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806B1 -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ing the bezel - Google Patents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ing the bez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0806B1 KR101520806B1 KR1020140144647A KR20140144647A KR101520806B1 KR 101520806 B1 KR101520806 B1 KR 101520806B1 KR 1020140144647 A KR1020140144647 A KR 1020140144647A KR 20140144647 A KR20140144647 A KR 20140144647A KR 101520806 B1 KR101520806 B1 KR 1015208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output unit
- information
- output
- sou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057674 Phoenicococc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베젤을 이용한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는, 시간정보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동작에 대응되는 화면이 상기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베젤을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방법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를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A wristwatch type portable terminal using a bezel is disclosed.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 rotation unit rotatably provided at an edge of the image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ausing the image output unit to output a scree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tion unit. Accordingly, various methods of operating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used by using the bezel of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s an input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베젤을 이용한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젤을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조작방법을 다양하게 제공하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일종으로 원거리 및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성이 매우 우수하다.Generally,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s a type of mobile electronic device, which enables remote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is convenient to use and has excellent portability.
더불어, 최근에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동되어 스마트 기기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도 스마트 기기를 대신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가 큰 인기를 얻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in place of a smart device without being directly used by a smart device in a state of being worn on the wrist of a user and interacting with the smart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여기서,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는 시계형상의 본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본체는 해당 구성부들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어 해당기능을 제공하고 스피커 등의 주변기기가 구성된다. Here,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lock-shaped main body, and the main body provides a corresponding function by interfacing with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speaker is constituted.
한편, 최근에는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에 전면 터치스크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전면에 터치스크린을 설치하여, 터치 동작에 따른 터치위치를 검출하며,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반영한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a front touch screen has been widely used in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That is, a touch screen is installed on the screen of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to detect the touch position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and reflects the touch position on the display module.
하지만,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화면 부분이 다른 스마트 기기들의 전면부 스크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터치스크린만으로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However, in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since the screen portion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front-side screen of other smart devices,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by using only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방법에 있어서,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베젤을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방법을 다양하게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by using a bezel of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s an input device, And various manipulation methods are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는, 시간정보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동작에 대응되는 화면이 상기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 rotation unit rotatably provided at an edge of the image output unit; And a controller for causing the image output unit to output a scree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tion unit.
그리고,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시간정보나 상기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문자판이며, 화면을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영상출력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베젤일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is a dial for outputting the time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and is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a touch image, and the rotation unit may be a bezel for fixing the image output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부에 상기 상태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가 회전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는 상기 상태정보가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tate information output to the image output unit to be reduced or enlarg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 unit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stat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image output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부에 상기 상태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영상출력부가 터치되는 동작과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출력부에 상기 상태정보 이전 차례의 상태정보나 다음 차례의 상태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video output unit and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tion unit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stat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video output unit,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next turn can be output.
또한,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는,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output unit for outputting acoustic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출력부에 상기 음향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가 회전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음향출력부에 출력되는 상기 음향정보의 볼륨을 낮추거나 높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volume of the sound information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to be lowered or increased when the rotating unit is determined to be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sound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출력부에 상기 음향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영상출력부가 터치되는 동작과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 상기 음향출력부에 상기 음향정보 이전 차례의 음향정보나 다음 차례의 음향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video output unit and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ting unit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sound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next turn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ted.
그리고, 상기 음향정보는, 알람음, 효과음, 음악 및 동영상의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oun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larm sound, an effect sound, music, and a sound of a moving picture.
또한,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미세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fine adjustment unit rotat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그리고, 상기 미세조절부는, 상기 시간정보나 상기 상태정보를 조정할 때 사용되는 용두일 수 있다. The fine adjustment unit may be a crown used for adjusting the time information or the stat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In addition,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수록 상기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는 화면 또는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량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된 후 상기 미세조절부가 회전되면, 상기 미세조절부가 회전될수록 상기 화면 또는 상기 음량이 변경되는 레벨이,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 때 변경되는 레벨보다 느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the rotating unit is rotated, the volume output from the screen or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is sequentially changed as the rotating unit is rotated. When the fine adjustment unit is rotated after the rotation unit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creen or the level at which the volume is changed to be slower than the level that is changed when the rotating unit is rotated.
그리고, 상기 시간정보는 현재 시간, 현재 날짜 및 현재 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태정보는 현재 위치, 주변 온도, 습도, 날씨, 사진, 그림, 지도, 문서,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m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urrent time, a current date and a current day, and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urrent position, a surrounding temperature, a humidity, a weather, a photograph, a picture, a map, And may include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베젤을 새로운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방법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를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used by providing a variety of operating methods of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bezel of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s a new input devic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흐름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a wristwatch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ume of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volume of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a wristwatch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ume of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wristwatch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wristwatch-type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wristwatch-type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ristwatch-ty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는, 베젤을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조작방법을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를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wristwatch-typ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는 영상출력부(110), 회전부(120), 제어부(130), 음향출력부(140) 및 미세조절부(150)를 포함한다.For this, the wristwatch-typ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상태정보나 음향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저장부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such as status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of the wrist-watch-type
영상출력부(110)는 시간정보나 상태정보를 출력한다. The
여기서, 시간정보는 현재 시간, 현재 날짜 및 현재 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할 수 있으며, 상기 상태정보는 현재 위치, 주변 온도, 습도, 날씨, 사진, 그림, 지도, 문서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tim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urrent time, a current date and a current day, and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urrent position, a surrounding temperature, a humidity, a weather, a photograph, a picture, a map, And may include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그리고 영상출력부(110)는 시간정보를 알려주는 손목시계의 문자판이며, 화면을 터치하여 입력하는 전면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된다. The
여기서, 손목시계의 문자판은 손목시계 화면의 배경그림, 시간의 눈금, 날짜의 눈금 및 요일의 눈금 등이 표현되어 있는 손목시계의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dial of the wristwatch may mean a screen of a wristwatch in which a background image of the wristwatch screen, a time scale, a date scale, and a day scale are displayed.
회전부(120)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조작장치로 사용되기 위해 영상출력부(110)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The
또한, 회전부(120)는 손목시계의 문자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베젤일 수 있다. The
제어부(130)는 회전부(120)가 회전되는 동작이 의미하는 명령을 판단하여 명령에 대응되는 화면이나 음향이 각각 영상출력부(110)나 음향출력부(140)에 출력되도록 한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the wristwatch-type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the wristwatch-typ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영상출력부(110)에 상태정보가 출력(S510)되는 상태에서 회전부(120)가 회전된다고 판단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4 and 5, when the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도면 4의 (a)와 같이 영상출력부(110)가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상태에서(S510), 회전부(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고 판단되면(S530),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축소되어 출력되며(S540), 도면 4의 (b)와 같이 영상출력부(110)가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상태에서(S510) 회전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고 판단되면(S560),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확대되어 출력된다(S57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또한, 회전부(120)가 회전되는 범위는 12시를 기점으로 좌우로 각각 90°까지 한정될 수 있으며, 회전부(120)가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영상출력부(100)에 출력되는 화면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정도가 일정한 비율로 변경될 수 있다.The range of the rotation of the
예를 들어, 영상출력부(110)에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회전부(120)가 반대시계방향으로 30°회전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10% 축소될 수 있다면, 회전부(120)가 반대시계방향으로 60°회전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20% 축소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screen output to the
다만, 회전부(120)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되는 화면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정도는 다른 비율로 변경될 수 있다.However, the degree to which the image output to the
다른 예를 들면, 영상출력부(110)에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회전부(120)가 반대시계방향으로 30°회전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10% 축소될 수 있을때, 회전부(120)가 반대시계방향으로 60°회전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20% 축소될 수 있으며, 회전부(120)가 반대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40% 축소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creen is output to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refo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wristwatch-type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wristwatch-typ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음향출력부(140)에 음향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S710), 회전부(120)가 회전된다고 판단되면, 음향출력부(140)에 출력된 음향정보의 볼륨을 낮추거나 높여 출력되도록 한다. 6 and 7, when the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도면 6의 (a)와 같이 음향출력부(140)가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상태에서(S710), 회전부(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고 판단되면(S730-Y), 음향출력부(140)에 출력되는 음향정보의 볼륨을 낮추어 출력되도록 하며(S740), 도면 6의 (b)와 같이 음향출력부(140)가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상태에서(S710), 회전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고 판단되면(S760-Y), 음향출력부(140)에 출력되는 음향정보의 볼륨을 높여 출력되도록 한다(S770).When the
여기서, 음향정보는 알람음, 효과음, 음악 및 동영상의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coustic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larm sound, an effect sound, music, and sound of a moving picture.
이처럼,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에 회전부(120)가 입력장치로 사용됨으로써,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조작방법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ristwatch-ty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설명하자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8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the wristwatch-type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the wristwatch-typ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있고, 영상출력부(110)에 상태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S910), 영상출력부(110)가 터치되는 동작과 회전부(120)가 회전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상태정보 이전 차례의 상태정보나 다음 차례의 상태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8 and 9, at least one stat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따라서, 제어부(130)는 도면 8의 (a)와 같이 영상출력부(110)에 상태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S910), 영상출력부(110)가 터치되는 동작과 회전부(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S925-Y),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상태정보의 이전 차례의 상태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930). Accordingly, when the state information is outputted to the video output unit 110 (S910) as shown in (a) of FIG. 8, the
보충하자면, 제어부(130)는 영상출력부(110)에 상태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S910), 회전부(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만 판단되면(S935-Y)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는 상태정보가 축소되어 출력되도록 한다(S940).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되는 상태정보가 축소되어 출력되는 단계(S540)와 동일하다.In operation S910, when the
또한, 제어부(130)는 도면 8의 (b)와 같이 영상출력부(110)에 상태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S910), 영상출력부(110)가 터치되는 동작과 회전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S955-Y),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상태정보의 다음 차례의 상태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970).8B, when the stat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image output unit 110 (S910), the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a)와 같이 영상출력부(110)에 상태정보가 출력(S910)된 상태에서, (b)와 같이 영상출력부(110)를 터치하면서 동시에 회전부(120)를 회전시킨다면 제어부(130)는 회전부(120)가 회전된다고 판단을 하며 이에 따라 영상출력부(110)에 상기 판단이 의미하는 명령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즉, 제어부(130)는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되는 상태정보의 다음 차례의 상태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8, when the state information is outputted to the video output unit 110 (S910) as shown in (a), the
여기서 상태정보의 이전 차례의 상태정보 또는 다음 차례의 상태정보는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재생목록 이전 차례의 상태정보 또는 다음 차례의 상태정보가 될 수 있으며, 같은 폴더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정보들 중 하나가 제어부가 임의로 판단한 순서에 따라 이전 차례의 상태정보 또는 다음 차례의 상태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같은 이름 또는 같은 형태의 확장자명을 갖고 있는 데이터 파일들 중 하나가 제어부가 임의로 판단한 순서에 따라 이전 차례의 상태정보 또는 다음 차례의 상태정보가 될 수 있다. Here, the previous state information of the state information or the next state information may b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evious order of the play list of the application outputting the state information or the next state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ame folder May be the previous state information or the next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rder arbitrarily judged by the controller. One of the data files having the same name or an extension name of the same type may be the previous state information or the next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rder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또한, 제어부(130)는 영상출력부에 인터넷화면이 출력되는 상태에서(S910), 영상출력부(110)가 터치되는 동작과 회전부(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S925-Y),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인터넷화면의 이전 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S930). The
보충하자면, 제어부(130)는 영상출력부(110)에 상태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S910), 회전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만 판단되면(S965-Y)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는 상태정보가 확대되어 출력되도록 한다(S970).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되는 상태정보가 축소되어 출력되는 단계(S570)와 동일하다.In operation S910, when the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wristwatch-type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wristwatch-typ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동영상의 음향 등의 음향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음향출력부(140)에 음향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S1110), 영상출력부(110)가 터치되는 동작과 회전부(120)가 회전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 음향출력부(140)에 출력되는 음향정보의 이전 차례의 음향정보나 다음 차례의 음향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10 and 11, the
따라서, 제어부(130)는 도면 10의 (a)와 같이 음향출력부(140)에 음향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S1110), 영상출력부(110)가 터치되는 동작과 회전부(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S1125-Y), 음향출력부(140)에 출력되는 음향정보의 이전 차례의 음향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1130).10 (a), the
또한, 제어부(130)는 도면 10의 (b)와 같이 음향출력부(140)에 음향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S1110), 영상출력부(110)가 터치되는 동작과 회전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S1155-Y), 음향출력부(140)에 출력되는 음향정보의 다음 차례의 음향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1160).10B, when the
여기서 음향정보 이전 차례의 음향정보 또는 다음 차례의 음향정보는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재생목록 이전 차례의 음향정보 또는 다음 차례의 음향정보가 될 수 있으며, 같은 폴더에 포함되어 있는 음향정보들 중 이전 차례의 음향정보 또는 다음 차례의 음향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같은 이름 또는 형태의 확장자명을 갖고 있는 데이터 파일들 중 하나가 제어부가 임의로 판단한 순서에 따라 이전 차례의 음향정보 또는 다음 차례의 음향정보가 될 수 있다. Here, the previous or subsequent sound information of the sound information may be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previous order of the play list or the next sound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that outputs the sound information, and among the soun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ame folder It may be the previous one or the next one. One of the data files having the extension name of the same name or type can be the previous or next audi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rder determined arbitrarily by the control unit.
그리고, 제어부는 음향출력부(140)에 음향정보 중 mp3, flac, wma, mid. wav와 같은 확장자명를 갖고 있는 음악파일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는 때, 영상출력부(110)가 터치된다고 판단되는 상황에서, 회전부(120)가 1초 미만으로 아주 짧게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고 판단되면, 음향출력부(140)에 출력되는 음악의 처음부분이 출력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또한,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인터넷에서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for playing the music file may be an application embedded in the wristwatch-type
이처럼,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에 회전부(120)가 입력장치로 사용될 때, 화면출력부(110)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함께 사용 및 응용됨으로써,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조작방법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설명하자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screen of the wristwatch-type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the wristwatch-type
그리고, 미세조절부(150)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시간정보나 날짜정보를 조정할 때 사용되는 용두일 수 있다.The
제어부(130)는 미세조절부(150)가 회전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되는 시간정보나 날짜정보와 같은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본 정보들이 조정되도록 한다. When the
제어부(130)는 회전부(120)가 회전될수록 상기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되는 화면 또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량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부(120)가 회전된 후 상기 미세조절부(150)가 회전되면, 상기 미세조절부(150)가 회전될수록 상기 화면 또는 상기 음량이 변경되는 레벨이, 상기 회전부(120)가 회전될 때 변경되는 레벨보다 느리도록 제어한다. The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도면 12의 (a)와 같이 영상출력부(110)에 상태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S1310), 회전부(120)가 회전되는 동작이 일어난 후, 미세조절부(15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의미하는 명령을 판단하면(S1325-Y), 제어부(130)는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되는 화면이 축소되는 레벨이, 회전부(120)가 회전될 때 축소되는 레벨보다 느리도록 제어하여 출력되도록 한다(S1330). 12 and 13, in a state in which status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image output unit 110 (S1310) as shown in FIG. 12 (a), the
부가적으로, 제어부(130)는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되는 화면이 축소되는 레벨이, 회전부(120)가 회전될 때 축소되는 레벨보다 느리도록 제어하여 출력되도록 한다는 내용을 다시 설명하면, 만약에 영상출력부(110)에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회전부(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30°회전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10% 축소되며, 회전부(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60°회전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20% 축소된다고 가정하면, 회전부(120)가 회전되는 동작이 일어난 후, 미세조절부(15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30°회전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1% 축소되며, 회전부(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60°회전되면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이 2% 축소된다고 볼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회전부(120)나 미세조절부(150)가 회전하는 각도와 이에 따라 축소 또는 확대되어 출력되는 화면의 비율(ex.회전부(120)가 30°회전시 화면이 축소되는 비율 10%, 미세조절부(150)가 30°회전시 화면이 축소되는 비율 1%)은 달라질 수 있으며, 회전부(150)와 미세조절부(150)가 회전시에 상호간의 화면을 축소시키는 비율의 차이(ex.회전부:미세조절부 = 10:1)는 달라질 수 있다.The ratio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또한, 제어부(130)는 도 12의 (b)와 같이 영상출력부(110)에 상태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S1310), 회전부(120)가 회전되는 동작이 일어난 후, 미세조절부(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의미하는 명령을 판단하면(S1355-Y), 제어부(130)는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되는 화면이 축소되는 레벨이, 회전부(120)가 회전될 때 축소되는 레벨보다 느리도록 제어하여 출력되도록 한다(S1360).12B, the
따라서,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고 싶을 때, 회전부(120)만으로 정확한 화면의 크기 조절이 힘들다면, 미세조절부(140)를 이용하여 보다 세밀하고 정확한 화면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Accordingly, if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djust the size of the screen using only the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wristwatch-type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흐름도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wristwatch-type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도면 14의 (b)와 같이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음량이 출력된 상태에서(S1510), 회전부(120)가 회전되는 동작이 일어난 후, 미세조절부(15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의미하는 명령을 판단하면(S1525-Y), 제어부(130)는 영상출력부(110)에 출력되는 화면이 축소되는 레벨이, 회전부(120)가 회전될 때 축소되는 레벨보다 느리도록 제어하여 출력되도록 한다(S1530). 14 and 15, when the volume is outputted from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100 (S1510) as shown in FIG. 14 (b), the
여기서,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음량이 출력(S1510)된 상태는, 음향출력부(140)에서 음향정보가 출력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일 수 있다.Here, the state in which the sound volume is output (S1510) in the wristwatch-type
이처럼,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에 회전부(120)가 입력장치로 사용될 때, 손목시계의 기존 입력장치인 미세조절부(110)가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입력장치로 함께 사용 및 응용됨으로써,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0)의 조작방법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
110 : 영상출력부
120 : 회전부
130 : 제어부
140 : 음향출력부
150 : 미세조절부100: Wrist-watch type portable terminal
110: Video output unit
120:
130:
140:
150: fine adjustment unit
Claims (12)
상기 영상출력부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동작에 대응되는 화면이 상기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부에 상기 상태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가 회전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는 상기 상태정보가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부에 상기 상태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영상출력부가 터치되는 동작과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출력부에 상기 상태정보 이전 차례의 상태정보나 다음 차례의 상태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A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 rotation unit rotatably provided at an edge of the image output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ausing the image output unit to output a scree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tion unit,
Wherein,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output to the video output unit is reduced or enlarg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 unit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status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video output unit,
Wherei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tion unit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stat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image output unit, So tha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output.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시간정보나 상기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문자판이며, 화면을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영상출력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베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output unit comprises:
A touch screen for outputting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The rotation unit includes:
Wherein the bezel is a bezel for fixing the image output unit.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출력부에 상기 음향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가 회전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음향출력부에 출력되는 상기 음향정보의 볼륨을 낮추거나 높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rein the volume of the sound information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is lowered or increas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 unit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sound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상기 영상출력부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동작에 대응되는 화면이 상기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출력부에 상기 음향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영상출력부가 터치되는 동작과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면, 상기 음향출력부에 상기 음향정보 이전 차례의 음향정보나 다음 차례의 음향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A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 rotation unit rotatably provided at an edge of the image output unit;
A control unit for causing the image output unit to output a scree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tion unit; And
And an acoustic output unit for outputting acoustic information,
Wherei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tion unit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sound information is outputted to the sound output unit, So that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output.
상기 음향정보는,
알람음, 효과음, 음악 및 동영상의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coustic information comprises:
An alarm sound, an effect sound, music, and sound of a moving picture.
상기 단말기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미세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ne adjustment unit rotatabl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terminal.
상기 미세조절부는 상기 시간정보를 조정할 때 사용되는 용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ne adjustment unit is a crown used for adjusting the time information.
시간정보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동작에 대응되는 화면이 상기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단말기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미세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수록 상기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는 화면 또는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량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된 후 상기 미세조절부가 회전되면, 상기 미세조절부가 회전될수록 상기 화면 또는 상기 음량이 변경되는 레벨이,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 때 변경되는 레벨보다 느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 In a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A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 rotation unit rotatably provided at an edge of the image output unit;
A control unit for causing the image output unit to output a scree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tion unit; And
And a fine adjustment unit rotatabl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terminal,
Wherein,
As the rotating unit is rotated, the volume output from the screen or the wrist-watch-type portable terminal is sequentially changed as the rotating unit is rotated. When the fine adjustment unit is rotated after the rotation unit is rotat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creen or the level at which the volume is changed to be slower than a level that is changed when the rotation unit is rotated.
상기 시간정보는
현재 시간, 현재 날짜 및 현재 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태정보는,
현재 위치, 주변 온도, 습도, 날씨, 사진, 그림, 지도, 문서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ime information
A current date, a current date, and a current day of the week,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Wherein th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urrent position, an ambient temperature, a humidity, a weather, a photograph, a picture, a map, a document and a moving pictur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4647A KR101520806B1 (en) | 2014-10-24 | 2014-10-24 |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ing the bezel |
PCT/KR2015/011201 WO2016064219A1 (en) | 2014-10-24 | 2015-10-22 |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ing bez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4647A KR101520806B1 (en) | 2014-10-24 | 2014-10-24 |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ing the bez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0806B1 true KR101520806B1 (en) | 2015-05-15 |
Family
ID=5339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4647A Active KR101520806B1 (en) | 2014-10-24 | 2014-10-24 |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ing the beze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0806B1 (en) |
WO (1) | WO2016064219A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26727A1 (en) * | 2016-01-22 | 2017-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KR20180103969A (en) * | 2016-01-14 | 2018-09-19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electronic devices |
US10466817B2 (en) | 2015-10-01 | 2019-11-05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y mounted bezel for intera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n electronic device |
US10712928B2 (en) | 2016-08-30 | 2020-07-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providing visual effects according to bezel-based intera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
CN111522400A (en) * | 2015-06-16 | 2020-08-11 | 英特尔公司 | Rotary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4039A (en) * | 2000-03-31 | 2001-12-14 | Seiko Epson Corp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JP2005017012A (en) * | 2003-06-24 | 2005-01-20 | Seiko Epson Corp | Electronic equipment and watches |
JP2009534662A (en) * | 2006-04-21 | 2009-09-24 | ニクソ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Multifunction watch system and method |
KR20100035672A (en) * | 2008-09-27 | 2010-04-06 | 정세린 | Bluetooth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1113A (en) * | 2007-07-25 | 2009-02-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Wristwatch handheld terminal |
KR101600797B1 (en) * | 2009-07-28 | 2016-03-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650383B1 (en) * | 2010-04-09 | 2016-08-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2014
- 2014-10-24 KR KR1020140144647A patent/KR101520806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10-22 WO PCT/KR2015/011201 patent/WO201606421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4039A (en) * | 2000-03-31 | 2001-12-14 | Seiko Epson Corp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JP2005017012A (en) * | 2003-06-24 | 2005-01-20 | Seiko Epson Corp | Electronic equipment and watches |
JP2009534662A (en) * | 2006-04-21 | 2009-09-24 | ニクソ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Multifunction watch system and method |
KR20100035672A (en) * | 2008-09-27 | 2010-04-06 | 정세린 | Bluetooth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779649A1 (en) * | 2015-06-16 | 2021-02-17 | INTEL Corporation | Gyratory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
EP3779613B1 (en) * | 2015-06-16 | 2024-01-31 | INTEL Corporation | Gyratory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
CN111522400B (en) * | 2015-06-16 | 2023-11-24 | 英特尔公司 | Gyratory sensing system that enhances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
CN111522400A (en) * | 2015-06-16 | 2020-08-11 | 英特尔公司 | Rotary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s |
CN111650993A (en) * | 2015-06-16 | 2020-09-11 | 英特尔公司 | Gyroscopic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
CN111650993B (en) * | 2015-06-16 | 2023-08-22 | 英特尔公司 | Gyratory sensing system that enhances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
EP3779613A1 (en) * | 2015-06-16 | 2021-02-17 | INTEL Corporation | Gyratory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
US11422642B2 (en) | 2015-06-16 | 2022-08-23 | Intel Corporation | Gyratory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
US10996773B2 (en) | 2015-06-16 | 2021-05-04 | Intel Corporation | Gyratory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
US11061492B2 (en) | 2015-06-16 | 2021-07-13 | Intel Corporation | Gyratory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
US11614811B2 (en) | 2015-06-16 | 2023-03-28 | Intel Corporation | Gyratory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
US10466817B2 (en) | 2015-10-01 | 2019-11-05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y mounted bezel for intera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n electronic device |
KR102057981B1 (en) * | 2015-10-01 | 2019-12-20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Electronic devices having a bezel rotatably mounted for interaction,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s |
US11281167B2 (en) | 2016-01-14 | 2022-03-22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n electronic device |
KR102204682B1 (en) | 2016-01-14 | 2021-01-19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electronic devices |
KR20180103969A (en) * | 2016-01-14 | 2018-09-19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electronic devices |
WO2017126727A1 (en) * | 2016-01-22 | 2017-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US10712928B2 (en) | 2016-08-30 | 2020-07-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providing visual effects according to bezel-based intera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64219A1 (en) | 2016-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40759B2 (en) | User terminal device with p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106060228B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6550106B (en) |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520806B1 (en) |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ing the bezel | |
CN105988666B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TWI582679B (en) | Digital analog display with rotating bezel | |
EP2977880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CN104935723B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6470275B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7736031B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9774360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7978321B (en) | Audi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
CA2793763C (en) | Presentation of image on display screen with combination crop and rotation and with auto-resizing of crop field | |
CN105278855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60080034A (en) | Fold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971982B1 (en) | Apparatus capable of sensing touch and touch press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5763914B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 |
EP3113014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JP2018514865A (en) | Wearable device, touch screen thereof, touch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eof | |
CN108293146A (en) | Image display and its operating method | |
CN105103104A (en) |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thereof | |
KR20160031334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8494962A (en) | A kind of alarm clock control method and terminal | |
US10048853B2 (en) |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JP5727310B2 (en) | Mobile terminal, brightness control method and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