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9710B1 - 조립식 배선 닥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배선 닥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710B1
KR101509710B1 KR20140133073A KR20140133073A KR101509710B1 KR 101509710 B1 KR101509710 B1 KR 101509710B1 KR 20140133073 A KR20140133073 A KR 20140133073A KR 20140133073 A KR20140133073 A KR 20140133073A KR 101509710 B1 KR101509710 B1 KR 101509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side wall
engaging portion
engag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13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균
Original Assignee
신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균 filed Critical 신동균
Priority to KR2014013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71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30Reducing waste in manufacturing processes; Calculations of released waste qua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이나, 가정, 사무실 등에서 설치되는 각종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배선 닥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배선 닥트를 형성하는 덮개부, 측벽부 및, 하측 평판부 등을 모두 분리 및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선 닥트의 설치 중 발생하는 짜투리 부품들을 모아 재활용 할 수 있어 시공 및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고, 폐자재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의 조립식 배선 닥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는, 상측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제 1결합부(11, 1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10); 하단부에는 상기 제 1결합부(11, 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부(21, 2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ㄷ'자 형상의 측벽 결합고리(2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측벽 결합고리(22)의 하측에는 연결바 삽입홈(23)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좌, 우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20); 좌, 우 양측에는 각각 상기 연결바 삽입홈(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바 삽입돌기(3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바(30); 및, 하측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ㄴ'자 형상의 덮개 결합고리(4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벽 결합고리(22)에 걸려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배선 닥트{Prefabricated Cable Duct}
본 발명은 공장이나, 가정, 사무실 등에서 설치되는 각종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배선 닥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배선 닥트를 형성하는 덮개부, 측벽부 및, 하측 평판부 등을 모두 분리 및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선 닥트의 설치 중 발생하는 짜투리 부품들을 모아 재활용 할 수 있어 시공 및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고, 폐자재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의 조립식 배선 닥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장이나, 가정, 사무실 등에서는 각종 공작기계, 생산설비, 전자기기, 컴퓨터, 가전제품, 전화선 등의 전원 연결과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케이블이 어지럽게 배선되어 미관상 미려하지 않고, 각종 안전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으며, 이와 같이 어지럽게 흩어진 배선들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보호하면서 각종 배선들을 내부로 정리정돈하기 위해 배선 닥트가 사용된다.
종래 배선 닥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평판부의 좌, 우 양측에 측벽(110)이 직립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케이스(120)와, 상기 측벽(110) 상단부의 걸림부(111)가 상부 덮개부(130)의 걸림턱(131)에 서로 맞물려서 상부 덮개부(130)와 케이스(120)가 결합되며, 전선의 인출을 위해서 측벽(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벽구멍(112)을 보유하며, 나사에 의해 닥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나사구멍(11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배선 닥트는, 좌, 우 양측벽(110)이 하측 평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운반 및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20-0173104호(고안의 명칭:'조립식 배선 보호 닥트')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의 측벽 구멍(211) 및 측벽기둥(212)을 가지는 좌, 우 측벽(210)과, 폭방향 양단에 상기 측벽(210)과 결합되는 결합부(221, 231)를 가지는 상, 하 덮개부(220, 230)로 형성되어 상기 좌, 우 측벽(210)과 상, 하 덮개부(220, 230)를 각각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조립식 배선보호 닥트(200)는, 상부 덮개부(220) 및 하부 덮개부(230)의 결합부(221, 231)가 좌, 우 측벽(210)과 착탈되는 방향이 상, 하 방향으로 동일 연장선 상에 존재하여 상부 덮개부(220)를 측벽(21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하부 덮개부(230)도 함께 측벽(210)과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배선보호 닥트(200)를 벽면에 부착하는 경우와 같이, 세로로 세워져 설치되는 경우에, 상부 덮개부(220)의 결합부(221)와 측벽(210)과의 결합 접촉 면적이 좁아 작은 마찰 결합력으로 상기 상부 덮개부(220)가 측벽(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흘러 내리는 문제점이 있고, 배선보호 닥트(200) 내에 다량의 케이블들을 모아 수용해야 하는 경우에, 상부 덮개부(220)가 측벽(2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다량의 케이블이 내부 고정되지 못하고 계속 쏟아져 나와 배선정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 하 덮개부(220, 230)의 결합부(221, 231)와 측벽(210) 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별도 분리된 동일 짜투리 구성품들(즉, 설치환경에 따라 길이에 맞게 길이 절단 가공된 다수의 측벽들)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지지해줄 수단이 없어, 닥트(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짜투리 닥트(200) 구성품들을 따로 서로 연결하여 재활용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73104호(고안의 명칭:'조립식 배선 보호 닥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배선 보호 닥트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적재시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켜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부 덮개부와 측벽 및, 하부 덮개부와 측벽 간의, 결합방법과 결합방향을 달리 형성시켜 측벽으로부터 상부 덮개부를 착탈하는 과정에서 하부 덮개부가 측벽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부 덮개부와 측벽간의 결합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상부 덮개가 측벽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또한, 배선보호 닥트 내에 다량의 케이블들을 모아 수용해야 하는 경우에, 상부 덮개부가 측벽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다량의 케이블이 닥트 내부에 고정되게하여 배선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닥트의 설치과정에서 길이에 맞게 길이 절단 가공된 다수의 측벽들이나 상, 하 덮개부들을 사용자 필요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서로 지지 연결될 수 있게 하여 닥트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짜루리 닥트 구성품들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폐자재 배출을 현저히 감소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측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제 1결합부(11, 1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10); 하단부에는 상기 제 1결합부(11, 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부(21, 2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ㄷ'자 형상의 측벽 결합고리(2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측벽 결합고리(22)의 하측에는 연결바 삽입홈(23)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좌, 우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 좌, 우 양측에는 각각 상기 연결바 삽입홈(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바 삽입돌기(3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바(30); 및, 하측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ㄴ'자 형상의 덮개 결합고리(4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벽 결합고리(22)에 걸려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선 닥트(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1)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는(11),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결합돌기(12)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소정높이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제 2결합부(21)는, 상기 결합돌기(12)의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과, 닮은 꼴의 사다리꼴 형상의 결합홈(24)이 상기 측벽 플레이트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12)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결합부(11')는,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이 세로로 세워진 형태의 결합홈(13)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소정높이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제 2결합부(21')는, 상기 결합홈(13)의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과, 닮은 꼴의 사다리 꼴 형상이 세로로 세워진 형태의 결합돌기(25)가 상기 측벽 플레이트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 플레이트에는, 통공되게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선 인출공(26)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전선 인출공(26)들의 사이 간격에는 가림대(27)가 구비되며, 상기 가림대(27)의 상부에는 소정깊이의 따기홈(28)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는, 배선 닥트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적재시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켜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부 덮개부와 측벽 및, 하부 덮개부와 측벽 간의, 결합방법과 결합방향을 다르게 형성시켜 측벽으로부터 상부 덮개부를 착탈하는 과정에서 하부 덮개부가 측벽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며, 상부 덮개부와 측벽간의 결합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상부 덮개가 측벽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고,
또한, 배선보호 닥트 내에 다량의 케이블들을 모아 수용해야 하는 경우에, 상부 덮개부가 측벽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다량의 케이블이 닥트 내부에 고정되게하여 배선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닥트의 설치과정에서 길이에 맞게 길이 절단 가공된 다수의 측벽들이나, 상, 하 덮개부들을 사용자 필요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서로 지지 연결한 후 재사용할 수 있어, 닥트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짜루리 닥트 구성품 등의 폐자재 배출을 현저히 감소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배선 닥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조립식 배선보호 닥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에 있어서, 닥트 내에 다량의 케이블이 연결바를 통해 고정 수용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에 있어서, 연결바를 이용해 분리 절단된 측벽을 고정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벽면이나 지면에 부착되는 하부 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좌, 우 양측으로 직립되게 구비되는 좌, 우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20)와, 상기 좌, 우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측벽 플레이트(20)를 고정 지지해주는 연결바(30) 및, 상기 좌, 우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2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 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0)는 소정길이의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하부면이 벽면이나 지면에 부착 고정되게 되고, 상측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제 1결합부(11, 11')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측벽 플레이트(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결합부(21, 21')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좌, 우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20)는 각각 하단부에 제 2결합부(21, 21')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상측면 좌, 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 1결합부(11, 11')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좌, 우 양측에 직립고정되며, 상단부에는 대략 'ㄷ'자 형상의 측벽 결합고리(2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덮개 플레이트(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벽 결합고리(22)의 하측에는 연결바 삽입홈(23)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연결바(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덮개 플레이트(40)는 소정길이의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하측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대략 'ㄴ'자 형상의 덮개 결합고리(4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벽 결합고리(22)에 걸려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색 배선 닥트(1)는,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 결합고리(22)의 'ㄷ'자 형상 내부 홈에 상기 'ㄴ'자 형상의 덮개 결합고리(41)의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측벽 결합고리(22)는 외측방향으로, 상기 덮개 결합고리(41)는 내측방향으로, 각각 대향하게 서로의 탄성 복원력으로 가압하게 되어 상기 덮개 플레이트(40)가 상기 측벽 플레이트(2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며, 다량의 케이블이 닥트(1) 내 수용된 상태에서 닥트(1)가 벽면에 수직하게 부착되거나, 천정에 거꾸로 부착되더라도 상기 덮개 플레이트(40)가 흘러내리거나 상기 측벽 플레이트(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결합부(11)를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결합돌기(12)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제 2결합부(21)를, 상기 결합돌기(12)의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과, 닮은 꼴의 사다리꼴 형상의 결합홈(24)이 상기 측벽 플레이트(20) 하단부에 구비되게 형성시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결합시키거나, 측벽 플레이트(20)를 닥트(1) 외측 또는 내측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12)를 결합홈(24)에 용이하게 끼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12)와 결합홈(24)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 플레이트(40)를 상기 측벽 플레이트(20) 상부에서 분리시키는 경우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12) 및 결합홈(24)에 힘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돌기(12) 및 결합홈(24)의 형상에 의해 상기 측벽 플레이트(2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10)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결합부(11') 및 제 2결합부(21')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결합부(11')는,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이 세로로 세워진 형태의 결합홈(13)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소정높이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결합부(21')는 상기 결합홈(13)의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과, 닮은 꼴의 사다리꼴 형상이 세로로 세워진 형태의 결합돌기(25)가 상기 측벽 플레이트(20) 하단부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결합시키거나, 측벽 플레이트(20)를 닥트(1) 외측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25)를 결합홈(13)에 용이하게 끼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25)와 결합홈(13)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 플레이트(40)를 상기 측벽 플레이트(20) 상부에서 분리시키는 경우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25) 및 결합홈(13)에 힘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홈(13)이 세로로 세워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작용힘과 직각을 이루게 되어 상기 결합홈(13) 또는 결합돌기(25)가 파손되지 않는 한 상기 측벽 플레이트(2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10)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으며,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바(3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 양측단부에 연결바 삽입돌기(3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 삽입돌기(31)는 상기 좌, 우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20)의 측벽 결합고리(22)의 하측에 위치하여 닥트(1) 내측으로 형성된 연결바 삽입홈(23)에 끼워져 결합된다.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1)에 있어서, 닥트(1) 내에 다량의 케이블이 연결바(30)를 통해 고정 수용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선 닥트(1)에 있어서, 연결바(30)를 이용해 분리 절단된 측벽을 고정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 삽입홈(23)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량의 케이블이 닥트(1)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바(30)가 상기 좌, 우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 플레이트(20)의 상부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여 측벽 플레이트(20)가 닥트(1) 외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덮개 플레이트(40)가 측벽 플레이트(2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도, 다량의 케이블이 쏟아져 나올 염려없이 벽면이나 천정에 용이하게 닥트(1)를 부착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30)를 통해 닥트(1)를 시공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환경에 따라 길이에 맞게 길이 절단 가공된 다수의 측벽들을 길이방향으로 보다 견고하게 서로 연결가능하며, 상기 측벽 플레이트(20) 뿐만아니라, 덮개 플레이트(40), 하부 플레이이트 등, 닥트(1)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짜투리 닥트(1) 구성품들을 보다 견고하게 연결 재활용 가능하여 닥트(1) 시공 중 배출되는 폐자재를 현저히 감소 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 플레이트(20)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통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전선 인출공(26)을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마련하여 상기 전선 인출공(26)을 통해 전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전선 인출공(26)들 사이 간격에는 가림대(27)가 형성되고, 상기 가림대(27)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소정깊이의 따기홈(28)을 마련하여, 다량의 전선이나 상기 전선 인출공(26)의 폭보다 두꺼운 케이블을 인출할 경우, 상기 따기홈(28)을 통해 용이하게 상기 가림대(27)를 측벽 플레이트(20)에서 분리 제거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가림대(27)의 제거로 더 확정된 전선 인출공(26)을 통해 다량의 전선이나 두꺼운 케이블 등을 간편하게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1 : 조립식 배선 닥트 10 : 하부 플레이트
11, 11' : 제 1결합 12 : 결합돌기
13 : 결합홈 20 : 측벽 플레이트
21, 21' : 제 2결합 22 : 측벽 결합고리
23 : 연결바 삽입홈 24 : 결합홈
25 : 결합돌 26 : 전선 인출공
27 : 가림대 28 : 따기홈
30 : 연결바 31 : 연결바 삽입돌기
40 : 덮개 플레이트홈 41 : 덮개 결합고리
50 : 케이블

Claims (4)

  1. 삭제
  2. 상측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제 1결합부(1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10);
    하단부에는 상기 제 1결합부(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부(2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ㄷ'자 형상의 측벽 결합고리(2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측벽 결합고리(22)의 하측에는 연결바 삽입홈(23)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좌, 우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20);
    좌, 우 양측에는 각각 상기 연결바 삽입홈(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바 삽입돌기(3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바(30); 및,
    하측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ㄴ'자 형상의 덮개 결합고리(4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벽 결합고리(22)에 걸려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 플레이트(20)에는,
    통공되게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선 인출공(26)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전선 인출공(26)들의 사이 간격에는 가림대(27)가 구비되며, 상기 가림대(27)의 상부에는 소정깊이의 따기홈(28)이 구비되며,

    상기 제 1결합부(11)는,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결합돌기(12)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소정높이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제 2결합부(21)는,
    상기 결합돌기(12)의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과, 닮은 꼴의 사다리꼴 형상의 결합홈(24)이 상기 측벽 플레이트(20)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12)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선 닥트(1).
  3. 상측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제 1결합부(1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10);
    하단부에는 상기 제 1결합부(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부(2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ㄷ'자 형상의 측벽 결합고리(2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측벽 결합고리(22)의 하측에는 연결바 삽입홈(23)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좌, 우 한 쌍의 측벽 플레이트(20);
    좌, 우 양측에는 각각 상기 연결바 삽입홈(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바 삽입돌기(3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바(30); 및,
    하측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ㄴ'자 형상의 덮개 결합고리(4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벽 결합고리(22)에 걸려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 플레이트(20)에는,
    통공되게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선 인출공(26)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전선 인출공(26)들의 사이 간격에는 가림대(27)가 구비되며, 상기 가림대(27)의 상부에는 소정깊이의 따기홈(28)이 구비되며,

    상기 제 1결합부(11')는,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이 세로로 세워진 형태의 결합홈(13)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상측면에 소정높이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제 2결합부(21')는,
    상기 결합홈(13)의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과, 닮은 꼴의 사다리 꼴 형상이 세로로 세워진 형태의 결합돌기(25)가 상기 측벽 플레이트(20)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선 닥트(1).
  4. 삭제
KR20140133073A 2014-10-02 2014-10-02 조립식 배선 닥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509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3073A KR101509710B1 (ko) 2014-10-02 2014-10-02 조립식 배선 닥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3073A KR101509710B1 (ko) 2014-10-02 2014-10-02 조립식 배선 닥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710B1 true KR101509710B1 (ko) 2015-04-07

Family

ID=5303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307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9710B1 (ko) 2014-10-02 2014-10-02 조립식 배선 닥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7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163B1 (ko) * 2015-09-08 2016-07-29 신동균 배선표지기능이 구비된 배선닥트
CN107678116A (zh) * 2017-11-03 2018-02-09 杭州华耀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一体式室外光纤槽道及连接配件
KR101972512B1 (ko) 2018-12-10 2019-04-25 강기수 조립식 케이블 덕트
KR20190055909A (ko) 2017-11-16 2019-05-24 신동균 조립식 배선 닥트
KR102250771B1 (ko) 2020-09-28 2021-05-10 주식회사 서우정보기술 케이블 보호용 덕트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128U (ja) * 1992-02-07 1993-09-03 孝次 広野 配線ダクト
KR200173104Y1 (ko) * 1999-08-06 2000-03-15 조명운 조립식 배선 보호 닥트
KR20100003745U (ko) * 2008-09-30 2010-04-08 박성진 배선보호용 덕트
KR20110011071U (ko) * 2010-05-24 2011-11-30 주식회사 디엠에스 배선 보호 덕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128U (ja) * 1992-02-07 1993-09-03 孝次 広野 配線ダクト
KR200173104Y1 (ko) * 1999-08-06 2000-03-15 조명운 조립식 배선 보호 닥트
KR20100003745U (ko) * 2008-09-30 2010-04-08 박성진 배선보호용 덕트
KR20110011071U (ko) * 2010-05-24 2011-11-30 주식회사 디엠에스 배선 보호 덕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163B1 (ko) * 2015-09-08 2016-07-29 신동균 배선표지기능이 구비된 배선닥트
CN107678116A (zh) * 2017-11-03 2018-02-09 杭州华耀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一体式室外光纤槽道及连接配件
KR20190055909A (ko) 2017-11-16 2019-05-24 신동균 조립식 배선 닥트
KR102175014B1 (ko) * 2017-11-16 2020-11-05 신동균 조립식 배선 닥트
KR101972512B1 (ko) 2018-12-10 2019-04-25 강기수 조립식 케이블 덕트
KR102250771B1 (ko) 2020-09-28 2021-05-10 주식회사 서우정보기술 케이블 보호용 덕트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710B1 (ko) 조립식 배선 닥트
KR101509714B1 (ko) 조립식 배선 닥트
KR101168785B1 (ko) 전기장치를 벽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KR101554991B1 (ko) 천정 배선용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JP2007201332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ケーブル保持部材
CN102159047B (zh) 安装底座以及箱体
RU179610U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встраивания в стенное отверстие
TWI736939B (zh) 機殼元件與電器設備
KR101553026B1 (ko) 배선 닥트
KR101480707B1 (ko)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
EP1953887A2 (en) Box for wall mounting electrical apparatuses and modular arrangement comprising said box
KR200465966Y1 (ko) 케이블트레이의 연결장치
KR101558521B1 (ko) 투명 라벨창이 구비되는 배선 닥트
KR20100095872A (ko) 개량멀티탭
KR101676845B1 (ko) 라벨창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닥트
KR102175014B1 (ko) 조립식 배선 닥트
KR100856878B1 (ko) 풀박스
KR101689756B1 (ko) 케이블 정리용 조립식 홀더
KR20160002412U (ko) 통합 세대분전반함
KR101583367B1 (ko)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
KR20150024583A (ko)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
KR200401184Y1 (ko) 단자함
KR101566594B1 (ko) 배선 덕트
KR101038353B1 (ko) 매립형 통신기기 수납함
KR101594125B1 (ko) 접이식 배선닥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