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9535B1 -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 - Google Patents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535B1
KR101519535B1 KR1020130106969A KR20130106969A KR101519535B1 KR 101519535 B1 KR101519535 B1 KR 101519535B1 KR 1020130106969 A KR1020130106969 A KR 1020130106969A KR 20130106969 A KR20130106969 A KR 20130106969A KR 101519535 B1 KR101519535 B1 KR 101519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ines
crude oil
cargo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898A (ko
Inventor
김진강
김인수
배재류
추교식
서정대
장영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6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53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은, 갑판에 마련되는 매니 폴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카고 펌프에 연결되는 복수의 어퍼 라인; 카고 펌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카고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카고 탱크에 저장된 원유가 복수의 어퍼 라인을 통해 매니 폴더로 하역(unloading)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바텀 라인; 복수의 어퍼 라인과 복수의 바텀 라인을 연결하여 복수의 어퍼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원유를 카고 펌프를 바이패스하여 카고 탱크로 적하(loading)시키는 바이패스 라인부; 및 복수의 바텀 라인 상호 간 및 복수의 어퍼 라인과 복수의 바텀 라인 상호 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연결시키는 브릿지 라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LOADING/UNLOADING PIPING SYSTEM AND CRUDE OIL CARR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유를 별도의 적하 배관이나 하역 배관이 아닌 하나의 공통된 배관으로 적하역할 수 있는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 채굴된 원유는 유조선을 통해 육상의 소비지로 운반된다. 유조선은 크기별로 보면 파나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선박을 파나막스라 하는데 7만 톤 정도이며, 10만 톤 크기의 선박을 아프라막스라 한다. 수에즈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선박을 수에즈막스로서 15만톤 정도이다. 그리고 30만 톤 크기까지의 선박을 "VLCC(very large croude oil carrier)" 라 하고, 30만 톤 이상의 선박을 "(ultra large oil carrier)"라고 한다. 유조선은 또한 가능한 많은 화물을 실어 톤당 운항비를 줄이기 위해 대형화되어왔다.
유조선은 일반 화물선과 달리 특수한 선창 구조와 여러 가지 적하역 설비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모든 설비는 액체 화물의 운송과 하역을 위한 것이며, 이에 추가하여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설비를 갖추고 있다. 원유 유조선은 선내에 많은 수의 카고 탱크(cargo tank)와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를 갖추고 있다.
화물유는 중앙부에 배치된 카고 탱크에 적재되며, 밸러스트는 원칙적으로 양현에 배치된 분리 밸러스트 탱크(segregated ballast tank)에만 적재된다. 이러한 구조는 충돌에 의해 외판이 손상을 입더라도 기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공선 항해시에는 분리 밸러스트 탱크의 밸러스팅으로 항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해양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유조선에는 여러 종류의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화물유 파이프이다. 화물유 파이프는 보통 카고 라인(cargo line) 또는 카고 파이프(cargo pipe)라 불리며, 갑판 위, 탱크 내 및 펌프실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카고 라인은 탱크 바닥에 종 방향으로 배치되며, 펌프와 흡입 지관을 연결하는 흡입 주관과, 탱크 바닥에 횡 방향으로 배치되며 흡입 주관과 벨 마우스를 연결하는 흡입 지관과, 갑판 상에 종 방향으로 배치되어 올림관과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갑판상 토출관과, 펌프 토출측으로부터 갑판상 토출관 까지를 연결하는 수직 올림관과, 갑판상 흡입 주관을 연결하는 수직 배관과, 카고 라인을 육상 배관과 연결하는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적하역 과정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하 배관(LP, loading pipe)과 하역 배관(UP, unloading pipe)이 사용되었다. 이 경우 적하 배관과 하역 배관이 별도로 마련되므로 선박 건조시에 작업 공수가 증가하게 되고, 선박의 운영시에도 배관의 유지보수에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하역 배관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적하역 시간을 종래와 같이 유지할 수 있는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갑판에 마련되는 매니 폴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카고 펌프에 연결되는 복수의 어퍼 라인; 상기 카고 펌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카고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고 탱크에 저장된 원유가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을 통해 상기 매니 폴더로 하역(unloading)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바텀 라인;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과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을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원유를 상기 카고 펌프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카고 탱크로 적하(loading)시키는 바이패스 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 상호 간 및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과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 상호 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연결시키는 브릿지 라인부를 포함하는 적하역 배관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라인부는,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과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을 상호 연결시키는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마련되는 제1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라인부는,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1 브릿지 라인; 및 상기 제1 브릿지 라인에 마련되는 제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라인부는,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 중 어느 하나의 어퍼 라인과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 중 어느 하나의 바텀 라인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 브릿지 라인; 및 상기 제2 브릿지 라인에 마련되는 제3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고 탱크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의 수평 배관과 수직 배관이 만나는 영역에는 확장부가 마련되어 VOC(Volatile Organic Compound)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조선으로서,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하역 배관시스템이 구비된 유조선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매니 폴더는, 상기 갑판의 상부 중앙에 배치하는 제1 매니폴더; 및 상기 제1 매니폴더와 선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니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고 탱크의 바닥면에는 특정된 위치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마련되어 원유를 적하(loading) 또는 하역(unloading)시키는 어퍼 라인과 바텀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어퍼 라인과 상기 바텀 라인을 연결하되 카고 펌프를 바이패스 하도록 마련되는 바이패스 라인에 의해 단일 된 라인으로 원유를 적하역할 수 있고, 상기 바텀 라인 상호 간 및 상기 어퍼 라인과 상기 바텀 라인 상호 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연결시키는 브릿지 라인에 의해 원유의 하역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역 배관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어퍼 라인과 복수의 바텀 라인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부에 의해 원유의 적하역 라인을 하나의 라인으로 통합하여 적하역 시간을 종래와 같이 유지하면서 적하역 라인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어퍼 라인 상호 간 또는 어퍼 라인과 바텀 라인 상호 간을 연결하는 브릿지 라인부에 의해 원유의 하역 경로를 병렬로 다변화할 수 있어 제한된 시간 내에서 원유의 하역량을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 원유의 적하 배관과 하역 배관이 별도로 마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하역 배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하역 배관시스템의 적하(loading)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적하역 배관시스템의 하역(unloading)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역(unloading) 과정이 브릿지 라인부에 의해 병렬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조선에 복수의 매니 폴더가 마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조선의 카고 탱크에 경사부가 마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하역 배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하역 배관시스템(1)은, 갑판에 마련되는 매니 폴더(50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카고 펌프(CP)에 연결되는 복수의 어퍼(upper) 라인(100)과, 카고 펌프(CP)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카고 탱크(CT)의 내부에 배치되어 카고 탱크(CT)에 저장된 원유가 복수의 어퍼 라인(100)을 통해 매니 폴더(500)로 하역(unloading)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바텀(bottom) 라인(200)과, 복수의 어퍼 라인(100)과 복수의 바텀 라인(200)을 연결하여 복수의 어퍼 라인(100)을 통해 공급되는 원유를 카고 펌프(CP)를 바이패스(bypass)하여 카고 탱크(CT)로 적하(loading)시키는 바이패스 라인부(300)와, 복수의 바텀 라인(200) 상호 간 및 복수의 어퍼 라인(100)과 복수의 바텀 라인(200) 상호 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연결시키는 브릿지 라인부(400)를 구비한다.
복수의 어퍼 라인(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갑판에 마련되는 매니 폴더(50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카고 펌프(CP)에 연결되어 원유의 적하시에는 일부 라인이 로딩(loading) 라인으로, 하역시에는 전체 라인이 언로딩(unloading) 라인으로 이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어퍼 라인(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3개의 어퍼 라인(100) 중 하나의 어퍼 라인(100)은 복수의 바텀 라인(200) 중 하나의 바텀 라인(200)과 연결되어 원유의 하역 경로를 병렬로 마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카고 탱크(CT)에 저장된 원유를 도 2를 기준(이하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으로 가장 아래에 위치한 바텀 라인(200), 카고 펌프(CP), 어퍼 라인(100)을 통해 하역 시 어퍼 라인(100)을 통해 하역되는 원유는, 이 어퍼 라인(100)과 제2 브릿지 라인(430)으로 연결되며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된 바텀 라인(200)에 의해 병렬로 매니 폴더(500)로 하역될 수 있다.
즉 가장 아래에 위치한 바텀 라인(200)을 통해 원유가 하역되는 동안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카고 펌프(CP)를 작동시켜 일부 원유를 제2 브릿지 라인(430)으로 회수하여 매니폴더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라인으로 공급되는 원유가 제2 브릿지 라인(430)에 의해 2개의 병렬된 라인으로 공급되므로 하나의 라인으로 원유를 하역할 때와 비교시 같은 시간 내에 더 많은 양의 원유를 하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복수의 바텀 라인(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카고 펌프(CP)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최전방 선수부에 배치되는 카고 탱크(CT)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원유의 적하(loading)시는 바이패스 라인(310)을 통해 공급되는 원유의 로딩 라인으로, 하역(unloading)시는 언로딩 라인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바텀 라인(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바텀 라인(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3개의 바텀 라인(200) 중 하나의 바텀 라인(200)은 다른 하나의 바텀 라인(200)과 연결되어 원유의 하역 경로를 병렬로 마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카고 탱크(CT)에 저장된 원유를 도 5를 기준(이하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한다)으로 가장 아래에 위치한 바텀 라인(200), 카고 펌프(CP), 어퍼 라인(100)을 통해 하역 시 바텀 라인(200)을 통해 하역되는 원유는, 카고 펌프(CP)로 유입되기 전에 이 바텀 라인(200)과 제1 브릿지 라인(410)으로 연결되며 중간 위치에 위치된 바텀 라인(200)에 의해 병렬로 매니 폴더(500)로 하역될 수 있다.
즉 가장 아래에 위치한 바텀 라인(200)을 통해 원유가 하역되는 동안 중간 위치에 배치된 카고 펌프(CP)를 작동시켜 일부 원유를 제1 브릿지 라인(410)으로 회수하여 매니폴더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라인으로 공급되는 원유가 제1 브릿지 라인(410)에 의해 2개의 병렬된 라인으로 공급되므로 하나의 라인으로 원유를 하역할 때와 비교시 같은 시간 내에 더 많은 양의 원유를 하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 경우는 바텀 라인(200)과 바텀 라인(200)을 연결하고, 카고 펌프(CP)로 원유가 유입되기 전에 원유를 분기하여 병렬로 배출시키는 점에서 전술한 어퍼 라인(100)과 바텀 라인(200)을 분기하는 것과 차이점이 있다.
한편 카고 탱크(CT)에 근접 배치되는 바텀 라인(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관(210)과 분기관(220)으로 분기되고, 분기관(220)은 남은 잔유를 스트립핑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관(210)은 수평 배관과 수직 배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의 수평 배관과 수직 배관이 만나는 부분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어 원유의 유속 증가가 일어나고, 이로 인한 압력 강하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인 VOC(Volatile Organic Compound)가 발생 된다.
특히, VOC는 원유의 초기 적하시 원유 적하 배관망의 수직 배관 내에서 자주 발생하게 된다. 즉 수평 배관을 통해 공급된 원유는 수직 배관에서 중력에 의해 급격히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수직 배관 내의 상단부에서 과도한 압력 강하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 수직 배관 내의 상단부 압력이 증기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직 배관 내의 상단부에서 원유로부터 VOC의 증발이 현저하게 일어나게 된다.
본 실시 예는 수평 배관과 수직 배관이 만나는 영역에 수평 배관과 수직 배관 보다 직경이 큰 확장부를 마련하여 절곡 부분에서 과도한 압력 강하를 방지하여 VOC의 발생을 저감 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확장부의 직경은 수평 배관과 수직배관의 직경 보다 2.5~4배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확장부의 수치 한정은 VOC의 저감과 요구되는 원유의 적하역 속도인 5~6m/s를 최적으로 고려한 것이다.
바이패스 라인부(300)는, 원유를 카고 탱크(CT)로 적하(loading) 시 원유가 카고 펌프(CP)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카고 탱크(CT)로 공급되도록 하여 원유의 적하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 예는 원유를 하역시 카고 탱크(CT)에 저장된 원유는 바텀 라인(200), 카고 펌프(CP), 어퍼 라인(100), 매니폴더를 순차적으로 거쳐 하역되고, 적하시는 매니 폴더(500), 일부 어퍼 라인(100), 바이패스 라인(310), 바텀 라인(200)을 순차적으로 거쳐 카고 탱크(CT)에 적하 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바이패스 라인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라인(10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바텀 라인(200)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310)과, 바이패스 라인(310)에 마련되어 바이패스 라인(310)을 개폐시키는 제1 밸브(320)를 포함한다.
브릿지 라인부(400)는, 원유의 하역 시 전술한 바와 같이 원유의 하역 경로를 병렬로 마련하여 동일한 주어진 시간 내에서 원유를 더 많이 하역하여 원유의 하역 시간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브릿지 라인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텀 라인(200) 중 가장 아래에 위치된 바텀 라인(200)과, 중간 위치에 배치된 바텀 라인(200)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1 브릿지 라인(410)과, 제1 브릿지 라인(410)에 마련되어 제1 브릿지 라인(410)을 개폐시키는 제2 밸브(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바텀 라인(200)의 연결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가장 아래에 위치된 바텀 라인(200)과 가장 위에 위치한 바텀 라인(200)을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브릿지 라인(410)과 제2 밸브(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의 제1 브릿지 라인(410)과 제2 밸브(420)는 예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브릿지 라인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퍼 라인(100)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어퍼 라인(100)과 복수의 바텀 라인(200) 중 가장 위에 위치한 바텀 라인(200)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 브릿지 라인(430)과, 제2 브릿지 라인(430)에 마련되어 제2 브릿지 라인(430)을 개폐시키는 제3 밸브(4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어퍼 라인(100)과 바텀 라인(200)의 연결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가장 아래에 위치한 어퍼 라인(100)과 중간 위치에 배치된 바텀 라인(200)을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실시 예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하역 배관시스템의 적하(loading)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매니 폴더(500)로 유입되는 원유는 어퍼 라인(100)을 통해 선체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카고 펌프(CP)에 근접 배치되게 마련된 밸브는 닫혀 카고 펌프(CP)로 원유는 공급되지 않는다. 어퍼 라인(100)을 통해 공급되는 원유는 바이패스 라인(310)에 마련된 제1 밸브(320)의 개방에 의해 바텀 라인(200)을 통해 카고 탱크(CT)의 내부로 공급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적하역 배관시스템의 하역(unloading)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카고 탱크(CT)에 저장된 원유는 카고 펌프(CP)의 작동에 의해 바텀 라인(200)으로 유입되고, 바텀 라인(200)으로 유입된 원유는 카고 펌프(CP)와 어퍼 라인(100)을 통해 매니 폴더(500)로 공급된다. 매니 폴더(500)로 공급된 원유는 매니 폴더(500)와 육상의 저장소를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육상의 저장소로 하역되어 저장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역 과정이 브릿지 라인부에 의해 병렬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도 4의 하역 과정 중에 하역 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원유의 하역 속도는 규정에 의해 5~6m/s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브릿지 라인부(400)를 통해 원유의 하역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아래에 위치한 바텀 라인(200)과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바텀 라인(200)을 연결하는 제1 브릿지 라인(410)에 마련된 제2 밸브(420)를 개방하면 원유의 하역 경로가 병렬로 되므로 주어진 시간 내에 더 많은 원유를 하역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원유의 하역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조선에 복수의 매니 폴더가 마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본 실시 예의 적하역 배관시스템(1)은, 도 6에 도시된 유조선(1a)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유조선(1a)의 갑판에는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매니 폴더(500)가 마련되어, 원유의 멀티 적하역이 가능하다.
또한, 위와 같은 복수의 매니 폴더(500)를 이용함으로써, 정격속도(5~6m/s)를 만족하면서 적하역 유로의 단면적 증가를 통해 오일 적하역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오일의 적하역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매니폴더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제1 매니폴더(510)와, 선수부와 선체의 중앙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는 제2 매니폴더(5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매니 폴더(500)는 그 개수나 배치 위치에 제한 없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매니 폴더(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에 마련되는 프레임(511)과, 프레임(511)에 마련되며 개방된 단부가 좌현(port)을 향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커넥팅 배관(512)과, 프레임(511)에 마련되며 개방된 단부가 우현(starboard)을 향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커넥팅 배관(513)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1 커넥팅 배관(512)과 제2 커넥팅 배관(513)에는 적하시에는 FPSO의 로딩 암(loading arm)이 연결될 수 있고, 하역시에는 접안설비, SPM(Single Point Mooring), 내해 하역구조물의 로딩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조선의 카고 탱크에 경사부가 마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카고 탱크(CT)의 바닥에는 하역되는 원유의 잔류를 최소화 내지 억제할 수 있고, 원유가 집중되는 위치로부터 원활하게 하역되도록 경사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600)는, 카고 탱크(CT)의 바닥면에 특정된 위치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특정된 위치란 원유를 최종적으로 하역시키기 위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경사부(600)는 일례로 경사를 이루는 평면일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곡률면 이거나, 곡률면과 평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면일 수 있다.
또한, 경사부(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유가 이동하여 가장 낮은 지점인 저점부(610)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이상의 경사각(θ)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액체화물의 점성에 따라 경사각(θ)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카고 탱크(CT)의 바닥부를 이중으로 하되 선체에 접하는 부분은 편평하게 하고, 경사부(600)를 편평한 부분으로부터 이격 되게 마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경사부(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카고 탱크(CT)의 바닥 자체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선체와 경사부(600) 사이의 공간은 지지대나 받침대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처럼 일례로 카고 탱크(CT)의 바닥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서리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어퍼 라인과 복수의 바텀 라인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부에 의해 원유의 적하역 라인을 하나의 라인으로 통합하여 적하역 시간을 종래와 같이 유지하면서 적하역 라인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어퍼 라인 상호 간 또는 어퍼 라인과 바텀 라인 상호 간을 연결하는 브릿지 라인부에 의해 원유의 하역 경로를 병렬로 다변화할 수 있어 제한된 시간 내에서 원유의 하역량을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적하역 배관시스템 1a : 유조선
100 : 어퍼 라인 200 : 바텀 라인
210 : 주기관 220 : 분기관
300 : 바이패스 라인부 310 : 바이패스 라인
320 : 제1 밸브 400 : 브릿지 라인부
410 : 제1 브릿지 라인 420 : 제2 밸브
430 : 제2 브릿지 라인 440 : 제3 밸브
500 : 매니 폴더 510 : 제1 매니폴더
520 : 제2 매니폴더 600 : 경사부
610 : 저점부 CT : 카고 탱크

Claims (9)

  1. 갑판에 마련되는 매니 폴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카고 펌프에 연결되는 복수의 어퍼 라인;
    상기 카고 펌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카고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고 탱크에 저장된 원유가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을 통해 상기 매니 폴더로 하역(unloading)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바텀 라인;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과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을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원유를 상기 카고 펌프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카고 탱크로 적하(loading)시키는 바이패스 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 상호 간 및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과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 상호 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연결시키는 브릿지 라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릿지 라인부는,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 중 어느 하나의 어퍼 라인과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 중 어느 하나의 바텀 라인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 브릿지 라인; 및
    상기 제2 브릿지 라인에 마련되는 제3 밸브를 포함하는 적하역 배관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라인부는,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과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을 상호 연결시키는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마련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는 적하역 배관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부는,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1 브릿지 라인; 및
    상기 제1 브릿지 라인에 마련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적하역 배관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고 탱크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의 수평 배관과 수직 배관이 만나는 영역에는 확장부가 마련되어 VOC(Volatile Organic Compound)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역 배관시스템.
  6. 유조선으로서,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하역 배관시스템이 구비된 유조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매니 폴더는,
    상기 갑판의 상부 중앙에 배치하는 제1 매니폴더; 및
    상기 제1 매니폴더와 선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니폴더를 포함하는 유조선.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카고 탱크의 바닥면에는 특정된 위치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선.
  9. 선체에 마련되어 원유를 적하(loading) 또는 하역(unloading)시키는 어퍼 라인과 바텀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어퍼 라인과 상기 바텀 라인을 연결하되 카고 펌프를 바이패스 하도록 마련되는 바이패스 라인에 의해 단일 된 라인으로 원유를 적하역할 수 있고,
    상기 바텀 라인 상호 간 및 상기 어퍼 라인과 상기 바텀 라인 상호 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연결시키는 브릿지 라인에 의해 원유의 하역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브릿지 라인부는,
    상기 복수의 어퍼 라인 중 어느 하나의 어퍼 라인과 상기 복수의 바텀 라인 중 어느 하나의 바텀 라인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 브릿지 라인; 및
    상기 제2 브릿지 라인에 마련되는 제3 밸브를 포함하는 적하역 배관시스템.
KR1020130106969A 2013-09-06 2013-09-06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 KR10151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969A KR101519535B1 (ko) 2013-09-06 2013-09-06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969A KR101519535B1 (ko) 2013-09-06 2013-09-06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898A KR20150028898A (ko) 2015-03-17
KR101519535B1 true KR101519535B1 (ko) 2015-05-13

Family

ID=5302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969A KR101519535B1 (ko) 2013-09-06 2013-09-06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111B1 (ko) 2018-05-18 2019-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카고탱크의 원유 언로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6671A (ja) * 2011-02-25 2012-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ンカーの荷役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6671A (ja) * 2011-02-25 2012-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ンカーの荷役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898A (ko) 201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7804B1 (ja) 液化ガス貯蔵設備を備えた浮体構造物及びその設計方法
KR101738027B1 (ko) 직렬 해양의 화물 전달을 위한 수축 가능 lng 화물 전달 선수 매니폴드
US20100139547A1 (en) Piping structure for oil tanker
RU2570854C2 (ru) Носовая станция загрузки с двойной палубой для криоге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CN106163913A (zh) 带有用于液态气体的燃料箱的船
KR101259630B1 (ko) 액상 화물 하역 장치
US20190009864A1 (en) Oil Tanker
KR20120004998U (ko) Lng 벙커링선의 다층 구조 매니폴드
KR101519535B1 (ko)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
NO175424B (no) Fremgangsmåte og fartöy for offshore oljelasting
CN116075464A (zh) 浮体、液化二氧化碳的装载方法及液化二氧化碳的卸载方法
KR101363507B1 (ko) 액체 화물 운송선
US11401154B2 (en) System for transferring crude oil from an onshore location to a vessel
US7905191B2 (en) Gas expansion trunk for marine vessels
KR20110069241A (ko) 선박의 연료유 탱크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KR101778809B1 (ko) 부유식 가스 처리 설비
JP5660929B2 (ja) タンカーの荷役設備
CN116507550A (zh) 浮体
KR20150009273A (ko) 탱커의 오일 적하역 장치
CN114340994B (zh) 用于协助将流体烃类货物装载到运输船上的支援船以及相关的系统和方法
JP6426250B1 (ja) ガス燃料船の燃料揮発ガス排出バンカーステーション構造
KR20020000977A (ko) 해상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비상시 안전을 위한화물이송장치
KR20160121127A (ko) 선박에서의 액화천연가스 배출 시스템
US8567330B2 (en)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a very large floating barge for example for processing gas or crude oil at sea
JP3105514U (ja) タンカーのマニホールド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