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7853B1 -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 Google Patents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853B1
KR102117853B1 KR1020180093848A KR20180093848A KR102117853B1 KR 102117853 B1 KR102117853 B1 KR 102117853B1 KR 1020180093848 A KR1020180093848 A KR 1020180093848A KR 20180093848 A KR20180093848 A KR 20180093848A KR 102117853 B1 KR102117853 B1 KR 10211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ending height
pair
discharger
length
hinge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072A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18009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8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8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16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rotating or circulating non-propelle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배토기(10)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파종기는 상기 배토기(10)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에 힌지 결합되는 횡방향 바(30)와;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시더 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횡방향 바(30)의 두 곳의 힌지 결합 부위에는 수평 조절부(6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농립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2018년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과제번호: 318002-3)]
파종기는 밭에 씨앗을 심는 장치이다. 파종기는 일반적으로 씨앗을 담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어 하단에 형성된 씨앗 인출구, 흙바닥을 주행하면서 일정거리마다 상기 인출구로부터 씨앗을 주기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를 포함한다. 상기 파종기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사람이 직접 파종기를 밀고 가면서 파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비료 살포기로 파종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파종기를 트랙터 후방에 설치된 다른 농기구, 예컨대 트랙터 후방에 설치된 배토기 또는 복토기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파종기를 트랙터 후방의 로터베이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배토기는 일정한 형태와 높이의 두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농기구이다. 복토기는 원래 파종 후 흙을 덮어주는 장치로 개발되었다. 상용화된 복토기는 회전날과 배토삽날을 구비하는데, 배토삽날은 회전날에 의해 파서 날려지는 흙이 골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복토기에 의한 두둑 형성이 가능하여 복토기를 배토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파종기와 다른 농기구와의 결합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 속에서, 다른 농기구와의 결합 후 결합 상태를 빈번하게 분리할 필요성 또한 대두되었다. 이는 씨앗을 심는 두둑의 모양이 다양하고, 심는 씨앗의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옥수수 씨앗을 파종할 때와 보리 씨앗을 파종할 때는 파종의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각 경우에 맞는 파종기와 다른 농기구와의 최적 매칭이 달라질 수 있다. 각기 다른 파종 환경에 따라 매칭을 달리 하기 위해서는 기존 농기구에 결합되었던 파종기의 결합을 해제하여 다른 농기구와 재결합하여야 한다.
파종기가 트랙터 후방에 부착된 다른 농기구와 결합되어 사용될 때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횡방향 바(bar)에 복수개의 파종기가 부착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파종기가 횡방향 바에 부착된 상태로 다른 농기구에 손쉽게 탈부착 하려면 탈부착 과정의 용이한 작업성과 탈착 후 재결합 상태에서의 안정적인 결합력 보장이 중요해진다.
또한, 복수개의 파종기가 횡방향 바에 부착된 상태에서 파종하려는 밭과의 수평유지가 중요해진다. 탈부착시마다 파종기의 수평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파종기는 땅의 가운데를 파서 씨를 뿌려주는 것이므로, 각도 조절이 필요하며 땅과 수평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파종기를 사용하는 농지의 상태가 다르고 파종기, 복토기 및 배토기 제작사가 다르며 다양한 작물을 심어야 되므로 각도 조절이 어렵고 수평을 맞추기가 힘들다. 또한 같은 제작사가 아니기 때문에 모든 것을 일체로 만들기 어렵다. 복수개의 파종기를 다른 농기구에 붙였다 떼었다 하지 않고 고정시킨 상태로만 사용하면 문제가 덜하겠지만, 여러가지 농기구에 탈부착 하는 과정에서 수평이 틀어질 수 있다. 게다가, 파종기를 사용하는 밭의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현재 파종기가 타 농기구에 부착되어 셋팅된 상태, 지금 작업하고자 하는 밭의 상태에 딱 맞게 현장에서 손쉽게 수평 조절을 행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파종을 위해 중요한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파종기가 횡방향 바에 부착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에 의해 작동될 때, 승강실린더에 의한 빠르고 정확한 하강이 중요해진다. 파종기는 땅에 골을 내서 씨앗을 심는 것이므로 승강실린더가 빠르고 정확하게 파종기를 원하는 높이까지 하강시킬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복수개의 파종기를 바에 연결하여 다른 농기구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가 빈번해진 상황 속에서 종래기술은 위와 같은 세가지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첫째, 다른 농기구로의 탈부착 과정이 번거로웠다. 둘째, 다른 농기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정교하게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탈부착 시에 부착 상태를 수정해 가면서 수평을 맞춰야 했기에 탈착 후 재결합에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만족스러운 수평 상태를 달성하기 어려웠다. 셋째, 종래기술에서는 승강실린더에 의해 파종기가 승강작동 할 때 승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업자가 미세하게 실린더 유압조절장치를 조작하여 파종기가 내려진 높이를 조절해야만 했고, 이는 파종기의 빠르고 정확한 하강에 장애 요인이었다.
세번째 요구조건인 승강실린더의 조작 관련하여 부가적으로 설명하겠다. 실린더의 최대 스트로크 상태에서도 파종기가 땅에 부딪치지 않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실린더의 최대 스트로크 상태가 너무 길면, 승강실린더 조작에 의하여 승강실린더를 최대 하강 위치까지 조작할 때 파종기가 땅에 부딪치면서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도록 실린더 장착 위치를 조정하려면, 소비자가 필드에서 장착할 때 실린더 위치 조정을 정교하게 해야 하는데, 소비자가 이러한 조정을 실시하면서 실린더를 장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2/0316673호(2012.12.13.)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948043호(2012.06.06.)
상술한 세가지 요구 조건은 종래기술에서 만족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술한 세가지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배토기(10)에 연결 설치되는 파종기이고, 상기 배토기(10)에 힌지 결합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길이 조정 가능한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에 힌지 결합되는 횡방향 바(30)와,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시더 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횡방향 바(30)에 3절 링크를 형성하는 수평 조절부(60)가 제공되고, 상기 배토기(1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와의 결합 부위에 하강높이 조절부(70)가 제공되고, 상기 하강높이 조절부(70)는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25)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복수개의 관통구들 중 어느 하나를 공유하여 여기에 타단부를 연결함으로써 3절 링크 형성을 통해 최대 하강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이외에도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세가지 요구 조건이 만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다른 농기구로의 탈부착 구조가 개선되어 탈부착 과정이 손쉬워지며 안정적인 결합 유지가 보장될 수 있다. 둘째, 다른 농기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정교하게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므로, 탈부착 시에 부착 상태를 수정해 가면서 번거롭게 수평을 맞춰야 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셋째, 승강실린더의 최대 하강 높이의 조정을 비교적 간단히 실행할 수 있으므로, 파종기의 하강 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1은 트랙터 후방에 배토기(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러한 배토기(1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가 연결되는 실제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2는 연결링크(2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수평 조절부(60) 및 하강높이 조절부(70)의 구조를 아울러 도시한다.
도 3은 수평 조절부(6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실제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파종기가 배토기(1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적인 구조
도 1은 트랙터 후방의 로터베이터에 배토기(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러한 배토기(1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가 연결되는 실제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토기(10)에 한 쌍의 연결링크(20)가 클램프 구조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선 사항 중 하나인 클램프 구조는 도 2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링크(20)의 후단에는 횡방향 바(bar, 30)가 클램프 구조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횡방향 바(30)에는 복수개의 시더 유닛(seeder unit, 40)이 클램프 구조에 의하여 장착된다. 승강실린더(50)는 일단이 로터베이터에, 타단이 배토기(10)에 힌지결합 된다. 승강실린더(50)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하여 배토기(10)가 상승 또는 하강하고, 결과적으로 배토기(10)에 각도 고정되어 연결 설치된 파종기가 상승 또는 하강한다.
연결링크 구조
도 2는 연결링크(2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연결링크(20)는 두 개의 바(bar, 21, 22)와 양 단부의 힌지점(23, 24)을 경유하여 연결되는 클램프부(25, 26)를 포함한다. 두 개의 바(21, 22)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며, 삽입 상태에서 관통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관통구는 복수개가 제공된다. 삽입 깊이를 조절하면서 관통구에 볼트를 삽입하여 두 개의 바(21, 22)를 고정 가능하므로, 연결링크(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클램프부(25)는 배토기(10)쪽에 결합된다. 클램프부(25)의 특징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클램프부(25)는 오픈된 구조이다. 이러한 오픈된 구조로 말미암아 배토기(10)에 결합될 때 배토기(10)의 결합부위를 분리하지 않고도, 그대로 배토기의 결합부위, 도 1의 사진에서는 횡방향 각 파이프에 장착 가능하다. 장착된 상태의 고정은 오픈 구조의 단부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고정 볼트의 체결에 의하여 견고하게 달성될 수 있다.
한편, 클램프부(25)는 그 내주면이 각파이프와 원형파이프에 모두 적응될 수 있는 구조이다. 배토기(10)의 결합부위는 도 1의 실시예에서 각파이프로 실시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배토기(10)의 결합부위가 원형파이프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가 여러가지 형태의 배토기(10)에 손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클램프부(26)는 시더 유닛(40)을 결합하는 횡방향 바(30)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오픈된 구조인 점, 횡방향 바(30)에 장착된 상태의 고정이 오픈 구조의 단부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고정 볼트의 체결에 의하여 견고하게 달성되는 점이 클램프부(25)의 경우와 동일하다.
수평 조절부 구조
이하에서는 역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개선점인 수평 조절부(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수평 조절부(60)는 바(22)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점(61)에 의하여 힌지결합된 장너트(62), 클램프(26)의 단부에 마련되는 개구를 통하여 상기 장너트(62)에 삽입되는 장볼트(63)를 포함한다. 장볼트(29)는 "ㄱ"자형이며, 그 끝에는 손잡이(65)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에 포함되는 수평 조절부(60)는 3개의 힌지점, 즉 도면부호 24, 61, 64의 힌지점에 의하여 형성되는 3절 링크 구조이다. 이러한 3절 링크 구조에서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길이가 조절된다. 조절 방식은 손잡이(65)를 돌림으로써 장볼트(63)의 장너트(62)로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장볼트(63)를 장너트(62)에 깊게 삽입하면,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길이가 짧아지고, 장볼트(63)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장너트(62)로부터 빼내면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길이가 길어진다. 이로써, 힌지점(24)을 중심으로 클램프부(26)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클램프부(26)에 결합된 횡방향바(30)를 내리거나 들어올릴 수 있다.
상술한 수평 조절부(60)는 양쪽 연결링크 모두에 형성되어 있다. 왼쪽 연결링크(20)에 제공된 수평 조절부(60)를 조절하여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거리를 오른쪽 연결링크(20)에 제공된 수평 조절부(6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하면 횡방향 바(30)는 앞쪽에서 바라봤을 때 왼쪽으로 처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짧게 하면 오른쪽으로 처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연결링크(20)에 제공된 수평 조절부(60)를 조절하여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거리를 왼쪽 연결링크(20)에 제공된 수평 조절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하면 횡방향 바(30)는 앞쪽에서 바라봤을 때 오른쪽으로 처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짧게 하면 왼쪽으로 처지게 된다. 양쪽 수평 조절부(60)를 동일하게 조절하면 수평상태는 변하지 않고 복수의 시더 유닛(40)을 부착하는 횡방향 바(30)의 각도만이 조절된다. 양쪽 수평 조절부(60) 모두의 길이를 동일하게 짧게 하면 왼편에서 바라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횡방향 바(30)를 돌려서 시더 유닛(40)들의 각도를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양쪽 수평 조절부 모두의 길이를 동일하게 길게 하면 시계 방향으로 횡방향 바(30)를 돌려서 시더 유닛(40)들의 각도를 시계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상술한 수평 조절부(60)의 구조는 도 3을 참조하면 더욱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 3의 실제 실시예에서는 장너트(62)에 표시 플레이트를 부착하고, 표시 플레이트에 1에서 9까지의 숫자를 표시하였다. 한편, 클램프부(26)의 단부에 지시부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도 3의 실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시부가 상기 표시 플레이트 상에 표시된 숫자 중 5를 가리키고 있다. 도 3의 실제 실시예에서보다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길이가 짧게 조정될 경우에는 5보다 작은 숫자를, 길게 조정될 경우에는 5보다 큰 숫자를 가리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술한 수평 조절부(60)의 상대적 길이 조정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장너트(62)와 장볼트(63)의 작용에 클램프부(26)가 연동되어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구성, 즉 3절링크의 한 변의 길이가 변화하는 구성이 명확히 파악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범주가 도 3의 실제 실시예의 구조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양쪽 연결링크(20)에 제공된 3절링크 구조에서 한 변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양쪽 연결링크(20)에 연결된 횡방향 바(30)의 수평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한, 도 3의 실제 실시예의 구조 외에도 얼마든지 다양한 구조가 본 발명의 범주로 포함될 수 있다.
하강높이 조절 구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개선점인 실린더 하강높이 조절부(70)의 구조를 설명한다.
승강실린더(50)는 일단부가 로터베이터에 힌지결합 되며, 타단부는 배토기(10)의 횡방향 바에 힌지결합 된다. 이와 같이 승강실린더(50)가 결합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승강실린더(5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승강실린더(50)에 연결된 배토기(10)에 각도 고정된 상태로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승강실린더(50)가 배토기(10)를 올리거나 내리는 작동에 따라 파종기도 올려지거나 내려진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50)를 최대 하강 작동할 때 파종기의 시더 유닛(40)이 땅에 부딪치게 되면 시더 유닛(40)의 파손 문제가 발생한다. 시더 유닛(40)이 파손되지 않도록 파종기를 내려놓으려면 승강실린더(50)를 최대 하강 작동하지 않고, 미세한 조정을 행함으로써 파종기가 최적의 높이까지 내려지도록 운전자가 신경을 써야 한다. 그런데, 파종기를 들어올렸다가 내려놓는 동작을 할 때마다 간편하게 최대 하강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미세 조정을 실시하는 것은 운전자에게 번거로운 일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간단한 구조의 하강높이 조절부(70)로써 파종기를 배토기(10)에 부착할 때 실린더의 최대 스트로크시 파종기가 내려질 수 있는 높이, 즉 최대 하강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하강높이 조절부(70)는 하나의 바(bar)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강높이 조절바(70)는 일단이 클램프부(25)에 고정되고 타단이 연결링크(20)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강높이 조절바(70)는 연결링크(20)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관통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연결링크(20)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관통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링크(20)의 자체적인 길이 조절을 위하여 마련되었다.
이로서, 하강높이 조절바(70)의 각도조절 및 연결링크(20)의 길이조절은 하나의 관통구를 공유하게 된다.
즉, 하강높이 조절바(70)가 이러한 복수개의 관통구 중 도 2에서 상대적으로 왼쪽에 위치한 관통구에 고정될 경우, 승강실린더(50)의 최대 스트로크 작동에 의한 연결링크(20)의 최대 하강 높이는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반대로, 하강높이 조절바(70)가 이러한 복수개의 관통구 중 도 2에서 상대적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관통구에 고정될 경우, 승강실린더(50)의 최대 스트로크 작동에 의한 연결링크(20)의 최대 하강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그러므로 공유된 관통구는 또 하나의 힌지점으로 작용된다.
즉, 도 2에서, 하강높이 조절바(70) 3개의 힌지점(23, 71, 72)를 통해 3절 링크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연결링크(20)의 최대 하강 높이의 조절은 연결링크(20)에 연결된 횡방향 바(30) 및 횡방향 바(30)에 결합된 복수개의 시더 유닛(40)의 최대 하강 높이의 조절을 가져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인 하강높이 조절부(70)에 의하여 연결링크(20), 횡방향 바(30) 및 시더 유닛(40)들의 최대 하강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가 배토기(1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촬영한사진이다. 이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하강높이 조절부(70)의 연결링크(20)로의 결합 위치를 변경 가능하다. 소비자는 연결링크(20)의 복수개의 관통구 중에서 어느 한 관통구에 연결되어 있던 하강높이 조절부(70)의 볼트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그 이후, 새로운 관통구를 선택해 하강높이 조절부(70)를 연결링크(20)에 재결합할 수 있다. 그 이후 소비자는 클램프부(25)의 배토기(10)로의 재결합을 통하여 파종기를 배토기(10)에 연결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에 의하여 시더 유닛(40)의 최대 하강 높이를 조절 가능하며, 이는 승강실린더(5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야 했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작업 편의성을 대폭 개선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제 실시예의 사진들은 모두 본 발명의 출원 이전에 출입이 통제된 출원인의 공장에서 촬영된 것임을 밝힌다.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배토기
20: 연결링크
30: 횡방향 바
40: 시더 유닛
50: 승강실린더
60: 수평 조절부
70: 하강높이 조절부

Claims (6)

  1. 배토기(10)에 연결 설치되는 파종기이고,
    상기 배토기(10)에 힌지 결합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길이 조정 가능한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에 힌지 결합되는 횡방향 바(30)와,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시더 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횡방향 바(30)에 3절 링크를 형성하는 수평 조절부(60)가 제공되고,
    상기 배토기(1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와의 결합 부위에 하강높이 조절부(70)가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는 양단부에 클램프부(25, 26)가 제공되고, 상기 클램프부(25, 26)에 의하여 각각 상기 배토기(10) 및 상기 횡방향 바(30)와 결합되며,
    상기 하강높이 조절부(70)는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25)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복수개의 관통구들 중 어느 하나를 공유하여 여기에 타단부를 연결함으로써 3절 링크 형성을 통해 최대 하강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25, 26)는 오픈된 구조이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는 길이 조절 가능한,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절부(60)는 3개의 힌지점(24, 61, 64)으로 구성되는 3절링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힌지점(24, 61, 64) 중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길이가 조정 가능한,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정은 상기 힌지점(61)에 연결된 장너트(62)에 상기 힌지점(64)에 연결된 장볼트(63)를 삽입하는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달성되는,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5. 삭제
  6. 삭제
KR1020180093848A 2018-08-10 2018-08-10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Active KR10211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48A KR102117853B1 (ko) 2018-08-10 2018-08-10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48A KR102117853B1 (ko) 2018-08-10 2018-08-10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72A KR20200018072A (ko) 2020-02-19
KR102117853B1 true KR102117853B1 (ko) 2020-06-03

Family

ID=6966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848A Active KR102117853B1 (ko) 2018-08-10 2018-08-10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091B1 (ko) * 2020-09-17 2021-04-01 대호 (주) 작업기용 마운팅장치 및 그 장착 방법
KR102593045B1 (ko) * 2023-04-03 2023-10-25 최창신 갯벌 양식장 경운용 농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8043B2 (ja) * 2006-06-01 2012-06-06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畝立て同時播種機
US20120316673A1 (en) * 2011-06-10 2012-12-13 Great Plains Manufacturing, Incorporated Agricultural implement having hopper weighing system
KR101811850B1 (ko) 2015-12-09 2017-12-22 주식회사 장 자동화 경운 및 두둑 성형, 파종, 비닐 타공, 피복 및 복토, 진압을 순차적으로 한 번에 수행하는 농업기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51B1 (ko) * 2011-03-10 2013-04-22 지금강 주식회사 좌우 수평 및 전후 높이 연동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복합 직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8043B2 (ja) * 2006-06-01 2012-06-06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畝立て同時播種機
US20120316673A1 (en) * 2011-06-10 2012-12-13 Great Plains Manufacturing, Incorporated Agricultural implement having hopper weighing system
KR101811850B1 (ko) 2015-12-09 2017-12-22 주식회사 장 자동화 경운 및 두둑 성형, 파종, 비닐 타공, 피복 및 복토, 진압을 순차적으로 한 번에 수행하는 농업기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091B1 (ko) * 2020-09-17 2021-04-01 대호 (주) 작업기용 마운팅장치 및 그 장착 방법
KR102593045B1 (ko) * 2023-04-03 2023-10-25 최창신 갯벌 양식장 경운용 농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72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9900C (en) Closing assembly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CN114830858B (zh) 一种播种施肥装备
KR102117853B1 (ko)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KR20070093944A (ko) 감자 파종기
KR101727638B1 (ko) 관리기 부착형 파종장치
AU2005225044B2 (en) Seeding implement with front rockshaft-mounted fertiliser openers
KR102118196B1 (ko) 수평 및 위치조정이 용이한 파종기
KR102266126B1 (ko) 이식기
EP2773177B1 (en) An agricultural machine provided with a displaceable implement section
US12058950B2 (en) Adjustable fertilizer application implement
WO2003081980A1 (en) A soil tillage device
KR200274470Y1 (ko) 트랙터 연결용 점파식 파종기의 장착브라켓
CN210157620U (zh) 一种园艺种子播种机
CN209994809U (zh) 一种可调式旋耕、播种、覆土一体机
CN206517774U (zh) 旱田通用播种机
CN215601861U (zh) 多功能免耕施肥播种机
CN218163539U (zh) 一种农业田间点穴播种机用种子掩埋结构
KR20150017005A (ko) 벼씨 파종기
KR102117842B1 (ko) 장착부가 개선된 시더 유닛
CN208509567U (zh) 一种多功能小麦播种机
US11083123B2 (en) Multi-purpose agricultural implement
CN207476171U (zh) 播种机排种体开沟下种叉
CN2129054Y (zh) 一种芯铧式开沟器
CN107593050B (zh) 一种自动撒播机
US20220304211A1 (en) Improved head for an agricultural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