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878B1 - 풀박스 - Google Patents
풀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6878B1 KR100856878B1 KR1020060095013A KR20060095013A KR100856878B1 KR 100856878 B1 KR100856878 B1 KR 100856878B1 KR 1020060095013 A KR1020060095013 A KR 1020060095013A KR 20060095013 A KR20060095013 A KR 20060095013A KR 100856878 B1 KR100856878 B1 KR 1008568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side plates
- box body
- full
- rea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1391944 Commicarpus scande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02G3/085—Inlets including knock-out or tear-out sec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 H02G3/125—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with supporting bar extending between two separate studs of a wall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또한, 상기 각 측판들(110a~110d)의 상호 인접하는 양단부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끼움 조립하기 위한 제1결합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결합부(130)는 상기 측판들(110a~110d)의 양 측단에 형성된 결합구(130a,130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결합구(130a,130b)는 측판의 어느 일단에 구비되는 제1결합구(130a)와 측판의 다른 일단(반대측)에 구비되는 제2결합구(130b)로 구분된다.
상기 제1결합구(130a)는 외측으로 제1걸림요홈을 갖는 제1끼움홈(131a)과 제1걸림부를 갖는 제1끼움돌기부(132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구(130b)는 내측으로 제2걸림요홈을 갖는 제2끼움홈(131b)과 제2걸림부를 갖는 제2끼움돌기부(132b)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측판들(110a~110d)에는 모두 상기 제1결합구(130a)와 제2결합구(130b)가 구비되어 각각 다른 측판에 있는 제1결합구(130a)와 제2결합구(130b)가 슬라이드 되게 끼워져 탈착되게 결합하는 형태로 각각의 상기 측판들(110a~110d)이 서로 탈착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 편(150)은 후측판(150)이 상기 박스 몸체(100)의 상하좌우를 이루는 각 측판들(110a~110d)과 대면하는 표면의 가장자리에 탄성을 가지도록 다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 편(151)의 상단에는 걸림 턱(1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편(151)들에 대응되게 상기 측판들(110a~110d)에는 다수개의 고정 홈(113)들을 형성하여 상기 후측판(150)을 상기 측판들(110a~110d)의 후측으로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제1결합부(130)와 제2결합부(120)에 의해 조립되는 상기 박스 몸체(100)는 각 모서리부위에 걸림 돌기(111)들이 설치된다. 상기 걸림 돌기(111)들은 상기 박스 몸체(100)를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일측이 개구된 고정 홈(111a)들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측판들(110a~110d)의 어느 일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탄성의 걸림 돌기(111)를 갖는 고정 홈(111a)이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박스 몸체(100)가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에 탈착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도 8참조). 이러한 걸림 돌기(111)들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짐이 좋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후측판(150)의 배면 전체 표면에 다수개의 보강 리브(155)가 대각선으로 서로 격자 형상을 이루게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격자 형상의 보강 리브(155)의 사이 사이에는 매설홈(155a)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보강 리브(155)는 완만한 포물선을 이루게 중심부의 높이가 높고 양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박스 몸체(100)가 건축물에 설치될 시 콘크리트로부터 받는 압력에 견디게 해주고 상기 매설홈(155a)에 콘크리트가 매설되어 상기 박스 몸체(10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측판들(110a~110d)과 상기 후측판(150)을 제1결합부(130)와 제2결합부(120)에 의해 서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풀박스의 운반 및 보관을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판들(110a~110d)에 전선인입구를 설치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지지판(210)을 상기 박스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측벽들(110a~100d)의 내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가이드레일(22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210)은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상기 박스 몸체(100)의 내부로 슬라이드 되며 탈착되게 고정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지지판(210)의 단부에는 결합홈(211)이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그 결합홈(211)에 의해 상기 지지판(210)들이 서로 격자형상으로 탈착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10)은 상기 박스 몸체(100)를 설치한 후 사용시에는 제거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Claims (5)
- 벽체에 매설되어 전선 및 통신선을 여러 방향으로 배선하기 위한 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게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판들과 상기 측판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의 후측을 폐쇄할 수 있게 상기 측판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측판으로 이루어지는 박스 몸체;상기 박스 몸체를 이루는 각 측판들의 상호 인접하는 양단부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끼움 조립하기 위한 걸림요홈을 갖는 끼움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끼움홈에 탈착되게 끼움 고정되는 걸림부를 갖는 끼움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각 측판들을 끼움 결합할 수 있게 한 제1결합부;상기 제1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각 측판들의 일단부에는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상기 후측판에는 걸림 턱을 갖는 탄성 편들을 형성하여, 상기 후측판을 측판들에 결합할 수 있게 한 제2결합부; 및상기 제2결합부에 의해 후측판이 결합된 상기 박스 몸체의 각 모서리부위에 설치하여 상기 박스 몸체를 상기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에 고정할 수 있게 일측이 개구된 고정 홈들을 형성하는 걸림 돌기들을 포함하는 풀박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들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박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들에는 전선입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전선입출구는 파괴가 쉬운 폐쇄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박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몸체를 이루는 후측판의 배면 전체에는 매설홈을 갖도록 격자 형상의 보강 리브가 일체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풀박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몸체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타설 시 측판들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강수단은 측벽들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격자형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5013A KR100856878B1 (ko) | 2006-09-28 | 2006-09-28 | 풀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5013A KR100856878B1 (ko) | 2006-09-28 | 2006-09-28 | 풀박스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6422U Division KR200433369Y1 (ko) | 2006-09-28 | 2006-09-28 | 풀박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9223A KR20080029223A (ko) | 2008-04-03 |
KR100856878B1 true KR100856878B1 (ko) | 2008-09-04 |
Family
ID=3953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5013A KR100856878B1 (ko) | 2006-09-28 | 2006-09-28 | 풀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687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8363B1 (ko) | 2009-09-23 | 2012-06-22 | (주)아이지 | 조립상자 키트 |
KR101455574B1 (ko) | 2014-06-30 | 2014-10-29 | 홍형의 | 경제적인 태양광셀 모듈 고정유닛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55222A (zh) * | 2020-05-28 | 2020-08-18 | 湖南中车时代通信信号有限公司 | 一种抽拉滑轨式端子接线盒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3928U (ko) * | 1998-01-07 | 1999-08-16 | 최광현 | 스위치 박스 |
-
2006
- 2006-09-28 KR KR1020060095013A patent/KR1008568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3928U (ko) * | 1998-01-07 | 1999-08-16 | 최광현 | 스위치 박스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8363B1 (ko) | 2009-09-23 | 2012-06-22 | (주)아이지 | 조립상자 키트 |
KR101455574B1 (ko) | 2014-06-30 | 2014-10-29 | 홍형의 | 경제적인 태양광셀 모듈 고정유닛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9223A (ko) | 2008-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495016B (zh) | 电池壳体 | |
KR100856878B1 (ko) | 풀박스 | |
KR101509710B1 (ko) | 조립식 배선 닥트 | |
KR200433369Y1 (ko) | 풀박스 | |
KR101509714B1 (ko) | 조립식 배선 닥트 | |
CA2499175C (en) | Electrical mud box with removable cover | |
CN216253449U (zh) | 一种动力电池模组高压输出保护结构和动力电池模组 | |
JP2022002221A (ja) | 蓄電池ユニット | |
CN102390625A (zh) | 互感器专用电力标准周转箱 | |
JP2010185640A (ja)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
US20110159338A1 (en) | Mounting apparatus for cell battery | |
JP4405945B2 (ja) | 電気接続箱 | |
IT202100018098A1 (it) | Accessorio di curvatura o raccordo configurabile per un sistema di canalizzazione portacavi | |
KR100570808B1 (ko) | 조립식 아웃레트박스 | |
KR20110089967A (ko) |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 |
WO2020197958A1 (en) | Fiber enclosure for remote radio units | |
CN216446594U (zh) | 箱体侧部结构及包含其的换电站或储能站 | |
CN210837824U (zh) | 电池模组 | |
CN221298114U (zh) | 伸缩排水槽 | |
KR20160002412U (ko) | 통합 세대분전반함 | |
KR20110010036U (ko) | 수배전반용 외함 | |
CN108878189A (zh) | 一种可移动的开关 | |
CN218061668U (zh) | 防水连接结构及可扩展模块机房 | |
CN204665512U (zh) | 空调室外机 | |
CN219371192U (zh) | 一种电池箱及储能电池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205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