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9383B1 -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383B1
KR101539383B1 KR1020130035706A KR20130035706A KR101539383B1 KR 101539383 B1 KR101539383 B1 KR 101539383B1 KR 1020130035706 A KR1020130035706 A KR 1020130035706A KR 20130035706 A KR20130035706 A KR 20130035706A KR 101539383 B1 KR101539383 B1 KR 101539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parts
weight
organic
absorb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412A (ko
Inventor
정의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진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진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진푸드
Priority to KR1020130035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38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38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은 전처리 공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된 유기성 폐기물을 전달받아 교반조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유기성 폐기물 투입단계;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와,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을 상기 교반조에 투입하여 상기 유기성 폐기물과 함께 교반시키는 교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은이온(Ag+)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 내 세균을 완전하게 살균처리할 수 있고, 살균처리시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를 흡수하는 흡수제를 첨가하여 실질적으로 완전건조가 동시에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완전건조를 통해 후처리공정에서 별도의 건조공정이 불필요하고, 교반기 내에서 이화학적 반응에 의해서만으로 건조 및 살균처리가 가능하여 해충 및 악취 발생이 방지되고, 상기 교반기가 밀폐상태에서 공정이 진행되므로 외부로 침출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System for treatment organic wastes and treatment process of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및 축분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여 비료, 사료 또는 원료로 생산시, 유기성 폐기물에 발열제인 생석회와 함께 은이온(Ag+)을 교반시켜 유기성 폐기물 내의 각종 세균을 박멸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축산물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과 각종 식품가공후 발생되는 폐기물을 이용하여 비료 또는 사료로 이용된다.
최근에는 일반가정, 집단급식소, 호텔, 레스토랑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리수거하여 그 일부를 비료, 사료 및 고체연료로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는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는 방법은 먼저,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는 호퍼에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S100)하고, 소정의 저장조 등에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저장조에 저장되는 유기성 폐기물에 소정의 건조수단 등을 이용하여 건조 및 열분해시켜 유기성 비료 원료로 생성한다(S200).
이때, 열분해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 내의 세균이 일부 멸균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어, 생성된 유기성 비료 원료를 소정의 파쇄기 및 분쇄기를 이용하여 파쇄 및 분쇄하고(S300), 파쇄 및 분쇄된 유기성 비료 원료에서 불순물을 선별한다(S400).
불순물이 선별되어 제거된 후, 유기성 비료 원료들은 발효조로 이동되어 소정의 발효공정에 따라 숙성시키고(S500), 비료 제품의 규격을 만족하도록 설정된 혼합비로 혼합(S600)한 후, 열풍 또는 히터 등의 건조수단을 이용하여 건조(S700)하여 제품으로 출하한다.
상기 S200, S300, S400은 공급되는 유기성 폐기물이 음식물 쓰레기인 경우에 적용되는 공정이며, 공급되는 유기성 폐기물이 하수슬러지나 축분인 경우에는 상기 S200, S300, S400의 공정은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바는 종래 유기성 비료를 생산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사료 또는 고체연료를 생산하는 것도 동일한 공정으로 생산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된 종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유기성 폐기물 내에 세균의 박멸이 완전하게 이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지속적으로 나오는 침출수로 인해 혼합공정(S600) 이후에도 별도의 건조수단을 이용하여 건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은이온(Ag+)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 내 세균을 완전한 살균처리가 가능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살균처리시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를 흡수하는 흡수제를 첨가하여 실질적으로 완전건조가 동시에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열제와 흡수제를 통해 완전건조가 가능하여 후처리공정에서 별도의 건조공정이 불필요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교반기 내에서 이화학적 반응에 의해서만으로 건조 및 살균처리가 가능하여 해충 및 악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기가 밀폐상태에서 공정이 진행되므로 외부로 침출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받아 사료, 비료 또는 연료로 제조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된 유기성 폐기물을 전달받아 교반조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유기성 폐기물 투입단계;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와,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을 상기 교반조에 투입하여 상기 유기성 폐기물과 함께 교반시키는 교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제는 생석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교반조에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를 흡수하는 흡수제를 더 투입하며, 상기 흡수제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7중량부 내지 13중량부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제는 코코피트, 톱밥 또는 왕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제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7중량부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단계에서 상기 은이온(Ag+)을 포함하는 용액은 일정 주기로 설정량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단계에서 상기 교반조에는 탈취제를 더 투입하며, 상기 탈취제는 일정 주기로 설정량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취제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은이온(Ag+)을 포함하는 용액과 상기 탈취제는 1분을 주기로 설정량을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은이온(Ag+)을 포함하는 용액의 설정량은 상기 은이온(Ag+)이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5 내지 1×10- 10중량부이고, 상기 탈취제의 설정량은 상기 이산화염소가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5 내지 1×10- 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에 적용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전처리 공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된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고,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와,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이 투입되어,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 상기 발열제와 상기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이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기에는 상기 발열제가 투입되는 발열제 투입부가 설치되며, 상기 발열제는 생석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제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7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기에는 상기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을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제1분사노즐은 유기성 폐기물의 양에 따른 설정량을 일정 주기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기에는 탈취제를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제2분사노즐은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양에 따른 설정량을 일정 주기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취제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분사노즐과 상기 제2분사노즐은 1분을 주기로 각각 설정량이 분사되며, 상기 제1분사노즐의 설정량은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은이온(Ag+)이 1×10-5 내지 1×10- 10중량부이고, 상기 제2분사노즐의 설정량은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이산화염소가 1×10-5 내지 1×10-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탈취제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탈취제 발생기로부터 상기 탈취제가 생성되어 상기 제2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기에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를 흡수하는 흡수제가 투입되도록 흡수제 투입부가 설치되며, 투입되는 상기 흡수제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7중량부 내지 13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제는 코코피트, 톱밥 또는 왕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기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는 교반조와, 상기 교반조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188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29400호
본 발명에 따르면, 은이온(Ag+)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 내 세균을 완전한 살균처리가 가능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살균처리시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를 흡수하는 흡수제를 첨가하여 실질적으로 완전건조가 동시에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발열제와 흡수제를 통해 완전건조가 가능하여 후처리공정에서 별도의 건조공정이 불필요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교반기 내에서 이화학적 반응에 의해서만으로 건조 및 살균처리가 가능하여 해충 및 악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교반기가 밀폐상태에서 공정이 진행되므로 외부로 침출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의 공정도,
도 3은 도 2의 교반단계에 사용되는 교반기의 개략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은 공급단계(S10), 파쇄 및 분쇄 단계(S20), 선별단계(S30), 교반단계(S40) 및 후처리공정(S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단계(S10)는 호퍼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는 단계로서,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은 소정의 전달 경로를 통해 저장조에 저장된다.
상기 파쇄 및 분쇄 단계(S20)는 저장조에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을 소정의 파쇄 및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 및 파쇄한다.
상기 선별단계(S30)는 유기성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 병조각, 쇠붙이 등의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비료, 사료 또는 고체연료의 원료로서 부적합한 구성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상술한 파쇄 및 분쇄 단계(S20)와 선별단계(S30)는 비료 또는 사료의 생산원료인 음식물 쓰레기인 경우에 적용하며, 비료 또는 고체연료의 생산원료인 하수슬러지 또는 축분의 경우에는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단계 이후에 후술하는 교반단계(S40)로 바로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교반단계(S40)는 선별단계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을 전달받아 건조, 멸균 및 탈취를 위한 공정이다.
도 3은 도 2의 교반단계에 사용되는 교반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교반단계(S40)에 이용하는 교반기(1)는 교반조(10)와 컨트롤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20)는 후술하는 구동수단(17)과 제1분사노즐(15) 및 제2분사노즐(16)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교반기(1) 전체를 제어하는 수단과 통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교반조(10)는 선별단계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된 유기성 폐기물을 내부로 전달받아 담을 수 있는 밀폐조로 마련된다.
상기 교반조(10)의 길이방향의 중심에는 소정의 모터 등의 구동수단(17)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1)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1)의 길이방향의 외측을 따라 스크류(12)가 결합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1)은 상기 컨트롤러(20)를 통해 회전하도록 제어되며, 회전시 스크류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이 혼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조(10)에는 발열제 투입부(13)와 흡수제 투입부(14)가 설치되며, 제1분사노즐(15)과 제2분사노즐(16)이 설치된다.
상기 발열제 투입부(13)와 흡수제 투입부(14)는 발열제와 흡수제가 각각 교반조(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발열제 투입부(13)로 투입되는 발열제는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유출되는 침출수와 반응하여 발열반응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생석회가 사용된다.
즉, 발열제를 통한 발열반응에 의한 열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은 건조되며, 이와 동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 내의 세균 및 병균이 살균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적정량은 교반조에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7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이다.
상기 흡수제 투입부(14)로 투입되는 흡수제는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유출되는 침출수를 흡수하는 물질로서, 상술한 발열제에 의한 발열에 의한 건조와 함께 유기성 폐기물을 완전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교반기로부터 교반이 완료된 후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은 추후 별도의 건조공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한 적정량은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7중량부 내지 13중량부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일 수 있다. 여기서, 흡수제로는 코코피트, 톱밥 또는 왕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노즐(15)은 컨트롤러(20)에 의해 교반조(10) 내부로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이하 "은용액"이라 함)을 일정 주기로 사전에 설정된 설정량을 분사한다.
통상적으로 은(Ag)은 항생제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단세포 동물인 박테리아, 바이러스, 전균류 등의 각종 세균 및 병균의 호흡 및 소화 대사작용을 하는 특수한 효소에 작용하여 무력화시켜 상기 세균을 질식하게 하거나 아사(餓死)하게 하는 촉매제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세균 및 병균은 은이온(Ag+)을 흡수하여 원형질이 파괴되거나 세포분열을 하는 생식기관을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 내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 및 병균 등은 은이온(Ag+)을 흡수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살균처리되게 된다. 이를 위해, 은용액은 적정량이 균일하게 분사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1분사노즐(15)에 의해 분사되는 은용액은 1분을 주기로 분사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분사량은 교반조(10)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5 내지 1×10- 10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분당 1×10-8 중량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분사노즐(16)은 탈취제인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교반조(10) 내부로 일정 주기로 사전에 설정된 설정량을 분사한다.
통상적으로 이산화염소는 멸균 및 탈취에 매우 효과적인 성분으로서, 상술한 생석회 및 은용액과 함께 유기성 폐기물을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산화염소는 탈취에 매우 효과적이어서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유출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밀폐된 상태인 교반조(10) 내부에서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어, 외부로 유기성 폐기물의 악취가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이산화염소 수용액의 적정 분사량은 상술한 은용액과 동일한 주기 및 동일한 분사량일 수 있다.
즉, 이산화염소 수용액은 제2분사노즐(16)을 통해 1분을 주기로 분사되며, 그 분사량은 교반조(10)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5 내지 1×10- 10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분당 1×10-8 중량부일 수 있다.
상술한 발열제, 흡수제, 은용액 및 탈취제의 투입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가령, 10톤(t)의 유기성 폐기물을 1시간 동안 교반시킨다고 가정하면, 교반조에는 유기성 폐기물 10톤에 대하여 생석회 0.5톤과 흡수제는 1톤이 투입된다.
이때, 은용액은 은이온(Ag+)이 1분을 주기로 1×10-8 톤이 제1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며, 이산화염소 수용액도 1분을 주기로 1×10-8 톤이 제2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다. 여기서 은용액에 포함된 은이온(Ag+)의 함량과,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포함된 이산화염소의 함량은 20ppm농도를 가지는 각각의 수용액 500ml를 환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열제와 흡수제를 투입한 상태에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키면 점진적으로 완전건조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은용액을 상술한 바와 같은 주기로 분사하면, 유기성 폐기물 내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 및 병균을 이화학적 반응을 통한 살균작용으로 인해 휘산을 제거하면서 각종 해충(害蟲卵) 및 병원균을 사멸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산화염소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방출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밀폐상태인 교반기 내에서 이화학적 반응만으로 건조 및 살균처리가 가능하여 해충 및 악취 발생이 방지되고, 오염물질의 외부 유출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처리 단계(S50)는 교반단계(S40)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을 사료 또는 비료 또는 고체연료의 혼합비에 적합하게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소정의 발효조 등을 이용하여 숙성을 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후처리 단계(S50)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은 사료, 비료 또는 고체연료의 형태로 포장되어 제품으로서 출하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반기 10 : 교반조
11 : 회전축 12 : 스크류
13 : 발열제 투입부 14 : 흡수제 투입부
15 : 제1분사노즐 16 : 제2분사노즐
16A : 이산화염소 발생기 17 : 구동수단
20 : 컨트롤러

Claims (20)

  1.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받아 사료, 비료 또는 연료로 제조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된 유기성 폐기물을 전달받아 교반조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유기성 폐기물 투입단계;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와,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을 상기 교반조에 투입하여 상기 유기성 폐기물과 함께 교반시키는 교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제는 생석회이고,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7중량부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2.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받아 사료, 비료 또는 연료로 제조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된 유기성 폐기물을 전달받아 교반조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유기성 폐기물 투입단계;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와,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을 상기 교반조에 투입하여 상기 유기성 폐기물과 함께 교반시키는 교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단계에서 상기 은이온(Ag+)을 포함하는 용액은 일정 주기로 설정량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에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를 흡수하는 흡수제를 더 투입하며, 상기 흡수제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7중량부 내지 13중량부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제는 코코피트, 톱밥 또는 왕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단계에서 상기 교반조에는 탈취제를 더 투입하며, 상기 탈취제는 일정 주기로 설정량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제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은이온(Ag+)을 포함하는 용액과 상기 탈취제는 1분을 주기로 설정량을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은이온(Ag+)을 포함하는 용액의 설정량은 상기 은이온(Ag+)이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5 내지 1×10-10중량부이고,
    상기 탈취제의 설정량은 상기 이산화염소가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5 내지 1×10-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받아 사료, 비료 또는 연료로 제조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된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고,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와,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이 투입되어,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 상기 발열제와 상기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이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기에는 상기 발열제가 투입되는 발열제 투입부가 설치되며, 상기 발열제는 생석회이고,
    상기 발열제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7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13.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받아 사료, 비료 또는 연료로 제조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된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고,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와,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이 투입되어,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 상기 발열제와 상기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이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기에는 상기 발열제가 투입되는 발열제 투입부가 설치되며, 상기 발열제는 생석회이고,
    상기 교반기에는 상기 은이온(Ag+)을 포함한 용액을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제1분사노즐은 유기성 폐기물의 양에 따른 설정량을 일정 주기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에는 탈취제를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제2분사노즐은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양에 따른 설정량을 일정 주기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제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노즐과 상기 제2분사노즐은 1분을 주기로 각각 설정량이 분사되며,
    상기 제1분사노즐의 설정량은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은이온(Ag+)이 1×10-5 내지 1×10- 10중량부이고,
    상기 제2분사노즐의 설정량은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이산화염소가 1×10-5 내지 1×10- 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탈취제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탈취제 발생기로부터 상기 탈취제가 생성되어 상기 제2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18.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에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침출수를 흡수하는 흡수제가 투입되도록 흡수제 투입부가 설치되며, 투입되는 상기 흡수제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7중량부 내지 13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제는 코코피트, 톱밥 또는 왕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20.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는 교반조와, 상기 교반조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130035706A 2013-04-02 2013-04-02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39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706A KR101539383B1 (ko) 2013-04-02 2013-04-02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706A KR101539383B1 (ko) 2013-04-02 2013-04-02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412A KR20140120412A (ko) 2014-10-14
KR101539383B1 true KR101539383B1 (ko) 2015-07-29

Family

ID=5199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7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9383B1 (ko) 2013-04-02 2013-04-02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065A (ko) * 2018-03-13 2019-09-23 다이도 토쿠슈코 카부시키가이샤 탄화 처리 방법 및 탄화 처리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352B1 (ko) * 2015-07-08 2016-12-16 (주)비케이 축분과 흡착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악취저감형 고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650A (ko) * 2005-03-17 2006-09-21 김영헌 음식물쓰레기와 폐목재를 이용한 땔감용재료 제조방법
KR20080045363A (ko) * 2006-11-20 2008-05-23 (주)엠.이.아이 유해물질 용출방지제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KR20100012798A (ko) * 2008-07-28 2010-02-08 서희동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650A (ko) * 2005-03-17 2006-09-21 김영헌 음식물쓰레기와 폐목재를 이용한 땔감용재료 제조방법
KR20080045363A (ko) * 2006-11-20 2008-05-23 (주)엠.이.아이 유해물질 용출방지제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KR20100012798A (ko) * 2008-07-28 2010-02-08 서희동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065A (ko) * 2018-03-13 2019-09-23 다이도 토쿠슈코 카부시키가이샤 탄화 처리 방법 및 탄화 처리 설비
KR102190158B1 (ko) 2018-03-13 2020-12-11 다이도 토쿠슈코 카부시키가이샤 탄화 처리 방법 및 탄화 처리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412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7081B1 (en) Method for bio-refining waste organic material to produce denatured and sterile nutrient products
KR960011172B1 (ko) 수분 함유율이 높은 유기물을 퇴비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17145A (ko) 유기물 처리 장치
KR20130102195A (ko)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539383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2006272203A (ja) 使用済み紙おむつの処理装置
KR20130141852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396234B1 (ko) 축산분뇨를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796391B1 (ko) 음식물류 폐기물을 이용한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토양개량제
KR101947448B1 (ko) 구제역 및 ai의 사체 처리 및 매몰지 토양 복원 플랜트 장치
KR100856063B1 (ko) 가축분뇨의 유해중금속을 제거하고 전자빔 및 감마선조사를 통한 병원성미생물이 멸균된 양질의 유기물 원료를제조하는 방법
KR200420707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170088816A (ko) 음식물 쓰레기 발효 소멸장치
US20060207171A1 (en) Method of destroying seeds
JP2013165663A (ja) 廃棄物処理用シリカアルミナ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廃棄物処理方法、廃棄物処理装置
KR20160069940A (ko) 음식물 쓰레기 발효 소멸장치
KR20090030395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104320A (ko)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KR102469893B1 (ko) 선택적 발광을 통한 음식물 처리 자동화 시스템
JPH0826870A (ja) 特殊肥料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40022049A (ko) 돈분을 이용하여 동물용 사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돈분을 이용하여 동물용 사료를 제조하는 시스템
JP3974568B2 (ja) 食品廃棄物の処理方法
JPH07265841A (ja) 生ゴミ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237711B1 (ko) 부억쓰레기의 고속발효처리장치
JP4223257B2 (ja) 合成樹脂シートで密封パックされた糞尿類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