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4782B1 -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782B1
KR101524782B1 KR1020130140132A KR20130140132A KR101524782B1 KR 101524782 B1 KR101524782 B1 KR 101524782B1 KR 1020130140132 A KR1020130140132 A KR 1020130140132A KR 20130140132 A KR20130140132 A KR 20130140132A KR 101524782 B1 KR101524782 B1 KR 101524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peroxide
days
compound
solution composition
metal 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156A (ko
Inventor
박영훈
이일희
이상국
허욱환
최헌영
정우철
조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익스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익스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익스톨
Priority to KR102013014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7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7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14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lkaline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09K15/16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32Alkaline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폭발과 같은 위험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은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을 포함하고/하거나 아미노 인산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AQUEOUS ALKALI COMPOSITION WITH HYDROGEN PEROXIDE COMPRISING STABILIZER FOR HYDROGEN PEROXIDE}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폭발과 같은 위험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산화수소가 함유된 조성물은 산업적으로 금속 에칭제, 산화제, 세정제, 탈지제 또는 표백제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과산화수소는 값이 싸고 색을 나타내지 않으며 냄새도 없어 매우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강력한 산화제이다. 특히 알칼리 수용액 상태에서의 과산화수소는 비싼 다른 금속 산화제와는 달리 값이 매우 저렴한 강력한 산화제로서 금속 에칭제 등으로서의 효용이 매우 높으나 그 불안정성에 기인한 짧은 사용기간 또는 폭발 등 안전사고 등의 문제를 야기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즉 과산화수소는 2H2O2 → 2H2O + O2 로 분해되며 그 분해속도는 알칼리 상태에서는 매우 빠르고 산성에서는 느리다. 특히 촉매로서 금속이온(Fe, Al, Cu, Zr, Ni, Ti, Co, Cr, V, Mn 등)이 있을 경우 그 분해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분해될 때 반응열이 발생하여 폭발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과산화수소의 안정제로서 킬레이트제 또는 금속이온 봉쇄제를 사용하여 과산화수소를 안정화시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알칼리 수용액에서의 과산화수소 안정제는 그 성능이 매우 떨어지고 특히 금속이온이 함유된 알칼리 수용액에서는 안정제로서의 성능을 전혀 나타내지 못하고 있어 알칼리 수용액 및 금속이온이 함유된 알칼리 수용액에서의 과산화수소 안정화 첨가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알칼리 수용액 및 금속이 함유된 알칼리 수용액에서의 과산화수소의 장기간 안정성 및 효능을 나타내는 개선된 첨가제 조성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폭발과 같은 위험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은 과산화수소에 의한 프리 라디칼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프리 라디칼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은 이미노디아세트산(iminodiacetic acid), 이미노말론산(iminomalonic acid), N,N,N',N'-테트라키스(2-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N,N,N',N'-tetrakis-(2-hydroxypropyl)-ethylenediamine), N,N-비스(카복실라토메틸)알라닌(Bis(carboxylatomethyl)alanine),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미노 인산염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미노 인산염계 화합물은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하는 촉매로 작용하는 금속이온을 잡아주어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산염계 화합물은 폴리하이드릭 알코올 포스페이트 (polyhydric alcohol phosphate ester), 폴리아미노 폴리에테르 메틸렌 포스포네이트(polyamino polyether methylene phosphonate), 2-(3-메틸페녹시)에틸 포스페이트 (2-(3-methylphenoxy)ethyl phosphate), 1-히드록시에테인-1,1-디포스폰산 (1-Hydroxyethane-1,1-diphosphonic acid),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 포스폰산) (Ethylendiamine tetra(methylene phosphonic acid)),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폰산 (Diethylenetriamine penta(methylene phosphonic acid)), 헥사메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폰산) (Hexamethylenediamine tetra(methylene phosphonic acid)), 히드록시에틸아미노 비스(메틸렌 포스폰산) (Hydroxyethylamino bis(methylene phosphonic acid)) 또는 비스(헥사메틸렌 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폰산) (Bis(hexamethylene triamine penta(methylenephosphonic acid)))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미노 인산염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의 과산화수소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장점을 제공하므로 종래의 과산화수소의 불안정성에 기인한 유효한 성능의 단기간 감소 및 폭발 등의 안전사고 발생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로 인해 알칼리 에칭액, 알칼리 세정제, 알칼리 탈지제, 알칼리 표백제 등의 산업적 이용에 매우 유용한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간에 대한 과산화수소 분해율을 도시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은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은 과산화수소에 의한 프리 라디칼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프리 라디칼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 과산화수소의 불안정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한 프리 라디칼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프리 라디칼을 완충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물질은 -OH기와 C=O기를 가지고 있어 라디칼 스캐빈저 역할을 수행하여 과산화수소의 연쇄반응을 막아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은 이미노디아세트산(iminodiacetic acid), 이미노말론산(iminomalonic acid), N,N,N',N'-테트라키스(2-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N,N,N',N'-tetrakis-(2-hydroxypropyl)-ethylenediamine), N,N-비스(카복실라토메틸)알라닌(Bis(carboxylatomethyl)alanine),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0.01 중량% 미만이 경우에는 라디칼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2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산화수소의 산화력을 조절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은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하는 촉매로 작용하는 금속이온을 잡아주어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저해하는 아미노 인산염계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하는 촉매로 작용하는 금속이온을 잡아주어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저해하는 아미노 인산염계 화합물은 금속이온(Fe, Al, Cu, Ni, Ti, Cr 등)과 칼슘,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 성분을 잡아주어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 분해를 억제하여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 과산화수소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과산화수소의 불안정성에 기인한 유효한 성능의 단기간 감소 및 폭발 등의 안전사고 발생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인산염계 화합물은 폴리하이드릭 알코올 포스페이트 (polyhydric alcohol phosphate ester), 폴리아미노 폴리에테르 메틸렌 포스포네이트(polyamino polyether methylene phosphonate), 2-(3-메틸페녹시)에틸 포스페이트 (2-(3-methylphenoxy)ethyl phosphate), 1-히드록시에테인-1,1-디포스폰산 (1-Hydroxyethane-1,1-diphosphonic acid),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 포스폰산) (Ethylendiamine tetra(methylene phosphonic acid)),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폰산 (Diethylenetriamine penta(methylene phosphonic acid)), 헥사메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폰산) (Hexamethylenediamine tetra(methylene phosphonic acid)), 히드록시에틸아미노 비스(메틸렌 포스폰산) (Hydroxyethylamino bis(methylene phosphonic acid)) 또는 비스(헥사메틸렌 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폰산) (Bis(hexamethylene triamine penta(methylenephosphonic acid)))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아미노 인산염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3 중량%인 것인 바람직한데, 0.01 중량% 미만이 경우에는 금속이온이 함유된 알칼리 과산화수소 수용액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3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사용량에 비례적으로 증대하지는 않고 인의 함량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간에 대한 과산화수소 분해율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비교예 1은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의 분해율을 나타내며 실시예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 안정화제가 포함된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 분해율을 나타내고, 비교예 2는 금속이온이 포함된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의 분해율이고 실시예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 안정화제와 과산화수소 및 금속이온이 포함된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 분해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은 과산화수소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장점을 제공하므로 종래의 과산화수소의 불안정성에 기인한 유효한 성능의 단기간 감소 및 폭발 등의 안전사고 발생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 과산화수소 안정화제에 의한 과산화수소의 안정화 성능을 확인하고자 아래 실시예와 같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농도별로 준비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래 표 1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용액을 2리터 기준으로 제조한 다음, 온도 30℃에서 14일간 방치하여 과산화수소의 분해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와 도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성분 함량(중량%) 금속이온 성분 농도
수산화나트륨 1.0 없음 Fe 0 ppm
이미노디아세트산 0.03 Al 0 ppm
이미노말론산 0.02 Cu 0 ppm
폴리하이드릭 알코올
포스페이트
0.05 Ni 0 ppm
과산화수소 31.78 Ti 0 ppm
67.12 Cr 0 ppm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0.05 % 0.09 % 0.12 % 0.17 % 0.20 % 0.22 % 0.25 %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0.31 % 0.37 % 0.44 % 0.50 % 0.58 % 0.62 % 0.66 %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 누적 분해량(%)을 나타내는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이온이 없는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 과산화수소 누적 분해량을 보면 7일 후 0.25%, 14일 후 0.66% 정도만 분해됨으로써 금속이온이 없는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아래 표 3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용액을 2리터 기준으로 제조한 다음, 온도 30℃에서 14일간 방치하여 과산화수소의 분해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4와 도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성분 함량(중량%) 금속이온 성분 농도
수산화나트륨 1.0 총 50 ppm Fe 10 ppm
이미노디아세트산 0.03 Al 10 ppm
이미노말론산 0.02 Cu 10 ppm
폴리하이드릭 알코올
포스페이트
0.05 Ni 5 ppm
과산화수소 31.78 Ti 10 ppm
67.12 Cr 5 ppm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0.51 % 1.55 % 1.92 % 2.18 % 2.54 % 2.87 % 3.26 %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3.53 % 3.92 % 4.26 % 4.58 % 4.91 % 5.27 % 5.69 %
금속이온이 함유된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 누적 분해량(%)을 나타내는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하는 촉매제로 다양한 금속이온이 함유된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 과산화수소 누적 분해량을 보면 7일 후 3.26 %, 14일 후 5.69% 정도만 분해됨으로써 금속이온이 함유된 알칼리 수용액에서의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아래 표 5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용액을 2리터 기준으로 제조한 다음, 온도 30℃에서 14일간 방치하여 과산화수소의 분해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6과 도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성분 함량(중량%) 금속이온 성분 농도
수산화나트륨 1.0 없음 Fe 0 ppm
과산화수소 31.78 Al 0 ppm
67.22 Cu 0 ppm
Ni 0 ppm
Ti 0 ppm
Cr 0 ppm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0.18 % 0.37 % 0.75 % 2.09 % 3.70 % 5.84 % 8.68 %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11.93 % 15.10 % 19.48 % 23.40 % 29.82 % 35.71 % 41.24 %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 누적 분해량(%)을 나타내는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이온이 없는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 과산화수소 누적 분해량을 보면 7일 후 8.68%, 14일 후 41.24 % 정도로 안정화제가 없는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빠르게 분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
아래 표 7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용액을 2리터 기준으로 제조한 다음, 온도 30℃에서 14일간 방치하여 과산화수소의 분해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8과 도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성분 함량(중량%) 금속이온 성분 농도
수산화나트륨 1.0 총 50 ppm Fe 10 ppm
과산화수소 31.78 Al 10 ppm
67.22 Cu 10 ppm
Ni 5 ppm
Ti 10 ppm
Cr 5 ppm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5.30 % 10.12 % 17.07 % 27.41 % 39.67 % 55.32 % 75.92 %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90.28 % 99.64 % - - - - -
금속이온이 함유된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 누적 분해량(%)을 나타내는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하는 촉매제로 다양한 금속이온이 함유된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 과산화수소 누적 분해량을 보면 6일 후 55.32 %, 9일 후 99.64%가 분해되었으며 이 상태에서는 과산화수소가 급격히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금속이온이 함유된 조성물에서 과산화수소 안정화제가 없는 경우에는 금속이온이 과산화수소의 분해 촉매로 작용하여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시켜 과산화수소가 빠르게 분해됨에 따라 반응열이 발생하여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의 온도가 매우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예로부터, 과산화수소는 안정화제가 없이는 그 불안정성에 기인한 유효한 성능의 단기간 감소 및 폭발 등의 안전사고 발생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은 과산화수소의 불안정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한 프리 라디칼의 생성을 억제 및 생성된 프리 라디칼을 완충하기에 충분한 양의 하나 이상의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 및/또는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하는 촉매로 작용하는 금속이온을 잡아주어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저해하는 아미노 인산염계 화합물을 안정화제로 첨가하여 과산화수소 및/또는 금속이온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장점을 제공하므로 종래의 과산화수소의 불안정성에 기인한 유효한 성능의 단기간 감소 및 폭발 등의 안전사고 발생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알칼리 에칭액, 알칼리 세정제, 알칼리 탈지제, 알칼리 표백제 등의 산업적 이용에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 및 인산염계 화합물을 포함하되,
    상기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은 이미노디아세트산(iminodiacetic acid) 및 이미노말론산(iminomalonic acid)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인산염계 화합물은 폴리하이드릭 알코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olyhydric alcohol phosphate es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은 과산화수소에 의한 프리 라디칼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프리 라디칼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치환된 N-함유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계 화합물은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하는 촉매로 작용하는 금속이온을 잡아주어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KR1020130140132A 2013-11-18 2013-11-18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Active KR101524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132A KR101524782B1 (ko) 2013-11-18 2013-11-18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132A KR101524782B1 (ko) 2013-11-18 2013-11-18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156A KR20150057156A (ko) 2015-05-28
KR101524782B1 true KR101524782B1 (ko) 2015-06-10

Family

ID=5339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132A Active KR101524782B1 (ko) 2013-11-18 2013-11-18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179A (ko) 2019-10-01 2021-04-09 (주)씨에스피 Ti-W 필름의 식각을 위한 식각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425B1 (ko) * 1991-02-08 1997-05-08 미쓰비시가스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과산화수소의 제조방법
US5759440A (en) * 1989-07-20 1998-06-02 Interox (Societe Anonyme) Stabilized aqueuous solu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process for stabilizing an aqueous solution of hydrogen peroxi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9440A (en) * 1989-07-20 1998-06-02 Interox (Societe Anonyme) Stabilized aqueuous solu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process for stabilizing an aqueous solution of hydrogen peroxide
KR970007425B1 (ko) * 1991-02-08 1997-05-08 미쓰비시가스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과산화수소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179A (ko) 2019-10-01 2021-04-09 (주)씨에스피 Ti-W 필름의 식각을 위한 식각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156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9839B2 (en) Alkaline aqueous hydrogen peroxide solutions stabilised against decomposition
US3869401A (en) Stabilized acidic hydrogen peroxide solutions
US4070442A (en) Stabilized hydrogen peroxide
US8758631B2 (en) Process for decontamination of hazardous sulfur compounds in sour water tanks
JPWO2009157387A1 (ja) 土壌及び/又は地下水の浄化剤、ならびに浄化方法
KR20160106544A (ko) 구리막, 몰리브덴막 및 구리-몰리브덴 합금막의 식각액 조성물
HK1148110A1 (en) Etching agent, etching method and liquid for preparing etching agent
JP3597873B2 (ja) ニトロソアミンの生成抑制法
JPH03153505A (ja) 過酸化水素濃厚水溶液を分解に対して安定化させる方法
EP2523900A1 (en) Hydrogen peroxide compositions and cleaning formulations prepared therefrom
JP2007137761A (ja) 二酸化塩素の発生法
JPH0424282B2 (ko)
JPS6219508B2 (ko)
CN102295274A (zh) 一种过氧化氢稳定剂
JPH02125886A (ja) 安定化過酸化水素組成物
KR101524782B1 (ko)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함유 알칼리 수용액 조성물
EP1781100A1 (en) A disinfectant formulation
WO2009011676A1 (en) Stabilized concentrated cleaning solu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US12054659B2 (en)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inhibitor
JP2959873B2 (ja) アルカリ性過酸化水素水溶液及びその安定化方法
WO2018071182A1 (en) Hydrogen peroxid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ting chlorine dioxide
JP5799296B2 (ja) 次亜塩素酸ナトリウム水溶液の安定化方法
CN103708637A (zh) 一种氨基三亚甲基膦酸-n-氧化物及其制备方法
KR101189199B1 (ko) 전자 또는 반도체 폐수용 중금속 처리 조성물
JP4759954B2 (ja) 低濃度過酢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