 내부에 전선이 설치되어 있는데, 다수의 난방패널을 건물의 바닥에 배치한 후 각 난방패널들에 구비된 전선을 결선해야만 한다.
이렇게 전선들을 결선하고 나면, 결선된 전선들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난방패널들 사이로 삐져나오기 때문에 이 삐져나온 전선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다시 난방패널들 사이로 밀어 넣어야만 하는데 이러한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출원번호 : 20-2001-0022993 (등록번호 : 20-0261676, 명칭 : 전열용 온돌패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선을 용이하게 밀어 넣고 뺄 수 있도록 하여 전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난방패널 복수개를 연결할 때 난방패널 사이로 전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난방패널의 전선간 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결이 용이한 난방패널은 패널몸체와, 상기 패널몸체의 측면에 삽입되는 연결박스와, 상기 연결박스 내부에 위치되는 전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박스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중앙벽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되, 일측면 중앙 부분에 상기 전선이 통과되는 내부출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부출입구와 마주보는 타측면의 양 끝부분에 상기 전선이 통과되는 외부출입구가 형성된 테두리벽과; 상기 내부출입구 옆에 설치되어 내부출입구를 통과하는 전선을 안내하고 안쪽 끝부분이 상기 테두리벽과 이격되는 내부가이드벽과; 상기 외부출입구 옆에 설치되어 외부출입구를 통과하는 전선을 안내하고, 안쪽 끝부분이 상기 테두리벽과 이격되며, 끝단에 둥근 지지봉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절곡부분을 지지하는 외부가이드벽과; 상기 내부가이드벽의 끝단과 테두리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의 절곡부분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봉과; 상기 테두리벽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선은 연결박스 내부에 'ㄹ'자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전선을 연결박스 내부로 밀어 넣으면 전선 일정길이가 연결박스 내부에 삽입되어, 다수의 이웃하는 난방패널 간에 연결된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몸체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박스는 상기 패널몸체의 각 측면 중간 부분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사각 형상의 패널몸체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되는 두 개의 연결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전선은 서로 같은 극을 띤다.
또한, 상기 테두리벽은 상기 바닥면의 좌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좌측벽과; 상기 바닥면의 우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우측벽과; 상기 바닥면의 후방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되, 중앙 부분에 상기 내부출입구가 형성된 후방벽과; 상기 바닥면의 전방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되, 양단이 상기 좌우측벽에 이격되어 상기 외부출입구를 형성시키는 전방벽;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은 전선을 밀어 넣으면 전선 일정길이가 연결박스 내부로 삽입되어 평면상에 연결 배치된 난방패널들 사이로 전선이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선을 위하여 좀 더 긴 전선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선을 잡아 당기면 연결박스 내부에 설치된 전선이 외부로 빠져 나오기 때문에 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의 연결박스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의 연결박스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에 연결박스와 전선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의 측면에 연결박스가 설치된 모습을 단순하게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다수를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연결박스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의 연결박스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의 연결박스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에 연결박스와 전선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의 측면에 연결박스가 설치된 모습을 단순하게 보인 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다수를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연결박스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은 다수개의 난방패널을 서로 연결할 때 이 난방패널에 구비된 전선(30)을 서로 연결한 후 이 전선이 난방패널 사이를 통해 외부로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널몸체(10)와, 상기 패널몸체(10)의 측면에 삽입되는 연결박스(20)와, 상기 연결박스(20) 내부에 위치되는 전선(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몸체(10)는 난방패널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이 패널몸체(10)는 그 형태가 사각 형상, 즉 높이가 낮은 사각 기둥 형상을 갖는다.
상기 연결박스(20)는 상기 사각 형상의 패널몸체(10) 측면 중간 부분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패널몸체(10)에는 4개의 연결박스(20)가 설치되고, 두 개의 연결박스(20)가 각각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러한 연결박스(20)는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21)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중앙벽(22)과, 상기 바닥면(21)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벽(23)과, 상기 바닥면(21)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중앙벽(22)을 중심으로 양쪽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내부가이드벽(24)과, 상기 중앙벽(22)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내부가이드벽(24)보다 먼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외부가이드벽(25)과, 상기 내부가이드벽(24)의 끝단과 상기 테두리벽(23)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형봉(26)과, 상기 테두리벽(23)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면(27);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면(21)은 4각 형상의 얇은 합성수지 패널로서 상기 패널몸체(10)의 측면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중앙벽(22)은 상기 바닥면(21)의 중앙을 선후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벽(23)은 일측면 중앙 부분에 상기 전선(30)이 통과되는 내부출입구(20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부출입구(20a)와 마주보는 타측면의 양 끝부분에 상기 전선(30)이 통과되는 외부출입구(20b)가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테두리벽(23)은 상기 바닥면(21)의 좌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좌측벽(23a)과, 상기 좌측벽(23a)과 마주보는 우측벽(23b)과, 상기 바닥면(21)의 후방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후방벽(23c)과, 상기 후방벽(23c)과 마주보는 전방벽(23d)으로 구성된다.
상기 우측벽(23b)은 상기 바닥면(21)의 우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후방벽(23c)은 중앙 부분에 상기 내부출입구(20a)가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후방벽(23c)은 양 끝단이 상기 좌측벽(23a)과 우측면에 연결되고, 중앙 부분이 일정거리 이격된다. 이렇게 이격된 후방벽(23c)의 중앙 부분을 상기 중앙벽(22)이 분할한다. 따라서, 상기 후방벽(23c)에는 상기 중앙벽(22)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즉 한 쌍의 내부출입구(20a)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벽(23d)은 상기 바닥면(21)의 전방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양단이 상기 좌측벽(23a)과 우측벽(23b)에 이격되어 한 쌍의 외부출입구(20b)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중앙벽(22)의 끝단은 상기 전방벽(23d)의 내측면 중앙에 연결된다.
상기 내부가이드벽(24)은 상기 내부출입구(20a) 옆에 설치되어 내부출입구(20a)를 통과하는 전선(30)을 안내하고, 안쪽 끝부분이 상기 테두리벽(23)과 이격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내부가이드벽(24)은 일단이 상기 후방벽(23c)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방벽(23d)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다. 이로써 상기 내부가이드벽(24)과 상기 중앙벽(22)은 상기 전선(30)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외부가이드벽(25)은 상기 외부출입구(20b) 옆에 설치되어 외부출입구(20b)를 통과하는 전선(30)을 안내하고, 안쪽 끝부분이 상기 테두리벽(23)에 이격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외부가이드벽(25)은 일단이 상기 전방벽(23d)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벽(23c)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다. 이로써 상기 외부가이드벽(25)과 상기 좌우측벽(23a,23b)은 상기 전선(30)을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가이드벽(25)의 끝단, 즉 외부가이드벽(25)의 타단에는 둥근 지지봉(25a)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25a)은 상기 전선(30)의 절곡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외측면이 둥글게 형성되어 전선(30)과의 마찰시에 전선(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선(30)에 훼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원형봉(26)은 상기 바닥면(21)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가이드벽(24)의 끝단과 테두리벽(23) 사이에 설치된다. 부연하면, 상기 원형봉(26)은 상기 내부가이드벽(24)과 일직선을 이루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가이드벽(24)의 끝단과 이격되고 동시에 상기 전방벽(23d)의 내측면과도 이격된다. 이러한 원형봉(26)은 상기 전선(30)의 절곡부분을 지지한다. 원형봉(26)도 마찬가지로 외측면이 둥글게 형성되어 전선(30)과의 마찰시에 전선(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선(30)에 훼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원형봉(26)을 일정간격으로 여러 개 설치한다면 전선(30)의 절곡위치나 전선(30)의 절곡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덮개(27)는 상기 테두리벽(23)의 상단에 결합되어 연결박스(20)의 내부모습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덮개(27)는 일측 끝단에 하측으로 절곡된 덮개절곡면(27a)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절곡면(27a)에는 연통홀(27b)이 형성된다. 난방을 위해 본 발명의 난방패널을 사용할 때 덮개(27)에 형성된 연통홀(27b)은 상기 내부출입구(20a)와 연통되어 전선(30)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고, 난방패널을 사용하지 않아서 전선(30)의 일측 끝단을 연결박스(20) 내부에 수납시킬 때는 덮개(27)를 180도 돌려 테두리벽(23)에 설치하여 덮개절곡면(27a)에 의해 상기 외부출입구(20b)가 막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박스(20)가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박스(20) 내부에는 상기 중앙벽(22)을 중심으로 양쪽에 'ㄹ'자에 유사한 길이 형성된다. 이 길에 상기 전선(30)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전선(30)은 연결박스(20) 내부에 'ㄹ'자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박스(20)의 외부가이드벽(25)의 끝단과 후방벽(23c)의 내측면은 이격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선(30)을 연결박스(20) 내부로 밀어 넣으면 전선(30)의 일정길이가 연결박스(20) 내부로 삽입된다. 반대로 상기 전선(30)을 잡아 당기면 연결박스(20)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전선(30)이 외부출입구(20b) 밖으로 빠져나온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이웃하는 난방패널 복수개를 수평하게 배치한 다음 각각에 구비된 전선(30)을 결선하면, 이 결선된 전선(30)이 난방패널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전선(30)을 연결박스(20) 내부로 밀어 넣으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전선(30) 일정길이가 연결박스(20) 내부로 삽입되어 전선(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얘기한 것처럼 사각 형상을 갖는 패널몸체(10)의 각 측면에 전선(30)이 설치된 연결박스(20)를 각각 하나씩 설치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난방패널 내부의 전선(30)은 십자 형태로 결선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게 되는 두 개의 연결박스(20) 내부에 설치되는 전선(30)은 서로 같은 극을 띤다. 이렇게 난방패널의 전선 극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난방패널을 90도씩 회전시키면 이웃하는 난방패널의 다른 극성을 띠는 전선(30)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10: 패널몸체 20: 연결박스
20a: 내부출입구 20b: 외부출입구
21: 바닥면 22: 중앙벽
23: 테두리벽 23a: 좌측벽
23b: 우측벽 23c: 후방벽
23d: 전방벽 24: 내부가이드벽
25: 외부가이드벽 25a: 지지봉
26: 원형봉 27: 덮개면
27a: 덮개절곡면 27b: 연통홀
30: 전선

Claims (7)

  1. 패널몸체(10)와, 상기 패널몸체(10)의 측면에 삽입되는 연결박스(20)와, 상기 연결박스(20) 내부에 위치되는 전선(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박스(20)는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21)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중앙벽(22)과;
    상기 바닥면(21)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되, 일측면 중앙 부분에 상기 전선(30)이 통과되는 내부출입구(20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부출입구(20a)와 마주보는 타측면의 양 끝부분에 상기 전선(30)이 통과되는 외부출입구(20b)가 형성된 테두리벽(23)과;
    상기 내부출입구(20a) 옆에 설치되어 내부출입구(20a)를 통과하는 전선(30)을 안내하고 안쪽 끝부분이 상기 테두리벽(23)과 이격되는 내부가이드벽(24)과;
    상기 외부출입구(20b) 옆에 설치되어 외부출입구(20b)를 통과하는 전선(30)을 안내하고, 안쪽 끝부분이 상기 테두리벽(23)과 이격되는 외부가이드벽(25)과;
    상기 테두리벽(23)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면(27);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선(30)은 연결박스(20) 내부에 'ㄹ'자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전선(30)을 연결박스(20) 내부로 밀어 넣으면 전선(30) 일정길이가 연결박스(20) 내부에 삽입되어, 다수의 이웃하는 난방패널 간에 연결된 전선(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는 상기 내부가이드벽(24)의 끝단과 테두리벽(2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30)의 절곡부분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봉(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의 외부가이드벽(25)은 그 끝단에 둥근 지지봉(25a)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30)의 절곡부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10)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박스(20)는 상기 패널몸체(10)의 각 측면 중간 부분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각 형상의 패널몸체(10)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되는 두 개의 연결박스(20) 내부에 설치되는 전선(30)은 서로 같은 극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벽(23)은 상기 바닥면(21)의 좌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좌측벽(23a)과;
    상기 바닥면(21)의 우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우측벽(23b)과;
    상기 바닥면(21)의 후방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되, 중앙 부분에 상기 내부출입구(20a)가 형성된 후방벽(23c)과;
    상기 바닥면(21)의 전방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되, 양단이 상기 좌우측벽(23a,23b)에 이격되어 상기 외부출입구(20b)를 형성시키는 전방벽(23d);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27)는 일측 끝단에 하측으로 절곡된 덮개절곡면(27a)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절곡면(27a)에는 연통홀(27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KR1020150063080A 2015-05-06 2015-05-06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Expired - Fee Related KR10154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080A KR101540722B1 (ko) 2015-05-06 2015-05-06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080A KR101540722B1 (ko) 2015-05-06 2015-05-06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722B1 true KR101540722B1 (ko) 2015-07-31

Family

ID=5387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0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0722B1 (ko) 2015-05-06 2015-05-06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7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63A (ja) * 1993-06-25 1995-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パネルの配線接続構造
KR101332397B1 (ko) * 2013-04-02 2013-11-25 (주)태일전기 전기온돌판넬의 전선 마감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63A (ja) * 1993-06-25 1995-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パネルの配線接続構造
KR101332397B1 (ko) * 2013-04-02 2013-11-25 (주)태일전기 전기온돌판넬의 전선 마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95698A (en) Partition structures
KR102575473B1 (ko) 케이블 트레이 접합부 및 이음매 판 결합 시스템
ES2337746T3 (es) Bastidor para una caja de pruebas.
KR101045105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KR101179851B1 (ko) 전기배선박스
KR101540722B1 (ko) 전선 삽입이 용이한 난방패널
JP2015082966A (ja) 配線用ダクト
KR20170078233A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JP5042641B2 (ja) ケーブルプロテクタ
KR101648911B1 (ko)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KR100950464B1 (ko) 가변형 구조를 갖는 실내 벽체
US20130034382A1 (en) Connector
KR101467936B1 (ko) Mp-bar 클립을 이용한 벽체구조물
KR20150139404A (ko) 스테인레스 문틀 구조체
US9850030B2 (en) Collapsible box with side wall article supports
ES2623782T3 (es) Módulo de sistema para la tecnología de instalación eléctrica de edificios y la tecnología de comunicación de puertas
KR200415692Y1 (ko) 책상의 수직전선 안내장치
CN106972351B (zh) 用于承载连接至电力电缆和通信电缆的模块的线槽
JP6910709B2 (ja) キャビネット
JP3201838U (ja) 猫の遊戯棚
KR200368904Y1 (ko) 칸막이용 포스트
US1694690A (en) Sectional partition
ES2856870T3 (es) Conjunto de armarios y sistema de unión de armarios
DE202015006719U1 (de) Kabel-, Geräteeinbau- und lnstallationskanalsystem
CN205082092U (zh) 一种防护箱及变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