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8418B1 - Intubation tube - Google Patents

Intubation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418B1
KR101528418B1 KR1020140013047A KR20140013047A KR101528418B1 KR 101528418 B1 KR101528418 B1 KR 101528418B1 KR 1020140013047 A KR1020140013047 A KR 1020140013047A KR 20140013047 A KR20140013047 A KR 20140013047A KR 101528418 B1 KR101528418 B1 KR 10152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pace
fluid flow
tube expanding
fl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재관
윤승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4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41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22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with fluid drive by external fluid in an open fluid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삽입용 도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은 단면이 튜브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형성된 유체 유동 공간과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의 외곽을 감싸는 튜브 팽창 공간이 분리되는 튜브 팽창부와, 상기 튜브 팽창부의 외측에 체내 삽입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튜브 팽창부의 상기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형상을 유지하는 삽입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팽창 공간이 수축되어 직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체내에 삽입된 후, 상기 튜브 팽창 공간으로의 유체 유입에 따라 상기 튜브 팽창 공간이 팽창하여 직경이 확대되며;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을 통해 체내로 유체가 또는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유동한다. 이에 따라, 체내 삽입용 도관이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튜브 팽창부가 수축된 상태로 삽입되고, 삽입 후에 튜브 팽창부의 팽창에 따라 체내 삽입용 도관의 원래 직경을 형성함으로써, 체내 삽입시에 발생하는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for insertion into the body. The tubular inser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expanding part having a cross section formed in a tube shape and separating a fluid flow space formed therein and a tube expansion space enclos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fluid flow space, And an insertion guide portion which is install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ube and keeps the shap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The tube expanding space expands and the diameter enlarges as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tube expanding space after the tube expanding space is contracted and the diameter thereof is reduced and inserted into the body; Fluid flows into or through the body through the fluid flow space.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insertion tube for the body, the tube expansion part is inserted in a contracted state, and after the insertion, the original diameter of the insertion tube for insertion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the tube expansion part, Can be reduced.

Description

체내 삽입용 도관{INTUBATION TUBE}{INTUBATION TUBE}

본 발명은 체내 삽입용 도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내 삽입시에 발생하는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체내 삽입용 도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for inserting a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theter for inserting a body which can alleviate a patient's pain caused when the body is inserted.

일반적으로 체내 삽입용 도관 또는 카테타(Catheter)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며, 직접 신체에 삽입되는 모든 수단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물품으로써, 혈관 주사용, 요도 삽입용, 기도 삽입용, 복강경 수술용 등 다양한 신체 삽입을 위한 도관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a catheter for insertion into the body is used for medical purposes and refers to all means directly inserted into the body. It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blood vessel insertion, urethra insertion, airway insertion, laparoscopic surgery, And a conduit for insertion.

도 1은 기존의 요도 삽입용 도관 중 됴노관(Foley tube)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기도 삽입용 도관 중 코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는 레빈 튜브(Levin tube)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urea tube for inserting the urethra,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evin tube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nose among the airway insertion conduits .

도뇨관의 경우, 사람의 요도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마취 수술시 환자의 배뇨 현상에 따른 소변을 체외로 유도하거나 배뇨 장애 환자의 배뇨를 보조하는데 사용된다. 반면, 레빈 튜브의 경우, 코나 입을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로 공기를 주입하여 환자의 호흡을 보조하는데 사용된다.In the case of a catheter, it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a human urethra, and is used to induce the urine excretion due to the urination phenomenon of the patient during anesthesia surgery or to assist the urination of the urinary incontinence pati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evin tube, it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nose or mouth and injected into the body to assist the patient's breathing.

이와 같이, 체내 삽입용 도관은 체내의 유체(기체 또는 액체)를 체외로 배출시키거나, 체내로 약물이나 산소와 같은 유체를 주입시키는데 사용된다.Thus, a body-insertable conduit is used for discharging a body fluid (gas or liquid) out of the body or for injecting a fluid such as a drug or oxygen into the body.

그런데, 체내 삽입용 도관의 직경은 해당 체내 삽입용 도관이 삽입되는 인체 내부의 관, 예를 들어 요도의 내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체내로의 삽입시 환자에게 상당한 고통을 안겨주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tube for the body is general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ube inside the body, for example, the urethra into which the insertion tube is inserted, which causes considerable pain to the patient when inserted into the body have.

이를 위해, 체내 삽입용 도관의 체내 삽입시 젤과 같은 윤활제를 바른 후 삽입하고는 있으나, 체내 삽입용 도관의 직경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인체 내부의 관의 확장과 확장과 함께 발생하는 마찰에 따른 고통은 제거하지 못해 여전히 환자의 고통을 수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apply a lubricant such as a gel when inserting a body-insertable conduit into the body, but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pain caused by friction due to the expansion and expansion of the tube inside the body caused by the diameter of the body-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removed and still entails the suffering of the patien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체내 삽입시에 발생하는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체내 삽입용 도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theter for inserting a body, which can alleviate a patient's pain caused when the body is insert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체내 삽입용 도관에 있어서, 단면이 튜브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형성된 유체 유동 공간과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의 외곽을 감싸는 튜브 팽창 공간이 분리되는 튜브 팽창부와, 상기 튜브 팽창부의 외측에 체내 삽입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튜브 팽창부의 상기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형상을 유지하는 삽입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팽창 공간이 수축되어 직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체내에 삽입된 후, 상기 튜브 팽창 공간으로의 유체 유입에 따라 상기 튜브 팽창 공간이 팽창하여 직경이 확대되며;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을 통해 체내로 유체가 또는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도관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duit for insertion into a body, comprising: a tube expanding part provided in a tube shape in cross section and separating a fluid flow space formed therein and a tube expansion space enclos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fluid flow space; And an insertion guide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bod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body; The tube expanding space expands and the diameter enlarges as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tube expanding space after the tube expanding space is contracted and the diameter thereof is reduced and inserted into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flows from the body into the body through the fluid flow space.

여기서, 상기 튜브 팽창부의 상기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말단은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이 폐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튜브 팽창부의 상기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가장자리 인근에는 상기 유체 유동 공간과 상기 튜브 팽창부의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상기 튜브 팽창부의 내경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유체 유동 공간으로부터 유체가 체내로 또는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유체 유동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Here, the end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fluid flow space is closed; A communica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luid flow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edge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And fluid can flow from the fluid flow space into the fluid flow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체내 삽입용 도관에 있어서, 단면이 튜브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의 외곽을 감싸는 튜브 팽창 공간이 분리되는 튜브 팽창부와, 내부에 유체 유동 공간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외경이 상기 튜브 팽창부의 상기 삽입 공간의 내경에 부착되어 상기 튜브 팽창부의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형상을 유지하는 삽입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팽창 공간이 수축되어 직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체내에 삽입된 후, 상기 튜브 팽창 공간으로의 유체 유입에 따라 상기 튜브 팽창 공간이 팽창하여 직경이 확대되며;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을 통해 체내로 유체가 또는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도관에 의해서도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duit for insertion into a body, the conduit having a tube shape in cross section and having a tube expanding part for separating an inser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tube expansion space surrounding the outer space of the insertion space, And an insertion guide portion provid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fluid flow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attached to an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spac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in a body insertion direction; The tube expanding space expands and the diameter enlarges as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tube expanding space after the tube expanding space is contracted and the diameter thereof is reduced and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fluid is flowed into the body through the fluid flow space or a fluid from the body flows through the body.

여기서,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상기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말단은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이 폐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상기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가장자리 인근에는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의 내부와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외부를 연통하는 제1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 팽창부에는 상기 유체 유동 공간과 상기 튜브 팽창부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연통구와 연통되는 제2 연통구가 상기 튜브 팽창부의 내경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통구 및 상기 제2 연통구를 통해 상기 유체 유동 공간으로부터 유체가 체내로 또는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유체 유동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Here,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fluid flow space is closed; A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an edge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fluid flow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A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tube expanding portion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so that the fluid flowing spa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Fluid from the fluid flow spa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may flow into the fluid flow space from or into the body.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체내 삽입용 도관이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튜브 팽창부가 수축된 상태로 삽입되고, 삽입 후에 튜브 팽창부의 팽창에 따라 체내 삽입용 도관의 원래 직경을 형성함으로써, 체내 삽입시에 발생하는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체내 삽입용 도관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insertion tube for the body, the tube expansion part is inserted in a contracted state and the original diameter of the insertion tube for insertion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the tube expansion part after insertion, There is provided a conduit for insertion into the body that can alleviate the patient's pain caused when the body is inserted.

도 1은 기존의 요도 삽입용 도관 중 됴노관(Foley tube)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기도 삽입용 도관 중 코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는 레빈 튜브(Levin tube)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oley tube for introducing a urethra into a urethra;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evin tube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nose among the airway insertion conduits,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insertable cond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insertable cond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insertable cond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body-insertable cond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은 요도 삽입용 도관의 형태를 갖는 것을 예로 한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insertable conduit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insertable conduit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llustrate that the body-insertable condui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form of a urethral insertion condui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은 튜브 팽창부(120) 및 삽입 가이드부(110)를 포함한다.3 and 4, a body-insertable conduit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expanding portion 120 and an insertion guide portion 110.

튜브 팽창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튜브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튜브 형상에 따라 내부에는 유체 유동 공간(131)이 형성되고, 유체 유동 공간(131)의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튜브 팽창 공간(1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유체 유동 공간(131)과 튜브 팽창 공간(132)은 상호 연통되지 않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 is formed in a tube shape in cross section, and a fluid flowing space 131 is formed in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ube, A tube expansion space 132 is formed. Here, the fluid flow space 131 and the tube expansion space 132 form a physically separated space that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이 때, 튜브 팽창부(120)는 튜브 팽창 공간(132) 내부로 공기나 식염수와 같은 유체가 유입되면, 도 4의 (b)와 같이 팽창되고, 튜브 팽창 공간(132) 내부의 유체가 제거되는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될 수 있는 연성의 재질, 예를 들어, 의료용 실리콘 재질이나 의료용 고무 재질로 마련된다.In this case, when the fluid such as air or saline flows into the tube expansion space 132, the tube expansion unit 120 expands as shown in FIG. 4 (b), and the fluid in the tube expansion space 132 is removed ,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contracted as shown in FIG. 4 (a), for example, a medical silicone material or a medical rubber material.

삽입 가이드부(110)는 튜브 팽창부(120)의 외측에 체내 삽입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삽입 가이드부(110)는 튜브 팽창부(120)의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0 is provided outside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 along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Here,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0 maintains the shap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예컨대, 삽입 가이드부(110)는 의료용 실리콘 재질, 의료용 고무 재질 등과 같이 연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어,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이 체내에 삽입될 때 튜브 팽창부(120)가 접히지 않도록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체내의 관, 예컨대 요도를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게 된다.For example, the insertion guide unit 110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a medical silicone material, a medical rubber material, or the like so that when the insertion tub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the tube expanding unit 120 is fold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along a tube, for example, the urethra in the body while maintaining the shape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을 체내에 삽입할 때에는 튜브 팽창부(120)의 튜브 팽창 공간(132)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여,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팽창 공간(132)이 수축되어 외경이 축소된 상태로 체내의 관에 삽입된다. 따라서, 직경이 축소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이 체내의 관으로 삽입됨으로써,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inserting the conduit 100 for insertion into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in the tube expansion space 132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 is removed, The tube expansion space 132 is contracted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expansion space 132 is reduced. Accordingly, by inserting the insertion tub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tube in the body with the diameter reduced, the pain applied to the patient can be minimized.

그리고, 체내의 관에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의 삽입이 완료된 후, 튜브 팽창부(120)의 튜브 팽창 공간(132)으로 공기나 식염수와 같은 유체를 유입시키게 되면, 튜브 팽창 공간(132)이 팽창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의 직경이 확대되어, 원래의 원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When a fluid such as air or saline is introduced into the tube expansion space 132 of the tube expansion part 120 after the insertion of the body insertion condu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in the body tube, The space 132 expands to enlarge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tub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have the original desired shape.

상기와 같이 튜브 팽창 공간(132)이 팽창된 상태가 되면, 튜브 팽창부(120)의 유체 유동 공간(131)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팽창 공간(132)의 팽창에 따라 형성됨으로써, 유체 유동 공간(131)을 통해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유동하거나, 외부에서 유체 유동 공간(131)을 통해 산소나 기타 약물 등을 체내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tube expansion space 132 is expanded as described above, the fluid flow space 131 of the tube expansion part 120 is also expanded in the tube expansion space 132 as shown in FIG. 4 (b) The fluid from the body can flow through the fluid flow space 131 or can introduce oxygen or other drugs into the body through the fluid flow space 131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팽창부(120)의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말단은 유체 유동 공간(131)이 폐쇄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튜브 팽창부(120)의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가장자리 인근에 연통구(133)가 형성됨으로써, 연통구(133)를 통해 유체 유동 공간(131)으로부터의 유체가 체내로 또는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유체 유동 공간(131)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en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 is exemplified as being closed so that the fluid flowing space 131 is closed. The communication hole 133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edg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so that fluid from the fluid flowing space 131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3 flows into the body or fluid Is provided to flow into the fluid flow space 131 as an example.

여기서, 연통구(133)는 유체 유동 공간(131)과 튜브 팽창부(120)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데, 튜브 팽창부(120)의 제작시 홀이 형성되도록 튜브 형상을 제작함으로써, 튜브 팽창 공간(132)이 팽창될 때 연통공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hole 133 communicates with the fluid flow space 131 and the outside of the tube expanding part 120. By forming the tube shape so as to form a hole when the tube expanding part 120 is manufactured, A communication hole may be formed when the space 132 is expand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a)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a)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a)은 요도 삽입용 도관의 형태를 갖는 것을 예로 한다.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 body-insertable conduit 100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body-insertable conduit 100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body-insertable conduit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rm of a urethral insertion condui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a)은 튜브 팽창부(120a) 및 삽입 가이드부(110a)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a body-insertable conduit 100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expanding portion 120a and an insertion guide portion 110a.

튜브 팽창부(12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튜브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튜브 형상에 따라 내부에는 삽입 공간(134a)이 형성되고, 삽입 공간(134a)의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튜브 팽창 공간(13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 공간(134a)과 튜브 팽창 공간(132a)은 상호 연통되지 않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a is formed in a tube shape in cross section.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a has an insertion space 134a formed therein and an outer space of the insertion space 134a A tube expansion space 132a is formed. Here, the insertion space 134a and the tube expansion space 132a form a physically separated space that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튜브 팽창부(120a)는 튜브 팽창 공간(132a) 내부로 공기나 식염수와 같은 유체가 유입되면, 도 5의 (a)와 같이 팽창되고, 튜브 팽창 공간(132a) 내부의 유체가 제거되는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될 수 있는 연성의 재질로 마련된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a fluid such as air or saline flows into the tube expansion space 132a, the tube expansion part 120a expands as shown in FIG. 5 (a), and the inside of the tube expansion space 132a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contracted as shown in Fig.

삽입 가이드부(110a)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 유동 공간(131a)이 형성된 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삽입 가이드부(11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튜브 팽창부(120a)의 삽입 공간(134a)의 내경에 부착된다. 여기서, 삽입 가이드부(110a)는 튜브 팽창부(120a)의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형성을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a),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0a has a tubular shape in which a fluid flow space 131a is formed therein. 5,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0a is attach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space 134a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a. Here,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0a maintains the formation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a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예컨대, 삽입 가이드부(110a)는 실리콘 재질과 같이 연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어,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a)이 체내에 삽입될 때 튜브 팽창부(120a)가 접히지 않도록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체내의 관, 예컨대 요도를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게 된다.For example,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0a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uch as silicone, so that when the insertion tube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a is inserted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But also has ductility so that it can be inserted along a tube in the body, for example, the urethra.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a)을 체내에 삽입할 때에는 튜브 팽창부(120a)의 튜브 팽창 공간(132a)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여,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팽창 공간(132a)이 수축되어 외경이 축소된 상태로 체내의 관에 삽입된다. 따라서, 직경이 축소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a)이 체내의 관으로 삽입됨으로써,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inserting the insertion tube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body, the fluid in the tube expansion space 132a of the tube expansion portion 120a is removed, 5 (a), the tube expansion space 132a is contracted and inserted into the tube in the body with its outer diameter reduced. Therefore, by inserting the insertion tube 100a for insertion into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duced diameter state, the pain applied to the patient can be minimized.

그리고, 체내의 관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용 도관(100a)의 삽입이 완료된 후, 튜브 팽창부(120a)의 튜브 팽창 공간(132a)으로 공기나 식염수와 같은 유체를 유입시키게 되면, 튜브 팽창 공간(132a)이 팽창하여 체내 삽입용 도관(100a)의 직경이 확대되어, 원래의 원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After the insertion of the body-insertable conduit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in the body, a fluid such as air or saline is introduced into the tube expansion space 132a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a The tube expansion space 132a expands to enlarge the diameter of the body insertion conduit 100a to have the original desired shape.

상기와 같이 튜브 팽창 공간(132a)이 팽창된 상태가 되면, 삽입 가이드부(110a)의 유체 유동 공간(131a)을 통해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유동하거나, 외부에서 유체 유동 공간(131a)을 통해 산소나 기타 약물 등을 체내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tube expansion space 132a is in the inflated state as described above, fluid flows from the body through the fluid flow space 131a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0a or oxygen flows through the fluid flow space 131a from the outside And other drugs can be introduced into the body.

본 발명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동 공간(131a)을 형성하는 삽입 가이드부(110a)의 말단은 유체 유동 공간(131a)이 폐쇄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end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0a forming the fluid flow space 131a is formed to close the fluid flow space 131a.

여기서, 삽입 가이드부(110a)의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가장자리 인근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동 공간(131a)의 내부와 삽입 가이드부(110a)의 외부를 연통하는 제1 연통구(133b)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6 (a), the inside of the fluid flow space 131a and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0a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near the edge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0a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A first communication hole 133b may be formed.

그리고, 튜브 팽창부(120a)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동 공간(131a)과 튜브 팽창부(120a)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제1 연통구(133b)와 연통되는 제2 연통구(133c)가 튜브 팽창부(120a)의 내경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6 (a),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a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133b so that the fluid flowing space 131a and the outsid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a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33c may b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120a.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1 연통구(133b) 및 제2 연통구(133c)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통구(133)에 대응하는 연통구(133a)를 형성하게 되는데, 제1 연통구(133b) 및 제2 연통구(133c)를 통해 유체 유동 공간(131a)으로부터의 유체가 체내로, 또는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유체 유동 공간(131a)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33b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33c form a communication hole 133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13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from the fluid flow space 131a or the fluid from the body can flow into the fluid flow space 131a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33b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33c.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00 : 체내 삽입용 도관 110,110a : 삽입 가이드부
120,120a : 튜브 팽창부 131,131a : 유체 유동 공간
132,132a : 튜브 팽창 공간 133,133a : 연통구
133b : 제1 연통구 133c : 제2 연통구
134a : 삽입 공간
100: Internal body conduit 110, 110a: Insertion guide part
120, 120a: tube expansion part 131, 131a: fluid flowing space
132, 132a: tube expansion space 133, 133a:
133b: first communication hole 133c: second communication hole
134a: Insertion space

Claims (4)

체내 삽입용 도관에 있어서,
단면이 튜브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형성된 유체 유동 공간과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의 외곽을 감싸는 튜브 팽창 공간이 분리되는 튜브 팽창부와,
상기 튜브 팽창부의 외측에 체내 삽입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튜브 팽창부의 상기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형상을 유지하는 삽입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팽창 공간이 수축되어 직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체내에 삽입된 후, 상기 튜브 팽창 공간으로의 유체 유입에 따라 상기 튜브 팽창 공간이 팽창하여 직경이 확대되며;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을 통해 체내로 유체가 또는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도관.
In a body-insertable conduit,
A tube expanding part provided in a tube shape in cross section and separating a fluid flow space formed therein and a tube expansion space enclos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fluid flow space;
And an insertion guide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along an inserting direction in the bod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body;
The tube expanding space expands and the diameter enlarges as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tube expanding space after the tube expanding space is contracted and the diameter thereof is reduced and inserted into the body;
Wherein the fluid flows into or through the body through the fluid flow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팽창부의 상기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말단은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이 폐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튜브 팽창부의 상기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가장자리 인근에는 상기 유체 유동 공간과 상기 튜브 팽창부의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상기 튜브 팽창부의 내경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유체 유동 공간으로부터 유체가 체내로 또는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유체 유동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도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d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fluid flow space is closed;
A communica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luid flow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edge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Wherein fluid from the fluid flow space into the body or from the body flows into the fluid flow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체내 삽입용 도관에 있어서,
단면이 튜브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의 외곽을 감싸는 튜브 팽창 공간이 분리되는 튜브 팽창부와,
내부에 유체 유동 공간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외경이 상기 튜브 팽창부의 상기 삽입 공간의 내경에 부착되어 상기 튜브 팽창부의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형상을 유지하는 삽입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팽창 공간이 수축되어 직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체내에 삽입된 후, 상기 튜브 팽창 공간으로의 유체 유입에 따라 상기 튜브 팽창 공간이 팽창하여 직경이 확대되며;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을 통해 체내로 유체가 또는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도관.
In a body-insertable conduit,
A tube expanding part provided in a tube shape in cross section and separating an inser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tube expansion space enclos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insertion space;
And an insertion guide portion provid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fluid flow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attached to an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spac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in a body insertion direction;
The tube expanding space expands and the diameter enlarges as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tube expanding space after the tube expanding space is contracted and the diameter thereof is reduced and inserted into the body;
Wherein the fluid flows into or through the body through the fluid flow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상기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말단은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이 폐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상기 체내 삽입 방향으로의 가장자리 인근에는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의 내부와 상기 삽입 가이드부의 외부를 연통하는 제1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 팽창부에는 상기 유체 유동 공간과 상기 튜브 팽창부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연통구와 연통되는 제2 연통구가 상기 튜브 팽창부의 내경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통구 및 상기 제2 연통구를 통해 상기 유체 유동 공간으로부터 유체가 체내로 또는 체내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유체 유동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용 도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nd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fluid flow space is closed;
A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an edge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in the body insertion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fluid flow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A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tube expanding portion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so that the fluid flowing spa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tube expanding portion;
Wherein fluid from the fluid flow spa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flows into the fluid flow space from or into the body.
KR1020140013047A 2014-02-05 2014-02-05 Intubation tube Expired - Fee Related KR1015284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47A KR101528418B1 (en) 2014-02-05 2014-02-05 Intubation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47A KR101528418B1 (en) 2014-02-05 2014-02-05 Intubation tu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418B1 true KR101528418B1 (en) 2015-06-11

Family

ID=5350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0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8418B1 (en) 2014-02-05 2014-02-05 Intubation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41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452B1 (en) * 2015-07-08 2017-01-12 (주)더블유앤지 Check valve for medical tube
KR20180093401A (en) 2017-02-13 2018-08-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Tube for endotracheal intubation with levin tube insertion guider
KR20220130285A (en) * 2021-03-17 2022-09-27 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Intranasal implantable electrode device for nerve sensing and imaging
WO2024058594A1 (en) * 2022-09-16 2024-03-21 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Nasal cavity insertion-type electrode device for nerve detection and image captu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9530A (en) * 1993-01-19 1994-12-13 Datascope Investment Corp Single luminal type wire loaded iab catheter
JPH0847539A (en) * 1994-08-08 1996-02-20 Nippon Zeon Co Ltd Sliding catheter
KR20070094536A (en) * 2006-03-17 2007-09-20 코비디엔 아게 Medical tub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9530A (en) * 1993-01-19 1994-12-13 Datascope Investment Corp Single luminal type wire loaded iab catheter
JPH0847539A (en) * 1994-08-08 1996-02-20 Nippon Zeon Co Ltd Sliding catheter
KR20070094536A (en) * 2006-03-17 2007-09-20 코비디엔 아게 Medical tub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452B1 (en) * 2015-07-08 2017-01-12 (주)더블유앤지 Check valve for medical tube
KR20180093401A (en) 2017-02-13 2018-08-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Tube for endotracheal intubation with levin tube insertion guider
KR20220130285A (en) * 2021-03-17 2022-09-27 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Intranasal implantable electrode device for nerve sensing and imaging
KR102499241B1 (en) 2021-03-17 2023-02-13 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Electrode module assembly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for neural sensing and imaging
WO2024058594A1 (en) * 2022-09-16 2024-03-21 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Nasal cavity insertion-type electrode device for nerve detection and image captu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0390B2 (en) Medical device having knitted structure and coil
US5209741A (en) Surgical access device having variable post-insertion cross-sectional geometry
US8075521B2 (en) Catheter
US8251068B2 (en) Insertion aid for percutaneous tracheostomy
US7182745B2 (en) Retaining stent
US8518020B2 (en) Safety urinary catheter
US11504510B2 (en) Dilatable balloon catheter
CN102811758A (en) Balloon Encapsulated Catheter Tip
JP2007508854A (en) Needle with sealing valve
EP2164554A1 (en) A tip for an insertion device
KR101528418B1 (en) Intubation tube
KR101664348B1 (en) Foley catheter with folding portion
CN112472164A (en) Drainage catheter
WO2014162452A1 (en) Introducer sheath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999412B2 (en) Fistula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20210001149A (en) Drainage catheter
US20190091439A1 (en) A urinary catheter comprising an inflatable retention member
CN110215543B (en) Medical guidable catheter
JP6301909B2 (en) Stretch valve balloon catheter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JP2006340914A (en) Balloon catheter
US11786705B2 (en) Catheter insertion devices
JP4021421B2 (en) Body access port
KR101618824B1 (en) Balloon Catheter
CN222533704U (en) Three-chamber feeding device
CN215651441U (en) Gallbladder puncture drain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