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873B1 -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5873B1 KR101525873B1 KR1020150037726A KR20150037726A KR101525873B1 KR 101525873 B1 KR101525873 B1 KR 101525873B1 KR 1020150037726 A KR1020150037726 A KR 1020150037726A KR 20150037726 A KR20150037726 A KR 20150037726A KR 101525873 B1 KR101525873 B1 KR 1015258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nseng
- cosmetic composition
- extract
- mixed
- roasted roas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물들의 TIMP-1 mRNA 유전자 발현에 대한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물들의 Tropoelastin mRNA 유전자 발현에 대한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물들의 MMP-1 mRNA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물들의 MITF mRNA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물들의 Tyrosinase mRNA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성분 | 실시예 8 | 실시예 9 | 실시예 10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산삼 배양근 | 1 | 1 | 1 | 1 | 1 |
단너삼 | 1 | 1 | 1 | 1 | 1 |
단삼 | 1 | 1 | 1 | 1 | 1 |
고삼 | 1 | 1 | 1 | 1 | 1 |
사삼 | - | 1 | 1.5 | 1.5 | - |
만삼 | - | 1 | 1.5 | - | 1.5 |
현삼 | - | 1 | - | 1.5 | 1.5 |
구분 |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at concentration 2.5㎎/㎖. | |||
DPPH | Hydroxyl | Alkyl | Superoxide | |
실시예 1 | 56.82 ± 0.91 | 59.65 ± 1.22 | 47.18 ± 0.86 | 50.01 ± 0.98 |
실시예 2 | 49.27 ± 1.26 | 52.17 ± 1.03 | 41.22 ± 1.03 | 46.18 ± 0.96 |
실시예 3 | 52.63 ± 1.01 | 56.96 ± 0.83 | 52.99 ± 0.54 | 49.09 ± 1.11 |
실시예 4 | 47.42 ± 1.18 | 50.25 ± 0.79 | 42.89 ± 0.82 | 45.81 ± 1.09 |
실시예 5 | 52.14 ± 0.70 | 59.71 ± 0.51 | 46.47 ± 1.16 | 5.045 ± 0.51 |
실시예 6 | 48.65 ± 0.46 | 55.23 ± 1.03 | 42.83 ± 0.33 | 45.99 ± 0.96 |
실시예 7 | 46.49 ± 1.10 | 50.96 ± 0.43 | 40.09 ± 0.54 | 43.32 ± 0.91 |
실시예 8 | 56.65 ± 0.46 | 60.23 ± 1.03 | 49.83 ± 0.33 | 51.99 ± 0.96 |
실시예 9 | 70.68 ± 0.34 | 77.97 ± 0.51 | 65.58 ± 0.74 | 68.12 ± 1.07 |
실시예 10 | 67.68 ± 0.61 | 71.97 ± 1.21 | 61.58 ± 0.97 | 63.12 ± 0.67 |
실시예 11 | 64.25 ± 1.00 | 68.38 ± 1.11 | 55.28 ± 0.91 | 59.25 ± 0.51 |
실시예 12 | 61.68 ± 0.61 | 65.97 ± 1.21 | 52.58 ± 0.74 | 58.12 ± 0.67 |
비교예 1 | 53.47 ± 1.08 | 58.52 ± 0.91 | 48.15 ± 1.18 | 50.08 ± 1.27 |
비교예 2 | 57.85 ± 1.08 | 61.10 ± 0.85 | 50.21 ± 1.16 | 52.98 ± 1.03 |
구분 | 세포 생존율(%) | |||
0.1 % | 0.5 % | 1 % | 5.0 % | |
실시예 8 | 100 | 100 | 100 | 101 |
실시예 9 | 101 | 100 | 101 | 100 |
실시예 10 | 100 | 100 | 100 | 100 |
실시예 11 | 100 | 100 | 101 | 100 |
실시예 12 | 101 | 101 | 101 | 100 |
비교예 1 | 100 | 100 | 100 | 100 |
비교예 2 | 101 | 101 | 101 | 101 |
대조군 Adenosine |
100 | 101 | 100 | 100 |
대조군 Arbutin |
101 | 100 | 100 | 101 |
프라이머 이름 | 염기서열 |
GAPDH | Froward : GGCATTGCTCTCAATGACAA |
Reverse : TGTGAGGGAGATGCTCAGTG | |
COL1A1 | Forward : AGCCAGCAGATCGAGAACAT |
Reverse : TCTTGTCCTTGGGGTTCTTG | |
TIMP-1 | Forward : TGCTGGGTGGTAACTCTTTATTTCA |
Reverse : ATCCTGTTGTTGCTGTGGCTGATAG | |
Tropoelastin | Forward : AAAGCAGCAGCAAAGTTCGG |
Reverse : ACCTGGGACAACTGGAATCC | |
MMP-1 | Forward : AAGGTTAGCTTACTGTCACACGCTT |
Reverse : CGACTCTAGAAACACAAGAGCAAGA |
프라이머 이름 | 염기서열 |
GAPDH | Froward : GGCATTGCTCTCAATGACAA |
Reverse : TGTGAGGGAGATGCTCAGTG | |
MITF | Forward : AACCGACAGAAGAAGCTGGA |
Reverse : ACAAGTTCCTGGCTGCAGTT | |
Tyrosinase | Forward : TTATGCGATGGAACACCTGA |
Reverse : ACTGGCAAATCCTTCCAGTG |
번호 | 원 료 | 함량(중량%) |
1 | 혼합발효추출물(실시예 9) | 1.0 |
2 | 글리세린 | 3.0 |
3 | 부틸렌글리콜 | 2.0 |
4 | 프로필렌글리콜 | 2.0 |
5 |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 1.0 |
6 | 에탄올 | 10.0 |
7 | 트리에탄올아민 | 0.1 |
8 | 방부제 | 미량 |
9 | 색소 | 미량 |
10 | 향료 | 미량 |
11 | 정제수 | 잔량 |
번호 | 원 료 | 함량(중량%) |
1 | 혼합발효추출물(실시예 9) | 1.0 |
2 | 밀납 | 1.0 |
3 | 폴리솔베이트 60 | 1.5 |
4 |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 0.5 |
5 | 유동 파라핀 | 10.0 |
6 |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 1.0 |
7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0.5 |
8 | 스테아린산 | 1.5 |
9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 1.0 |
1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11 | 카르복시폴리머 | 0.1 |
12 | 트리에탄올아민 | 0.2 |
13 | 방부제 | 미량 |
14 | 색소 | 미량 |
15 | 향료 | 미량 |
16 | 정제수 | 잔량 |
Claims (7)
- (A)누룩, 곡물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
(B)건조된 산삼 배양근, 단너삼, 단삼, 고삼, 사삼, 만삼 및 현삼을 혼합하여 삼베포에 싸서 상기 혼합물에 묻는 단계;
(C)35~60℃에서 2~3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D)상기 발효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E)상기 추출물을 삼나무 통에 담아 7~10일간 2~8℃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A)단계에서 누룩, 곡물 및 정제수의 혼합물은 누룩 1~6중량%, 곡물 30~50중량% 및 정제수 45~6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B)단계에서, 산삼 배양근, 단너삼, 단삼, 고삼, 사삼, 만삼 및 현삼은 건조 중량으로 1:1:1:1:1~1.5:1~1.5:1~1.5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D)단계에서, 추출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되는 산삼 배양근, 단너삼, 단삼, 고삼, 사삼, 만삼 및 현삼 혼합발효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미백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726A KR101525873B1 (ko) | 2015-03-18 | 2015-03-18 |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726A KR101525873B1 (ko) | 2015-03-18 | 2015-03-18 |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5873B1 true KR101525873B1 (ko) | 2015-06-04 |
Family
ID=5349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77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5873B1 (ko) | 2015-03-18 | 2015-03-18 |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5873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43414A (zh) * | 2015-03-09 | 2016-09-21 | 韩国化妆品制造株式会社 | 包括野山参培养根油作为活性成分的化妆品组合物,其制备方法及使用其的化妆方法 |
KR101713486B1 (ko) * | 2016-05-27 | 2017-03-07 | (주)토니모리 | 소시지나무 열매, 작두콩 콩깍지 및 옥수수 속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101773456B1 (ko) * | 2017-03-08 | 2017-08-31 | 주식회사 더마랩 | 다단발효를 통한 생약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90101067A (ko) * | 2018-02-22 | 2019-08-30 |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닥나무 및 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2219382B1 (ko) | 2020-12-02 | 2021-02-22 | 얼라이드 탑 (홍콩) 인더스트리얼 리미티드 | 천연 식물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102505332B1 (ko) * | 2022-09-19 | 2023-03-06 | 아이큐어 주식회사 | 고삼, 단삼, 현삼 및 천삼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1810A (ko) * | 2008-01-25 | 2009-07-29 | 코스맥스 주식회사 |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20010699A (ko) * | 2010-07-27 | 2012-02-06 | 닥터후 주식회사 | 발효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KR20130027822A (ko) * | 2011-09-08 | 2013-03-18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스퍼질러스 나이저의 배양액에서 분리한 인삼 사포닌 전환활성을 갖는 효소,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효소처리 인삼 추출물, 효소처리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효소처리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
KR20130052242A (ko) * | 2011-11-11 | 2013-05-22 | (주)아모레퍼시픽 | 염장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2015
- 2015-03-18 KR KR1020150037726A patent/KR10152587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1810A (ko) * | 2008-01-25 | 2009-07-29 | 코스맥스 주식회사 |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20010699A (ko) * | 2010-07-27 | 2012-02-06 | 닥터후 주식회사 | 발효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KR20130027822A (ko) * | 2011-09-08 | 2013-03-18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스퍼질러스 나이저의 배양액에서 분리한 인삼 사포닌 전환활성을 갖는 효소,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효소처리 인삼 추출물, 효소처리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효소처리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
KR20130052242A (ko) * | 2011-11-11 | 2013-05-22 | (주)아모레퍼시픽 | 염장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43414A (zh) * | 2015-03-09 | 2016-09-21 | 韩国化妆品制造株式会社 | 包括野山参培养根油作为活性成分的化妆品组合物,其制备方法及使用其的化妆方法 |
KR101713486B1 (ko) * | 2016-05-27 | 2017-03-07 | (주)토니모리 | 소시지나무 열매, 작두콩 콩깍지 및 옥수수 속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101773456B1 (ko) * | 2017-03-08 | 2017-08-31 | 주식회사 더마랩 | 다단발효를 통한 생약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90101067A (ko) * | 2018-02-22 | 2019-08-30 |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닥나무 및 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2021322B1 (ko) * | 2018-02-22 | 2019-09-16 |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닥나무 및 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2219382B1 (ko) | 2020-12-02 | 2021-02-22 | 얼라이드 탑 (홍콩) 인더스트리얼 리미티드 | 천연 식물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102505332B1 (ko) * | 2022-09-19 | 2023-03-06 | 아이큐어 주식회사 | 고삼, 단삼, 현삼 및 천삼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5873B1 (ko) |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73456B1 (ko) | 다단발효를 통한 생약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50139688A (ko) |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738075B1 (ko) | 지모, 세이지 및 천수국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7708495B2 (ja) |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 |
KR102020828B1 (ko) |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48419B1 (ko) | 사과, 딸기 및 엘더베리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004322B1 (ko) | 자귀나무껍질, 숙근안개초, 시계꽃, 권백 및 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541289B1 (ko) | 해마, 감태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19060B1 (ko) |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791762B1 (ko) |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작약꽃, 회화나무꽃, 푸른연꽃, 샤프란꽃, 수레국화꽃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에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37465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2149223B1 (ko) | 천연 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72494B1 (ko) |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137405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70136919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2462080B1 (ko) | 하스카프를 포함하는 천연물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37412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2785962B1 (ko) |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 |
KR102646545B1 (ko) | 비비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883773B1 (ko) |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 |
KR102168533B1 (ko)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10005B1 (ko) | 천정팔진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713486B1 (ko) | 소시지나무 열매, 작두콩 콩깍지 및 옥수수 속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20118946A (ko) |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