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0086B1 -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086B1
KR101440086B1 KR1020120125956A KR20120125956A KR101440086B1 KR 101440086 B1 KR101440086 B1 KR 101440086B1 KR 1020120125956 A KR1020120125956 A KR 1020120125956A KR 20120125956 A KR20120125956 A KR 20120125956A KR 101440086 B1 KR101440086 B1 KR 101440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network
state
net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467A (ko
Inventor
구준모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어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to KR102012012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0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0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전환 제어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서 타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Wi-Fi 망의 임의의 접속점(AP)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한다. 그러한 동작 중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획득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이 제 1상태(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 상태 )와 제 2상태( 정지 또는 도보에 의한 이동 상태 )중 어떤 상태에 있는 지를 판단하며, 제 1상태에 있으면 정해진 대기시간( 예를 들어, 10초, 15초 등 )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임의의 접속점을 검색하여 상기 타 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전환시킬 지를 결정하고, 제 2상태에 있으면 대기하지 않고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바로 접속전환하게 된다.

Description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changing between a plurality of wireless networks}
본 발명은, 복수의 무선 통신망들을 선택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상태하에서, 무선통신 단말기가 하나의 무선 통신망에서 타 무선 통신망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망이 발전하면서, 이용자들은 휴대폰은 물론이고,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와 컨텐츠를 이동 통신망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받아볼 수 있게 되었다.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에 구현된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의 자원( 이하, "GPRS 망"이라 칭한다. )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할당받아야 한다. 도 1a는 이 과정에 대한 일 예로서, 3G의 이동 통신망에 대해 구축된 GPRS 망을 전제로 나타낸 것이다. 예시된 절차는, 단말기(MT)의 PDP 컨텍스트(context) 활성화 요청(S01)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서버(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와 데이터 서비스 게이트웨이(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간의 연결에 사용할 PDP 컨텍스트( 이 정보에는 PDP 유형, PDP 주소 유형, QoS 요청/협의 프로파일, 인증 유형, 및 DNS 유형이 포함된다. )를 생성/통지하기 위한 제어신호(signalling signal)가 GPRS 망측에서 발생되고(S02,S03), PDP 컨텍스트의 할당이 성공되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서버(SGSN)가 할당된 IP주소를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단말기(MT)에 전달한다(S04). 전달된 응답에 의한 정보들이 설정되면 이동 통신망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접속상태( 이하, "접속"으로 약칭한다. )가 되며, 이후부터는, 상기 단말기(MT)는 그 IP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용자들은, 데이터 양이 많은 정보나 컨텐츠의 경우에,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 예를 들어 Wi-Fi 무선랜망( 이하에서는, “Wi-Fi 망”으로 약칭하며, Wi-Fi 망을 무선 데이터망을 대표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에 접속하여 이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 통신망, 예를 들어 셀룰러(cellular) 방식의 이동 통신망( 예를 들어, 3G 또는 4G의 이동전화 통신망 )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Wi-Fi 망이 제한된 좁은 지역에서만 서비스되고 있고 이용자에게 비용적 부담없이 통신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는 통신환경에 기인한다.
그런데, Wi-Fi 망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역적으로 산포(散布)되어 있는 제한된 좁은 지역들에서만 이용가능하므로, 이용자들은 어떤 지역의 어떤 장소에서 Wi-Fi 망을 이용할 수 있는 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용자들은 대부분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해 Wi-Fi 망의 액세스를 "자동모드"로 설정해 두게 된다. "자동모드"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주변을 검색하여 Wi-Fi 망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여 이용가능한 경우에 Wi-Fi 망으로의 접속을 수행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IP주소를 획득하여 설정하게 된다.
Wi-Fi 망에 대한 접속이 있기 전에는, 통상 셀룰러 방식의 이동 통신망( 이하, “셀룰러 망”이라 칭한다. )으로부터 할당받은 IP주소가 설정된 상태이므로, Wi-Fi 망으로의 접속이 있게 되면,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은 해제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GPRS 망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의 접속을 위해 할당했던 자원 또는 설정정보 등을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1b는 이 과정에 대한 일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예시된 절차는, 단말기(MT)의 접속해제 요청(S11)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서버(SGSN)와 데이터 서비스 게이트웨이(GGSN)간의 연결에 사용된 PDP 컨텍스트를 해지하기 위한 제어신호(signalling)가 GPRS 망에서 발생되고(S12,S13), 이후 단말기(MT)에는 접속해제가 수용되었음을 알리는 통지가 전달 된다(S14).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셀룰러 망에의 접속과 해제에는 도 1a 및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신호 교환절차가 진행되므로, 이동 통신망에 대한 접속과 해제가 빈번히 있게 되면, 그에 따른 신호교환이 상당한 부하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셀룰러 망의 접속 후 실질적인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이 없는 해제가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입장이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 도 1a 및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제어신호가 무익하게 발생하는 것이 되고 이는 고스란히 통신자원의 낭비가 된다.
위에 언급한 빈번한 접속/해제 또는 실질적인 데이터 서비스 이용이 없는 접속/해제는 사람들이 이동하는 경우에 흔히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중 교통수단, 예를 들어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의 정류장에 Wi-Fi 망의 접속점(AP: Access Point)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중 교통수단에 탑승하였던 무선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승객들이 그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자신의 목적지로 향하게 되면(1a), 그 장소에 설치된 접속점(AP1)의 서비스 존(10)을 지나게 되고, 이 때 이동하는 사람들의 각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전에 대중 교통수단에 탑승하여 이동 중인 동안 셀룰러 망에 접속하고 있다가, 상기 서비스 존(10)을 지나면서 그 장소의 접속점(AP1)을 탐자히게 되어 Wi-Fi 망으로의 접속전환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Wi-Fi 망의 접속상태는 잠시 유지될 뿐 이용자가 그 정류장에 머무르지 않고 이동하여 해당 접속점(AP1)의 서비스 존(10)을 벗어나게 되면,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들은 다시 셀룰러 망으로 재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종국적으로 볼 때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이 유지되는 것인 데, 도중에 Wi-Fi 망으로 잠시 접속됨으로 인해,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해제의 제어신호와, 또한 그 해제로 인해 다시 셀룰러 망에의 재접속을 위한,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제어신호를 불필요하게 유발한 것이 된다. 특히, 접속점이 설치된 정류장에서 많은 사람들이 하차하는 경우, 특히, 차량내에 Wi-Fi 망을 제공하는 접속점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하철 등에서( 이 경우는 해당 차량내의 단말기들은 모두 셀룰러 망의 접속상태로 있게 된다. ) 일시에 많은 사람들이 하차하는 경우에는, 짧은 시간내의 셀룰러 망에 대한 해제와 재접속의 과정에 의해 상당한 양의 제어신호 트래픽을 GPRS 망에 유발시키게 되고, 이는 그 통신자원에 고스란히 불필요한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 물론, 도중에 접속되었던 Wi-Fi 망의 접속점에도 불필요한 접속을 초래한 것이 되고, 그 불필요한 접속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신호가, 해당 정류장에서 그 접속점을 이용하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일시적으로 정체를 일으킬 수도 있다.
그리고, 접속점이 설치된 정류장 등의 장소를 지나가는 사람들의 각 개인의 입장에서는, 해당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의 연결시간이 그 장소의 접속점에의 접속전환/재전환에 의해 실질적으로 축소된다. 이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접속전환에 소요되는 과도적 시간때문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이동 중인 경우에는, 그러한 접속전환/재전환에 의해 정보 수신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아 전환 후 재요청 등에 의해 화면 구성이 끊어지거나 지연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느끼는 경험( UX: User eXperience )이 양호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속전환/재전환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알림상태도 짧은 시간에 변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불필요하게 환기시키게 되는 데, 이 또한 사용자 경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이종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이 불필요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 통신망에의 연결성(connectivity)을 향상시키는 접속전환 제어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자원에 가해지는 접속과 해제에 따른 제어신호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접속전환 제어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망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정보 획득부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 획득부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획득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 1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전환시킬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도록 구성된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처리부는,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상기 정보가, 현재로부터 지정된 시간이내에 변경된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의 수가 기 지정된 기준치이상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치의 미만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처리부는,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상기 정보가, 최신의 변경된 기 지정된 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에서 가장 앞선 서비스 권역의 정보 획득시점과 현시점과의 시간차가 기 지정된 시간폭이하를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폭의 초과를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확인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신호세기가 높을수록 그 시간이 짧아지는 방식으로 상기 대기시간을 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데이터 사용량을 파악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파악되는 데이터 사용량이 많을수록 그 시간이 짧아지는 방식으로 상기 대기시간을 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 지정되어 있는 또는 그 임의의 접속점이 속하는 그룹에 대해 지정되어 있는 시간으로써 상기 대기시간을 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처리부는, 외부의 서버에 요청하여 획득한 대기시간 지정표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 지정된 시간을 찾아서 상기 대기시간으로 정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의 서버에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면서 요청함에 따라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응답으로서 제공되는 시간을 상기 대기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해 검색이 수행되도록 하고, 그 검색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기 지정된 기준레벨이상의 신호세기로서 보이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해 검색이 수행되도록 하고, 그 검색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아닌 타 접속점이 기 지정된 기준레벨이상의 신호세기로서 보이면, 지정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 후, 상기 타 접속점이 다시 검색되는 지에 따라 상기 타 접속점으로의 접속전환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동작을 시작할 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Wi-Fi 망의 액세스 모드가 자동적으로 접속점을 검색하여 검색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모드로 지정되어 있으면 그 모드가 작용되지 않게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보 획득부와 상기 처리부는, 현재시각이 기 정해진 시간대에 속하는 동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화면 잠금의 해제 상태에 있는 동안,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한 액세스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자동으로 지정되어 있는 동안에는, 의도된 동작을 수행하고, 그 외의 시간에는 유휴(idle) 상태에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망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처리부 대신,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 획득부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설정한 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되게 하고, 상기 획득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 1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게 하도록 구성된 제 2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망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처리부 대신,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 획득부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획득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설정하고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되게 한 후,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도록 구성된 제 3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처리부와 상기 제 3처리부는,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해 접속상태에 있는 지를 확인하거나,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신호세기를 확인하여,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해 접속상태에 있거나 또는 그 확인된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기준레벨이상인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일 방법은,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면서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는 1단계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성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2단계와, 상기 판단된 상태에 따른 과정을 수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3단계는, 상기 제 1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는 과정과,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에서의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전환시킬 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3단계는, 상기 제 2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는 과정을 더 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저장공간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프로그램 공급장치는, 통신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기능과,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는 기능과,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성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기능과, 상기 제 1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전환시킬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무선통신 단말기,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은 서비스 권역간의 핸드오버(handover)가 지원되는 이동 통신망이고,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의 하나의 서비스 권역의 크기보다 좁은 서비스 영역들이 산포되어 각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점들에 의해 구성되는 무선 통신망이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이용자가 셀룰러 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교통수단을 이용해 Wi-Fi 망의 임의의 접속점을 지나는 경우 불필요하게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해제와 재접속의 과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그러한 경우에 셀룰러 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자원에 가해졌던 부하가 본 발명에 의해서는 현저히 감소하게 됨으로써,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통신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서 통신망 운용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망에서의 이동이 전제되면 접속점이 검색되어도 그 접속점으로의 전환여부를 지연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그 접속점을 지나치게 되는 경우에 Wi-Fi 망으로 아예 전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키게 되고,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연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불필요한 접속상태의 변경에 의해,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시각적 정보의 구성이 끊어지거나 또는 반복되거나 하는 상황, 또는 불필요하게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상황 등이 없어지고, 접속전환에 따른 과도적 상태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연결시간이 실질적으로 줄어드는 것도 방지된다. 그리고, 접속전환의 과도적 상태에는 전력소모가 더 커지게 되는 데, 이러한 과도적 상태의 발생이 줄어들게 함으로써 무선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도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 및 1b는, 3G의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접속과 그 해제에 따라 수행되는 제어신호 교환절차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c는, 대중 교통수단이 정차하는 정류장 등에서의 이용자 이동의 예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이 구현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접속제어 에이전트(agent)의 구성과 그 인접 구성요소와의 신호교환 관계를 예시한 것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되는,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 대한 추적 과정의 예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대한 이동성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는 변수의 구조에 대한 예이고,
도 4b와 4c는, 도 4a의 변수에 등재된 셀 식별자와 그 등재시점이, 이동성 상태의 판단에 어떻게 이용되는 지를 도식적인 예로서 각각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되는, Wi-Fi 망에 대한 지연접속을 위한 과정의 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 따라, 검색된 접속점의 신호세기에 따라 접속점에의 접속을 위한 지연시간이 동적으로 결정되는 규칙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누적된 데이터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실시간 사용량을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을 위한 지연시간을 접속점에 따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기시간 지정표의 구성의 일 예이고,
도 9a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을 위해, 대중 교통수단이 정차하는 정류장 등에 하차하는 이용자의 이동의 궤적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도 9a의 예시적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대한 접속의 해제와 재접속없이 Wi-Fi 망의 접속점을 지나게 되는 것을,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알 수 있도록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되는, 이동 통신망에 대한 지연해제를 위한 과정에 대한 각각의 예이고,
도 11은, 도 9a에 예시된 경우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Wi-Fi 망의 접속점을 지나는 가능한 이동궤적에 대해 각기 시공간 그래프화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이 구현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다양한 신호방식의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공중의 이동 통신을 위한 셀룰러 망 및 Wi-Fi 망 등 )을 액세스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무선통신 기능을 위한 자원을 구비한 노트북과 같은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셀룰러 망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셀룰러 망과 송수신하는 셀룰러 모뎀(21a)( RF신호의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과, 셀룰러 망에서 채택된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encoding)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decoding)하는 셀룰러 코덱(21b)과, Wi-Fi 망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Wi-Fi 망과 송수신하는 Wi-Fi 모뎀(22a)( RF신호의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과, Wi-Fi 망에서 채택된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틀 복호하는 Wi-Fi 코덱(22b)과, 영상, 문자 등의 시각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25)과, 임의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4)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의 전면에 부착된 터치 센서(26a)와, 키(key) 및/또는 버튼(button)이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26b)와, 상기 터치 센서(26a)와 키패드(26b)상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선택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26)와, 상기 입력 제어부(26)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성요소들중 그에 맞는 구성요소에 적절히 데이터를 전송 또는 그로 부터 수신하거나 제어하며 그에 따른 결과나 사용자의 원하는 동작의 선택을 위한 UI 화면의 표시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24)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20)와, 상기 주 제어부(2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부(2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 제어부(20)는, 자신에게 구비된 펌웨어(firmware) 등의 기 저장된 명령코드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하드웨어 자원의 구동, 해당 자원과의 적절한 신호 및/또는 정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운영시스템(100a){ 이는, 통상의 운영시스템( 안드로이드, iOS, 윈도폰 등 )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을 위해 특화된 기능을 포함하는 운영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운영시스템(100a)이 제공하는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를 이용하여 전술한 두 종류의 무선 통신망, 즉 셀룰러 망과 Wi-Fi 망에의 접속을 적절히 제어하는 접속제어 에이전트(110)(CCA: Connection Control Agent)의 전부 또는 그 일부헤 해당하는 명령코드들을 실행함으로써,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의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2a에 예시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이고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지 하나의 예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개념과 주제를 구현하는 단말기들은 도 2a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기능의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예시된 구성요소를 배제할 수도 있으며, 하드웨어로 구성된 요소가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그 역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이하, “어플”로 약칭한다. ) 또는 프로세스(process)로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되며, 그 어플 또는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코드들의 소프트웨어는, 대용량 저장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구비된 통신수단을 통해 통신망에 연결된 특정의 서버로부터 통상의 온라인(on-line) 구매과정 등을 거쳐 상기 대용량 저장수단에 수록된 상기 소프트웨어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상기 메모리(27)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후에 필요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의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구성요소가, 미들웨어(middleware), 또는 어플들이 기반하는 플랫폼(platform) 형태로,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100a)의 일부의 형태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기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주 제어부(20)에 기 구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가 하드웨어(hardware)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기능의 일부를 그 하드웨어가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구성과 동작방식이 설명되는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는 그 구현하는 형태 또는 사용된 자원의 유형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는,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영시스템(100a)이 제공하는 API를 적절히 선택하여 호출함으로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망을 검색하거나 그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망정보 획득부(111)와,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에서 획득되는 정보에 따라 Wi-Fi 망의 접속점에의 접속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접속 처리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 또는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동작들의 일부의 경우에, 상기 운영시스템(100a)이 제공하는 API를 통해, 도 2a에 예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과 상기 운영시스템(100a)이 각기 제공하는 특정기능( 예를 들어, 정보나 메뉴 등의 화면 표시, 프로토콜에 기반한 외부와의 통신, 통신상태 확인, 하드웨어 상태 확인, 타이머관련 기능 등 )을 요구함으로써 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와 상기 접속 처리부(112)가 상기 운영시스템(100a)의 기반하에 각기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와 상기 접속 처리부(112)를 포함하는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가 단일의 프로세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자간의 정보 또는 데이터 교환은 광역변수들, 내부변수들 또는 로컬함수의 인자 및/또는 리턴값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 그리고 목적하는 효과 등은,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와 상기 접속 처리부(112)가 반드시 분리되어 각기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전제하거나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요소(111,112)의 모든 기능들이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로 통합되어 단일의 프로세스로써 구현되어도 당연히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b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가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상기 주 제어부(20)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24)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상에 표시하는 표시화면에 대응하여, 상기 키패드(26b) 또는 터치 센서(26a)를 통해 해당 표시화면에 적절한 원하는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가 동작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가 사용자의 요청없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 시점이 기 지정된 특정 시간대( 예를 들어, 사람들의 이동시간이 주로 집중되는 출근 및 퇴근 시간대 등 )에 해당되면 자동 실행되거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화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시점에 자동 실행되거나, 또는 Wi-Fi 망에 대한 액세스가 "자동모드"로 변경되면 자동 실행된다. 물론, 이러한 실행방식에 대한 설정은, 상기 주 제어부(20)가 적절한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상에 제공하는 동작환경 설정창을 통해 지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정된 조건의 상대 조건(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시간대이외의 시간, 화면 잠금상태, 액세스 모드가 사용자 등에 의해 "수동모드"로 설정 )이 되면, 상기 주 제어부(20)는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의 실행을 종료시키게 된다.
상기 예시된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가 자동실행되는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후에, 상기 예시된 조건에 해당될 때,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상대 조건에 해당하게 되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을 중단하고 유휴(idle) 상태로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서 기동되면, 상기 접속 처리부(112)가 먼저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여 Wi-Fi 망의 액세스 모드를 확인하고, 그 모드가 사용자 등에 의해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수동모드"로 변경설정하거나, 또는 Wi-Fi 망의 검색시 자동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무능화(disable)시킨다. 이는 상기 운영시스템(100a)이 Wi-Fi 망이 검색될 때 임의적으로 해당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그를 "수동모드"로 변경하거나 또는 자동 접속 기능을 무능화한 후에는, 상기 처리부(112)는,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여( 이 때 필요한 아이콘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 Wi-Fi 망의 액세스 모드에 대한 심볼, 예를 들어 아이콘은 "자동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상에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운영시스템(100a)이 Wi-Fi 망에 대한 실제의 액세스는 수동적으로( 어플 또는 프로세스 등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접속하는 방식으로 ) 행하도록 하되, 사용자는 현재의 Wi-Fi 망 액세스 모드를 자신이 설정해 둔 자동모드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가 기동되면,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여 필요한 타이머를 설정시키고 동시에 활성화시킨다. 이 타이머는, 도 3a 및 3b에 예시된 통신망 추적 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과정을 반복적으로 행하기 위한 시간격, 즉 주기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경우에는 단일의 타이머를 설정하게 되고, 서로 다른 주기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2개의 타이머를 각 과정에 대응하여 설정하게 된다. 상기 운영시스템(100a)은 타이머의 설정과 함께 해당 타이머에 대한 활성화 요청이 있게 되면, 그 타이머에 대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 해당 타이머의 식별정보와 함께 타임아웃 이벤트(time-out event)를 발생시켜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타임아웃 이벤트가 도 3a 와 3b 중 어떤 과정에 대한 타이머인지를 확인하여 해당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단일의 타이머로 설정한 경우에는, 양 과정을 차례대로 수행하게 된다. 만약, 도 3a의 과정에 대해 설정한 타이머의 타임아웃이면,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현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서비스 권역(cell)에 대한 식별정보를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여 획득하게 된다(S312). 상기 운영시스템(100a)은 상기 요청이 있으면, 현재 접속하고 있는 셀룰러 망의 신호방식에 따라 무선 신호로부터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서비스 권역의 또는 기지국의 식별자( 이하, “셀 식별자”로 칭한다. )를 리턴하게 된다. 이러한 셀 식별자의 확인 동작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즉, 셀룰러 망에 비접속되어 있는 경우( 이 때는 Wi-Fi 망에 접속된 상태일 수 있다. )에도 셀 식별자에 대한 확인동작은 계속된다( 셀 식별자 확인은, IP주소가 설정되는 접속상태와는 무관하게 셀룰러 망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에 실린 정보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 상기와 같이 셀 식별자가 획득되면,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그 획득된 셀 식별자를 현시점보다 앞서 획득하였던 셀 식별자와 동일한 지를 비교한다(S313). 만약, 동일하면 지금의 통신망 추적 과정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고 서로 상이하다면,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확인된 셀 식별자를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40)에 현재 시각정보와 함께 등재한다(S314).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현재 확인된 셀 식별자와 그 이전에 확인된 셀 식별자와의 동일여부를 확인할 때(S313), 상기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40)에 등재한 정보를 이용하는 데, 만약 상기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40)에 등재된 셀 식별자가 없다면, 현재 확인된 셀 식별자가 이전 확인된 것과는 다른 것으로 하여 현재 확인된 셀 식별자를 바로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에 등재하고, 기 등재된 셀 식별자가 있다면, 마지막 등재되어 있는 셀 식별자(401)와 현재 획득된 셀 식별자를 상호 비교하여 동일한 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에는 기 지정된 수, 예를 들어 수십개의 셀 식별자가 등재될 수 있으며, 그 수이상부터는 FIFO (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삭제되면서 새로운 셀 식별자가 등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가 타이머 설정을 통해 도 3a의 과정을 주기적으로 행하지 않고, 이벤트를 통해 필요시에만 상기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40)의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운영시스템(100a)이 셀룰러 망의 접속상태에서 그 셀 식별자가 변경되는 경우에 대해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셀 식별자 변경시의 이벤트 통지를 등록하게 되면, 상기 운영시스템(100a)은 셀룰러 망의 접속상태에서 셀 식별자가 변경되는 경우에 이벤트를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에 대해 발생시키고, 그 이벤트를 통지받은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그 이벤트를 통해 제공되는 셀 식별자와 이벤트 발생시점의 정보를 상기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40)에 등재하게 된다(S314).
한편,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서 발생된 타임아웃 이벤트가 도 3b의 과정에 대해 설정한 타이머에 대한 것이면,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주변에 Wi-Fi 망을 검색한다(S321). 이를 위해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Wi-Fi 망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여 수신한다. 상기 운영시스템(100a)은, 이 요구에 대해, Wi-Fi 신호대역을 물리적으로 검색하도록 상기 Wi-Fi 모뎀(22a)을 제어하고, 이 후, 상기 Wi-Fi 모뎀(22a)이 해당 신호대역에서 유효신호의 검출 시에 제공하는 각 접속점의 식별정보, 예를 들어 서비스 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MAC 주소와 그 접속점의 신호세기(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의 값 등을 읽어서( 도 2a의 r11 ) 이를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에 리턴한다.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리턴되는 정보에 접속점이 있는 지를 확인하고(S322), 없으면, 도 3b의 통신망 추적과정을 종료하고, 만약 있다면, 현재 접속된 통신망이 어떤 종류인 지를 확인한다(S323). 이러한 확인을 하는 이유는, 검색된 접속점이 있는 경우에 그러한 접속점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Wi-Fi 망에 현재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개념과 기술적 사상하에서 별도로 처리해야할 내용이 없기 때문이다. 즉, 도 3b의 과정은, 현재 셀룰러 망의 접속상태에서 Wi-Fi 망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해 지는 경우를 찾기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확인되는(S323) 현재 접속망이 셀룰러 망인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양 통신망에 동시 접속하지 않는 일반상태하에서는, 이 경우는 곧 Wi-Fi 망에는 비접속상태임을 의미한다. ),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현재 이용가능한 접속점이 있음을 상기 접속 처리부(112)에 통지하고(S324) 해당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통지에 있어서, 그 이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접속점에 대해 그 식별정보( 예를 들어, SSID 또는 MAC 주소 등 )를 그 접속점의 수신 신호세기 값과 함께 전달한다.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이용가능한 접속점의 통지가 있게 되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지연(delayed)접속을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지연접속을 위한 과정에서는,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먼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현재 어떤 이동성 상태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S500). 본 발명의 개념과 기술적 사상에 따라 구분하는 상기 이동성 상태는, 교통수단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한 제 1상태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한 제 2상태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대중 교퉁수단 등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가 상기 제 1상태에 해당하며, 정지해 있는 경우, 또는 도보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등이 상기 제 2상태에 해당한다.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와 같은 이동성 상태의 판단(S500)을 위해 먼저 상기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40)에 등재된 정보를 확인한다(S501). 상기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가 광역의 변수로 설정된 경우에는 직접 그 변수의 값을 확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에 요청하여 그 값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의 등재정보를 조사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이전의 기 지정된 기준 시간폭, 예를 들어 2분, 3분, 또는 5분내에 속하는 등재된 셀 식별자가 몇 개인지를 확인한다. 도 4b는 이러한 확인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으로서, 현재 시점(421)을 기준으로 지정된 기준 시간폭(422)내에서 이전에 등재된 셀 식별자의 수가 몇 개인지를 확인한다. 이렇게 확인된 수가 만약, 기 지정된 기준개수, 예를 들어 3개 이상이면(S502)( 이는,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의 전술한 동작을 전제할 때, 셀룰러 망의 서비스 권역에 대해서 3번이상의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셀룰러 망의 서비스 권역에 대해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 중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성 상태를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보 등에 의한( 교통수단보다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 이동( 또는 정지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기준 시간폭과 상기 기준개수는, 임의의 시간폭에 대해서 셀룰러 망의 서비스 권역을 교통수단을 통해 통상 지날 수 있는 개수에 일정 여유개수를 차감한 수( 또는 서비스 권역을 도보로써 임의의 시간폭에 대해 통상 지나갈 수 있는 개수에 일정 여유개수를 더한 수 )의 조합으로서 정해진다.
그리고, 셀룰러 망의 서비스 권역이 상호 중첩되는 영역에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정지해 있거나 또는 주위의 서성거림에 의해서도 셀 식별자가 빈번히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지정된 시간폭내에 등재된 셀 식별자들에서 서로 다른 셀 식별자들만 카운트하여 상기 지정된 기준개수와 비교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 시점(431)으로부터 기 지정된 시간폭(432)이내의 등재된 셀 식별자가 6개이지만, 서로 다른 셀 식별자( 도면의 예시에서, 셀 식별자가 각기 x,w,y )의 수인 3개를 기준개수와 비교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에 등재된 정보에 대해서, 기 지정된 기준개수에 해당하는 가장 최근 등재된 서로 다른 셀 식별자들에서 최선으로 등재된 식별자의 등재시점과 현시점과의 차이가 상기 지정된 기준 시간폭이하인 지를 확인함으로써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개수를 3개로 가정하였을 때, 도 4b의 예에서는, "ID w"의 식별자(423), 도 4c의 예에서는, "ID x"의 식별자(433)이 등재된 시점과 현시점의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폭이내 인 지를 확인한다.
현 시점이전의 지정된 기준 시간폭내에 등재된 서로 다른 셀 식별자의 개수가, 기준개수, 예를 들어 3개이상이면(S502)( 또는, 상기 기준개수에 해당하는 등재된 서로 다른 셀 식별자들에서 최선 등재된 식별자의 등재시점과 현시점의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폭이하이면 ),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현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교통수단에 의한 이동성 상태, 즉 상기 제 1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이용가능한 Wi-Fi 망의 접속점이 있다고 통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Wi-Fi 망으로 접속전환되도록 하지 않고, 기 설정된 일정 시간(Twait), 예를 들어 10초, 15초, 또는 20초 동안 대기한다(S511). 즉 Wi-Fi 망으로 접속전환할 지의 여부를 일정시간 지연시키게 된다. 이 대기모드에서는, 필요한 타 기능들이 수행되고 Wi-Fi 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절차는 상기 대기시간(Twait)이 경과할 때까지 중지된다. 이 때,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로부터 전달된 접속점에 대한 정보로부터 일정 기준치보다 높은 신호세기를 보인 접속점을 확인하여 그 접속점을 기착(寄着) 접속점으로 지정해 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기시간(Twait)이 항상 고정된 값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검색된 접속점의 신호세기에 따라 그 값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기 시간(Twait)을 동적으로 결정할 때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규칙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 그래프로서 예시된 대기시간 결정 규칙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의 검색(S321)에 의해 이용가능한 것으로 통지된 접속점의 신호세기의 값이 높을수록 상기 대기시간(Twait)이 짧아지게 결정되게 하는 기본 원칙이 준수되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지 않은 다양한 방식의 규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호세기가 높을수록 임의의 접속점에 더 근접되어 있을 것이고, 이러한 상황은 Wi-Fi 망을 이용하기 위해 접속점에 의도적으로 접근함에 따른 것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기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사용하는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대기시간(Twait)을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 처리부(112)가 임의의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사용한 통신망별 누적 데이터량을 반복적으로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 처리부(112)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여, 통신망별 누적 사용된 데이터량에 대한 정보인 데이터 통신내역(70i, i=..,k-2,k-1,k,..)을 획득하고, 그 획득된 각 데이터 통신내역(70i)으로부터 각 획득 시점(ti, i=..,k-2,k-1,k,..)간의 셀룰러 망에 대한 수신 데이터의 변화량(rDDi, i=..,k-2,k-1,k..), 즉 주기에 해당하는 시간동안의 데이터 사용량을 파악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이용가능한 접속점이 있는 것으로 통지된 시점(71)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현재 전술한 제 2상태에 있다고 판단 되면, 그 시점(71) 직전에 파악하고 있는 셀룰러 망에 대한 데이터 사용량(rDDk)( 또는, 앞서 파악된 몇 개의 데이터 사용량들(rDDj, j=k-N,k-N+1,..,k-1,k)의 평균치 )에 따라 상기 대기시간(Twait)을 결정하고 그 대기시간(Twait)시간동안 대기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셀룰러 망에 대한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상기 대기시간(Twait)을 결정하는 규칙은 도 6의 그래프가 그 한가지 예가 될 수 있다. 이 때 도 6의 그래프의 수평축은 데이터 사용량이 된다. 예시된 그래프와 같은 규칙 외에 다양한 규칙들이 물론 적용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셀룰러 망에 대한 데이터 사용량이 많을수록 상기 대기시간(Twait)이 짧아지게 결정되게 하는 원칙이 준수되어야 한다. 이는, 셀룰러 망에 가하는 현재 부하가 높을수록 좀 더 짧은 시간내에 Wi-Fi 망을 검색하게 함으로써 현재 이용하는 데이터량에 따른 부하가 Wi-Fi 망으로 전가될 확률을 높이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Wi-Fi 망을 구성하는 접속점에 따라 상기 대기시간(Twait)이 동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점에 대해 개벌적으로 또는 그룹핑되어 대기시간이 지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서비스 식별자(SSID)가 접속점 그룹핑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즉, 동일 서비스 식별자의 접속점들에 대해서는 모두 동일한 대기시간이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접속점 기반의 대기시간 지정표를 기 지정된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서의 기동시에, 기 지정된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특정의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 예를 들어 HTTP Request의 송신을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상기 운영시스템(100a)은 현재 IP주소가 설정된 무선 통신망( 셀룰러 망 또는 Wi-Fi 망 )에 대해 구비된 통신자원( 상기 Wi-Fi 코덱(22b)/상기 Wi-Fi 모뎀(22a) 또는 상기 셀룰러 코덱(21b)/상기 셀룰러 모뎀(21a) )을 통해 그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송신하게 되며, 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특정 서버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접속점 기반의 대기시간 지정표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공되는 접속점 기반의 대기시간 지정표를 상기 운영시스템(100a)을 통해 수신하게 되면,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그 지정표(80)를 저장해 두고 필요시점에 참조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상기 제 1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로부터 이용가능한 것으로 통지된 접속점의 식별정보, 예를 들어 서비스 식별자를 상기 저장된 지정표(80)에서 검색하고, 해당 식별자가 찾아지면 그 식별자에 대해 지정된 대기시간을 읽어서 그 시간동안 대기하게 된다. 만약, 일치하는 식별자가 찾아지지 않으면, 그 지정표(80)에서 그 경우에 대해 지정된 일반적 대기시간(81)을 읽어서 그 시간을 상기 대기시간(Twait)으로 사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갖는 접속점 기반의 대기시간 지정표에 대해서,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기 지정된 기간( 예를 들어, 하루, 일주일, 또는 한달 )에 한번씩 상기 특정 서버에 요청하여 최신 정보를 수신하여 갱신시키게 된다.
접속점에 따라 대기시간을 결정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필요한 시점에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그 접속점에 대해 지정된 대기시간을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로부터 이용가능 접속점의 통지가 있은 후부터 대기모드로 진입하기 전의 임의의 시점에, 그 통지된 접속점에 대한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그 식별정보를 갖는 접속점에 대해 상기 특정 서버가 지정해 둔 대기시간을 수신하게 된다.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대해 제 1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수신된 대기시간동안 대기모드를 유지하게 된다(S511).
접속점에 따라 대기시간이 결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접속점이 교통수단의 이동경로상의 정류장 등에 설치된 경우처럼 통상 해당 접속점의 서비스 존에 머무르는 경우보다 지나가는 경우가 훨씬 더 많은 접속점 또는 그러한 종류의 접속점에 대해서는 대기시간을, 그렇지 않은 접속점에 대한 대기시간보다 더 길게 설정하게 된다. 통계적으로 주변에 머무르는 경우가 그 장소를 지나가는 경우보다 더 많은 접속점들에 대해서는 대기시간을 보다 더 짧게 함으로써, 그러한 접속점들이 검색된 무선통신 단말기들에 대해서는 데이터 서비스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Wi-Fi 망을 좀 더 빨리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상태의 판단에서 제 2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상기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40)에, 현시점을 기점으로 그 이전의 지정된 시간폭내에 등재된 식별자의 수가, 기 지정된 기준개수 예를 들어 3개 미만이면(S502),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여( 이 요청에, 접속점의 식별정보가 전달될 수도 있다. )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접속망이 Wi-Fi 망으로 전환되도록 한다(S516). Wi-Fi 망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Wi-Fi 망에 대한 커넥션 유형을 지정하여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접속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100a)의 Wi-Fi 망에 대한 검색기능의 활성화(enable)를 요청( 예를 들어, Wi-Fi 망의 액세스에 대해 "자동모드"로 변경설정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2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전술한 바의 대기시간(Twait)없이 접속망을 셀룰러 망에서 Wi-Fi 망으로 전환토록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이후의 설명에서 명시적이고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상기 제 2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즉시 Wi-Fi 망으로 전환하지 않고 정해진 동작, 예를 들어 기 지정된 시간(Tresearch_int) 후에 Wi-Fi 망에 대한 재검색 등을 행한 후에, 그 검색 결과에 따라 Wi-Fi 망으로 접속전환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에 따라, 그 접속전환의 동작을 수행하게 될 때까지의 소요시간( 상기 Tresearch_int 등 )은 전술한 바의 대기시간(Twait)보다는 짧아야 한다. 즉, 도 5에 예시된 지연접속을 위한 과정에서, 상기 제 2상태로 판단될 때의 경로(P50)에 따른 Wi-Fi 망으로의 전환(S516)은, 상기 제 1상태의 판단에 따라 대기하는 시간(Twait)보다는 짧은, 바람직하게는 충분히 짧은 시간내에 수행된다.
상기 설정된 대기시간(Twait)이 경과하면,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가 행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주변의 접속점들에 대해 다시 검색하도록 한다(S512). 그 검색에 의해 보이는 접속점이 있으면(S513), 앞서 기착 접속점으로 지정해 둔 접속점과 동일한 접속점이 그 검색된 접속점에 있는 지를 확인한다(S514). 동일한 접속점이 있으면, 그 접속점에 대한 신호세기를 확인하고, 그 값이 일정 레벨이상이면(S515),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비로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접속망이 현재 셀룰러 망에서 Wi-Fi 망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게 된다(S516). 만약, 상기 기착 접속점이 복수개이고 그 중 2개이상이 상기 재검색(S513)에 의해 다시 보였다면,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재검색(S513)에 의해 확인된 신호세기가 가장 높은 접속점을 지정하여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Wi-Fi 망으로 접속전환되도록 요청하게 된다. 그리고, 이 요청에 따라, 상기 운영시스템(100a)이 Wi-Fi 망으로부터 IP주소를 할당받아 접속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접속전환 성공을 통지하면,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Wi-Fi 망으로의 접속을 위해 Wi-Fi 망의 액세스를 "자동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다시 "수동모드"로 전환설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Twait) 경과 후의 검색(S512)에 의해서 접속점이 검색되지 않거나, 그 검색(S512)에 의해 검색된 접속점의 어떤 것도 앞서 지정한 기착 접속점과 동일하지 않거나, 또는 동일한 접속점이 있더라도 그 접속점에 대해 상기 검색(S512)에 의해 확인된 신호세기가 기준으로 설정한 일정레벨이하이면,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Wi-Fi 망으로의 접속전환을 요청하지 않고 상기 지연접속을 위한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위 각각의 경우는,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로부터 이용가능한 것으로 통지된 접속점( 기착 접속점 )에 대해, 상기 대기시간(Twait)이 지난 후에, 이미 그 신호 도달거리를 벗어났거나, 또는 벗어나고 있는 중인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그 통지된 접속점 부근에서 이용자가 머물면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그 접속점으로의 접속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색(S512)에서 검색된 접속점에 앞서 지정된 기착 접속점과 동일한 것이 없는 경우에 상기 지연접속을 위한 과정을 종료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색(S512)에서 상기 기착 접속점이 다시 검색되지 않고 다른 접속점이 검색되면, 그 다른 접속점의 신호세기( 상기 다른 접속점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가장 좋은 신호세기를 보이는 접속점의 신호세기 )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신호세기가 기 일정치보다 작으면 상기 지연접속을 위한 과정을 종료하고, 그 일정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대기시간(Twait) 또는 기 지정된 다른 크기의 시간동안 다시 대기하게 된다(P51). 이 때, 그 일정치보다 큰 신호세기를 보인 접속점을 기착 접속점으로 갱신 지정한 뒤, 지정된 시간동안의 대기가 종료되면 Wi-Fi 망을 재검색하는 단계(S512)부터 시작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방법에 따라, 도 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이용자가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가 동작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서, 교통수단, 예를 들어 버스 또는 지하철 등에서 하차하여 접속점(AP2)이 설치된 정류장을 걸어서 지나가거나(90a), 또는 그 교통수단을 탑승한 채로 정류장을 지나가게 되면(90b),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해제와 이후 재접속을 위해서 제어신호(signalling)가 발생되었지만(901과 902a 또는 902b),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접속점(AP2)이 검출되어도, 이전의 빠른 이동(903)에 따라 전술한 제 1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됨으로써 바로 Wi-Fi 망으로 접속전환을 하지 않고 지정된 방식에 따라 정해지는 대기시간(Twait)동안 기다리는 대기모드로 진입하므로 접속해제와 재접속을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911과 912a 또는 912b). 그리고,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기시간(Twait) 경과 후의 위치가 그 접속점(AP2)의 서비스 반경을 벗어난 지점(904)( 교통수단을 탑승한 채로 벗어난 경우에는 도면의 제약상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인 경우에는, 해당 지점에서 Wi-Fi 망의 재검색에 의해 그 접속점(AP2)이 보이지 않거나 기준레벨이하 신호로 보이게 되므로 기존의 접속상태, 즉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접속해제 후 재접속의 과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셀룰러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중이어서도 그러한 수신에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즉, 통신망 연결성이 종래에 비해 개선된다. 또한, 무선 통신망의 연결상태에 어떠한 변화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특별한 정보의 알림표시도 이루어지지 않아 불필요하게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지 않는다.
만약,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용자가 교통수단으로부터의 하차 후 그 정류장에서 머무르게 되면, 예를 들어 타 교통수단을 기다리는 경우 등에는 상기 대기시간(Twait)이 경과한 시점에도 여전히 그 정류장의 접속점(AP2)의 서비스 반경내에 있을 것이므로 이 때는, 도 5에서의 확인단계들, S513, S514 및 S515을 거쳐 접속망이 셀룰러 망에서 Wi-Fi 망으로 전환될 것이다(S516).
그리고, 임의의 이용자가 상기 접속제어 에이전트(110)가 동작하는, 셀룰러 망 접속상태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서, 도 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Wi-Fi 망의 접속점(AP2)이 설치된 정류장에 걸어서 도착하는 경우에는(91), 도보에 따른 상대적으로 느린 이동에 의해 셀 식별자들의 등재시점간의 시간차가 기준시간이상이 되거나, 또는 셀 식별자가 지정된 개수미만이어서( Wi-Fi 망에서 셀룰러 망으로 전환된 것을 기점으로 하여 셀 식별자가 등재되므로,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많은 서비스 권역을 지나지 않을 것이므로 통상 그 등재된 수가 제한적일 것이다. ) 전술한 제 2상태로 판단될 것이므로,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는 그 정류장에서 접속점이 검색되는 즉시( 도 3b의 S324 ) 대기시간없이 바로 Wi-Fi 망으로 접속전환되어( 도 5의 S516 ) 상대적으로 빠른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전술한 제 1상태에 있을 때, Wi-Fi 망의 접속점이 검색되더라도 그에 대한 접속여부는 대기시간이후로 유예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상태에 있을 때, 임의의 접속점이 검색되면 바로 셀룰러 망에서 그 검색된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할 수도 있다. 도 10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연해제를 위한 과정에 따른 흐름도로서, 상기 접속 처리부(112)에 의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로부터의 이용가능한 접속점에 대한 통지가 있으면,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유지를 위한 조치를 행한 후(S1001) 바로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Wi-Fi 망에 대한 접속을 요청함으로써 Wi-Fi 망에 접속되도록 한다(S1002). 상기의 접속유지를 위한 조치에 의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Wi-Fi 망에 접속되어도,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속해지 요청이 셀룰러 망으로 송신되지 않으므로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접속해제 과정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의 접속유지를 위한 조치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운영시스템(100a)이 지원하는 기능이면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해제를 일시 무능화(disable)시키거나, 또는 현재의 셀룰러 망 접속에 대한 속성을, 타 망에 접속된 경우에도 잠정적으로 접속유지되는 "특별 속성"( 이에 상반되는 "보통 속성"에서는 타 망에 접속되는 경우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은 자동적으로 해제시키게 된다. )으로 변경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Wi-Fi 망에 접속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어떤 이동성 상태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S1010). 전술한 제 1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즉, 현재 시점이전의 지정 시간폭내에 등재된 서로 다른 셀 식별자의 수가 지정된 기준개수이상이면(S1012) 설정된 대기시간(Twait)동안 대기모드에 있게 된다(S1021). 이 경우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를 휴대한 사용자가 교통수단을 탑승하여 해당 정류장에 진입할 때 발생되며, 도 11은, 도 9a에 예시된 환경에서, 그 사용자가 Wi-Fi 망의 접속점(AP2)을 지나는 가능한 이동궤적에 대해 각기 시공간 그래프화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된 접속점(AP2)에 접속하였음에도(1101), 셀룰러 망에 대해서는 접속해제 절차가 진행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1102).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성 상태의 판단(S1010)에서 제 2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012가 만족되지 않으면 ), 이는 도보 등의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써 해당 장소에 진입한 것이므로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여 셀룰러 망에 대해 유지되는 접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S1023). 예를 들어,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해제를 인에이블(enable)시키거나 또는 접속에 대해 "보통 속성"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접속 처리부(1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서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해제 요청이 송신되고, 그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할당된 PDP 컨텍스트가 해제되는 절차가 진행된다.
한편, 상기 제 1상태로 판단된 후 상기 대기시간(Twait)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망접속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현재 Wi-Fi 망에 여전히 접속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S1022). 접속된 통신망은,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문의하여 리턴되는 망접속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망접속 정보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에 접속 IP주소와 그 커넥션 유형( 예를 들어, 3G, 또는 4G의 이동전화 통신망, Wi-Fi 망 등 ) 등이 포함되므로, 그 정보를 통해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대기시간(Twait) 경과 후에도 접속 중이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이용자가,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에 의해 통지된 접속점의 서비스 반경내에 여전히 있는 것이므로, 그 이후로도 그 장소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접속상태를 유지시켰던 셀룰러 망에 대해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여(1103) 접속해제가 비로소 이루어지도록 한다(S1023). 즉,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절차가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통신망측에서 할당한 정보 자원, 예를 들어 PDP 컨텍스트 등이 타 사용을 위해 준비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대기시간(Twait) 경과 후에 Wi-Fi 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이미 상기 통지된 접속점의 서비스 반경을 교통수단에 탑승한 채로(1111) 또는 해당 장소에서 도보로 이동하여(1112) 벗어남으로써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의해 비접속상태로 천이된 것이므로,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도 10a의 지연해제를 위한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이 때, 셀룰러 망의 접속에 대해 특별 속성에서 보통 속성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본 경우(1111,1112)에는 도중에 Wi-Fi 망으로의 전환은 있었지만 셀룰러 망에 대한 해제와 재접속 절차는 발생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Wi-Fi 망에의 접속 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이동성 상태를 판단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의 이동성 상태를 먼저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0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망 지연해제를 위한 과정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망정보 획득부(111)로부터의 이용가능한 접속점의 통지가 있게 되면, 바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어떤 이동성 상태에 있는 지를 판단하고(S1030), 전술한 제 1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때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유지를 위한 조치를 한 후(S1034) 그 통지된 접속점에 대해 접속되도록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게 된다(S1035). 그리고 대기모드(S1036)로 진행하며 그 이후 과정은 도 10a를 참조로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이동성 상태 판단단계(S1030)에서, 전술한 제 2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접속망이 Wi-Fi 망으로 전환되도록 운영시스템(100a)에 요청하게 된다(S1037). 이 때는, 접속점에의 접속될 때 상기 운영시스템(100a)에 의해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해제 과정이 진행된다.
도 10a 및 10b를 참조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대기시간(Twait) 경과 후에 Wi-Fi 망에 대한 접속상태를 확인하였지만(S1022,S1041),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앞서 접속하였던(S1002,S1035) 접속점에 대한 신호세기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 확인된 신호세기가 일정 기준치보다 크면 셀룰러 망에 대한 접속해제를 요청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지연해제를 위한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으로서 Wi-Fi 망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 등은 당연히 Wi-Fi 망으로 국한되어야 실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이름이나 단말기와의 교환신호 방식과는 무관하게, 서비스 권역간의 연속적인 통신( 즉, 핸드오버(handover) )을 보장하는 이동 통신망의 임의의 서비스 권역보다 작은 제한된 영역의 무선통신 서비스 존으로써 각기 개별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점들에 의한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그 무선 통신망과 이동 통신망과의 접속전환에 있어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 등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20: 주 제어부 21a: 셀룰러 모뎀
21b: 셀룰러 코덱 22a: Wi-Fi 모뎀
22b: Wi-Fi 코덱 24: 디스플레이 구동부
25: 디스플레이 패널 26a: 터치 센서
26b: 키패드 27: 메모리
40: 셀 식별자 시퀀스 변수 80: 접속점 기반의 대기시간 지정표
100: 무선통신 단말기 100a: 운용시스템(O/S)
110: 접속제어 에이전트 111: 망정보 획득부
112: 접속 처리부

Claims (22)

  1. 무선 통신망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정보 획득부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 획득부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획득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 1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전환시킬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도록 구성된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처리부는,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상기 정보가, 현재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에 변경된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의 수가 기 지정된 기준치 이상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치의 미만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 삭제
  3. 무선 통신망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정보 획득부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 획득부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획득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 1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전환시킬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도록 구성된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처리부는,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상기 정보가, 최신의 변경된 기 지정된 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에서 가장 앞선 서비스 권역의 정보 획득시점과 현시점과의 시간차가 기 지정된 시간폭 이하를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폭의 초과를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정보 획득부에 의해 확인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신호세기가 높을수록 그 시간이 짧아지는 방식으로 상기 대기시간을 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데이터 사용량을 파악하도록 더 구성되되,
    상기 파악되는 데이터 사용량이 많을수록 그 시간이 짧아지는 방식으로 상기 대기시간을 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 지정되어 있는 또는 그 임의의 접속점이 속하는 그룹에 대해 지정되어 있는 시간으로써 상기 대기시간을 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외부의 서버에 요청하여 획득한 대기시간 지정표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 지정된 시간을 찾아서 상기 대기시간으로 정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의 서버에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면서 요청함에 따라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응답으로서 제공되는 시간을 상기 대기시간으로 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해 검색이 수행되도록 하고, 그 검색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기 지정된 기준레벨이상의 신호세기로서 보이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해 검색이 수행되도록 하고, 그 검색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이 아닌 타 접속점이 기 지정된 기준레벨이상의 신호세기로서 보이면, 지정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 후, 상기 타 접속점이 다시 검색되는 지에 따라 상기 타 접속점으로의 접속전환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0.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동작을 시작할 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한 액세스 모드가 자동적으로 접속점을 검색하여 검색된 접속점에 접속하는 특정 모드로 지정되어 있으면 그 특정 모드가 작용되지 않게 설정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1.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와 상기 처리부는, 기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동안 동작하고,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동안에는 유휴(idle)) 상태로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기 지정된 조건에는,
    현재시각이 기 정해진 시간대에 속하는 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화면 잠금의 해제 상태에 있는 지,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한 액세스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자동으로 지정되어 있는 상태인 지가 포함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2.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은 이동 통신망이고,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의 하나의 서비스 권역의 크기보다 좁은 서비스 영역들이 산포되어 각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점들에 의해 구성되는 무선 통신망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3. 무선 통신망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정보 획득부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 획득부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설정한 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되게 하고, 상기 획득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 1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게 하도록 구성된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처리부는,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상기 정보가, 현재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에 변경된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의 수가 기 지정된 기준치 이상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치의 미만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4. 무선 통신망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정보 획득부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 획득부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획득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설정하고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되게 한 후,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도록 구성된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처리부는,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상기 정보가, 현재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에 변경된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의 수가 기 지정된 기준치 이상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치의 미만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해 접속상태에 있는 지를 확인하거나, 상기 임의의 접속점의 신호세기를 확인하여,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해 접속상태에 있거나 또는 그 확인된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기준레벨이상인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6.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면서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는 1단계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성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2단계와,
    상기 판단된 상태에 따른 과정을 수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2단계는, 상기 구성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가, 현재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에 변경된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의 수가 기 지정된 기준치 이상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치의 미만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3단계는, 상기 제 1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는 과정과,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에서의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전환시킬 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행하는 것인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제 2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는 과정을 더 행하는 것인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18. 저장공간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공급장치에 있어서,
    통신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1기능과,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는 2기능과,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성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3기능과,
    상기 제 1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전환시킬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는 4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3기능은, 상기 구성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가, 현재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에 변경된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의 수가 기 지정된 기준치 이상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치의 미만인 것을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는 것인 프로그램 공급장치.
  19. 무선 통신망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정보 획득부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 획득부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설정한 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되게 하고, 상기 획득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 1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게 하도록 구성된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처리부는,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상기 정보가, 최신의 변경된 기 지정된 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에서 가장 앞선 서비스 권역의 정보 획득시점과 현시점과의 시간차가 기 지정된 시간폭 이하를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폭의 초과를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0. 무선 통신망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정보 획득부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 획득부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획득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 대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설정하고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되게 한 후,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도록 구성된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처리부는,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상기 정보가, 최신의 변경된 기 지정된 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에서 가장 앞선 서비스 권역의 정보 획득시점과 현시점과의 시간차가 기 지정된 시간폭 이하를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폭의 초과를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1.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면서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는 1단계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성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2단계와,
    상기 판단된 상태에 따른 과정을 수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2단계는, 상기 구성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가, 최신의 변경된 기 지정된 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에서 가장 앞선 서비스 권역의 정보 획득시점과 현시점과의 시간차가 기 지정된 시간폭 이하를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폭의 초과를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3단계는, 상기 제 1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는 과정과,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에서의 상기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전환시킬 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행하는 것인 무선 통신망에 대한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22. 저장공간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공급장치에 있어서,
    통신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제 1무선 통신망내에서의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1기능과,
    제 2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하는 2기능과,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에 비접속된 상태에서, 임의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성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성에 대해 구분지정한 적어도 2개의 제 1상태와 제 2상태 중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3기능과,
    상기 제 1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제 2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전환시킬 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전환되게 하는 4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3기능은, 상기 구성된 서비스 권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가, 최신의 변경된 기 지정된 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들에서 가장 앞선 서비스 권역의 정보 획득시점과 현시점과의 시간차가 기 지정된 시간폭 이하를 보여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상기 제 1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폭의 초과를 보여주면 상기 제 2상태로 판단하는 것인 프로그램 공급장치.
KR1020120125956A 2012-11-08 2012-11-08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40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956A KR101440086B1 (ko) 2012-11-08 2012-11-08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956A KR101440086B1 (ko) 2012-11-08 2012-11-08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467A KR20140059467A (ko) 2014-05-16
KR101440086B1 true KR101440086B1 (ko) 2014-09-17

Family

ID=5088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9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0086B1 (ko) 2012-11-08 2012-11-08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1584A1 (en) * 2019-04-15 2022-06-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ethod for predicting a modification of the linkage conditions of a terminal to a cellular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7422B (zh) * 2016-12-26 2020-06-26 浙江依网科技信息工程有限公司 移动终端及网络切换方法
KR102050676B1 (ko) * 2018-11-14 2019-12-03 에이미파이(주) 개인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하철 운행 경로 상의 무선 서비스 특성을 승강장과 터널을 구분하여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KR102102709B1 (ko) * 2019-11-22 2020-05-29 에이미파이(주) 이동체의 운행에 따른 움직임 상태를 파악함에 있어서 그 이동체로부터의 사운드를 이용하는 방법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046A (ko) * 2006-11-24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브로 망과 무선랜 망간의 핸드오프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단말 장치
KR20100048350A (ko) * 2008-10-31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셀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110130350A (ko) * 2010-05-27 2011-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방법
KR20120052122A (ko) * 2010-11-15 2012-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속도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046A (ko) * 2006-11-24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브로 망과 무선랜 망간의 핸드오프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단말 장치
KR20100048350A (ko) * 2008-10-31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셀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110130350A (ko) * 2010-05-27 2011-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방법
KR20120052122A (ko) * 2010-11-15 2012-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속도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1584A1 (en) * 2019-04-15 2022-06-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ethod for predicting a modification of the linkage conditions of a terminal to a cellula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467A (ko)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080B1 (ko)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 정보에 기반하여 그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으로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1185690A (ja) セッション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端末
US9906991B1 (en) Cellular telephone network to 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network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US9078121B2 (en) Automatic ad-hoc network of mobile devices
KR1012915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JP537663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と、それらに用いられる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4854890A (zh) 无线通信系统
US103831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idelink operations for proximity based services in multi SIM multi standby user equipment
KR101440086B1 (ko) 복수의 무선 통신망간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7070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522602B1 (en) Communication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EP3956768B1 (en) Power management of movable edge computing servers
JP582836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697282B1 (ko)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접속기기의 유형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을 적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55372B1 (ko)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532032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位置情報の取得方法
JP4119854B2 (ja) 無線端末装置
KR101616058B1 (ko) 원격지와의 파일 수신/송신에 대한 예상정보에 따라 복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그 파일을 수신/송신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JP2015019141A (ja) 無線lan管理装置、無線lan基地局および無線lanシステム
CN115209490B (zh) 小区切换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15020370A1 (ko)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WO2023216236A1 (zh) 网络接入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JP5945445B2 (ja) 端末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
KR101512138B1 (ko)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7882316A (zh) 一种接入行为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