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1614B1 - 내용매성 및 은폐력이 우수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 Google Patents

내용매성 및 은폐력이 우수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614B1
KR101521614B1 KR1020130103587A KR20130103587A KR101521614B1 KR 101521614 B1 KR101521614 B1 KR 101521614B1 KR 1020130103587 A KR1020130103587 A KR 1020130103587A KR 20130103587 A KR20130103587 A KR 20130103587A KR 101521614 B1 KR101521614 B1 KR 10152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idene fluoride
weight
film
colored
based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886A (ko
Inventor
이석인
강호천
이중규
장광호
이용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6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61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 50~80 중량% 및 황화아연(ZnS) 20~5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은 내용매성, 은폐력, 치수안정성, 기계적 물성, 가공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여 건축 내/외장 및 항공기 내장재 등의 재료 혹은 물품의 외장을 보호하는 피복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매성 및 은폐력이 우수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COLORED POLYVINYLIDENE FLUORIDE-BASED FILM HAVING AN IMPROVED CHEMICAL-RESISTANCE AND OPACITY PROPERTY}
본 발명은 내용매성, 은폐력, 내후성, 치수안정성, 기계적 물성, 가공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여 건축 내/외장 및 항공기 내장재 등의 재료 혹은 물품의 외장을 보호하는 필름으로 적합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단독필름은 내후성, 내방사선성 및 내약품성이 매우 우수하여 물품 또는 재료를 보호하는 피복재료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PVDF 필름은 광택,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기재로 사용된다.
건축용 내/외장재, 항공기 내장재 등의 분야에는 필름의 내용매성과 은폐력이 중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PVDF 필름에 백색을 구현하기 위해 백색 무기물로서 이산화티타늄(TiO2)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특정한 경우 PVDF에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하여 컴파운딩 시, 주 무기성분(Ti) 및 무기 코팅 물질에 의한 PVDF 사슬의 열 분해를 촉진하여 필름의 황변 뿐만 아니라 외관 및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한 새로운 필름이 요구된다.
한편,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고급성이나 의장성을 갖춘 무광택 표면을 갖는 필름이 주로 사용되는데, 무광택 표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불소계 수지 필름 성형 후 필름 표면에 샌드 블라스트나 연마 등의 물리적인 처리를 가하는 방법; 불소계 수지 필름 성형 후 필름 표면에 무광택제를 코팅하는 방법; 불소계 수지 필름을 압출 성형할 때 압출 직후 엠보싱 롤(embossed roll)을 통과시켜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일본 특개평 2-28239호 참조), 및 무광택제로 무기물이나 유기물을 불소계 수지에 첨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 중에서 엠보싱 롤을 사용하는 방법과 무광택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간편하면서도 저렴하여 선호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열 라미네이트 공정 중에 표면에 원치 않는 광택이 형성되거나, 무광택제의 분산성 악화에 의해 외관 불량, 기계적 강도의 저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은 각종 기재의 표면에 접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중에 박리가 생기지 않는 접착성과 두께 균일성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매성, 은폐력, 내후성, 치수안정성, 기계적 물성, 가공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여 건축 내/외장 및 항공기 내장재 등의 재료 혹은 물품의 외장을 보호하는 필름으로서 적합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 50 내지 80 중량% 및 황화아연(ZnS)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은 내용매성, 은폐력, 치수안정성, 기계적 물성, 가공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여 건축 내/외장 및 항공기 내장재 등의 재료 혹은 물품의 외장을 보호하는 피복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 50 내지 80 중량% 및 황화아연(ZnS)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 및 황화아연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계 수지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F2)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의 VF2와, VF2와 공중합가능한 나머지량의 다른 단량체를 포함한다.
VF2와 공중합가능하여 공중합체의 형성에 사용되는 상기 단량체로는 불소화된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그의 구체적인 예로는 불화 비닐; 트리플루오로에틸렌(VF3);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1,2-디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퍼플루오로(메틸 비닐)에테르(PMVE), 퍼플루오로(에틸 비닐)에테르(PEVE) 및 퍼플로오로(프로필 비닐) 에테르(PPVE) 등의 퍼플로오로(알킬 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1,3-디옥솔);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PDD);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트리플루오로에틸렌(VF3)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모세관 유량계를 사용하여 100S-1의 전단속도로 230℃에서 측정시 100~2,500 Pa·s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2,000 Pa·s 범위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도 범위를 갖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가 압출 및 사출 성형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를 50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데,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사용하면 충분한 내후성 발현 및 무기물 분산이 가능하고, 광학 특성에서 요구되는 은폐력을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는 필름의 총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7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화아연(ZnS) 무기입자는 빛의 투과율, 반사율, 색상 등의 광학적 특성의 조절과, 마찰계수, 표면조도 및 미세한 촉감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황화아연은 컴파운딩 방식으로 첨가/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균 입경이 100 내지 500 nm 또는 200 내지 350 n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황화아연을 2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데,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사용하면 본 발명이 요구하는 은폐력을 달성할 수 있고, 무기입자의 응집 등으로 인해 필름 제조공정 중 필터가 막혀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로써 필터의 수명을 늘릴 뿐만 아니라 생산효율을 높이고, 분산성 및 내후성을 개선하며, 경량화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필름은 필름의 총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2 중량%의 카본블랙(carbon black)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양태에 사용되는 카본블랙(carbon black)은 빛의 은폐력, 색상 등의 광학적 특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카본블랙은 컴파운딩 방식으로 첨가/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균 입경은 10 내지 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블랙은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2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데,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기 입자의 응집 등으로 인한 필름 외관 불량/이물 증대 뿐만 아니라 압출 및 필름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은, 전술한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180 내지 240℃의 온도에서 용융 및 압출하여 도관을 통해 동일 온도의 T-다이(die)에 단층으로 토출시킨 다음, 토출된 단층 시트를 표면온도 80℃ 이상으로 가열된 롤에 안착시키고 소정의 두께로 조정하여 권취기로 감음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토출된 단층 시트와 가열 롤 간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토출 시트를 가열 롤과 그 반대편에 위치한 스퀴징 롤(squeezing roll) 사이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때 스퀴징 롤의 표면을 엠보싱(embossing) 처리함으로써 최종 필름의 표면조도 및 광택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은 10 내지 50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의 제조
PVDF(MVI 24g/10분: ASTM D1238, 230℃, 5kg 하중; Solvay사) 80 중량% 및 ZnS(입도 0.3 μm; Sachtleben사) 20 중량%를 이축 혼련기에서 230℃의 온도에서 컴파운딩하여 펠렛을 제조한 후, 이를 스크류 경 130mm 및 스크류 L/D 32의 압출기에서 210℃의 온도로 용융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융물을 압출온도와 동일한 온도에서 폭 2800mm의 T-다이로 압출하여 단층으로 토출시킨 다음, 토출된 단층 시트를 90℃의 가열 롤에 안착시켰다. 이때, 토출된 단층 시트와 가열 롤 간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토출 시트를 가열 롤과 그 반대편에 위치한 엠보싱 처리된 스퀴징 롤(squeezing roll) 사이를 통과시켜 두께 25 μm의 표면 엠보싱된 단층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4: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을 달리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의 제조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두께 25 μm의 표면 엠보싱된 단층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계 필름을 얻었다.
시험예 : 필름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내용매성, 은폐율, 반사율 및 필터압력 변화율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내용매성: 메틸에틸케톤(MEK)을 이용하여 24시간 침지 후 외관 관찰함(O: 외관 이상 없음 / X: 외관 변형(수축 및 광택도 저하 등))
(2) 은폐력: 헤이즈미터(Hazemeter, NDH 5000W, D65, C)를 사용하여 투과율(Total Transmittance, %)을 측정함; 은폐력은 보호되는 기재의 특성을 보완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0~16% 사이가 유리함
(3) 반사율: 울트라스캔 프로(UltraScan Pro; HunterLab)로 550 nm의 광원을 사용하여 측정함; 반사율은 60~85% 범위가 유리함. 상기 범위일 때 응용분야에 따라 달라지나 더 백색 필름에 가까워지는 이점이 있음
(4) 필터압력 변화율(△P): 1시간 압출 후기 압력 - 압출 초기 압력; 무기물의 분산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P=40 이하여야 분산이 양호하고 외관이 우수함
구성 성분 물성값
중량부
PVDF(1) ZnS(2) PMMA(3) TiO2 (4) 카본블랙(5) 내용매성 은폐력 반사율 △P
실시예1 80 20 O 15.67 78.64 19
실시예2 70 30 O 13.85 82.12 23
실시예3 60 40 O 12.49 82.76 27
실시예4 60 40 0.01 O 9.69 77.69 29
실시예5 60 40 0.012 O 8.22 76.02 30
실시예6 60 40 0.014 O 7.05 73.42 31
실시예7 60 40 0.016 O 6.55 72.37 32
실시예8 60 40 0.018 O 4.66 70.18 32
실시예9 60 40 0.1 O 0.53 65.25 35
실시예10 60 40 0.2 O 0.12 61.64 37
실시예11 50 50 O 9.75 83.28 40
비교예1 90 10 O 19.82 74.81 13
비교예2 40 60 O 7.61 84.67 58
비교예3 60 40 0.3 O 0.02 56.82 40
비교예4 60 30 10 X 21.73 81.96 35
(1): PVDF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MVI 24g/10분: ASTM D1238, 230℃, 5kg 하중; Solvay사)
(2): ZnS (황화아연; Sachtleben사)
(3): PMMA (LG MMA사, HI835M)
(4): TIO2 (Dupont사, R104)
(5): 카본블랙 (EVONIK, 50LB)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PVDF 50 내지 80 중량% 및 ZnS 20 내지 50 중량%를 사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11의 필름은 상기 함량을 벗어나는 비교예 1, 2 및 4의 필름에 비해 내용매성, 은폐력, 반사율 및 필터압력 변화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본블랙을 0.01 내지 0.2 중량%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된 실시예 4 내지 10의 필름은 카본블랙을 포함하지 않은 필름에 비해 상기 특성들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들은 본 발명이 제시한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함으로써 내용매성, 은폐력, 반사율 및 필터압력 변화율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Claims (8)

  1.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 50 내지 80 중량% 및 황화아연(ZnS)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0.2 중량부의 카본블랙(carbon black)을 추가로 포함하고, 건축 내/외장 및 항공기 내장재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0 내지 16%의 은폐력 및 60 내지 85%의 반사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공중합체가 적어도 50 중량%의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상기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공중합가능한 나머지량의 다른 불소화된 단량체를 포함하는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된 단량체가 불화 비닐,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1,2-디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메틸 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에틸 비닐)에테르, 퍼플로오로(프로필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1,3-디옥솔),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가 모세관 유량계를 사용하여 100S-1의 전단속도로 230℃에서 측정시 100~2,500 Pa·s의 점도를 갖는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수지 50~70 중량% 및 황화아연(ZnS) 30~5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아연이 100 내지 500 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KR1020130103587A 2013-08-30 2013-08-30 내용매성 및 은폐력이 우수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Expired - Fee Related KR10152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587A KR101521614B1 (ko) 2013-08-30 2013-08-30 내용매성 및 은폐력이 우수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587A KR101521614B1 (ko) 2013-08-30 2013-08-30 내용매성 및 은폐력이 우수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886A KR20150027886A (ko) 2015-03-13
KR101521614B1 true KR101521614B1 (ko) 2015-05-20

Family

ID=5302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5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1614B1 (ko) 2013-08-30 2013-08-30 내용매성 및 은폐력이 우수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7615A1 (en) * 2018-02-16 2019-08-21 Venator Germany GmbH Thermoconductive filler particles and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4476A1 (en) * 2008-10-13 2011-01-20 Guy Philip C Fluoropolymer/particulate filled protective sheet
KR20110079682A (ko) * 2008-10-16 2011-07-07 솔베이 솔렉시스 에스.피.에이. 태양전지의 광기전력 소자를 위한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불투명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
KR20120083670A (ko) * 2011-01-18 2012-07-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내후성이 우수한 백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KR20130006410A (ko) * 2012-12-26 2013-01-1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단층 PVdF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4476A1 (en) * 2008-10-13 2011-01-20 Guy Philip C Fluoropolymer/particulate filled protective sheet
KR20110079682A (ko) * 2008-10-16 2011-07-07 솔베이 솔렉시스 에스.피.에이. 태양전지의 광기전력 소자를 위한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불투명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
KR20120083670A (ko) * 2011-01-18 2012-07-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내후성이 우수한 백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KR20130006410A (ko) * 2012-12-26 2013-01-1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단층 PVdF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886A (ko) 2015-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0605B (zh) 耐候性多层膜
JP5871922B2 (ja) 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樹脂フィルム、多層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並びに、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2177204B (zh) 暗色系氟树脂薄膜和太阳能电池组件用背板
TWI461438B (zh) 供光伏打電池應用而建基於不帶有丙烯酸系聚合物味道之氟聚合物與氧化鋅的膜
JP5641081B2 (ja) ポリクロロトリフルオロエチレン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
CN111093946B (zh) 真空成型用树脂薄膜
CN105307860B (zh) 多层复合材料
KR102174324B1 (ko) 라미네이트 강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시트
JP2016535799A (ja) 紫外線吸収剤を含有するフッ素化組成物および透明保護層としてのこの使用
JP2013545831A (ja) 太陽光発電用途のためのフルオロポリマー系フィルム
KR101275850B1 (ko) 단층 PVdF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1614B1 (ko) 내용매성 및 은폐력이 우수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KR101227552B1 (ko) 단층 PVdF 연신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백시트
CN113905888B (zh) 含氟片材及包括其的层压钢板
KR101678990B1 (ko) 내후성이 우수한 백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EP3730297B1 (en) Resin laminat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lamine decorative panel
KR101399422B1 (ko) 단층 PVdF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774105B (zh) 一种耐候氟合金膜
KR101831901B1 (ko)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9082B1 (ko)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1195B1 (ko) 백시트
TWI744651B (zh) 層壓鋼板、其製造方法及使用於其的片材
KR101762337B1 (ko) 폴리머 필름, 태양 전지 패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JPH0790152A (ja) 艶消し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フィルム
KR101658184B1 (ko) 폴리머 필름, 태양 전지 패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