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7963B1 -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963B1
KR101507963B1 KR20130149847A KR20130149847A KR101507963B1 KR 101507963 B1 KR101507963 B1 KR 101507963B1 KR 20130149847 A KR20130149847 A KR 20130149847A KR 20130149847 A KR20130149847 A KR 20130149847A KR 101507963 B1 KR101507963 B1 KR 10150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unit
vertical frame
wheel
dr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철웅
전경진
변태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49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963B1/ko
Priority to CN201480066256.0A priority patent/CN105828778B/zh
Priority to PCT/KR2014/008793 priority patent/WO20150839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9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8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dditional wheels to increase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사용자 또는 이송대상물이 안착되는 베드유닛,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서 상기 베드유닛이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상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팅유닛 및 상기 베이스 하부에서 바닥과 접촉하여 주행을 보조하는 주행보조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동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회전상태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주행방향이 조절되는 주행보조유닛을 포함하는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Lifting Apparatus Including Rotatable Driving Assistance Wheel with Frame for Same Time}
본 발명은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수직프레임과 주행보조바퀴가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는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요양보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령 친화용품의 연구개발에 많은 관심이 보여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령자의 요양보호는 재택 또는 노인전문 요양시설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상행활 수행능력에 있어서 식사, 목욕, 배변 및 이송과 이동이 주요 행위로 구분된다,
특히, 스스로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의 경우 주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래서 이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을 바탕으로 최근 피사용자를 이송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베드 또는 이송장치에 관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제품 개발은 미흡하다.
특히, 피사용자를 베드에 안착시킨 후 사용자가 직접 이송할 대 사용되는 외력을 줄이기 위해서 별도의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캐리어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장치는 베드를 회전시키는 경우 주행방향과 베드 상에 위치한 피사용자의 주시방향이 변경되어 주행보조유닛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주행방향 변경을 위해 리프팅장치 전체를 회전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리프팅장치의 무게중심을 하부로 하강시키기 위해 주행보조바퀴의 크기를 작게 하여 그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수동으로 작동해야 하는 리프팅장치와 달리, 별도의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하여 리프팅유닛의 이동을 보조할 뿐만 아니라, 수직프레임의 회전에 의한 주행방향의 변경 시 주행보조바퀴도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이동식 리프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행보조유닛에 구비된 회전스톱퍼를 이용하여 리프팅유닛의 주행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주행보조바퀴가 정지되는 기능을 포함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사용자 또는 이송대상물이 안착되는 베드유닛,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서 상기 베드유닛이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상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팅유닛 및 상기 베이스 하부에서 바닥과 접촉하여 주행을 보조하는 주행보조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동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회전상태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주행방향이 조절되는 주행보조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드유닛이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수직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베이스 하부에서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링크와 직접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일부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관통된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회전링크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의 위치를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링크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와 결합되며 이탈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보조바퀴는 기 베이스의 하부에서 상기 리프팅유닛의 무게중심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주행보조바퀴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별도의 회전스톱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리프팅장치와 달리 별도의 주행보조바퀴을 구비하여 이동 시 주행을 보조하여 사용자의 체력적 부담을 감소시켜줌과 동시에, 베이스상에 상부로 돌출된 브라켓을 형성하여 주행보조바퀴와 베이스와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주행보조바퀴의 크기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베이스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프레임을 브라켓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베이스와 수직프레임을 회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브라켓의 상면에 수직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브라켓의 하면에 주행보조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프레임와 주행보조바퀴가 직접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직프레임의 회전상태에 대응하여 주행보조바퀴도 함께 회전하며 지속적으로 주행을 보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주행보조유닛에 별도의 회전스톱퍼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주행보조바퀴의 회전상태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주행을 결정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유닛이 승하강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이스 및 주행보조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리프팅장치에서 가이드부와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가 지면과 탄성 접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조절이 가능한 주행보조시스템이 구비된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드유닛이 승하강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베이스 및 주행보조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리프팅장치는 크게 베드유닛(300), 리프팅유닛(100), 주행보조유닛(200) 및 상기 제어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드유닛(300)는 상기 리프팅유닛에 의해 상부에 배치되어 피사용자가 안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침대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드유닛(300)는 특별히 피사용자가 안착되는 침대형상뿐만 아니라, 이송대상물을 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드유닛(300)는 피사용자가 안착되는 침대형태로 구성되며 회전을 통해서 부분적인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리클라이닝 베드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베드유닛(300)은 일반적으로 리프팅 또는 이송을 시키기 위한 대상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리프팅유닛(100)은 상술한 상기 베드유닛(300)을 일정높이 이상에서 지지하며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일반적인 이동식 리프팅베드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프팅유닛(100)은, 크게 베이스(110) 및 수직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전체를 지지하며 복수 개의 이동바퀴(112)를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서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베드유닛(300) 및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20)을 지지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20)이 상기 베이스(1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는 후술하는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의 일부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연통홈이 형성되고 관통된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의 상부를 감싸며 간섭을 방지하는 브라켓(1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함께 후술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되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이상에서 상기 베드유닛(300)가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유닛(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110)상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상기 베드유닛(3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110)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베드유닛(30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20)에 의해 상기 베드유닛(300)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일측이 상기 베드유닛(30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에 따른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가이드(12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가이드(126)는 상기 베드유닛(300)가 상기 수직프레임(120)에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상하방향을 따라 승하강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베드유닛(3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리프팅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유닛(300)가 승하강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하는 일반적인 베드의 형태로 구성되었지만, 이와 달리 상기 리프팅유닛(100)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트레이나 캐리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크게 회전링크(122) 및 수직링크(12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링크(122)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110)와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링크(122)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링크(122)의 타측부는 후술하는 상기 수직링크(124)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수직링크(124)를 지지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직링크(124) 및 상기 베드유닛(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링크(1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상기 브라켓(114)에 의해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브라켓(114)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링크(122)는 상기 브라켓(114)의 상부면에 회전축을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114)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된다.
상기 수직링크(124)는 상기 회전링크(122)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드유닛(300)가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링크(124)는 상기 회전링크(122)의 타측 끝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링크(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가이드(126)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가이드(126)가 상기 베드유닛(300)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결합가이드(126)를 승하강시켜 상기 베드유닛(3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상기 회전링크(122) 및 상기 수직링크(124)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을 통해 상기 베드유닛(300)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가이드(126)를 승강시켜 상기 베드유닛(30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베드유닛(300)상에 대상물을 안착시켜 이송시키며 선택적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프팅유닛(100)은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리프팅유닛(10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26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26a)가 상기 결합가이드(126)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26a)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126a)는 사각고리 형상을 가지며 일부가 상기 결합가이드(126)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베이스(110)상에서 바닥과 접촉하여 구동하며 주행을 보조하는 주행보조바퀴(210)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연동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회전상태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주행방향이 조절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20)이 회전하며 베드유닛(300)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주행방향이 변화하여 주행을 보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주행보조바퀴(210) 및 상기 구동모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베이스(110)하부에 결합되어 바닥과 접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20)는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에 연결되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구동시킨다..
즉,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복수 개의 상기 이동바퀴(112) 이외에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220)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구동모터(220)에 의해서 회전하며, 상기 구동모터(220)는 선택적으로 회전력이 조절되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와 상기 구동모터(220)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별도의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별도의 클러치(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바닥에 접지해 있지만 사용자가 동작을 원하지 않는 경우 무부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바닥에 접지되어 상기 리프팅유닛(100)이 이동할 때 함께 회전은 하지만, 이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구동모터(220)에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베이스(110) 하부에서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링크(122)와 직접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는 주행보조바퀴(210)의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회전링크(122)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브라켓(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가 상기 브라켓(114)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링크(122)는 상기 브라켓(114)의 상면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브라켓(114)의 하부에서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브라켓(114)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링크(122)와 직접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114)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링크(122)와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하 연통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상기 이동바퀴(11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베이스(110)를 관통하며, 상기 브라켓(114)에 의해 상부가 감싸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링크(122)는 상기 브라켓(114)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서 횡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링크(122)는 상기 브라켓(114)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회전링크(122)가 상기 베이스(110)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114)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길이방향의 일부가 상기 브라켓(114)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무게중심상에 위치함으로써, 바닥과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구동에 따른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주행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링크(122)와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상기 브라켓(114)을 관통하여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직접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 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주행방향도 함께 회전하여 주행방향이 조절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상에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의 일부가 관통하며 이를 보하기 위한 상기 브라켓(114)이 형성되는 것은, 리프팅장치의 무게중심을 낮추기 위해 상기 베이스(110)가 바닥과 가깝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리프팅장치 전체의 무게중심이 하부로 이동하여 리프팅장치의 안정성이 증가하며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126a)는 별도의 조작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하며,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은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서 조작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회전상태를 정지시키는 회전스톱퍼(미도시)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주행 중 사용자가 상기 조작수단을 통해 상기 회전스톱퍼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리프팅유닛(100)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손잡이(126a)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회전스톱퍼를 더 구비하여 상기 리프팅유닛(100)의 주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구성은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이 브레이크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조작수단을 통한 조작에 의해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회전상태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가 구성됨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20)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회전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의 주행방향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베드유닛(300)의 방향전환 시에도 지속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이용하여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20)이 회전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주행보조바퀴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20)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브라켓(114) 하부에서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114)의 상부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링크(122)와 직접 연결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와 상기 회전링크(122)가 상기 브라켓(114)을 관통하여 직접 연결됨으로써,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와 상기 회전링크(122)가 동시에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20)상에 지지되는 상기 베드유닛(300)의 위치를 회전하여 조절한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베드유닛(300)에 대응하는 주행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유닛(100)은 별도의 가이드부(116) 및 슬라이딩부(122a)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베이스(11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110)상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별도의 가이드부(116) 및 슬라이딩부(122a)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의 위치를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링크(122)와 상기 수직링크(124)가 결합되는 지점의 하부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116)는 상기 회전링크(122)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반경 이내에서 동일한 반경을 가지도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상기 회전링크(1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16)와 결합되며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116)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상기 가이드부(116)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 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과 상기 회전링크(122)와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상기 회전링크(122)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16)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122a)의 일부가 함몰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116)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링크(122)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부(116)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2a)는 롤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16)와 상기 슬라이딩부(122a)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링크(122)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스페이서의 역할도 함께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2a)와 상기 가이드부(116)가 각각 구비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20)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하중도 함께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바닥에 탄성접지 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1의 이동식 리프팅장치에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가 바닥과 탄성 접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보조유닛(200)에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상기 베이스(110)가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바닥과 탄성접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별도의 지지자켓(2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회전링크(122)의 일측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링크(122)의 일측 하부에 삽입홈(122a)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122a) 내부에 상기 지지자켓(23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링크(122)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브라켓(114)의 상면을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하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122a)에 의해 상기 지지자켓(23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22a) 내부에 완충부재(232)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재(232)에 의해 지지자켓(230)이 탄성을 가지며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는 탄성가압을 받으며 바닥과 안정적으로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완충부재(232)에 의해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베드유닛(3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재(232) 및 삽임홈(122a)의 구성을 통해서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탄성지지 하였지만 유압댐퍼, 공압댐퍼, 스프링 등을 적용하여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탄성지지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으로부터 상기 주행보조바퀴(210)를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리프팅유닛 110: 베이스
120: 수직프레임 200: 주행보조유닛
210: 주행보조바퀴 220: 구동모터
230: 지지자켓 300: 베드유닛

Claims (8)

  1. 피사용자 또는 이송대상물이 안착되는 베드유닛;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서 상기 베드유닛이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상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팅유닛; 및
    상기 베이스 하부에서 바닥과 접촉하여 주행을 보조하는 주행보조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보조바퀴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동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회전상태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주행방향이 조절되는 주행보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상에서 상기 주행보조유닛과 직접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드유닛이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수직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일부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관통된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회전링크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의 위치를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링크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와 결합되며 이탈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보조바퀴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서 상기 리프팅유닛의 무게중심상에 배치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주행보조바퀴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주행보조바퀴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별도의 회전스톱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팅장치.
KR20130149847A 2013-12-04 2013-12-04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Active KR10150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847A KR101507963B1 (ko) 2013-12-04 2013-12-04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CN201480066256.0A CN105828778B (zh) 2013-12-04 2014-09-22 移动式升降装置
PCT/KR2014/008793 WO2015083924A1 (ko) 2013-12-04 2014-09-22 이동식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847A KR101507963B1 (ko) 2013-12-04 2013-12-04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963B1 true KR101507963B1 (ko) 2015-04-07

Family

ID=5303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9847A Active KR101507963B1 (ko) 2013-12-04 2013-12-04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9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235A (ko) 2017-02-06 2018-08-16 이정현 두루마리 원단의 리프팅 및 이동장치
KR20190115300A (ko) 2018-04-02 2019-10-11 한국기계연구원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KR102259524B1 (ko) * 2020-11-06 2021-06-02 양서영 멀티 핸드 카
KR102686841B1 (ko) * 2024-01-25 2024-07-19 주식회사 나만 조리용 트롤리 및 이를 구비하는 오븐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9670B1 (en) 1998-11-16 2001-04-03 Sunnybrook & Women's College Health Science Centre Clutch for multi-directional transportation device
JP2003251576A (ja) 2002-03-01 2003-09-09 Takano Co Ltd 作業台および作業台車
JP2011042248A (ja) * 2009-08-21 2011-03-03 Inoue Seisakusho:Kk 駆動装置付き台車
KR20110092812A (ko) * 2010-02-10 2011-08-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회전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9670B1 (en) 1998-11-16 2001-04-03 Sunnybrook & Women's College Health Science Centre Clutch for multi-directional transportation device
JP2003251576A (ja) 2002-03-01 2003-09-09 Takano Co Ltd 作業台および作業台車
JP2011042248A (ja) * 2009-08-21 2011-03-03 Inoue Seisakusho:Kk 駆動装置付き台車
KR20110092812A (ko) * 2010-02-10 2011-08-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회전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235A (ko) 2017-02-06 2018-08-16 이정현 두루마리 원단의 리프팅 및 이동장치
KR20190115300A (ko) 2018-04-02 2019-10-11 한국기계연구원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KR102259524B1 (ko) * 2020-11-06 2021-06-02 양서영 멀티 핸드 카
KR102686841B1 (ko) * 2024-01-25 2024-07-19 주식회사 나만 조리용 트롤리 및 이를 구비하는 오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881B1 (ko) 회전력 조절이 가능한 주행보조시스템이 구비된 이동식 리프팅장치
US10603236B2 (en) Motorized bearing surface transporter for an operating table system
KR101507963B1 (ko)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JP4561655B2 (ja) 搬送車
EP1619002B1 (en) Autonomous mobile structure on wheels
KR101273317B1 (ko) 다목적 고소작업차
US7721654B2 (en) Stacker crane
KR102101955B1 (ko)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101509083B1 (ko) 무게중심상에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JP2008230554A (ja) 自走搬送台車
JP4556113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201346264Y (zh) 医用手推车
JP2023107186A (ja) 搬送装置
JP3566230B2 (ja) 走行装置
CN106218341B (zh) 驱动机构及搬运车
US9227737B2 (en) Helicopter tug system
CN117303250A (zh) 转运设备
KR102087097B1 (ko)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CN104494727A (zh) 阶梯越障机构
JP6174621B2 (ja) 段差対応型のキャスター装置
JP6318081B2 (ja) 球体駆動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使用した自走台車
JP2003136901A (ja) 走行装置
JP6922778B2 (ja) ベッド搬送装置
JP2005178505A (ja) かご台車用補助車両
JP3822183B2 (ja) 階段昇降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