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254B1 - Two 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having flexible recovery ratio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wo 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having flexible recovery ratio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2254B1 KR101522254B1 KR1020130068997A KR20130068997A KR101522254B1 KR 101522254 B1 KR101522254 B1 KR 101522254B1 KR 1020130068997 A KR1020130068997 A KR 1020130068997A KR 20130068997 A KR20130068997 A KR 20130068997A KR 101522254 B1 KR101522254 B1 KR 1015222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age
- flow rate
- raw water
- membrane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374 membrane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6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6676 system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11 chem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660 chlor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1 flocc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5 membrane fou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58 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7 sand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58—Multistep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01D65/022—Membrane steril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적 회수율을 갖는 2단 막여과 시스템 및 이의 운전방법 관한 것으로, 유입 원수 수질 특성에 따라 침지식 분리막 모듈의 회수율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침지식 분리막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스템 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having a fluid recovery rat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erein contamination of the immersion separation membrane can be minimized by varying the recovery rate of the immersion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influent raw water quality, .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수의 입자성 물질 또는 탁질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2단 막여과 공정의 원수 농도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2단 막여과 공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의 배출량을 조절함으로써 2단 막여과 공정의 회수율을 유동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유동적 회수율을 갖는 2단 막여과 시스템 및 이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edicting raw water concentration in a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or detergent substance in raw 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port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have a fluid recovery rate that allows the recovery rate of a two-port membrane filtration process to be determined fluidly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concentrated water.
기존 정수 처리는 응집, 침전, 모래여과, 소독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공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상수원 수질악화, 유해물질 출현, 분석기술의 발달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수질에 대한 큰 기대로 인한 한계에 봉착하였다.In the existing water treatment, physico-chemical processes such as coagulation, sedimentation, sand filtration and disinfection are mainly used. However, these processes are limited by the high water quality expectations due to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source, the emergence of harmful substances,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이에 최근에는 특정 크기의 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미세공을 가진 분리막을 이용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막 분리 공정의 도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a membrane separation process for removing contaminants using a separation membrane having micropores capable of separating a specific size of material has been actively promoted.
막 분리 공정은 처리수질이 안정적이고, 자동화가 가능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때 분리막은 기공 크기에 따라 정밀여과(MF)막, 한외여과(UF)막, 나노여과(NF)막, 역삼투(RO)막 등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Membrane separation proces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treated water quality is stable, and automation is possible, so that it is easy to maintain.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pore size, the membrane may include a microfiltration (MF) membrane, an ultrafiltration (UF) membrane, And reverse osmosis (RO) membranes.
정밀 여과 공정이나 한외 여과 공정에서 회수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분리막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처리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그중 2단 여과 공정은 정밀여과 공정을 2단으로 구성하여 1단에서 발생한 농축수를 2단에서 재처리하여 처리 수량을 증대하고, 농축수량을 감소하는 기술이다.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for installing and treating the separation membrane in multiple stages as a method for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in the microfiltration process and the ultrafiltration process. Among them, the two-stage filtration process consists of two stages of microfiltration process, in which the concentrated water generated in the first stage is reprocessed in two stages to increase the treated water volume and reduce the concentrated water volume.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86776호는 가압식 중공사막 여과 장치에서 정수처리되지 않은 배출수를 공급받아 해당 배출수에 대해 2차 정수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침지식 중공사막을 포함하는 막여과 정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86776 discloses a membrane filtr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submerged hollow fiber membrane that performs a secondary water treatment for the effluent water supplied from the pressurized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
그러나, 상기 특허의 2단 여과 공정에서 농축수를 재처리하는 2번째 침지식 막 여과 공정은 1단 공정에서의 농축수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빠른 분리막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항시 내재하고 있다. However, since the second submerged membrane filtration process for reprocessing the concentrated water in the two-stage filtration process of the above patent is performed for the concentrated water in the first-stage process,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that contamination of the membrane is likely to occur rapidly.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지표수의 수질(입자성 물질 및 탁도)이 계절적 영향 또는 강우의 영향에 민감한 경우 일정한 회수율로 운영시 강우기에 2단 여과공정에서의 분리막 오염이 빠르게 진행되며 순간적인 높은 분리막 오염은 세정에 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water quality (particulate matter and turbidity) of the surface water is sensitive to the seasonal effect or the influence of the rainfall like Korea, the separation membrane is rapidly polluted in the two stage filtration process in the rainfall period when operated at a certain recovery rate. There is a problem that washing is difficult.
따라서, 2단 여과 공정의 분리막 오염을 방지하여 공정의 안정성 확보할 수 있는 수처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water treatment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the contamin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in the two-stage filtration process and ensuring process st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수의 입자성 물질 또는 탁질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2단 막여과 공정의 원수 농도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2단 막여과 공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의 배출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2단 막여과 공정의 회수율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 유동적 회수율을 갖는 2단 막여과 시스템 및 이의 운전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stimate the raw water concentration in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or detergent substance in the raw water, and thereby control the amount of concentrated water generated in the tw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have a fluid recovery rate that allows a recovery of a singl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to be determined fluid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적 회수율을 갖는 2단 막여과 시스템은, 원수의 탁도, 부유고형물질을 포함하는 수질 인자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원수를 유입 받아 여과처리하는 1단 가압식 또는 침지식 분리막 모듈; 상기 1단 가압식 또는 침지식 분리막 모듈에 의해 분리된 농축수를 유입 받아 여과처리하는 2단 침지식 분리막 모듈; 상기 2단 침지식 분리막 모듈에 의해 분리된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라인; 상기 배출라인에 설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배출량이 조절되는 유량 조절 장치; 상기 배출라인에 설치되며, 농축수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원수의 수질 인자에 따라 상기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동적 회수율을 갖는 2단 막여과 시스템를 포함한다.A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having a fluid recovery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 water quality factor including turbidity of a raw water and a suspended solid material; A first-stage pressurized or submerged separation membrane module for introducing and filtering the raw water; A second stage submerged membrane module for introducing and filtering the concentrated water separated by the first stage pressurized or submerged membrane module; A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the concentrated water separated by the two-stage submerged membrane module; A flow rate adjusting device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the flow rate adjusting device adjusting an amount of discharge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 flow meter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for measuring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concentrated wat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ow rat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water quality factor of the raw water measured by the measur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2단 막여과 시스템에서, 상기 유량 조절 장치는 유량 조절 밸브 또는 펌프일 수 있다.Further, in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may be a flow rate regulating valve or a pump.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2단 막여과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원수의 수질인자가 미리 설정하여 둔 값을 초과하면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유량계의 측정값이 제어부에서 설정한 값과 일치하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quality factor of the raw water measured from the measurement unit exceeds a preset value, the control unit may se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ow rate regulator as a measurement value of the flow meter It can be increased to match the value set by th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2단 막여과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원수의 수질인자가 미리 설정하여 둔 값 미만이면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유량계의 측정값이 제어부에서 설정한 값과 일치하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water quality factor of the raw water measured from the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ow- To be equal to the value set in < / RTI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 막여과 시스템의 운전 방법은 원수의 탁도, 부유고형물질을 포함하는 수질 인자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수질 인자에 따라 침지식 분리막에 의해 분리된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라인에 설치된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water quality factor including the turbidity of the raw water and the suspended solid matter, And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ow rate adjusting device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the concentrated water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2단 막여과 시스템의 운전 방법에서, 상기 측정된 수질 인자가 미리 설정하여 둔 값을 초과하면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asured water quality factor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ow rate regulator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2단 막여과 시스템의 운전 방법에서,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원수의 수질인자가 미리 설정하여 둔 값 미만이면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Further,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quality factor of the raw water measured from the measuring uni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ow rate regulator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2단 막여과 시스템의 운전 방법에서, 상기 농축수의 배출량은 배출라인에 설치된 유량계에 의해 측정되어 조절될 수 있다. Also,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oncentrated water can be measured and adjusted by a flow meter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입 원수 수질 특성에 따라 침지식 분리막 모듈의 회수율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침지식 분리막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스템 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막의 세정주기를 길게 지연시킬 수 있어 약품비, 분리막 교체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질 변동에 따라 시스템의 운전이 제어되므로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mination of the immersion separation membrane can be minimized and the stability of the system process can be ensured by controlling the recovery rate of the immersion membrane module depending on the quality of the influent raw water quality. As a result, the cleaning cycle of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delay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medicine and the replacement of the separation membrane.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system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water quality, the operation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2단 막여과 시스템에서 원수 탁도 변화에 따른 가압식 분리막 모듈에서 분리된 배출수(농축수)의 탁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2단 막여과 시스템에서 가압식 분리막 모듈에서 분리된 배출수(농축수)의 탁도 변화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 모듈의 여과조 내 원수의 탁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 막여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량 조절 장치를 통한 유동적 회수율 결정을 통해 침지식 분리막의 여과조 내 원수의 탁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turbidity change of the effluent (concentr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pressurized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aw water turbidity in the two-port membrane filtration system.
FIG. 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urbidity of raw water in the filtration tank of the submerged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turbidity change of the effluent (concentr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pressurized membrane module in the double membrane filtration system.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urbidity of raw water in a filtration tank of an immersion separator through determination of a fluid recovery rate through a flow rate regulato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first, second, and so on in order to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 same names,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2단 막여과 시스템에서 원수 탁도 변화에 따른 가압식 분리막 모듈에서 분리된 배출수(농축수)의 탁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turbidity change of the effluent (concentr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pressurized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aw water turbidity in the two-port membrane filtration system.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수의 탁도가 증가하는 경우 가압식 분리막 모듈에서 배제된 배출수(농축수)도 그 탁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s shown in Fig. 1, when the turbidity of the raw water was increased, the turbidity of the discharged water (concentrated water) excluded from the pressure type membrane module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도 2는 2단 막여과 시스템에서 가압식 분리막 모듈에서 분리된 배출수(농축수)의 탁도 변화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 모듈의 여과조 내 원수의 탁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urbidity of raw water in the filtration tank of the submerged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turbidity change of the effluent (concentr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pressurized membrane module in the double membrane filtration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가압식 분리막 모듈에서 분리된 배출수(농축수)의 탁도가 증가하는 경우 침지식 분리막 모듈의 여과대상인 여과조 내 원수도 그 탁도가 증가하였다. 2, when the turbidity of the effluent (concentr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pressurized membrane module is increased, the turbidity of the raw water in the filtration tank, which is the filtration target of the submerged membrane module, is increased.
이와 같이, 원수의 탁도 또는 부유고형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가압식 분리막에서 분리된 배출수(농축수)도 그 탁도 또는 부유고형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며, 상기 배출수(농축수)가 유입되어 여과처리되는 침지식 분리막 모듈 여과조 내 원수의 탁도 또는 부유고형물질의 농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원수의 탁도 또는 부유고형물질의 농도 측정을 통해 침지식 분리막 모듈의 여과 대상이 되는 여과조 내 원수의 탁도 또는 부유고형물질의 농도도 예측이 가능하다. In this way, when the turbidity of the raw water or the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increases, the effluent (concentr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pressurized separator also increases in turbidity or suspended solids concentration, and the effluent (concentrated water) The turbidity of the raw water or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in the submerged membrane module is also increa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turbidity of the raw water in the filtration tank or the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in the filtration target of the submerged membrane module by measuring the turbidity of the raw water or the suspended solids.
한편, 일반적으로 가압식 분리막 모듈의 경우 단위 회수율이 90~95%이고, 침지식 분리막 모듈의 경우 단위 회수율이 90% 정도이다. 침지식 분리막 모듈의 경우 가압식 분리막 모듈과 달리 여과조 내 분리막이 침지되어 있는 형태로써 일정한 회수율로 운전시 여과조 내 원수 농도가 변화게 된다. 특히, 여과조 내 탁도 또는 부유고형물질의 농도는 침지식 분리막 오염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원수의 탁도 또는 부유고형물질의 농도 변화시 침지식 분리막 공정의 회수율 변동시켜 2단 막여과 시스템 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the unit recovery rate of the pressure type membrane module is 90 to 95%, and the unit recovery rate of the immersion membrane module is about 90%. In the case of the submerged membrane module, unlike the pressure membrane module, the membrane is immersed in the filtration tank,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 in the filtration tank is changed during the operation with a certain recovery rate. In particular, the turbidity in the filtration tank or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ntamination of the immersion separation membrane. Therefore, the turbidity of the raw water or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changes the recovery rate of the immersion separation membrane process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two- .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2단 막여과 시스템(100)은 원수의 입자성 물질 또는 탁질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2단 막여과 공정의 원수 농도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2단 막여과 공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의 배출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2단 막여과 공정의 회수율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edicts the concentration of raw water in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or detergent substance in the raw water, And the amount of the concentrated water to be discharged is variably controlled so that the recovery rate of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can be determined flexibly.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 막여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2단 막여과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측정부(10)와, 가압식 분리막 모듈(20)과, 침지식 분리막 모듈(30)과, 배출라인(32)과 유량 조절 장치(33)와,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부(10)는 원수의 탁도, 부유고형물질을 포함하는 수질 인자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로 측정부(10)는 탁도 센서, 부유고형물질 밀도 센서가 가능하다. 이때 측정부(10)는 원수가 가압식 분리막 모듈(20)으로 유입되는 유입관로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탁도 센서와 부유고형물질 밀도 센서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센서 및 분석기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가압식 분리막 모듈(20)은 원수 중 입자성 물질과 탁질 물질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리막이 압력케이스에 장착된 형태를 가지며, 원수 또는 응집, 침전 등의 전처리가 수행된 전처리수를 분리막에 압송시켜 여과하는 방식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가압식 분리막 모듈(20)을 예시하고 있으나, 막 운전 방식에 따라 침지식 분리막뿐만 아니라 막 모듈의 형태에 따라 중공사막, 관형막, 평판형막, 나권형막 등의 모든 분리막이 가능하다. The pressurized
상기 침지식 분리막 모듈(30)은 여과조 내에 분리막이 침지된 장치로서, 가압식 분리막 모듈(20)을 투과하지 못한 농축수 내 포함되어 있는 입자성 물질과 탁질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가압식 분리막 모듈(20)의 여과 처리 속도나 여과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침지식 분리막 모듈(30)로 인해 가압식 분리막 모듈(20)에서 발생하는 농축수를 외부로 방류하지 않고 다시 한번 여과할 수 있어 시스템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The submerged
상기 각 분리막에 있어 재질, 형태 및 구성 등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의 것이 사용할 수 있다.The material, shape, and configuration of each separation membran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ventionally known ones can be used.
바람직하기로, 가압식 또는 침지식 분리막은 정밀여과(MF, Micro Filtration) 또는 한외여과(UF, Ultra Filtration)에 사용하는 여과막이 가능하다. 상기 정밀 여과막의 경우 공경의 크기가 0.01 ㎛ 이상의 입자 제거가 가능하고, 한외 여과막의 경우 분자량 100,000 Dalton 이하의 불순물 완전 제거 가능하다. Preferably, the pressurized or immersed separator may be a filtration membrane used for MF (Micro Filtration) or UF (Ultra Filtration). In the case of the microfiltration membrane, particles having a pore size of 0.01 μm or more can be removed, and in the case of an ultrafiltration membrane, impurities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00 Dalton or less can be completely removed.
이들의 재질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모든 무기막 및 유기막 재질이 사용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세라믹, 및 금속막을 포함하는 무기막;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마이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술폰(PS),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PTF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술포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유기막;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These material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known inorganic films and organic film materials can be used. Typically, an inorganic film including a ceramic and a metal film; (PE), polyvinylidene difluoride (PVDF), polysulfone (PS), polyacrylonitrile (PAN),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cellulose An organic fi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ate, polysulfonate,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그 형태는 관형, 평판형, 와권형, 또는 중공사형 등의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shapes such as a tubular shape, a flat shape, a spiral shape, and a hollow shape can be u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라인(21)은 가압식 분리막 모듈(20)을 투과하지 못하고 배제되는 농축수를 침지식 분리막 모듈(3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배출라인(32)은 침지식 분리막(30)을 투과하지 못하고 배제되는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라인(32)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배출량이 조절되는 유량 조절 장치(33)가 구비되어, 후술할 제어부(40)의 제어를 통해 농축수 배출량이 조절된다. The
또한 상기 배출라인(32)에 구비된 유량계(22)를 통해 침지식 분리막(30)으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Also, the flow rate of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측정부(10)에서 측정된 원수의 수질 인자에 따라 상기 유량 조절 장치(33)의 배출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40)은 유량 조절 장치(33) 제어에 필요한 설정시간과 각종 데이터 값의 로직을 저장하고 있는 통상적인 메모리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유량 조절 장치(33)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 is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상기 측정부(10)에 의해 측정된 원수의 탁도 또는 부유고형물질 농도에 대한 값이 제어부(40)으로 입력되면, 제어부(40)는 그 입력된 값과 미리 설정하여 둔 값을 비교한다. 유량 조절 장치(33)는 제어부(40)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하게 되며, 농축수 배출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량 조절장치(33)의 조절량은 배출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22)의 측정값이 제어부에 기 설정한 값과 일치하도록 작동된다. 일예로 측정부(1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40)로 입력된 값이 미리 설정하여 둔 값을 초과하면 유량 조절 장치(33)의 배출량을 유량계(22)의 측정값이 제어부(40)에 설정한 값과 일치하도록 증가시켜 농축수의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When the turbidity of the raw water or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measured by the measuring
이때 유량 조절 장치(33)는 유량 조절 밸브 또는 펌프 일 수 있으며, 유량 조절 밸브인 경우 배출량을 증가시키고, 펌프인 경우 가동율을 증가시켜 농축수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At this time, the flow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 막여과 시스템(100)의 운전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미정화된 상태의 원수를 사용가능하게 정화처리 하기 위하여 수원에서 취수하게 된다. 정수처리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취수된 원수를 착수정에 모아 원수의 수위를 안정화시키고 원수량을 조정한다. The raw water in the undamaged state is taken out from the water source to purify the water. In order to smooth the water treatment work, the collected water is collected at the heading station to stabilize the water level of the raw water and adjust the amount of raw water.
착수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고 응집제를 공급하여 응집플럭을 형성하는 것으로,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스크린과, 스크린을 거친 원수에 응집제를 공급하여 원수 내의 미세 유기물들이 서로 응집을 하면서 크기가 증가하도록 하는 응집/혼화 장치를 거친다. 응집/혼화 장치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A screen for remov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w water and a coagulant for supplying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screen to the microorganisms in the raw water to coagulate each other Lt; RTI ID = 0.0 > coagulation / mixing < / RTI > The coagulation / mixing device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이러한 혼화/응집 장치를 거친 원수는 유입관로를 유동하며 가압식 분리막 모듈(20)로 유입되며, 이때 상기 측정부(10)는 원수 중의 탁도, 총유기탄소의 농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를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어부(40)로 출력한다. The raw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mixing / flocculating apparatus flows through the inlet pipe and flows into the
가압식 분리막 모듈(20)로 유입된 원수는 가압식 분리막 모듈(20)을 투과하는 생산수와 이를 투과하지 못하고 배제되는 농축수로 분리된다. 여과처리된 생산수는 후염소 처리, 탈기 처리, 또는 살균 처리를 수행한 후 정수로서 사용된다.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이때 분리된 농축수는 공급라인(21)을 따라 침지식 분리막 모듈(30)로 공급되고, 침지식 분리막 모듈(30)을 투과하는 생산수와 이를 투과하지 못하고 배제되는 농축수로 분리된다. 상기 생산수는 가압식 분리막(20)에서 생산된 생산수와 함께 후염소 처리, 탈기 처리, 또는 살균 처리를 수행한 후 정수로서 사용된다. 한편, 침지식 분리막 모듈(30)에서 배제된 농축수는 배출라인(3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the separated concentr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submerg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량 조절 장치를 통한 유동적 회수율 결정을 통해 침지식 분리막의 여과조 내 원수의 탁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4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urbidity of raw water in a filtration tank of an immersion separation membrane through determination of a fluid recovery rate through a flow rate regulato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수의 탁도가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침지식 분리막 모듈(30)의 회수율을 조정 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 침지식 분리막 모듈(30)의 여과조 내의 탁도가 상승하게 되어, 침지식 분리막의 오염이 심화되어 2단 막여과 시스템 공정의 안정성이 저해된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recovery rate of the submerged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측정부(10)로부터 입력받은 원수의 탁도, 부유고형물질의 농도가 미리 설정하여 둔 값을 초과하면 유량 조절 장치(33)의 배출량을 유량계의 측정값이 제어부에서 설정한 값과 일치하도록 증가시켜, 침지식 분리막 모듈(30)로부터 배제된 농축수의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침지식 분리막 모듈(30)의 회수율을 저하되며, 침지식 분리막 모듈(30) 여과조(31) 내 원수의 탁도, 부유고형물질의 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turbidity and suspended solids in the raw water received from the measuring
또한, 제어부(40)는 측정부(10)로부터 측정된 원수의 수질인자가 미리 설정하여 둔 값 미만이면 유량 조절 장치(33)의 배출량을 유량계의 측정값이 제어부에서 설정한 값과 일치하도록 감소시켜, 침지식 분리막 모듈(30)로부터 배제된 농축수의 배출량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침지식 분리막 모듈(30)의 회수율이 증가되며, 침지식 분리막 모듈(30) 여과조(31) 내 원수의 탁도, 부유고형물질의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If the water quality factor of the raw water measured by the measuring
따라서, 이와 같이 침지식 분리막 모듈(30)의 회수율이 유동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침지식 분리막 모듈(30) 여과조(31) 내 원수의 탁도, 부유고형물질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침지식 분리막의 오염을 방지하여 2단 막여과 시스템(100)의 공정 안정성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recovery rate of the submerg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2단 막여과 시스템(100)에 의하면, 원수의 입자성 물질 또는 탁질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2단 막여과 공정의 원수 농도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2단 막여과 공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의 배출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2단 막여과 공정의 회수율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질 변동에 따라 시스템의 운전이 제어되므로 분리막 오염 저감에 따라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 or the suspended matter substance in the raw water is measured to predict the raw water concentration in the two- Accordingly, the recovery rate of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can be determined flexibly by variably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concentrated water generated in the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system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change, the operation cost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membrane fouling.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침지식 분리막 모듈(30)의 오염을 방지하여 그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2단 막여과 시스템 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contamination of the submerged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측정부 20… 가압식 분리막 모듈
21… 공급 라인 22… 유량계 30… 침지식 분리막 모듈 31… 여과조
32… 유량 조절 장치 33… 배출 라인
40… 제어부10 ... Measuring
21 ...
32 ...
40 ... The control unit
Claims (8)
상기 원수를 유입 받아 여과처리하는 1단 가압식 또는 침지식 분리막 모듈;
상기 1단 가압식 또는 침지식 분리막 모듈에 의해 분리된 농축수를 유입 받아 여과처리하는 2단 침지식 분리막 모듈;
상기 2단 침지식 분리막 모듈에 의해 분리된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라인;
상기 배출라인에 설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배출량이 조절되는 유량 조절 장치;
상기 배출라인에 설치되며, 농축수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원수의 수질 인자에 따라 상기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원수의 수질인자가 미리 설정하여 둔 값을 초과하면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증가시켜 2단 침지식 분리막의 회수율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원수의 수질인자가 미리 설정하여 둔 값 미만이면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감소시켜 2단 침지식 분리막의 회수율을 증가시키는 유동적 회수율을 갖는 2단 막여과 시스템.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water quality factor including the turbidity of the raw water and the suspended solid material;
A first-stage pressurized or submerged separation membrane module for introducing and filtering the raw water;
A second stage submerged membrane module for introducing and filtering the concentrated water separated by the first stage pressurized or submerged membrane module;
A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the concentrated water separated by the two-stage submerged membrane module;
A flow rate adjusting device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the flow rate adjusting device adjusting an amount of discharge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 flow meter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for measuring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concentrated water;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ow rat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factor of the raw water measured by the measuring part,
Wherein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ow rate regulator to decrease the recovery rate of the two-stage submerged membrane when the water quality factor of the raw water measured from the measurement unit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Wherein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ow rate regulator to increase the recovery rate of the second stage submerged membrane if the water quality factor of the raw water measured from the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a preset value.
유량 조절 밸브 또는 펌프인 것인 2단 막여과 시스템.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A flow control valve or a pump.
원수의 탁도, 부유고형물질을 포함하는 수질 인자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수질 인자에 따라 2단 침지식 분리막 모듈에 의해 분리된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라인에 설치된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수질 인자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둔 값을 초과하면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증가시켜 2단 침지식 분리막의 회수율을 감소시키고,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원수의 수질인자가 미리 설정하여 둔 값 미만이면 유량 조절 장치의 배출량을 감소시켜 2단 침지식 분리막의 회수율을 증가시키는 2단 막여과 시스템의 운전 방법. A method for operating a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Turbidity of the raw water, and a suspended solid material;
And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the concentrated water separated by the two stage submerged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measured water quality factor,
If the measured water quality factor i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if the measured value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ow rate regulator is increased to reduce the recovery rate of the two-
Wherein the water quality of the raw water measured from the measuring unit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the discharged water from the flow control unit, thereby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of the two-stage immersion membrane.
상기 농축수의 배출량은 배출라인에 설치된 유량계에 의해 측정되어 조절되는 것인 2단 막여과 시스템의 운전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d water is measured and controlled by a flow meter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8997A KR101522254B1 (en) | 2013-06-17 | 2013-06-17 | Two 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having flexible recovery ratio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8997A KR101522254B1 (en) | 2013-06-17 | 2013-06-17 | Two 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having flexible recovery ratio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6388A KR20140146388A (en) | 2014-12-26 |
KR101522254B1 true KR101522254B1 (en) | 2015-05-21 |
Family
ID=5267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8997A Active KR101522254B1 (en) | 2013-06-17 | 2013-06-17 | Two 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having flexible recovery ratio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225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59861B (en) * | 2019-08-22 | 2022-01-11 | 唐山三友远达纤维有限公司 | Continuous membrane treatment method for alkali squeezing liquid in viscose fiber production process |
KR102511504B1 (en) | 2022-05-25 | 2023-03-17 | 효림이엔아이 주식회사 |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NF membrane and its control method |
KR102621968B1 (en) * | 2023-03-10 | 2024-01-10 | 주식회사 피치그로브 |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humidifier compris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21541A (en) * | 2006-06-21 | 2007-12-27 |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 Membrane filtration system |
KR20080101588A (en) * | 2007-05-18 | 2008-11-21 | (주)대우건설 | Operation and design method of membrane filtration water treatment device |
KR100925680B1 (en) * | 2009-05-15 | 2009-11-11 | 주식회사 한화건설 |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
KR101210872B1 (en) * | 2012-05-31 | 2012-12-12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Apparatus for memberane filtering water applicable in variable water quality |
-
2013
- 2013-06-17 KR KR1020130068997A patent/KR1015222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21541A (en) * | 2006-06-21 | 2007-12-27 |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 Membrane filtration system |
KR20080101588A (en) * | 2007-05-18 | 2008-11-21 | (주)대우건설 | Operation and design method of membrane filtration water treatment device |
KR100925680B1 (en) * | 2009-05-15 | 2009-11-11 | 주식회사 한화건설 |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
KR101210872B1 (en) * | 2012-05-31 | 2012-12-12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Apparatus for memberane filtering water applicable in variable water qual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6388A (en) | 2014-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968421B (en) | System for clean film and the method using its clean film | |
KR101210872B1 (en) | Apparatus for memberane filtering water applicable in variable water quality | |
WO2018173354A1 (en) | Membrane separation device and membrane separation method | |
JPH11319516A (en) |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JP2009233511A (en) | Method of operating membrane filtration system | |
CN115297950B (en) | Washing failure determination method for water generator and washing failure determination program | |
KR101550702B1 (en) | Water-purifying System with high recovery rate and Method Using Membrane Filtration for Manufacturing Purified Water | |
KR101522254B1 (en) | Two 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having flexible recovery ratio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20170002095A (en) | Membrane filtration for advance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ydraulic head differential and method for dynamic pressure conttrolling the same | |
JP6342101B1 (en) |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and membrane separation method | |
JP5595956B2 (en) | Evaluation method of fouling of separation membrane and operation method of membrane separation equipment | |
JP3473309B2 (en) |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membrane separation device | |
JP5588099B2 (en) | Membrane filtration treatment method and membrane filtration treatment equipment | |
WO2016178366A1 (en) | Membrane separation active sludge treatment method and membrane separation active sludge treatment system | |
KR20150077086A (en) | Water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water quality detecting means | |
KR101786821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gravity-driven type | |
JPH11169851A (en) |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20140144840A1 (en) | Sequencing batch type or batch type water-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1418738B1 (en) | Immersion type-pressure type hybrid membrane filtration system | |
JP2018008192A (en) | Foulant quantification method | |
JP2007000727A (en) | Operation method of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equipment | |
JP2006272218A (en) |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wo-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 |
JP2005270934A (en) | Membrane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 |
JPH0631270A (en) | Film cleaning process for water and operation of the device | |
JPS62191097A (en) | Raw sewage treatment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6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