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8904Y1 - 칸막이용 포스트 - Google Patents

칸막이용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904Y1
KR200368904Y1 KR20-2004-0025939U KR20040025939U KR200368904Y1 KR 200368904 Y1 KR200368904 Y1 KR 200368904Y1 KR 20040025939 U KR20040025939 U KR 20040025939U KR 200368904 Y1 KR200368904 Y1 KR 200368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ost
wiring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훈
Original Assignee
내쇼날씨엔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쇼날씨엔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쇼날씨엔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5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90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04B2/743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with adjustable angular connection of panels to posts
    • E04B2/74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with adjustable angular connection of panels to posts using angularly-spaced longitudinal groov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46Post-like profiles for connecting panels at an ang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다수개의 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칸막이의 일단을 결합시키도록 된 칸막이용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측면을 서로 연계시키는 다수개의 코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면취된 형태의 면취부를 갖는 지주프레임과; 상기 면취부의 결합홈에 삽결되도록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ㄴ'자 결합부재를 소정거리 이격결합시켜 형성한 배선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칸막이와 포스트가 연결된 상태에서 칸막이의 내부를 경유하는 배선이 포스트의 배선부를 경유하여 책상이나 또 다른 칸막이로 분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선이 바닥에 늘어지거나 포스트를 외감하여 미관을 해하지 않도록 하여 칸막이의 조립 및 배선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용 포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칸막이용 포스트{Post for partition}
본 고안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다수개의 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칸막이의 일단을 결합시키도록 된 칸막이용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다수개의 측면을 서로 연계시키는 다수개의 코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면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면취부와; 상기 면취부의 결합홈에 삽결되도록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ㄴ'자 결합부재를 소정거리 이격결합시켜 형성한 배선부를 포함함으로써, 칸막이와 포스트가 연결된 상태에서 칸막이의 내부를 경유하는 배선이 포스트의 배선부를 경유하여 책상이나 또 다른 칸막이로 분기될 수 있게 하여 배선이 바닥에 늘어지거나 포스트를 외감하여 미관을 해하지 않도록 하여 칸막이의 조립 및 배선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용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칸막이(파티션(partition))는 실내의 사무공간을 용도에 따라 구획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테리어 가구로서, 철재 파이프나 채널로 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부착되는 다수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서로 연결설치되어 원하는 형태로 사무공간을 분할하게 된다.
상기한 칸막이는 다수의 패널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스트의 전후좌우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볼팅 또는 요철의 결합구조로서 도 4a, 도 4b, 도 4c와 같은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칸막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내에서 도 1의 포스트에 칸막이를 조립한 후에는 각종 전기선이나 전화선 또는 네트워크라인이 칸막이의 내부를 경유하여 다양한 목적지로 분기되는 바, 칸막이를 경유하는 갖가지 배선은 포스트의 배선홈을 경유하게 하여 다른 칸막이를 경유하거나 책상 등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종래 포스트의 도 1에 도시된 배선홈은 포스트의 특정 위치를 밀링머신을 이용하여 절삭가공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의 배선홈이 제작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밀링머신을 이용하여 포스트를 절삭함으로 인해 형성되는 배선홈은 밀링머신을 반드시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장비설비로 인하여 생산설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밀링머신에 의해서 형성된 배선홈은 모든 절삭공정이 그러하듯이 절삭단면이 날카롭기 때문에 절삭후 처리공정이 수반되어 생산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한번 형성한 배선홈은 그 위치의 변경이 실제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포스트의 사이즈 변경에 따른 적절한 배선홈의 위치변경이 불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밀링머신에 의한 절삭공정처리 없이도 배선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라, 후처리공정의 수반을 배제하여 생산공정을 단축하고, 포스트의 길이변경에 대응하여 배선홈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포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 포스트와 칸막이의 결합구조 및 배선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포스트와 칸막이의 배선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a는 '+'자형 포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T'자형 포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4c는 'L'자형 포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포스트 102 : 칸막이
103 : 코너부 104 : 면취부
105 : 지주프레임 106 : 결합홈
107 : 결합돌기 108 : 배선부
109 : 결합부재 110 : 배선
상기한 목적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다수개의 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칸막이의 일단을 결합시키도록 된 칸막이용 포스트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측면을 서로 연계시키는 다수개의 코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면취된 면취부를 갖는 지주프레임과; 상기 면취부의 양측단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면취부의 결합홈에 삽결되도록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ㄴ'자 결합부재를 소정거리 이격결합시켜 형성한 배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포스트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포스트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포스트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과 육각형이나 팔각형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포스트에는 각 일면마다 칸막이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포스트와 칸막이의 결합구조에 대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결합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포스트가 칸막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작용과 효과에 대한 부분만 언급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스트는 전후좌우측면을 연계하는 코너부가 소정폭으로 면취된 면취부를 갖기 때문에 이 면취부는 실질적인 코너부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면취부의 양단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연장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홈에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재가 결합된다.
상기한 결합부재의 양단은 결합홈에 도 4a와 같이 삽결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가 양단에 형성되며, 결합부재가 지주프레임의 면취부의 결합홈에 결합되었을 때, 포스트의 코너부가 될 수 있도록 'ㄴ'자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지주프레임의 면취부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프레임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포스트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배선홈을 형성할 것인지, 배선홈을 형성하지 않을 것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즉, 배선홈을 중간부분에 하나 형성하고, 하단에 또 하나를 형성 한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부재를 삽결시키되, 상부 결합부재와 하부 결합부재는 소정거리 이격시키고, 하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하부 결합부재를 결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배선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에 알맞는 크기의 결합부재를 다수개 결합시켜 배선홈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를 포스트에 결합시킨 후에는 칸막이를 통과하는 배선이 배선홈을 경유하여 또 다른 칸막이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게 하거나, 책상이나 기타 목적하는 위치로 배선이 인출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4a, 도 4b,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는 각각의 포스트 용도에 따라 '+', 'T', 'L'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프레임에는 면취부와 결합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ㄴ'자 결합부재를 결합시켜 소기하는 위치에 배선홈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본 고안은 이들 포스트의 단면형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밀링머신을 이용하지 않고 지주프레임에 결합부재를 단순히 삽결하는 작업공정만으로도 포스트에 소기하는 배선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선홈 형성후의 후처리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후처리공정에 따른 생산지연문제가 해결되며, 포스트 및 칸막이의 사이즈 또는 칸막이에서 유도되는 배선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결합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배선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다수개의 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칸막이의 일단을 결합시키도록 된 칸막이용 포스트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측면을 서로 연계시키는 다수개의 코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면취된 형태의 면취부를 갖는 지주프레임과;
    상기 면취부의 양측단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면취부의 결합홈에 삽결되도록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ㄴ'자 결합부재를 소정거리 이격결합시켜 형성한 배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포스트.
KR20-2004-0025939U 2004-09-09 2004-09-09 칸막이용 포스트 Expired - Lifetime KR200368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39U KR200368904Y1 (ko) 2004-09-09 2004-09-09 칸막이용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39U KR200368904Y1 (ko) 2004-09-09 2004-09-09 칸막이용 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904Y1 true KR200368904Y1 (ko) 2004-12-03

Family

ID=4944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939U Expired - Lifetime KR200368904Y1 (ko) 2004-09-09 2004-09-09 칸막이용 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90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652B1 (ko) * 2010-03-12 2010-10-29 (주)동일웰텍 조립형 도류벽을 갖는 저수조
KR100990197B1 (ko) * 2010-05-26 2010-10-29 최희선 무 용접 패널 도류벽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KR101895603B1 (ko) 2017-11-29 2018-09-06 주식회사 월드플랜 파티션 직진도를 갖게 하는 파티션의 상단 마감부재
KR101898522B1 (ko) 2017-12-07 2018-09-14 주식회사 월드플랜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652B1 (ko) * 2010-03-12 2010-10-29 (주)동일웰텍 조립형 도류벽을 갖는 저수조
KR100990197B1 (ko) * 2010-05-26 2010-10-29 최희선 무 용접 패널 도류벽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KR101895603B1 (ko) 2017-11-29 2018-09-06 주식회사 월드플랜 파티션 직진도를 갖게 하는 파티션의 상단 마감부재
KR101898522B1 (ko) 2017-12-07 2018-09-14 주식회사 월드플랜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7869B1 (en) Tubing connector
US5069263A (en) Panel interlock system
US6419331B2 (en) Frame structure of playing machine
KR200368904Y1 (ko) 칸막이용 포스트
KR102538365B1 (ko) 무볼트 앵글 조립체
JP2006020979A (ja) 多目的収納ユニット
KR101803723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168248B1 (ko) 프레임 구조 선반
US20070062127A1 (en) System for fastening articles, such as shelves and work tops, to the uprights of a structure
KR101704590B1 (ko) 수직 관통형 연결구를 구비한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지지대 조립 방법
KR101894269B1 (ko) 프레임 연결구
KR20080099648A (ko) 파티션 연결장치
KR101955970B1 (ko)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KR20140110359A (ko) 조립가구용 고정지주의 하부관체와 상부관체의 연결구조
KR20070099160A (ko) 넉다운 파티션 결합장치
KR200239521Y1 (ko) 조립식 바닥부재
KR102181520B1 (ko) 시스템 선반
KR101308647B1 (ko) 가구용 프레임 다리구조
KR200463791Y1 (ko) 파티션 조립 시스템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KR20040058760A (ko) 높이 및 폭 조절이 자유로운 블록형 파티션
KR102456967B1 (ko)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KR20150074536A (ko) 수납용 조립식 가구
KR20030095027A (ko) 가구의 포스트 및 그 연결구조
KR100929008B1 (ko) 테이블을 이용한 공간분할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9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9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22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08072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