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8168B1 -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및 그 트레이로 제조된 아이스볼 - Google Patents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및 그 트레이로 제조된 아이스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168B1
KR101528168B1 KR1020140101533A KR20140101533A KR101528168B1 KR 101528168 B1 KR101528168 B1 KR 101528168B1 KR 1020140101533 A KR1020140101533 A KR 1020140101533A KR 20140101533 A KR20140101533 A KR 20140101533A KR 101528168 B1 KR101528168 B1 KR 101528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receiving space
ice
cocktail
beve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준
Original Assignee
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준 filed Critical 강영준
Priority to KR1020140101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1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6Moulds with separate grid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는 물을 담기 위해 형성된 복수의 공간; 상기 공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동결됨에 따라 측면 음료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측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 상기 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동결됨에 따라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 및 상기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에서 기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담긴 물이 동결됨에 따라 스트로우를 꽂기 위한 스트로우 수용 홀을 형성 시키는 스트로우 수용 홀 형성부;를 더 포함하여 알코올 또은 음료를 신속하게 시원하게 하는 접촉면적이 넓은 아이스볼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중앙에 빨대 삽입을 위한 구멍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알콜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의 음료 취수를 가능하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및 그 트레이로 제조된 아이스볼{ICE BALL TRAY FOR COCKTAIL AND ICE BALL}
본 발명은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칵테일, 양주, 커피 및 탄산음료를 희석시켜 먹거나 또는 시원한 냉음료로 먹을 수 있도록 해당 칵테일, 양주, 커피 및 탄산음료 컵 사이에 맞는 크기로 아이스볼을 제작할 수 있는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독한 알콜 음료를 희석시켜 먹는 언더락에 사용되는 아이스볼은 일반적인 사각 아이스볼이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사각 아이스볼을 사용하려면 얼음통과 그릇, 집개 등이 구비되어야 하고, 사용 후 세척의 번거루움과 보관 방법에 따라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희석된 술 등을 작은 잔으로 따를 시 손가락 등이 불가피하게 내용물과 닿아야 하므로 위생상 좋지 않으며, 각얼음 등이 녹아서 작은 알갱이로 변하면 음용하면서 좋지 않은 기분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이스볼을 빨리 녹게 하려고 컵 등을 흔들다 보면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사용하고 남은 얼음을 재냉동시 녹았던 물기에 얼음끼리 서로 달라붙어 덩어리로 뭉쳐지므로 결국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시키므로 낭비를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7021호(2002. 07. 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독한 알콜 음료를 따라 마시는 컵 사이즈로 아이스볼을 제조할 수 있고, 아이스볼 제작을 위해 물이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음료와의 접촉면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 스트로우(빨대) 삽입을 위한 공간이 구비되어 음료의 취수를 용이하게 하는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는 물을 담기 위해 형성된 복수의 공간; 상기 공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동결됨에 따라 측면 음료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측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 상기 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동결됨에 따라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 및 상기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에서 기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담긴 물이 동결됨에 따라 스트로우를 꽂기 위한 스트로우 수용 홀을 형성 시키는 스트로우 수용 홀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는 알코올 또은 음료를 신속하게 시원하게 하는 접촉면적이 넓은 아이스볼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는 중앙에 빨대 삽입을 위한 구멍형성시켜 칵테일, 양주, 커피 및 탄산음료 등을 희석시키거나 또는 시원한 냉음료로 하여 섭취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는 낱개로 포장하여 위생적이며, 보관이 간편하고 낭비를 방지하고, 길이 크기에 따라 커피 등 다양한 음료수 용기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내부 구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에 의해 제조된 얼음의 구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에 의해 제조된 아이스볼이 컵에 넣어진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의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는 전체 형상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수의 아이스볼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물을 담기 위한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간(S) 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10),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20) 및 스트로우 수용 홀 형성부(30)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내부 구조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측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10)는 상기 공간(S)의 측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S)에 물이 담겨 얼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측면 음료 수용공간(11)이 형성된다.
참로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에 의해 제조된 얼음의 구조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측면 음료 수용공간(11)은 도 3의 (a)와 같이 4개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a)와 같이, 6개가 형성될 수도 있어, 갯수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은 도면에는 원형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레이의 구조에 따라 삼각, 사각 및 다각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질수 있다.
상기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20)는 상기 공간(S)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볼록솟은 형상으로, 상기 공간(S)에 물이 담겨 얼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측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10)와 상기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20)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측면 음료 수용공간(11)와 상기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21)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음료와 아이스볼의 접촉면을 확대시킨다.
상기 스트로우 수용 홀 형성부(30)는 상기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20)에서 기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S)에 물이 담겨 얼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우를 수용하기 위한 스트로우 수용 홀(31)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스트로우 수용 홀(31)에 스트로우를 꽂은 경우 해당 스트로우는 손잡이로 활용되어 아이스볼을 컵에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고, 회전시켜 저어 잘녹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아이스볼이 스트로우의 주름관에 걸리기 때문에 스트로우을 누르고 위생적으로 다른 잔으로 음료를 다시 따를 수 있다.
한편, 아이스볼의 크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으로 트레이를 제작하여 아이스볼을 하나씩 별도로 만들 수도 있다.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는 본체부(50), 뚜껑(60)을 포함한다.
PET병 재질이나 PVC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부(50)는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본체부(50)을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부(51)가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스트로우(40)을 억지끼움하여 고정시키위한 스트로우 고정부(52)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50) 내부 측면에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측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10)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볼은 상기 스트로우 고정부(52)에 스트로우(40)를 끼워 기립시킨 후에 본체부(50) 내부로 물을 부어 뚜껑(60)을 씌운 후에 얼림으로써 제조된다.
이때, 상기 아이스볼은 상기 뚜껑(60)을 벗긴 후, 상기 본체부(50) 외부에 있는 스트로우 부분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PET병 재질이나 PVC 재질의 본체부(50)를 찢어버린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70)에 넣어 사용한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에 의해 제조된 아이스볼이 컵에 넣어진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 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측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
11 : 측면 음료 수용공간
20 :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
21 :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30 : 스트로우 수용 홀 형성부
31 : 스트로우 수용 홀
40 : 스트로우
50 : 본체부
51 : 지지부
52 : 스트로우 고정부
60 : 뚜껑
70 : 컵

Claims (7)

  1. 물을 담기 위해 형성된 복수의 공간(S);
    상기 공간(S)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동결됨에 따라 측면 음료 수용공간(11)을 형성시키는 측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10); 및
    상기 공간(S)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동결됨에 따라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21)을 형성시키는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20);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10)와 상기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20)는 아이스볼과 음료와의 접촉면이 최대화 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20)에서 기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S)에 담긴 물이 동결됨에 따라 스트로우를 꽂기 위한 스트로우 수용 홀(31)을 형성 시키는 스트로우 수용 홀 형성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수용 홀(31)은 상기 스트로우에 형성된 주름관의 직경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에 의해 제조된 칵테일용 아이스볼.
  6. 물을 담기 위한 본체부(50);
    상기 본체부(50)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50)을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부(51);
    상기 본체부(50)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스트로우 고정부(52);
    상기 스트로우 고정부(52)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스트로우(40);
    상기 본체부(50) 내부 측면에 형성된 측면 음료 수용공간 형성부(10);
    중앙이 상기 스트로우(40)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50)를 덮는 뚜껑(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7. 제 6항의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에 의해 제조된 칵테일용 아이스볼.


KR1020140101533A 2014-08-07 2014-08-07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및 그 트레이로 제조된 아이스볼 Expired - Fee Related KR10152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533A KR101528168B1 (ko) 2014-08-07 2014-08-07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및 그 트레이로 제조된 아이스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533A KR101528168B1 (ko) 2014-08-07 2014-08-07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및 그 트레이로 제조된 아이스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168B1 true KR101528168B1 (ko) 2015-06-12

Family

ID=5350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5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8168B1 (ko) 2014-08-07 2014-08-07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및 그 트레이로 제조된 아이스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1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931A (ja) * 1994-05-12 1995-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製氷皿及び自動製氷装置
KR20000017257U (ko) * 1999-02-22 2000-09-25 심관식 음료용 용기
US20070107447A1 (en) * 2005-11-14 2007-05-17 Langlotz Bennet K Sealed water-filled container with ice cube features
KR20100007554A (ko) * 2008-07-14 2010-01-22 김주일 음료용 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931A (ja) * 1994-05-12 1995-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製氷皿及び自動製氷装置
KR20000017257U (ko) * 1999-02-22 2000-09-25 심관식 음료용 용기
US20070107447A1 (en) * 2005-11-14 2007-05-17 Langlotz Bennet K Sealed water-filled container with ice cube features
KR20100007554A (ko) * 2008-07-14 2010-01-22 김주일 음료용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931B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JP5536273B1 (ja) 成型容器
US8387816B2 (en) Dual use beverage cup
US20190161257A1 (en) Domed Cup Lid for Holding an Inverted Can or Bottle
US20120267378A1 (en) Ice Cup
KR101456387B1 (ko) 식품 및 음료 용기
US20110233092A1 (en) Drink holder
US20130200086A1 (en) Domed Cup Lid for Holding an Inverted Bottle
US8544672B2 (en) Collapsible safety beverage cover
KR101528168B1 (ko) 칵테일용 아이스볼 트레이 및 그 트레이로 제조된 아이스볼
KR101935856B1 (ko) 결로방지용 물기 홀더
US20110095038A1 (en) Apparatus for consuming liquids
US20160015198A1 (en) Can type container changeable to type of cup or glass
US20100288773A1 (en) Pitcher
US11383883B2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portion pack and fixing cap
KR20170031354A (ko) 결로 방지용 음료용기
KR200395087Y1 (ko) 식품용기
CN209003445U (zh) 用于饮料杯上的托盘以及多功能饮料杯
KR101484500B1 (ko) 얼음틀
TWI699315B (zh) 冰飲料器構造
KR200424649Y1 (ko) 식품용기의 분리구 구조
KR20110019854A (ko) 내외장커버를 구비한 얼음용기
KR200400901Y1 (ko) 얼음통
US20160332798A1 (en) Container Assembly
KR20230097305A (ko) 원컵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