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2002B1 -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 Google Patents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002B1
KR101512002B1 KR1020140144376A KR20140144376A KR101512002B1 KR 101512002 B1 KR101512002 B1 KR 101512002B1 KR 1020140144376 A KR1020140144376 A KR 1020140144376A KR 20140144376 A KR20140144376 A KR 20140144376A KR 101512002 B1 KR101512002 B1 KR 10151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vinyl
seeding
main body
seeding dr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호
김문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
Priority to KR1020140144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0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7Arrangements for laying 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서 두둑을 성형하고,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을 자동 수행하는 비닐 피복장치(10)의 실린더(102)에 의해 승강 가능케 설치된 지지프레임(103)에 연결하는 브라켓부(200)와; 상기 브라켓부(200)에 전방 단부를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본체프레임(300)과; 점파수단(401)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프레임(300)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여 내부에 공급되는 종자를 점파하는 파종드럼(400)과; 상기 본체프레임(300)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파종드럼(400)과 이어지는 공급통로(501)를 통해 상기 파종드럼(400)에 종자를 공급하는 종자통(50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파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하 요동으로 인한 미파종을 방지하여 파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닐 피복장치에 의해 파종기가 상하로 회전할 때,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Planters for vinyl covering device}
본 발명은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 등에 의해 견인되는 비닐 피복장치의 후방에 설치되어 파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하 요동으로 인한 미파종을 방지함으로써 파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갈아 놓은 밭을 일구는 작업인 배토 작업을 행하여 작물의 씨앗을 심거나 모종 등을 파종하여 재배하기 위한 두둑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두둑에서 재배되는 작물을 위한 배수, 약제 살포 등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두둑과 두둑 사이에는 고랑을 형성한 후, 작물의 조기성장을 위한 보온 역할과 두둑 표면의 잡초 성장 등을 억제하기 위하여 두둑을 비닐로 덮어씌운 후, 비닐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뚫어 그 구멍에 일정량의 종자를 파종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과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둑을 형성하고, 상기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고, 파종을 하는 등의 일련의 작업을 작업자가 별개로 각각 수행함으로써 상당한 노동력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각 작업을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두둑 성형, 비닐 피복, 파종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는 "비닐 피복장치"가 개발되면서 밭에서 작물을 재배하는데 따른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
'비닐 피복장치'는 주로 보디의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를 형성하여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서 트랙터에서 공급되는 동력이나 유압을 이용하여 두둑을 성형하고, 그와 더불어 비닐 피복, 파종 등 각 기능별로 필요한 부가장치를 보디에 추가로 부설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두둑 성형, 비닐 피복, 파종 등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한 번에 작업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본원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비닐 피복장치를 특허 출원하여 특허등록 제10-1169320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비닐 피복장치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랙터로 견인할 수 있도록 트랙터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전방에 형성한 보디의 후방에 트랙터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실린더와, 보디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프레임을 보디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단부와 지지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승강 가능케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비닐 권취장치, 파종장치 등 다양한 부속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부속장치를 설치한 비닐 피복장치를 트랙터에 연결하여 트랙터를 이용해 견인하면서 두둑을 성형한 후, 비닐을 피복하고, 파종을 하고, 필요에 따라서 약제를 살포하는 등의 일련의 작업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9320호 등록특허공보 제10-0433265호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비닐 피복장치에는 다양한 부속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두둑을 성형한 후 성형 완료한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기 전이나, 비닐을 피복한 후 두둑에 파종을 하기 위하여 파종기를 설치된다.
일반적인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는 비닐 피복장치의 지지프레임에 설치함으로써 트랙터에 의해 비닐 피복장치가 견인되면서 두둑 성형, 비닐 피복, 파종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지지프레임이 지면과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상태에서 파종기에 설치된 파종드럼이 지면과 닿으면서 회전함으로써 파종드럼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점파수단에 의해 두둑에 일정 간격으로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파종기는 지면과 닿으면서 회전하는 파종드럼이 지면에 항상 밀착되도록 파종드럼이 설치되는 본체프레임의 선단부를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비닐 파종기에 의해 견인되면서 파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두둑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돌과 같은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는 파종기가 상하로 크게 요동치면서 파종드럼이 공중에서 공회전하면서 파종 간격을 건너 띄어 파종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파종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미파종현상'은 생산성 저하와 작업 능률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을 할 때에는 '미파종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우려하여 파종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파종 과정에서 두둑 중간 중간에 '미파종현상'이 발생하면 작업자가 '미파종현상'이 발생한 지점을 일일이 확인하여 수작업으로 종자를 파종함으로써 작업에 번거롭고, 작업 시간도 지연되어 작업 능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닐 피복장치를 이용하여 두둑 성형, 비닐 피복, 파종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은 트랙터를 이용하여 농지의 일측 끝에서 타측 끝까지 비닐 피복장치를 견인하면서 이루어진 후, 비닐 피복장치가 농지의 타측 끝에 도달하면 트랙터를 이용해 비닐 피복장치를 선회시켜, 기존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다시 트랙터를 진행하면서 기존에 형성된 두둑 옆에서 다시 두둑 성형, 비닐 피복, 파종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때, 트랙터와 비닐 피복장치를 선회하는 과정에서 파종기의 파종드럼이 지면에 계속 닿아있으면 비닐 피복장치가 선회하는 동안에도 불필요한 지점에 파종이 계속 이루어지기 때문에 트랙터와 비닐 피복장치를 선회할 때에는 파종기 이루어지지 않도록 파종기가 연결되는 비닐 피복장치의 지지프레임을 트랙터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려 파종기의 파종드럼이 지면에 닿지 않게 한 상태에서 트랙터와 비닐 피복장치의 선회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는 파종드럼이 지면과 항상 밀착할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종기가 연결된 지지프레임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지지프레임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지나치게 회전하면서 파종기가 뒤집어 짐으로써 파종기에 적재된 종자가 쏟아지거나, 파종기가 비닐 피복장치의 보디 등에 부딪히면서 파종기가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서 두둑을 성형하고,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을 자동 수행하는 비닐 피복장치(10)의 실린더(102)에 의해 승강 가능케 설치된 지지프레임(103)에 연결하는 브라켓부(200)와; 상기 브라켓부(200)에 전방 단부를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본체프레임(300)과; 원통 형상으로 되어 그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점파수단(401)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프레임(300)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여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내부에 공급되는 종자를 점파하는 파종드럼(400)과; 상기 본체프레임(300) 상부에 설치하고, 저면에는 상기 파종드럼(400)과 이어지는 공급통로(501)를 형성하여 상기 파종드럼(400) 내부에 종자를 공급하는 종자통(50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파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하 요동으로 인한 미파종을 방지함으로써 파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닐 피복장치에 의해 상하로 회전할 때,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는 트랙터 등에 의해 견인되는 비닐 피복장치의 후방에 설치되어 파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하 요동으로 인한 미파종을 방지함으로써 파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 피복장치에 의해 상하로 회전할 때,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여 종자의 손실이나 파종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의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의 실시 예에 따른 흙제거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의 실시 예에 따른 파종기의 하강 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의 실시 예에 따른 파종기의 상승 상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는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서 두둑을 성형하고,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을 자동 수행하는 비닐 피복장치(10)의 실린더(102)에 의해 승강 가능케 설치된 지지프레임(103)에 연결하는 브라켓부(200)와; 상기 브라켓부(200)에 전방 단부를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본체프레임(300)과; 점파수단(401)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프레임(300)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여 내부에 공급되는 종자를 점파하는 파종드럼(400)과; 상기 본체프레임(300)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파종드럼(400)과 이어지는 공급통로(501)를 통해 상기 파종드럼(400)에 종자를 공급하는 종자통(500)을 포함한다.
상기 비닐 피복장치(10)는 보디(101)의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고랑과 두둑을 동시에 성형하는 배토수단과, 상기 배토수단에 의해 형성된 두둑을 단단하게 다지는 다짐수단을 구비하여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서 두둑을 성형한다.
또한, 상기 보디(101) 후방에는 상기 트랙터에서 유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실린더(102)와, 보디(101)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케 지지프레임(103)을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102)의 피스톤로드(102a)를 상기 지지프레임(103)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피스톤로드(102a)의 스트로크(Stroke)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3)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3)에 파종장치, 비닐 권취장치 등 다양한 부속장치를 설치하여 두둑 성형과 비닐 피복, 파종과 같은 일련의 작업이 동시에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비닐 피복장치(10)는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등록 제10-1169320호로 등록받은 바 있으므로 비닐 피복장치(10)의 주요부 구조나 작용 등에 관한 도면의 도시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비닐 피복장치(10)의 지지프레임(103)에 연결하는 상기 브라켓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3)에 연결되는 연결봉(104)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보스부(201)와, 상기 보스부(201)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보스부(201)에 결합하는 연결봉(104)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고, 연결봉(104)과 보스부(201)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고정판(202)을 구비한다.
상기 보스부(201)는 상기 지지프레임(103)에 연결되는 연결봉(104)이 횡방향으로 끼워지는 결합홈(201a)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홈(201a)은 상기 연결봉(104)의 횡단면 외곽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연결봉(104)과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전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홈(201a)의 상하부에는 수나사부(201b)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202)에는 상기 수나사부(201b)가 관통하는 통공부(202a)를 형성하여 고정판(202)을 상기 수나사부(201b)에 끼운 후, 수나사부(201b)에 너트(202b)를 체결함으로써 그 체결력에 의해 보스부(201)의 결합홈(201a)에 끼워지는 연결봉(104)을 결합홈(201a) 내측으로 강하게 밀착시켜 보스부(201)와 연결봉(104)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보스부(201)의 결합홈(201a) 후방에는 상기 본체프레임(300)의 회전부(301)를 결합하는 결합핀(201c)이 끼워지는 결합공(201d)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핀(201c)를 회전축으로 하여 본체프레임(300)의 회전이 가능케 한다.
상기 보스부(201)의 상단부에는 탈부착 가능케 결합하여 상기 보스부(201)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상기 본체프레임(300)의 상방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상부걸림판(203)을 구비하고, 상기 보스부(201)의 하단부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향으로 높낮이조절볼트(204a)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보스부(201)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상기 본체프레임(300)의 하방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하부걸림판(2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걸림판(203)은 상기 보스부(201)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상기 본체프레임(300)이 소정 각도로 상방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방 회전 범위를 안정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보스부(201)에 탈부착 되는 부분의 반대쪽은 상기 본체프레임(300)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걸림판(204)에 나사 결합하는 상기 높낮이조절볼트(204a)는 하부걸림판(204)을 관통하여 상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보스부(201)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상기 본체프레임(300)의 저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높낮이조절볼트(204a)의 상향 돌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본체프레임(300)의 하방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종드럼(400)은 옆으로 누운 원통 형상으로 되어 중심부에 회전축을 설치한 후, 그 회전축의 일단부를 상기 본체프레임(300)에 회전 가능케 설치한다. 또한, 외주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의 점파수단(401)을 형성하여,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내부에 공급되는 종자를 점파한다. 이러한 파종드럼(400)은 공지공용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 실시 가능한 구성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의 도시나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종자통(500)은 상기 본체프레임(300) 상부에 설치하고, 저면에는 상기 파종드럼(400)과 이어지는 공급통로(501)를 형성하여 상기 파종드럼(400) 내부에 종자를 공급하는 종자통(500)을 포함한다. 종자통(500)의 상단부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을 구비하여 내부에 다량의 종자를 한꺼번에 적재 가능하고, 소재는 투명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여 내부에 적재된 종자의 소진 상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종자통(500)은 공지공용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 실시 가능한 구성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의 도시나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30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파종드럼(400)에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파종드럼(400) 내부에 공급되는 종자를 점파하는 점파수단(401)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흙을 털어주는 흙제거부(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흙제거부(600)는 상기 본체프레임(300) 후방 단부에 탈부착 가능케 결합하는 결합부(601)와; 상기 결합부(601) 내측에 형성되고, 양측에는 복토수단(700)을 설치하는 설치공(602a)을 구비한 부착판(602)과; 상기 부착판(602)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점파수단(401)이 통과하도록 점파수단(40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점파수단(401)의 외형선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 요홈부(603b)를 형성한 흙제거판(603)을 포함한다.
상기 복토수단(700)은 체인과 같은 형태로 되어 그 양단부를 상기 설치공(602a)에 끼워서 고정하는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파종기(20)의 진행에 따라서 지면에 밀착된 상태로 끌려가면서 파종이 이루어지는 두둑 상면의 흙을 고르고, 파종 지점에 흙을 덮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부착판(602)에는 요홈부(603b)를 형성한 흙제거판(603)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는데, 상기 흙제거판(603)은 상기 파종드럼(40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점파수단(40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점파수단(401)의 외형선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 요홈부(603b)를 형성하되, 점파수단(401)과의 간격 조절이 가능케 하기 위하여 장공(603a)을 형성하여 그 장공(603a)을 이용해 상기 부착판(602)에 탈부착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의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가 하방으로 내려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비닐 피복장치(10)에 설치된 파종기(20)가 비닐이 피복된 두둑에 파종을 하기 위해서는 비닐 피복장치(10)의 실린더(102)에서 피스톤로드(102a)가 배출되어 피스톤로드(102a)의 외측 단부가 연결된 지지프레임(103)과 실린더(102) 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면, 비닐 피복장치(10)의 보디(101)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 지지프레임(103)이 지면과 최대로 근접함으로써 지지프레임(103)에 연결된 브라켓부(200)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 본체프레임(300)에 설치된 파종드럼(400)이 지면과 닿으면서 파종 가능한 위치가 된다.
트랙터에 의해 비닐 피복장치(10)가 견인되면, 지면과 닿아있는 파종드럼(400)은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종자통(500)에서 파종드럼(400) 내부로 공급되는 종자를 파종드럼(40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점파수단(401)을 이용해 두둑에 점파하게 되는데, 별도의 동력 없이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파종이 이루어지는 파종드럼(400)과 지면과의 마찰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파종드럼(400)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브라켓부(200)의 하부걸림판(204)에 나사 결합한 높낮이조절볼트(204a)를 이용해 브라켓부(200)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본체프레임(300)의 하방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파종드럼(4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파종드럼(400)의 회전에 따른 파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종드럼(40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파종드럼(400) 내부에 공급되는 종자를 점파하는 점파수단(401)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흙을 털어주기 위하여 상기 본체프레임(300) 후방 단부에 구비하는 흙제거부(600)는 파종드럼(400)이 지면과 닿아서 회전하면서 점파수단(401)이 파종드럼(400) 내부의 종자를 두둑에 점파하는 과정에서 두둑에 일정 깊이로 투입되는 점파수단(401)의 외표면에 흙이 달라붙었을 때, 그 점파수단(401)이 흙제거판(603)의 요홈부(603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점파수단(401)과 요홈부(603b)를 형성한 흙제거판(603) 간의 좁은 간격에 의해 점파수단(401)의 외표면에 달라붙은 흙이 흙제거판(603)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파종드럼(400)이 회전하면서 점파수단(401)에 의해 두둑에 점파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점파수단(401)의 외표면에 과다하게 흙이 부착되면서 점파수단(401)의 개방을 방해하여 정상적인 파종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파종현상'을 방지하여 정확한 파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면과 같이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비닐 피복장치(10)를 이용해 농지의 일측 끝에서 타측 끝까지 두둑을 성형하고, 비닐을 피복하고, 파종을 하는 일련의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트랙터를 이용하여 비닐 피복장치(10)를 비닐 피복을 완료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와 같은 두둑 성형, 비닐 피복, 파종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다시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두둑에 피복이 완료된 비닐을 절단한 후, 도 4와 같이 트랙터 운전자가 트랙터에서 실린더(102)로 공급되는 유압 공급을 제어하여 실린더(102)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03)을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03)에 연결되는 연결봉(104)에 연결된 본 발명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는 도 5와 같이 지지프레임(103)과 함께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봉(104) 연결되는 브라켓부(200)의 상부에는 본체프레임(300)의 상방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상부걸림판(203)을 설치함으로써 도 5와 같이 지지프레임(103)에 의해 본 발명의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가 들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브라켓부(200)에 회전 가능케 결합된 본체프레임(300)이 회전하면서 파종기(20)가 뒤집히는 현상을 상부걸림판(203)이 막아주면서 들어 올려진 본체프레임(300)을 안정적으로 지탱해줌으로써 종자통(500) 내부에 담긴 종자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비닐 피복장치(10)의 선회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진동으로 인한 파종기(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비닐 피복장치 101: 보디
102: 실린더 102a: 피스톤로드
103: 지지프레임 104: 연결봉
20: 파종기 200: 브라켓부
201: 보스부 201a: 결합홈
201b: 수나사부 201c: 결합핀
201d: 결합공 202: 고정판
202a: 통공부 202b: 너트
203: 상부걸림판 204: 하부걸림판
204a: 높낮이조절볼트 300: 본체프레임
301: 회전부 400: 파종드럼
401: 점파수단 500: 종자통
501: 공급통로 600: 흙제거부
601: 결합부 602: 부착판
602a: 설치공 603: 흙제거판
603a: 장공

Claims (4)

  1.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서 두둑을 성형하고,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을 자동 수행하는 비닐 피복장치(10)의 실린더(102)에 의해 승강 가능케 설치된 지지프레임(103)에 연결하는 브라켓부(200)와;
    상기 브라켓부(200)에 전방 단부를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본체프레임(300)과;
    원통 형상으로 되어 그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점파수단(401)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프레임(300)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여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내부에 공급되는 종자를 점파하는 파종드럼(400)과;
    상기 본체프레임(300) 상부에 설치하고, 저면에는 상기 파종드럼(400)과 이어지는 공급통로(501)를 형성하여 상기 파종드럼(400) 내부에 종자를 공급하는 종자통(500)을 포함하여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를 구성하고,
    상기 브라켓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3)에 연결되는 연결봉(104)이 끼워지도록 전방이 개방된 결합홈(201a)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01a)의 상하부에 돌출 형성된 수나사부(201b)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201a) 후방에는 상기 본체프레임(300)의 회전부(301)를 결합하는 결합핀(201c)이 끼워지는 결합공(201d)을 형성한 보스부(201)와;
    상기 수나사부(201b)에 끼워져 수나사부(201b)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202b)로 고정하는 고정판(202)과;
    상기 보스부(201)의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케 결합하여 상기 보스부(201)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상기 본체프레임(300)의 상방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상부걸림판(203)과;
    상기 보스부(201)의 하단부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향으로 높낮이조절볼트(204a)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보스부(201)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상기 본체프레임(300)의 하방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하부걸림판(2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30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파종드럼(400)에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파종드럼(400) 내부에 공급되는 종자를 점파하는 점파수단(401)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흙을 털어주는 흙제거부(600)를 설치하되,
    상기 흙제거부(600)는 상기 본체프레임(300) 후방 단부에 탈부착 가능케 결합하는 결합부(601)와; 상기 결합부(601) 내측에 형성되고, 양측에는 복토수단(700)을 설치하는 설치공(602a)을 구비한 부착판(602)과; 상기 부착판(602)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공(603a)을 형성하고, 상기 점파수단(401)이 통과하도록 점파수단(40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점파수단(401)의 외형선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 요홈부(603b)를 형성한 흙제거판(6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3. 삭제
  4. 삭제
KR1020140144376A 2014-10-23 2014-10-23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Active KR10151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376A KR101512002B1 (ko) 2014-10-23 2014-10-23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376A KR101512002B1 (ko) 2014-10-23 2014-10-23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002B1 true KR101512002B1 (ko) 2015-04-23

Family

ID=5305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376A Active KR101512002B1 (ko) 2014-10-23 2014-10-23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0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33B1 (ko) * 2016-04-29 2016-10-05 주식회사 불스 건답용 직파장치
KR20210097962A (ko)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불스 농기계용 파종기 연결장치
CN114287211A (zh) * 2021-12-17 2022-04-08 酒泉市林德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玉米铺膜精量播种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107Y1 (ko) * 2003-09-04 2004-03-04 문동길 점파식 파종기의 흙제거장치
KR20120123764A (ko) * 2011-05-02 2012-11-12 김영애 비닐절개용 파종 헤드와 그를 사용한 파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107Y1 (ko) * 2003-09-04 2004-03-04 문동길 점파식 파종기의 흙제거장치
KR20120123764A (ko) * 2011-05-02 2012-11-12 김영애 비닐절개용 파종 헤드와 그를 사용한 파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33B1 (ko) * 2016-04-29 2016-10-05 주식회사 불스 건답용 직파장치
KR20210097962A (ko)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불스 농기계용 파종기 연결장치
CN114287211A (zh) * 2021-12-17 2022-04-08 酒泉市林德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玉米铺膜精量播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002B1 (ko)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KR100433265B1 (ko) 비닐피복 파종기
KR101651847B1 (ko) 개량형 파종기
KR101330833B1 (ko) 다기능 생력농기계
KR20200001388U (ko) 마늘 파종기용 복토장치
KR100632430B1 (ko) 마늘파종기
CN205812702U (zh) 一种播种车
KR101727638B1 (ko) 관리기 부착형 파종장치
KR101958765B1 (ko) 파종기
JP5866928B2 (ja) 施用部材
CN204408900U (zh) 一种电子控制洒水的播种机
KR102117853B1 (ko)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KR20150105873A (ko) 수동식 파종기
CN106612664A (zh) 自动除泥式播种机
CN106105445B (zh) 一种旋耕播种机
KR101597971B1 (ko) 모종 식재공 형성장치
CN205993071U (zh) 一种旋耕播种机
CN211481923U (zh) 一种油莎豆播种机
CN209047002U (zh) 一种播出结构和播种器
KR102118196B1 (ko) 수평 및 위치조정이 용이한 파종기
KR200472498Y1 (ko) 모종 이식기
AU2010100138A4 (en) Inter Row Tyne
CN206658446U (zh) 多功能机械犁
KR101737453B1 (ko) 식재공 성형기
CN216820899U (zh) 一种生态园林绿化种植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