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1869B1 -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869B1
KR101531869B1 KR1020130073173A KR20130073173A KR101531869B1 KR 101531869 B1 KR101531869 B1 KR 101531869B1 KR 1020130073173 A KR1020130073173 A KR 1020130073173A KR 20130073173 A KR20130073173 A KR 20130073173A KR 101531869 B1 KR101531869 B1 KR 10153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d
main body
storage device
signal
alarm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710A (ko
Inventor
최성환
최광희
정성환
이남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7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86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8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응급상황 경고부, 상기 알람 신호를 전달하는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본체 관리부 및 상기 알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응급상황 경고부를 통해 이상상태를 경고하고 상기 AED 본체 관리부를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AED 본체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ED 보관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AED 본체는 상기 자동제세동기 보관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보관되고, 상기 알람 신호가 수신된 경우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자동제세동기 보관장치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기 저장된 자동 제세동기 사용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AED를 보관하는 보관장치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경고하고 AED의 사용방법을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REMOTE CONTROLLABL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보관하는 제세동기 보관장치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경고하고 AED의 사용방법을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장마비 환자의 많은 경우는 집에서 자는 도중 증상이 발생하여 사망한다. 이를 대비하여, 환자 몸에 센서를 부착하고 센서를 통해 측정된 환자의 정보를 단말기를 통하여 측정하며, 이상징후가 발생했을 경우 AED가 알람을 울리도록 하는 자동제세동기가 제안된바 있다. AED에 알람이 발생하면 주변 사람들이 환자의 이상상태를 인지하여 신속한 응급대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소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AED는 응급상황 발생시 바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품상태가 정상상태로 관리되어야 하고, 사용자가 보관위치를 바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보관되어야 한다. 또한, AED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AED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9544호: 심장제세동기의 운영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보관하는 AED 보관장치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경고하고 AED의 사용방법을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응급상황 경고부, 상기 알람 신호를 전달하는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본체 관리부 및 상기 알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응급상황 경고부를 통해 이상상태를 경고하고 상기 AED 본체 관리부를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AED 본체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ED 보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AED 본체는 상기 자동제세동기 보관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보관되고, 상기 알람 신호가 수신된 경우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자동제세동기 보관장치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기 저장된 자동 제세동기 사용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AED 보관장치는, 상기 AED 본체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AED 본체의 구동장치의 이상 여부와 배터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감지결과를 제공하는 AED 본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ED 보관장치의 응급상황 경고부는, 상기 AED 보관장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부; 및 상기 알람 신호의 수신, 상기 AED 본체의 이탈 여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표시하는 알림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 표시부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알림 표시 조건에 따라 상기 LED의 점멸 주기 및 발광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이벤트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ED 본체는, 상기 AED 보관장치로부터의 이탈을 감지하는 이탈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본체와 상기 AED 본체를 착탈 가능하게 보관하는 AED 보관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AED 보관장치에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알람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AED 보관장치가 상기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단계; (C) 상기 AED 보관장치가 상기 알람 신호를 상기 AED 본체에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AED 본체가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한 AED 본체가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AED 보관장치로부터 이탈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AED 본체가 기 저장된 자동 제세동기 사용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AED 보관장치 작동상태를 작동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 신호의 수신 및 상기 AED 본체의 이탈 여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표시하는 알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람 신호의 수신 및 상기 AED 본체의 이탈 여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표시하는 알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알림 표시 조건에 따라 LED의 점멸 주기 및 발광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이벤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은,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보관하는 제세동기 보관장치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경고하고 AED의 사용방법을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D 보관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D 본체의 제어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D 본체와 AED 보관장치 간 제어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이하 AED라 함)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는 신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이상발생시 알람 신호를 송신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100)와, 알람 신호 수신 시 응급상황을 경고하고 AED 본체(300)에 응급신호를 출력하는 AED 보관장치(200) 및 AED 보관장치(200)에 보관되는 AED 본체(300)를 포함한다.
생체신호 측정센서(100)는 인체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알람 발생 조건에 따라 생체신호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알람 신호를 송신한다. 생체신호 측정센서(100)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체온, 맥박 등의 신체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센서(100)는 측정된 생체신호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AED 보관장치(200)에 알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신호 측정센서(100)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여 알람 신호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혹은, 기 등록된 휴대 단말에 알람 신호 송신을 요청하여 AED 보관장치(200)에 알람 신호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 등록된 휴대 단말은 측정 대상자 본인의 휴대 단말 또는 측정 대상자의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서, 예컨대, 가족, 의사, 간호사 등의 휴대 단말일 수 있다.
AED 보관장치(200)와 생체신호 측정센서(100)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210)와 응급상황 경고부(220)를 포함한다. AED 보관장치(200)는 생체신호 측정센서(100)로부터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 응급상황 경고부(220)를 통해 응급 상황을 경고하고 AED 본체(300)에도 알람 신호를 송신하여 AED 본체(300)가 사용 대기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AED 보관장치(200)는 응급상황 경고부(220)를 통해 알람 동작 상태와 제세동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AED 보관장치(200)는 AED 본체(300)를 관리하고 보관하기 위한 장치로서 보관함이나 크래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AED 보관장치(200)는 AED 본체(300)의 구동장치의 이상 여부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이상 발생시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
AED 본체(300)는 심폐소생술을 행하게 하는 장치로, 환자의 심장상태를 체크하여 자동적으로 전기충격을 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AED 본체(300)는 AED 보관장치(200)로부터 꺼내져서 사용되며, AED 본체(300)는 AED 보관장치(200)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AED 본체(300)는 AED 보관장치(200)로부터 알람 신호가 수신된 경우 각부 구성을 활성화하여 사용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AED 본체(300)는 AED 보관장치(200)로부터의 이탈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AED 사용방법을 안내하기 시작한다. AED 본체(300)는 음성, 영상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AED 사용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인체에 접촉되어 있는 생체신호 측정센서(100)가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통신 방식으로 송신하면, AED 보관장치(200)가 생체신호 측정센서(100)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하여 응급상황을 경고하는 한편 AED 본체(300)에 응급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사용자는 응급 상황 발생 상황을 인지하고 AED의 보관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AED 본체(300)는 AED 보관장치(200)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AED 사용방법을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AED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D 보관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ED 보관장치(200)는 무선 수신부(210), AED 본체 관리부(230), 제어부(240), 응급상황 경고부(220) 및 메모리(250)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부(210)는 생체신호 측정센서(100)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210)는 수신된 알람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달한다.
AED 본체 관리부(230)는 AED 본체(300)에 알람 신호를 전달하여 AED 본체(300)가 작동 대기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AED 본체 관리부(230)는 AED 본체(300)의 이탈 시 이탈을 감지하여 AED 본체(300)의 사용 여부를 체크하여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또한, AED 본체 관리부(230)는 AED 본체(300)의 구동장치의 이상 여부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이상 발생시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응급상황 경고부(220)는 작동 표시부(224)와 알림 표시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표시부(224)는 AED 보관장치(200)의 전원 입력 여부를 표시하고, 알림 표시부(226)는 응급상황 발생 상태, AED 본체(300)의 사용 상태 등의 이벤트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표시부(224) 및 알림 표시부(226)는 LED로 구현되어 점멸 색상이나 점멸 주기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응급상황을 경고하거나 AED 본체(300)의 사용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작동 표시부(224)는 LCD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오디오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250)에는 AED 보관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제어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컨대, AED 본체 관리부(230)의 AED 본체(300) 점검을 위한 점검 데이터, 응급상황 경고부(22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무선 수신부(210)에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 AED 본체 관리부(230)를 통해 AED 본체(300)에 알람 신호를 전달하고 알람 신호 수신 여부를 알림 표시부(226)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AED 본체 관리부(230)를 통해 AED 본체(300)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여 AED 본체(300)의 사용 여부를 체크하며, 감지 결과를 알림 표시부(226)를 통해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D 본체(300)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ED 본체(300)는 이탈 감지부(310), 신호 수신부(340), 제세동 처리부(320), 안내부(350), 메모리(25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이탈 감지부(310)는 AED 보관장치(200)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330)에 감지 결과를 제공한다.
신호 수신부(340)는 AED 보관장치(200)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30)에 전달한다.
제세동 처리부(320)는 환자의 심전도를 분석하여 환자에게 적용할 전기충격을 가하는 자동심장제세동 기능을 처리한다.
메모리(360)에는 AED 본체(300)를 사용하는 방법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데이터가 저장된다.
안내부(350)는 제어부(330)의 AED 본체(300)의 사용 방법을 오디오, 동영상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제어부(330)는 신호 수신부(340)를 통해 알람 신호가 수신된 경우 각부 구성을 활성화시켜 AED 본체(300)의 상태를 사용 대기 상태로 전환 시킨다. 이 후, 제어부(330)는 이탈 감지부(3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AED 보관장치(200)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모리(360)에 저장된 안내 데이터를 안내부(350)를 통해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D 본체(300)와 AED 보관장치(200) 간 제어 흐름도이다.
생체신호 측정센서(100)는 인체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알람 발생 조건에 따라 생체신호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AED 보관장치(200)로 알람 신호를 송신한다(S110). 생체신호 측정센서(100)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알람 신호를 AED 보관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AED 보관장치(200)의 제어부(240)는 무선 수신부(210)를 통해 알람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20).
AED 보관장치(200)에 알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40)는 알림 표시부를 통해 응급상황을 경고한다(S130). 알림 표시부가 LED인 경우, 제어부(240)는 LED를 점멸하거나 평소와는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하여 응급상황 발생을 경고할 수 있다.
또한, AED 보관장치(200)는 AED 본체(300)에 알람 신호를 전달한다(S140).
AED 본체(300)는 알람 신호가 수신되면 각부 구성이 활성화되어 사용 대기상태로 전환된다(S150).
이 후, AED 본체(300)는 AED 본체(300)가 AED 보관장치(200)로부터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60), AED 본체(300)가 이탈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안내부(350)를 통해 AED 사용방법을 안내한다(S170).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ED의 사시도로서, 도 5는 AED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ED 본체(300)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AED 보관장치(200)는 AED 본체(300)를 안정감 있게 세워서 비치할 수 있는 크래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ED 본체(300)의 전면에는 각종 조작 버튼과 AED 사용방법 안내를 위한 그림이 제공될 수 있다. AED 본체(300)의 상부에는 AED 본체(300)를 AED 보관장치(200)에서 손쉽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제공될 수 있다.
AED 보관장치(200)는 AED 본체(300)의 하단부를 움켜쥐는 집게 형으로 형상화하여 AED 본체(300)를 안정감 있게 세워서 비치할 수 있도록 한다. AED 보관장치(200)는 AED 사용법이 기술된 AED 본체(300)의 전면이 가려지지 않도록 설계된다.
AED 보관장치(200)의 전면 부에는 응급상황 경고부(220)가 마련된다. 응급상황 경고부(220)는 작동 표시부(224) 및 알림 표시부(226)의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표시부(224)의 기능을 수행하는 LED는 AED 보관장치(200)의 전원입력 여부를 표시할 수 있고, 알림 표시부(226)는 응급상황 발생 여부, AED 본체(300)의 사용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AED 보관장치(200)의 전면에 마련된 응급상황 경고부(220)는 간접적으로 제세동기 본체 전면을 비추도록 하여 제세동기의 존재감을 부각하도록 할 수 있다.
AED 보관장치(200)는 뒷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는 받침대의 형상에 따라 스탠드 형뿐만 아니라 월마운트 형태, 보관함 수납 형태로의 변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생체신호 측정센서 200 : AED 보관장치
210 : 무선 수신부 220 : 응급상황 경고부
224 : 작동 표시부 226 : 알림 표시부
230 : AED 본체 관리부 240 : 제어부
250 : 메모리 300 : AED 본체
310 : 이탈 감지부 320 : 제세동 처리부
330 : 제어부 340 : 신호 수신부
350 : 안내부 360 : 메모리

Claims (9)

  1.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인체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생체신호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기 설정된 알람 발생 조건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로부터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응급상황 경고부, 상기 알람 신호를 전달하는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본체 관리부 및 상기 알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응급상황 경고부를 통해 이상상태를 경고하고 상기 AED 본체 관리부를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AED 본체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ED 보관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AED 본체는 상기 AED 보관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보관되고, 상기 알람 신호가 수신된 경우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AED 보관장치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기 저장된 AED 사용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ED 보관장치는,
    상기 AED 본체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AED 본체의 구동장치의 이상 여부와 배터리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감지결과를 제공하는 AED 본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ED 보관장치의 응급상황 경고부는,
    상기 AED 보관장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부; 및
    상기 알람 신호의 수신, 상기 AED 본체의 이탈 여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표시하는 알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표시부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알림 표시 조건에 따라 상기 LED의 점멸 주기 및 발광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이벤트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ED 본체는,
    상기 AED 보관장치로부터의 이탈을 감지하는 이탈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6.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본체와 상기 AED 본체를 착탈 가능하게 보관하는 AED 보관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인체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생체신호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기 설정된 알람 발생 조건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로부터 상기 AED 보관장치에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알람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AED 보관장치가 상기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단계;
    (C) 상기 AED 보관장치가 상기 알람 신호를 상기 AED 본체에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AED 본체가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한 AED 본체가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AED 보관장치로부터 이탈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AED 본체가 기 저장된 자동 제세동기 사용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ED 보관장치 작동상태를 작동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 신호의 수신 및 상기 AED 본체의 이탈 여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표시하는 알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신호의 수신 및 상기 AED 본체의 이탈 여부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표시하는 알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알림 표시 조건에 따라 LED의 점멸 주기 및 발광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이벤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의 제어방법.
KR1020130073173A 2013-06-25 2013-06-25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 Active KR101531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173A KR101531869B1 (ko) 2013-06-25 2013-06-25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173A KR101531869B1 (ko) 2013-06-25 2013-06-25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10A KR20150000710A (ko) 2015-01-05
KR101531869B1 true KR101531869B1 (ko) 2015-06-26

Family

ID=5247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173A Active KR101531869B1 (ko) 2013-06-25 2013-06-25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8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558A (ko) 2022-06-02 2023-12-11 엑스큐어 주식회사 적외선 포트를 이용한 aed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67557A (ko) 2022-06-02 2023-12-11 엑스큐어 주식회사 Aed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635A1 (en) * 2016-03-15 2017-09-21 Nihon Kohden Corporation Detection device and alarm system having the detec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617A (ko) * 2010-09-13 2012-03-22 주식회사 옴니파트너스 자동심실제세동기를 포함한 응급의료시스템
US20120271370A1 (en) * 2011-04-22 2012-10-25 Hochhalter Keith W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locat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617A (ko) * 2010-09-13 2012-03-22 주식회사 옴니파트너스 자동심실제세동기를 포함한 응급의료시스템
US20120271370A1 (en) * 2011-04-22 2012-10-25 Hochhalter Keith W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locat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558A (ko) 2022-06-02 2023-12-11 엑스큐어 주식회사 적외선 포트를 이용한 aed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67557A (ko) 2022-06-02 2023-12-11 엑스큐어 주식회사 Aed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10A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9564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es with wireless headwall communication
US84716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US87732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JP6069042B2 (ja) 医療用警報システムおよび医療警報用インジケータ
WO2010058796A1 (ja) 漏出検出システム
TWI592910B (zh) Motion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20170325777A1 (en) Wheezing detection apparatus
US11253716B2 (en) Detection device and alarm system having the detection device
US20170332993A1 (en) Wheezing-relate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KR101531869B1 (ko)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
EP3429458A1 (en) Detection device and alarm system having the detection device
CN109843375B (zh) 用于自动体外除颤器(aed)的一次性检测器
JP2007244804A (ja) 除細動器収納スタンド
WO2017010956A1 (en) A monitoring system
US12303300B2 (e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EP2901921A2 (en) Systems for monitoring and notification of vital sign changes
JP6622478B2 (ja) 医療機器、及び医療システム
KR101505122B1 (ko) 원격 관리형 자동제세동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7209176A (ja) 生体情報監視装置用の動作確認装置
JP2017211719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19209147A (ja) 点滴監視装置、点滴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70004086U (ko)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JP2016187437A (ja) 医療機器及び生体情報モニター
US20130328685A1 (en) Assistance terminal for remotely monitoring a person connected to a medical assistance and monitoring device
JP2016066188A (ja) 医療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