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5819B1 -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819B1
KR101515819B1 KR1020150024948A KR20150024948A KR101515819B1 KR 101515819 B1 KR101515819 B1 KR 101515819B1 KR 1020150024948 A KR1020150024948 A KR 1020150024948A KR 20150024948 A KR20150024948 A KR 20150024948A KR 101515819 B1 KR101515819 B1 KR 101515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bottom plate
handrail
rail
stra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규
Original Assignee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24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8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형태로 된 레일고정구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평행한 직선절개홈(32a)(32b)을 핸드레일(30)의 바닥판(32) 끝에서부터 안쪽으로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직선절개홈(32a)(32b)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L자절곡부(42a)(44a)를 레일고정구(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평절곡부(42)(44)에서 서로 대향하게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32)의 상면에 밀착되는 적층부(42b)(44b)를 L자절곡부(42a)(44a)의 상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하고, 바닥판(32)을 적층부(42b)(44b) 밑으로 안내하기 위한 상향절곡편(42c)(44c)을 적층부(42b)(44b)의 일측단에서 모두 동일방향으로 형성하며, 직선절개홈(32a)(32b) 사이에 위치되는 장공(34)을 바닥판(32)에 형성하고, 장공(34)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50)를 체결하기 위한 탭구멍(42t)을 적층부(42b)에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Railing fixture apparatus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난간의 핸드레일 양단을 외벽에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난간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널형태로 된 레일고정구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된 난간은 외벽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핸드레일과, 핸드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하부레일과, 핸드레일과 하부레일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난간동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핸드레일의 단부에 끼워지는 채널형태의 레일고정구를 이용해서 핸드레일을 외벽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난간을 공동주택의 외벽에 고정하기 위한 종래 난간고정장치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형태의 레일고정구(12)를 핸드레일(10)의 단부에 끼운 다음 레일고정구(12)의 상부와 측부에 형성된 플랜지(13)(14)를 외벽(도시생략)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플랜지(13)(14)에 형성된 체결구멍(13a)(14a)으로 고정스크류(15)(16)를 삽입하여 외벽에 설치된 인서트(도시생략)에 고정스크류(15)(16)를 결합함으로써 핸드레일(10)을 외벽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레일고정구(12)를 핸드레일(10)에 삽입할 때 핸드레일(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난간동자(11)와 레일고정구(12)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고정구(12)의 하부가 "ㄷ"자 모양으로 개방되어 있었으며, 핸드레일(10)이 레일고정구(12)의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고정구(12)의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절곡부(17)(18)를 형성하여 핸드레일(10)의 하부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난간동자(11)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레일고정구(12)의 하부를 개방된 형태로 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핸드레일(10)에 무리한 힘이 작용되는 경우 레일고정구(12)의 하부가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벌어진 레일고정구(12)와 핸드레일(1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면서 난간이 흔들거리는 문제도 발생되었다.
KR 10-1364518 B1 KR 10-144895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레일고정구의 하부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이 개방된 평행한 직선절개홈을 핸드레일의 바닥판 끝에서부터 안쪽으로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직선절개홈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L자절곡부를 레일고정구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평절곡부에서 서로 대향하게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적층부를 L자절곡부의 상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하고, 바닥판을 적층부 밑으로 안내하기 위한 상향절곡편을 적층부의 일측단에서 모두 동일방향으로 형성하며, 직선절개홈 사이에 위치되는 장공을 바닥판에 형성하고, 장공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탭구멍을 적층부에 형성하여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레일고정구를 핸드레일에 결합할 때 L자절곡부가 직선절개홈에 결합되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고정구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L자절곡부에 형성된 적층부가 바닥판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자절곡부가 직선절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핸드레일의 바닥판에 형성된 장공으로 볼트를 통과시킨 다음 적층부에 형성된 탭구멍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드레일과 레일고정구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적층부에 형성된 상향절곡편에 의해 핸드레일의 바닥판을 적층부 밑으로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고정구와 핸드레일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측 사시도
도 3은 종래 레일고정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고정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고정구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평행한 직선절개홈(32a)(32b)을 핸드레일(30)의 바닥판(32) 끝에서부터 안쪽으로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직선절개홈(32a)(32b)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L자절곡부(42a)(44a)를 레일고정구(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평절곡부(42)(44)에서 서로 대향하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서, 직선절개홈(32a)(32b)의 폭을 L자절곡부(42a)(44a)의 두께보다 미세한 공차로 크게 형성하여 L자절곡부(42a)(44a)가 직선절개홈(32a)(32b)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32)의 상면에 밀착되는 적층부(42b)(44b)를 L자절곡부(42a)(44a)의 상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하고, 바닥판(32)을 적층부(42b)(44b) 밑으로 안내하기 위한 상향절곡편(42c)(44c)을 적층부(42b)(44b)의 일측단에서 모두 동일방향으로 형성한다.
예컨대, 두 개의 적층부(42b)(44b) 중에 어느 한쪽의 적층부(42b)를 나머지 적층부(44b)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그 긴 적층부(42b)에 탭구멍(42t)을 형성하도록 한다.
직선절개홈(32a)(32b) 사이에 위치되는 장공(34)을 바닥판(32)에 형성하고, 장공(34)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50)를 체결하기 위한 탭구멍(42t)을 적층부(42b)에 형성하며, 장공(34)을 직선절개홈(32a)(32b)과 평행하게 형성하여 핸드레일(30)을 레일고정구(40)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핸드레일(30)의 바닥판(32)에 형성되는 직선절개홈(32a)(32b)과 장공(34)은 핸드레일(30)의 단부와 난간동자(36)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레일고정구(40)와 핸드레일(30)을 결합할 때 레일고정구(40)와 난간동자(36)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6은 레일고정구(40)에 형성된 플랜지를 나타낸 것이고, 48은 레일고정구(40)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고정구(40)를 핸드레일(30)의 단부에 끼우게 되면, 레일고정구(40)의 수평절곡부(42)(44)에 형성된 L자절곡부(42a)(44a)가 핸드레일(30)의 바닥판(32)에 형성된 직선절개홈(32a)(32b)으로 삽입되며, 동시에 L자절곡부(42a)(44a)에 형성된 적층부(42b)(44b)가 바닥판(32)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미끄러지게 된다.
이때 적층부(42b)(44b)에 형성된 상향절곡편(42c)(44c)에 의해 바닥판(32)이 적층부(42b)(44b) 밑으로 부드럽게 안내되면서 바닥판(32)의 끝부분이 적층부(42b)(44b)의 측면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레일고정구(40)를 벽면에 고정한 다음 핸드레일(30)의 바닥판(32)에 형성된 장공(34)으로 볼트(50)를 삽입하여 적층부(42b)에 형성된 탭구멍(42t)에 결합하게 되면, 레일고정구(40)와 핸드레일(30)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 장공(34)이 직선절개홈(32a)(32b)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공(34)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이동범위 내에서 핸드레일(30)을 길이방향으로 움직여서 조정하여도 탭구멍(42t)이 장공(34)에 위치하기 때문에 볼트(50)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일고정구(40)와 핸드레일(3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핸드레일(30)에 측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면서 레일고정구(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평절곡부(42)(44)가 벌어지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수평절곡부(42)(44)에 형성된 L자절곡부(42a)(44a)가 직선절개홈(32a)(32b)에 걸려 있기 때문에 수평절곡부(42)(44)의 벌어짐이 방지된다.
30 : 핸드레일 32 : 바닥판
32a,32b : 직선절개홈 34 : 장공
36 : 난간동자 40 : 레일고정구
42,44 : 수평절곡부 42a,44a : L자절곡부
42b,44b : 적층부 42c,44c : 상향절곡편
42t : 탭구멍 46 : 플랜지
48 : 앵커볼트 50 : 볼트

Claims (1)

  1. 일측이 개방된 평행한 직선절개홈(32a)(32b)을 핸드레일(30)의 바닥판(32) 끝에서부터 안쪽으로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직선절개홈(32a)(32b)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L자절곡부(42a)(44a)를 레일고정구(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평절곡부(42)(44)에서 서로 대향하게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32)의 상면에 밀착되는 적층부(42b)(44b)를 L자절곡부(42a)(44a)의 상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하고, 바닥판(32)을 적층부(42b)(44b) 밑으로 안내하기 위한 상향절곡편(42c)(44c)을 적층부(42b)(44b)의 일측단에서 모두 동일방향으로 형성하며, 직선절개홈(32a)(32b) 사이에 위치되는 장공(34)을 바닥판(32)에 형성하고, 장공(34)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50)를 체결하기 위한 탭구멍(42t)을 적층부(42b)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KR1020150024948A 2015-02-23 2015-02-23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Active KR10151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48A KR101515819B1 (ko) 2015-02-23 2015-02-23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48A KR101515819B1 (ko) 2015-02-23 2015-02-23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819B1 true KR101515819B1 (ko) 2015-05-08

Family

ID=5339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948A Active KR101515819B1 (ko) 2015-02-23 2015-02-23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8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611B1 (ko) * 2018-09-21 2019-06-27 (주)건축사사무소테마공간 건축용 난간 연결장치
KR102260885B1 (ko) * 2021-02-16 2021-06-07 (주)우드린 조립식 가림막 휀스
KR102261937B1 (ko) * 2019-11-29 2021-06-09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난간 브라켓
KR102368568B1 (ko) 2021-07-19 2022-02-28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용 발코니난간의 핸드레일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518B1 (ko) * 2013-09-16 2014-02-20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KR101400998B1 (ko) * 2013-12-30 2014-05-29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518B1 (ko) * 2013-09-16 2014-02-20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KR101400998B1 (ko) * 2013-12-30 2014-05-29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611B1 (ko) * 2018-09-21 2019-06-27 (주)건축사사무소테마공간 건축용 난간 연결장치
KR102261937B1 (ko) * 2019-11-29 2021-06-09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난간 브라켓
KR102260885B1 (ko) * 2021-02-16 2021-06-07 (주)우드린 조립식 가림막 휀스
KR102368568B1 (ko) 2021-07-19 2022-02-28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용 발코니난간의 핸드레일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819B1 (ko)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US20220386800A1 (en) Tool-less fast fit bracket
US6573446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n electrical component on a structure
EP2774519B1 (en) Shower door assembly
US7284672B2 (en) Multi-stage fastening structure
US7306482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10855066B2 (en) Adjustable mounting assembly
US20140331564A1 (en) Door Assembly
US20160333579A1 (en) Connector
EP3143218B1 (en) Clamping element; floors or walls formed by such clamping elements, boards and beams
RU2567691C2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раздвижной двери
US20070215773A1 (en) Mounting bracket assembly
EP0487127A1 (en) Wall construction, with wall components fixed by means of blind couplings to framework components
US9301605B2 (en) Rack frame assembly
US20150096258A1 (en) Door assembly
KR102363668B1 (ko) 전자장치 및 계기 함체를 위한 장착 프레임 및 레일
US7083467B2 (en) Connection box stabilizer
EP3199727A1 (en) Lock with improved locking system
EP2832276A1 (en) Door assembly
JPS61187810A (ja) 引き出し式家具部品の前板用取付装置
CN108123730B (zh) 对讲装置壳体及对讲装置
US11021879B2 (en) Wall panel and associated apparatus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US20040255550A1 (en) Supporting and guiding device for holding movable, hanging door or wall elements
JP5225873B2 (ja) ボックス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