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472B1 -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4472B1 KR101524472B1 KR1020140149587A KR20140149587A KR101524472B1 KR 101524472 B1 KR101524472 B1 KR 101524472B1 KR 1020140149587 A KR1020140149587 A KR 1020140149587A KR 20140149587 A KR20140149587 A KR 20140149587A KR 101524472 B1 KR101524472 B1 KR 1015244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 traffic
- information
- network
- multipa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1—Shortest path evaluation by minimising de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이와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33711호(공개일: 2003.05.01)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사이에서 교환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설정 방법(SDM)과, ADM 및 MDM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설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설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13)
-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자기 유사성 정보 및 네트워크 링크의 전송 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기 유사성 정보 및 전송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는 목적지 노드까지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자기 유사성 정보 및 전송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수 이하로, 전송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전송 경로에 트래픽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경로에 트래픽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최소 비용 경로 집합을 상기 전송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자기 유사성 정보 및 전송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경로에 트래픽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방법.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경로에 트래픽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 유사성 정보 및 전송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는 트래픽 분배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상기 트래픽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경로에 트래픽을 할당하는 단계는
게임 이론에 따라 상기 트래픽을 할당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유사성 정보는
트래픽의 표준 편차, 트래픽의 평균 전송 속도, 오버플로우 확률 및 허스트(Hurst) 파라미터
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지연 시간의 변화율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 범위의 초과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의 개수를 갱신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는 목적지 노드까지의 데이터 전송 경로는
상기 네트워크 링크의 큐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다중 경로 설정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는
컨벡스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의 개수를 판단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방법.
-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링크의 큐 길이에 따라,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는 목적지 노드까지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링크의 전송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수 이하로,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의 자기 유사성 정보 및 상기 전송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경로에 트래픽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방법.
- 삭제
- 삭제
- 네트워크의 다중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자기 유사성 정보 및 네트워크 링크의 전송 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자기 유사성 정보 및 전송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는 목적지 노드까지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개수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자기 유사성 정보 및 전송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수 이하로, 전송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전송 경로에 트래픽을 할당하는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전송 지연 시간의 변화율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임계 범위 초과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의 개수를 갱신하는
다중 경로 설정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 설정 장치는
라우터 또는 상기 라우터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인
다중 경로 설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9587A KR101524472B1 (ko) | 2014-10-30 | 2014-10-30 |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9587A KR101524472B1 (ko) | 2014-10-30 | 2014-10-30 |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4472B1 true KR101524472B1 (ko) | 2015-06-02 |
Family
ID=5349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95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4472B1 (ko) | 2014-10-30 | 2014-10-30 |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447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50946A1 (ko) * | 2016-03-04 | 2017-09-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데이터 버퍼링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7477A (ko) * | 2000-03-15 | 2003-03-03 | 인포심 네트워킹 솔루션스 아게 | 데이터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KR20130020862A (ko) * | 2011-08-19 | 2013-03-0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기 유사성을 이용한 scada 네트워크의 이상증후를 탐지하는 장치 및 방법 |
-
2014
- 2014-10-30 KR KR1020140149587A patent/KR10152447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7477A (ko) * | 2000-03-15 | 2003-03-03 | 인포심 네트워킹 솔루션스 아게 | 데이터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KR20130020862A (ko) * | 2011-08-19 | 2013-03-0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기 유사성을 이용한 scada 네트워크의 이상증후를 탐지하는 장치 및 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50946A1 (ko) * | 2016-03-04 | 2017-09-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데이터 버퍼링 방법 및 장치 |
KR20170103542A (ko) * | 2016-03-04 | 2017-09-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데이터 버퍼링 방법 및 장치 |
US11082474B2 (en) | 2016-03-04 | 2021-08-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ata buffering method and apparatus in adaptive streaming service |
KR102399082B1 (ko) * | 2016-03-04 | 2022-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데이터 버퍼링 방법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25626B2 (en) |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cumulative effect of dynamic metric advertisement in smart grid/sensor networks | |
JP5021769B2 (ja) | マルチラジオ・マルチチャネル・マルチホップ無線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無線・帯域幅認識型ルーティング・メトリック | |
JP5235622B2 (ja) |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経路付け及び負荷バランシングのための方法 | |
WO2014112250A1 (en) | Node and method for routing packets based on measured workload of node in low-power and lossy network | |
KR101892262B1 (ko) | Dodag 구조 기반의 배압 라우팅 방법 및 장치 | |
KR20120017972A (ko) |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의 혼잡 상황을 통지/회피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메쉬 노드 | |
KR101524472B1 (ko) |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 |
Ashfaq et al. | Optimizing message delivery in opportunistic networks with replication-based forwarding | |
Lin et al. | An efficient traffic control system using dynamic thresholding techniques in wireless mesh networks | |
Wang et al. | Performance modeling and analysis of multi-path routing in integrated fiber-wireless networks | |
KR101460879B1 (ko) |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메시지 라우팅 방법 및 그 장치 | |
Blywis et al. | Gossip routing, percolation, and restart in wireless multi-hop networks | |
JP6558728B2 (ja) | 無線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
Osunade | A packet routing model for computer networks | |
Okamura et al. | Opportunistic routing for heterogeneous IoT networks | |
Gálvez et al. | A feedback-based adaptive online algorithm for multi-gateway load-balancing in wireless mesh networks | |
Guidoum et al. | Enhancing performance AODV routing protocol to avoid congestion | |
JP2013197734A (ja) | 経路選択装置、経路選択方法および経路選択プログラム | |
KR101670809B1 (ko) | 다중 홉 구조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분산을 고려한 부모 노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WO2018006619A1 (zh) | 传输路径的负载信息的方法和网络节点 | |
Biradar et al. | Multipath Load Balancing in MANET via Hybrid Intelligent Algorithm | |
Sharma et al. | Congestion Aware Link Cost Routing for MANETS | |
KR101489674B1 (ko) | 부하 분산을 위한 다중 경로 지역 최적화 기법 | |
Rahem et al. | Node Cooperation to Avoid Early Congestion Detection Based on Cross-Layer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 |
Bhardwaj et al. | Congestion aware multi-path routing protocol for mobile ad-hoc networ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2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