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019B1 -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및 액정 배향막 - Google Patents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및 액정 배향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4019B1 KR101514019B1 KR1020130100047A KR20130100047A KR101514019B1 KR 101514019 B1 KR101514019 B1 KR 101514019B1 KR 1020130100047 A KR1020130100047 A KR 1020130100047A KR 20130100047 A KR20130100047 A KR 20130100047A KR 101514019 B1 KR101514019 B1 KR 1015140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ituted
- carbon atoms
- group
- unsubstituted
- liquid crys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6—Aligning ag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NMP | DMF | DMSO | m-크레졸 | 시클로펜탄온 | THF | |
실시예1 | S | S | PS | S | S | PS |
실시예2 | S | S | PS | S | S | PS |
실시예3 | S | S | PS | S | S | PS |
실시예4 | S | S | PS | S | PS | PS |
실시예5 | S | S | PS | S | PS | PS |
실시예6 | S | S | PS | S | PS | PS |
실시예7 | S | S | S | S | S | S |
실시예8 | S | S | S | S | S | S |
실시예9 | S | S | PS | S | S | PS |
실시예10 | S | S | PS | S | PS | S |
실시예11 | S | S | PS | S | PS | S |
실시예12 | S | S | S | S | PS | PS |
비교예1 | S | PS | I | PS | I | I |
비교예2 | S | PS | I | PS | I | I |
비교예3 | S | PS | I | PS | I | I |
광학 이방성 | |
실시예1 | 0.0028 |
실시예2 | 0.0033 |
실시예3 | 0.0051 |
실시예4 | 0.003 |
실시예5 | 0.0034 |
실시예6 | 0.0049 |
실시예7 | 0.0023 |
실시예8 | 0.0029 |
실시예9 | 0.0037 |
실시예10 | 0.0027 |
실시예11 | 0.0033 |
실시예12 | 0.0041 |
Claims (14)
- 하기 화학식 1 내지 3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p, q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20 내지 2000이고,
X1, X2 및 X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환족 산 이무수물 또는 방향족 산 이무수물에서 유래한 4가의 유기기이고,
Y1, Y2 및 Y3는 각각 독립적으로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2가의 유기기이고,
R1은 Y1에 하나 이상 치환된, 신나메이트계 작용기, 쿠마린계 작용기 및 챨콘계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광반응기이며,
R2는 Y2에 하나 이상 치환된, 탄소수 8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8 내지 30의 알릴기(allyl)이며,
R3는 Y3에 하나 이상 치환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작용기, 히드록시 함유 작용기 및 에폭시 함유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광경화기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광반응기 R1은 하기 화학식 1a 내지 1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화학식 1a]
[화학식 1b]
[화학식 1c]
[화학식 1d]
상기 화학식 1a 내지 1d에서,
l은 0 또는 1이고,
B는 단순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카보닐; 카르복시; 에스테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실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헤테로아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D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순결합; 산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E는 단순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렌옥사이드이고,
X는 산소 또는 황이고,
Y 및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이고,
P는 단순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카보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40의 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르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키닐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8의 시클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R10, R11, R12, R13 및 R1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8의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르알킬; 14족, 15족 또는 16족의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탄소수 6 내지 4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알콕시아릴; 시아노; 니트릴; 니트로; 및 히드록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5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 14족, 15족 또는 16족의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는 탄소수 6 내지 40의 헤테로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알콕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 제 1 항에 있어서, 지환족 산 이무수물 또는 방향족 산 이무수물은 1,2,3,4-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CBDA), 5-(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퓨릴)-3-메틸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무수물(DOCDA), 바이시클로옥텐-2,3,5,6-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BODA), 1,2,3,4-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CPDA),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CHDA), 1,2,4-트리카르복시-3-메틸카르복시 시클로펜탄이무수물, 1,2,3,4-테트라카르복시 시클로펜탄이무수물, 피로멜리트산이무수물(PMDA), 비프탈산이무수물(BPDA), 옥시디프탈산이무수물(ODPA),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시산이무수물(BTDA) 및 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이무수물(6-FD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디아민은 파라-페닐렌디아민(p-PDA), 4,4-메틸렌디아닐린(MDA), 4,4-옥시디아닐린(ODA), 메타-비스아미노페녹시디페닐설폰(m-BAPS), 파라-비스아미노페녹시디페닐설폰(p-BAPS), 2,2-비스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BAPP), 2,2-비스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HF-BAPP) 및 1,4-디아미노-2-메톡시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향족 디아민인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반복 단위 : 화학식 2의 반복 단위 : 화학식 3의 반복 단위 = 4 내지 8 : 0.5 내지 4 : 0.5 내지 3의 몰비로 포함하는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R2는 탄소수 8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말단에 불포화기를 갖는 탄소수 8 내지 30의 알릴기인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10,000 내지 5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또는 이의 광경화물을 포함한 광배향층을 포함하는 액정 배향막.
- 제 8 항에 있어서, 광배향층 상의 액정층을 더 포함하는 액정 배향막.
- 제 8 항에 있어서, 광배향층은 광경화기 R3가 가교되어 있는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의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액정 배향막.
- 제 8 항에 있어서, 30 내지 200nm의 두께를 갖는 액정 배향막.
- 제 8 항의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셀.
- 제 12 항에 있어서, IPS(In-Plane Switching) 액정용 액정 셀.
- 제 12 항에 있어서, TN(Twisted-Nematic) 액정용 액정 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010,274 US9791745B2 (en) | 2012-09-07 | 2013-08-26 | Photoalignment polyimide copolymer and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
JP2013175308A JP5758458B2 (ja) | 2012-09-07 | 2013-08-27 | 光配向性ポリイミド系共重合体および液晶配向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99569 | 2012-09-07 | ||
KR1020120099569 | 2012-09-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2883A KR20140032883A (ko) | 2014-03-17 |
KR101514019B1 true KR101514019B1 (ko) | 2015-04-21 |
Family
ID=5064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0047A Active KR101514019B1 (ko) | 2012-09-07 | 2013-08-23 |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및 액정 배향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40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5746B1 (ko) * | 2015-09-08 | 2018-03-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액정 배향제용 중합체 |
KR101879834B1 (ko) | 2015-11-11 | 2018-07-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액정 배향막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소자 |
WO2017082579A1 (ko) * | 2015-11-11 | 2017-05-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액정 배향막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소자 |
KR102417428B1 (ko) * | 2015-12-21 | 2022-07-06 | 주식회사 두산 | 지환족 모노머가 적용된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 |
KR101856725B1 (ko) | 2016-05-13 | 2018-05-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액정 배향제 조성물, 액정 배향막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소자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24459B2 (ja) * | 2002-05-31 | 2010-08-18 | エルシコ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光学配向層調製用分岐ハイブリッドポリマー材料 |
-
2013
- 2013-08-23 KR KR1020130100047A patent/KR10151401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24459B2 (ja) * | 2002-05-31 | 2010-08-18 | エルシコ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光学配向層調製用分岐ハイブリッドポリマー材料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2883A (ko) | 2014-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58458B2 (ja) | 光配向性ポリイミド系共重合体および液晶配向膜 | |
KR101652922B1 (ko) | 광배향성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막 및 이의 형성 방법 | |
KR100913605B1 (ko) | 액정 광배향제, 이를 포함하는 액정 광배향막,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
KR100882586B1 (ko) | 액정 광배향제, 이를 포함하는 액정 광배향막,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
JP2007183564A (ja) | 液晶配向剤 | |
JP5502455B2 (ja) | 液晶光配向剤用エポキシ化合物、液晶光配向剤、及び液晶光配向膜 | |
KR101514019B1 (ko) | 광배향성 폴리이미드계 공중합체 및 액정 배향막 | |
KR101491046B1 (ko) | 광배향막용 조성물 및 광배향막 | |
KR101288571B1 (ko) | 액정 광배향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 광배향막 및 상기 액정 광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 |
KR20120077467A (ko) |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 |
KR101593196B1 (ko) | 인-셀용 광배향막 조성물 및 액정 표시 소자 | |
KR101572657B1 (ko) | 광배향성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막 | |
KR20130049699A (ko) |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 |
KR20120077469A (ko) |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 |
KR101333709B1 (ko) |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 |
JP6828360B2 (ja) |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液晶素子、並びに液晶配向膜及び液晶素子の製造方法 | |
JP2022173076A (ja) |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素子、液晶表示装置、並びに重合体 | |
JP5728539B2 (ja) | 液晶配向膜およびこれを含む液晶セル | |
KR20120077468A (ko) |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 |
KR101245628B1 (ko) | 액정 광배향제용 에폭시 화합물, 액정 광배향제, 및 액정 광배향막 | |
WO2021049255A1 (ja) |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素子 | |
KR101333710B1 (ko) |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 |
TWI850211B (zh) | 液晶配向劑、液晶配向膜及液晶元件 | |
KR101387737B1 (ko) |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 |
KR101333707B1 (ko) |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