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003B1 -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1003B1 KR101531003B1 KR1020130092543A KR20130092543A KR101531003B1 KR 101531003 B1 KR101531003 B1 KR 101531003B1 KR 1020130092543 A KR1020130092543 A KR 1020130092543A KR 20130092543 A KR20130092543 A KR 20130092543A KR 101531003 B1 KR101531003 B1 KR 1015310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data
- mobility
- connection poi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02100035767 Adrenocortical dysplasia protein homolog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1000929940 Homo sapiens Adrenocortical dysplasia protein homolog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60 site-specific infrared dichroism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일 방법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주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이동성과 예상 데이터 사용량에 근거하여 특정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이동성을 단말기가 수신하는 무선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근거하여 판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사용강도를 파악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는 방법의 예들을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이동 상태에서 접속점(AP)에 접속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기의 예상 데이터 사용량을 산출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이동 상태에서, 예상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접속점에 대해 접속 여부가 결정되는 각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사용패턴을 파악하고 그 파악된 패턴에 근거하여, 이동 상태에서 접속점에 대해 접속할 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전면모드(foreground mode)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가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단말기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량의 누적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과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특정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이, 단말기의 운영시스템(O/S)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에 구현된 것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2a: Wi-Fi 모뎀 2b: Wi-Fi 코덱
4: 디스플레이 구동부 5: 디스플레이 패널
6: 입력 제어부 6a: 터치 센서
6b: 키패드 7: 메모리
10: 주 제어부 10a: 운영시스템(O/S)
11: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 12: 운영 엔진부
13: 응용 인터페이스부 20: 실행 상태에 있는 실행 개체
21: 미디어 플레이어 22, 23: 특화된 개체
110: 중앙처리장치(CPU) 111: 어플리케이션 칩셋
112: 타이머 113: 시계부(real-time clock)
121,221,231: 이동성 검출부 122,222,232: 접속 결정부
223,233: 고유 기능부 1101: 실행 상태의 임의의 실행 개체
Claims (25)
-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원격지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제 1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고 제 2무선 통신망에는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발견된 경우에,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며, 또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게 하는 것인 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특정 동작에서는, 상기 이용특성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기준치 이상의 데이터 사용을 나타내는 제 1경우이거나,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1경우가 아니면서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복수개의 접속점들에 의해서 서비스 영역이 각기 형성되고, 각 서비스 영역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상호간에 핸드오버(handover)가 지원되는 서비스 셀(cell)에 비해 작은 영역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세기의 변화량 또는 변화의 추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수신되는 위성 신호로부터 산출한 경위도 좌표의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용특성이, 현재까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의 강도가 기 지정된 하한치 미만이거나 또는 기 지정된 상한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지 않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원격지에 대해 데이터 전송 요구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그 요구가 있기 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는 동작을 시작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하면 이동성 검출을 위한 신호의 검출 간격을 더 길게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경우는, 상기 이용특성이, 정해진 제한 시간동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앞으로 수신할 또는 송신할 데이터량이 상기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이거나, 또는 현재까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의 강도(intensity)가 상기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한 시간을 조정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조정된 시간동안 앞으로 수신할 또는 송신할 데이터량을 구하여 상기 기준치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성이 클수록 짧은 값이 되도록 상기 제한 시간을 조정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랑의 상기 강도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의 기 정해진 시간폭 동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을 상기 시간폭으로써 나누어서 얻어지는 값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기준치를 조정한 후 상기 제 1경우인 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성이 클수록 큰 값이 되도록 상기 기준치를 조정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동작에서는, 상기 제 1경우가 아니면서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할 때에도, 상기 이용 특성이 원격지에 대해 데이터 전송 요구가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제 2경우일 때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경우는, 상기 이용특성이, 이전까지의 파일간의 수신 간격에 따라 새로운 파일의 전송 요청이 있을 것임을 보이는 경우에 해당하거나, 또는 원격지에 요청하여 수신할 또는 전송할 파일이 현재 지정되어 있음을 보이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면(foreground) 모드로 실행되고 있는 실행 개체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망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중단없이 데이터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특정 유형의 개체가 아니고, 또한 상기 실행 개체가 현재 원격지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면,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하더라도,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유형의 개체인 지는, 기 구비된 목록에 상기 실행 개체의 식별자가 등재되어 있는 지의 여부로부터 판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목록은 외부에 요청하여 최신의 것으로 갱신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이 기 지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되,
상기 기 기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요건은,
접속점으로부터의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신호세기 이상이어야 할 것,
접속점이 일정 서비스 속도 이상을 보장하는 것으로 정해진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접속점이어야 할 것,
접속점의 링크(link) 속도가 기 지정된 속도 이상이어야 할 것,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일정 시간 이상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했던 적이 있는 접속점이어야 할 것,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한 동안의 데이터 사용률이 일정 기준치 이상이었던 접속점이어야 할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발견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실행 개체에 영상을 플레이하는 개체가 포함되어 있을 때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영상을 플레이하는 개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와 상기 결정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O/S)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실행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특성은, 상기 실행 개체가 데이터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해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이용함에 따라 얻어지는 특성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동작에서, 상기 제 1경우가 아니면서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할 때에도, 원격지에 요청하여 수신할 또는 전송할 파일이 현재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실행 개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면, 원격지에 요청하여 상기 지정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수신 또는 송신이 시작되게 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개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시스템(O/S)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타 실행 개체의 원격지와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면(foreground) 모드로 실행되고 있는 타 실행 개체가, 상기 중계부에 의한 데이터 중계를 이용할 수 있는 개체가 아니고, 또한 현재 원격지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면,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들에 의해서 비(非) 셀룰러 방식의 서비스 영역이 각기 형성되는 통신망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무선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원격지에 한번 이상 요청하여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와,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을 반복적으로 검색하는 2단계와,
상기 검색에서 접속점이 발견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해 검출된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수신에 있어서의 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3단계와,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게 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특정 동작에서는, 상기 데이터 수신에 있어서의 상기 특성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기준치 이상의 데이터 수신을 나타내는 제 1경우일 때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1경우가 아닐 때는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복수개의 접속점들에 의해서 서비스 영역이 각기 형성되고, 각 서비스 영역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상호간에 핸드오버(handover)가 지원되는 서비스 셀(cell)에 비해 작은 영역인 것인 방법. -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무선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원격지에 한번 이상 요청하여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와,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을 반복적으로 검색하는 2단계와,
상기 검색에서 접속점이 발견되면, 상기 데이터 수신에 있어서의 특성이, 정해진 제한 시간동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앞으로 수신할 또는 송신할 데이터량이 지정된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이거나, 또는 현재까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또는 송신한 데이터량의 강도가 지정된 기준치 이상을 보이는 경우에,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경우가 아닐 때는, 검출된 이동성을 확인하여 정지 상태이면 접속하는 것으로, 이동 상태에 해당하면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3단계와,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게 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복수개의 접속점들에 의해서 서비스 영역이 각기 형성되고, 각 서비스 영역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상호간에 핸드오버(handover)가 지원되는 서비스 셀(cell)에 비해 작은 영역인 것인 방법. - 타 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데이터가 외부에 제공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검출하는 기능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제 1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고 제 2무선 통신망에는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발견된 경우에,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과,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특정 동작에서는, 상기 이용특성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기준치 이상의 데이터 사용을 나타내는 제 1경우이거나,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정지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1경우가 아니면서 상기 검출되는 이동성이 이동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발견된 접속점에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복수개의 접속점들에 의해서 서비스 영역이 각기 형성되고, 각 서비스 영역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는 상호간에 핸드오버(handover)가 지원되는 서비스 셀(cell)에 비해 작은 영역인 것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2543A KR101531003B1 (ko) | 2013-08-05 | 2013-08-05 |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
PCT/KR2014/007155 WO2015020370A1 (ko) | 2013-08-05 | 2014-08-04 |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2543A KR101531003B1 (ko) | 2013-08-05 | 2013-08-05 |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6733A KR20150016733A (ko) | 2015-02-13 |
KR101531003B1 true KR101531003B1 (ko) | 2015-06-23 |
Family
ID=5246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2543A Active KR101531003B1 (ko) | 2013-08-05 | 2013-08-05 |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1003B1 (ko) |
WO (1) | WO2015020370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25576A (ko) * | 2011-09-02 | 2013-03-12 | 주식회사에어플러그 |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
KR101243737B1 (ko) * | 2011-09-15 | 2013-03-13 | 주식회사에어플러그 | 버퍼링된 데이터량에 따라 이종망(異種網)들간에 사용망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면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3840B1 (ko) * | 2007-12-14 | 2010-08-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멀티미디어 호를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선택 및 생성방법 |
KR101231608B1 (ko) * | 2011-08-05 | 2013-02-08 | 주식회사에어플러그 | 복수 이종망(異種網)들에서의 연결망 선택정책을 적응적으로 적용하는 장치와 이를 위한 방법 |
-
2013
- 2013-08-05 KR KR1020130092543A patent/KR101531003B1/ko active Active
-
2014
- 2014-08-04 WO PCT/KR2014/007155 patent/WO201502037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25576A (ko) * | 2011-09-02 | 2013-03-12 | 주식회사에어플러그 |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
KR101243737B1 (ko) * | 2011-09-15 | 2013-03-13 | 주식회사에어플러그 | 버퍼링된 데이터량에 따라 이종망(異種網)들간에 사용망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면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20370A1 (ko) | 2015-02-12 |
KR20150016733A (ko) | 2015-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5573B1 (ko) | 네트워크 이용 가능성 및 디바이스 속성들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루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 |
US11483844B1 (en) | Multi-mode dynamic frequency selection system | |
US7747279B2 (en) | Interface negotiation | |
EP1736010B1 (en) | Interface negotiation | |
US20140071895A1 (en) | Network Selection Based On Customizing Crowdsourced Connection Quality Data | |
CN108337696B (zh) | Srvcc异常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US2013005831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hannel in wireless network | |
CN107113572B (zh) | 针对无线网络的地理信息 | |
US2015011007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using information related to mutual communication property between a terminal and access points of a wireless network to be used in connecting to the wireless network | |
KR20180030781A (ko) | 서비스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 |
US20140342705A1 (en) | Application configured triggers and push notifications of network information | |
JP2009100210A (ja) | 中継装置、中継方法及び中継プログラム | |
US20140079014A1 (en) | Method for managing selective access to a wireless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and an apparatus for same | |
US20120315885A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side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peri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JPWO2017170692A1 (ja) | スライス管理システム及びスライス管理方法 | |
GB2537623A (en) | Content delivery over D2D links | |
KR101482516B1 (ko) | 무선 통신망에의 추가 접속시의 망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 |
KR101440086B1 (ko) |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1697282B1 (ko) |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접속기기의 유형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을 적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1531003B1 (ko) |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 |
EP4287704B1 (en) | Cell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KR101649751B1 (ko) | 엑세스 포인트와 다중 무선단말간의 대역폭 분산을 통해 최적의 무선환경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
JP4437761B2 (ja) |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ネットワーク分割方法 | |
KR20170138748A (ko) | 스케줄링 정책 서버 및 스케줄링 정책 서버에서의 무선 데이터망 스케줄링 방법 | |
KR101616058B1 (ko) | 원격지와의 파일 수신/송신에 대한 예상정보에 따라 복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그 파일을 수신/송신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9021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2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