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7835B1 -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835B1
KR101507835B1 KR20080088256A KR20080088256A KR101507835B1 KR 101507835 B1 KR101507835 B1 KR 101507835B1 KR 20080088256 A KR20080088256 A KR 20080088256A KR 20080088256 A KR20080088256 A KR 20080088256A KR 101507835 B1 KR101507835 B1 KR 10150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rank
data streams
column vectors
matrix
unitary matri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8008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581A (ko
Inventor
이욱봉
임빈철
이문일
천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980115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017443B/zh
Priority to EP09742802.3A priority patent/EP2255457A4/en
Priority to PCT/KR2009/001902 priority patent/WO2009136696A2/en
Priority to JP2011508415A priority patent/JP2011523526A/ja
Priority to US12/453,345 priority patent/US8311150B2/en
Publication of KR20090117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83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7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8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channel rank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06Space-frequency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자원 인데스에 따라 정해지는 행렬에서 현재 랭크에 따라 열 벡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열 벡터와 전송 심볼을 곱한다. 상기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은 상기 열 벡터가 곱해진 전송 심볼에 추가로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대각행렬을 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이버시티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고, 채널 추정이 용이하고, 채널 추정 파일럿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Figure 112008063616970-pat00007
OFDM, Multiple Antenna, IEEE 802.16m, Codeword cycling, Phase shift diversity, Precoded pilot, Dedicated pilot, Cyclic Delay Diversity, diversity gain

Description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Method for transmission diversity in multiple antenna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 OFDM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 순환 다이버시티를 적용하고, 추가로 순환지연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여 다이버시티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 안테나 OFDM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전송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요구되는데, 이 중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높이는 기법으로는 시공간 부호(Space-Time Code; STC), 코드 순환 다이버시티 (Codeword cycling), 순환지연 다이버시티(Cyclic Delay Diversity; CDD) 등이 있고,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높이기 위한 기법으로는 빔포밍(BeamForming; BF), 프리코딩(Precoding) 등이 있다. 여기서, 시공간 부호, 코드 순환 다이버시티 및 순환지연 다이버시티는 주로 송신단에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개루프 시스템의 전송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빔 포밍 및 프리코딩은 송신단에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폐루프 시스템에서 해당 피드백 정보를 통해 신호대잡음비를 최대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CDD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마다 서로 다른 딜레이(τ0 , ... , τ Nt-1 )를 적용하는 기술이다.
각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시간 도메인 신호에 안테나별로 다른 딜레이를 적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딜레이를 적용하기 전 신호가 안테나 간에 서로 동일한 신호라면, 이는 다중 경로(multi-path)의 양을 더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채널의 주파수 선택성(frequency selectivity)을 증가시킨다. 공간 주파수 블록 코드(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는 다중 안테나 전송 기법 중 랭크-1 전송(rank1-transmission)의 한 방법이다. SFBC로 인코딩하여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Alamouti에 의해 제안된 공간 시간 블록 코드(Space Time Block Code; STBC)를 주파수 도메인에 적용한 방법이다.
코드 순환 기법(Codeword cycling scheme)은 주파수 혹은 시간 자원에서 각기 다른 프리코딩 벡터 혹은 행렬을 곱함으로써 여러 가지 동등 채널을 겪게 하여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다이버시티 기법은 안테나 개수만큼의 채널 추정용 파일럿이 필요하다. 이는 파일럿 오버헤드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랭크에 따라 적절한 코드 순환 다이버시티를 적용하고, 상위 랭크 지원에 문제가 없으면서도 다이버시티 이득을 높이고, 파일럿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추가로 순환지연 다이버시티 기법을 적용하여 추가 전송 다이버시티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자원 인덱스에 따라 정해지는 행렬에서 현재 랭크에 따라 열 벡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열 벡터와 전송 심볼을 곱한다. 상기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은 상기 열 벡터가 곱해진 전송 심볼에 추가로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대각행렬을 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 벡터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재 랭크가 1 또는 2이면, 상기 행렬에서 2개의 열 벡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벡터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재 랭크가 3이면 상기 행렬에서 3개의 열 벡터를 선택하고, 상기 현재 랭크가 4이상이면 상기 행렬에서 4개의 열 벡터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 심볼은 상기 현재 랭크가 1인 경우, 공간 시간 블록 코드 변조 심볼 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코드 변조 심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 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 심볼은 상기 현재 랭크가 2 이상인 경우, 공간 멀티플렉싱이 적용된 독립 심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행렬은 자원의 인덱스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행렬은 할당된 물리 자원 유닛의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은 개루프(Open-Loop) MIMO 시스템에서 현재 랭크가 1인 경우, 공간 시간 블록 코드 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현재 랭크가 2 이상인 경우, 공간 멀티플렉싱을 적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고, 자원 인덱스에 따라 정해지는 행렬에서 현재 랭크에 따라 열 벡터를 선택하며, 상기 행렬과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은 상기 행렬이 곱해진 데이터 스트림에 추가적으로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대각행렬을 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 벡터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재 랭크가 1 또는 2이면, 상기 행렬에서 2개의 열 벡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벡터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재 랭크가 3이면 상기 행렬에서 3개의 열 벡터를 선택하고, 상기 현재 랭크가 4이상이면 상기 행렬에서 4개의 열 벡터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행렬은 자원의 인덱스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행렬은 할당된 물리 자원 유닛의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은 상기 현재 랭크에 따라 현재 랭크에 따라 파일럿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은 분산 자원 유닛으로 전송되는 파일럿은 두 개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서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은 파일럿을 두 개의 스트림에 대해서 전송하거나 네 개의 스트림에 대해서 전송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코드 순환 다이버시티를 적용하고, 추가적으로 순환지연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여 다이버시티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고, 채널 추정이 용이하게 하고, 채널 추정 파일럿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D가 CDD 대각 행렬, x가 전송된 심볼인 경우, D, x는 수학식 1 내지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8063616970-pat00001
여기서 D는 Nt by Nt 행렬로, θ i i번째 전송 안테나의 인접한 자원에서의 위상 시프트(phase shift) 값을 의미하고, Nt는 전송 안테나 개수, k는 부반송파 인덱스이거나, 자원 인덱스 또는 부반송파 그룹의 인덱스 등이 될 수 있다.
모든 θ가 0로 동일한 경우 는 D는 단위 행렬(identity matrix)이 되어 실제 전송 시 곱해지지 않을 수 있고, θ i 가 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0이 아닐 경우, D에 의해 추가 전송 다이버시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τ를 딜레이 값, N fft 는 FFT 크기라 하고, θ = -2π/N fft τ 로 설정하고, k가 부반송파 인덱스인 경우, 행렬 D는 도 1과 같이 시간 도메인에서 처리 될 수 있다.
이 때, D는 CDD 행렬이 된다. 이때, 채널 추정을 위한 파일럿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서 τ는 0에서 4 사이의 값과 같이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3616970-pat00002
여기서 R은 한번에 전송되는 스트림의 수를 의미한다.
x가 공간 시간 블록 코드 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코드인 경우 x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112008063616970-pat00003
여기서 행은 스트림 인덱스이고, 열은 시간 자원 인덱스(공간 시간 블록 코드인 경우) 또는 주파수 자원 인덱스(공간 주파수 블록 코드인 경우)를 의미한다.
x가 공간 멀티플렉싱인 경우 x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112008063616970-pat00004
여기서 M은 공간 전송률로 공간 멀티플렉싱인 경우 R과 같다.
이때, 전송 심볼 y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y = DUx
여기서 UNt by R 행렬로 서브 대역(sub-band) 등에 따라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전송단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직병렬 변환 블록(210)을 거친 데이터는 MIMO 인코딩 블록(220)에서 데이터 스트림(230)으로 변환된다. MIMO 인코딩 블록(220)은 현재 랭크가 1인 경우, 공간 시간 블록 코드 또는 공간 주파수 블록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한다. 또한, MIMO 인코딩 블록(220)은 현재 랭크가 2 이상인 경우, 공간 멀티플렉싱을 적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한다.
각각의 스트림(230)은 행렬 블록(240)에 전달되는데, 행렬 블록(240)은 안테나 수 및 공간 전송률(Multiplexing Rate)에 따라 다른 행렬을 적용한다. 이후에 대각 행렬 블록(250)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전체 전송 심볼을 DUx라고 할 때, 랭크가 1이나 2인 경우, 행렬 U는, 예를 들어, 수학식 6과 같다.
U= [ v1 v2 ],
랭크가 3인 경우, 행렬 U는, 예를 들어, 수학식 7과 같다.
U= [ v1 v2 v3 ],
랭크가 4인 경우, 행렬 U는, 예를 들어, 수학식 8과 같다.
U= [ v1 v2 v3 v4 ]
즉, 랭크 1이나 2의 경우 v1, v2 를 선택, 랭크 3의 경우 v1, v2, v3 를 선택, 랭크 4의 경우 v1, v2, v3, v4 를 선택해서 x에 곱한다.
이때, v n 은 행렬 U의 n번째 열 벡터이다. 여기서, 열 벡터 v n 의 차원은 Nt X 1이다. 수학식 6 내지 8은 자원 인덱스에 따라 정해지는 행렬의 서브셋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현재 랭크와 자원 인덱스에 따라 행렬 U의 열 벡터를 선택한다(S310-S350).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 랭크가 2 이하이면, 자원 인덱스에 따라 정해지는 행렬에서 2개의 열 벡터를 선택하여 U를 생성한다(S310, S330). 현재 랭크가 3이면, 자원 인덱스에 따라 정해지는 행렬에서 3개의 열 벡터를 선택하여 U를 생성한다(S320, S340). 현재 랭크가 4이상이면, 자원 인덱스에 따라 정해지는 행렬에서 4개의 열 벡터를 선택하여 U를 생성한다(S320, S350).
다음, CDD 대각행렬 D, 위에서 선택된 열 벡터와 전송 심볼 x를 곱하여 DUx를 구한다(S360). 이때, D의 θ 가 모두 0인 경우 대각 행렬 D를 곱하지 않고 종료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는 서브 대역(sub-band) 등에 따라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서브 대역 별로 서로 다른 동등 채널이 형성되기 때문에 더 높은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 서브 대역은 몇 개의 자원 유닛으로 미리 정해 놓을 수도 있다. 또는 도 4와 같이, U는 불연속적으로 할당된 물리 자원 유닛의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자원 유닛이 불연속이 될 때마다 U1에서 U2로, U2에서 U3로 변경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4와 같이 하는 경우 연속적으로 할당된 물리 자원 유닛 내에서 변경되는 U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 나은 채널 추정이 가능하다.
한편, U는 송신기와 수신기 모두 알고 있어야 하는 값으로 이 값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가 필요하다. CL-MIMO를 위한 코드북의 일부에서 U를 선택하여 추가적인 메모리가 필요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전송 파일럿은 시스템에 큰 오버헤드를 주는 것 중의 하나이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전송 파일럿을 줄일 수 있다.
특정 자원에 하나의 단말이 전송되는 경우, 모든 파일럿을 해당 단말 전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전송 파일럿에 전송하는 기법과 동일한 파일럿을 곱해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앞서 설명한 대로, 전송 랭크가 1 또는 2인 경우, U는 Nt by 2이다. 각 스트림 별 파일럿을 정해진 위치에 DU를 곱해서 전송한다면, 다시 말해서 첫 번째 스트림의 파일럿의 위치에 Dv1p1을 전송하고 (여기 서 p1은 첫 번째 파일럿 신호), 두 번째 스트림의 파일럿의 위치에 Dv2p2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는 이 행렬이 곱해진(Dv1, Dv2) 파일럿으로 채널을 추정하고, 디코딩에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랭크가 3인 경우 U는 Nt by 3이고, 첫 번째 스트림의 파일럿의 위치에 Dv1p1이 전송되고, 두 번째 스트림의 파일럿의 위치에 Dv2p2이 전송되고, 세 번째 스트림의 파일럿의 위치에 Dv3p3이 전송된다. 나머지의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파일럿을 전송할 수 있다.
여러 단말이 함께 전송되는 경우, 특히 분산 자원 유닛(distributed resource unit)에서 전송 파일럿은 같이 전송되는 모든 단말들을 위한 것이다. 이 때, 파일럿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파일럿을 두 개의 스트림에 대해서만 보낼 수 있다. 즉, 첫 번째 스트림의 파일럿의 위치에 Dv1p1을 전송하고, 두 번째 스트림의 파일럿의 위치에 Dv2p2을 전송한다. 이때, 전송 랭크가 1 또는 2인 수신기는 그 두 개의 스트림에 대한 파일럿을 이용해서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위 랭크(랭크 3 및 4) 채널 추정은 미리 정의된 D와 U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파일럿을 두 개의 스트림에 대해서 보내거나 네 개의 스트림에 대해서 보내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어떠한 파일럿 패턴을 썼는지는 기지국에서 단말에 알려 줄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경우 상위 랭크가 선 택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방식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 OFDM 시스템에서 순환지연 다이버시티를 적용시 다이버시티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IEEE 802.16m 등의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CDD에서 안테나마다 서로 다른 딜레이를 적용하는 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전송단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불연속적으로 할당된 물리 자원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5)

  1. 개루프(open-loop)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시스템에서 송신기가 전송 다이버시티를 수행함에 있어서,
    현재 랭크가 1인 경우에는 공간 시간 블록 코드(space time block code, STBC)와 공간 주파수 블록 코드(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중 하나를 이용하여 2개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생성하고, 상기 현재 랭크가 2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랭크와 동일한 개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생성하며;
    상기 현재 랭크가 1인 경우에는 소정 유니터리(unitary) 행렬로부터의 2개 열(column) 벡터들과 상기 2개 데이터 스트림들을 곱하고, 상기 현재 랭크가 2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로부터의 상기 현재 랭크와 동일한 개수의 열 벡터들과 상기 현재 랭크와 동일한 개수의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을 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로부터의 각 열 벡터의 차원은 Nt*1이며, 여기서 Nt는 안테나의 개수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은 폐루프(closed-loop) MIMO를 위해 정의된 코드북의 서브셋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랭크가 1 또는 2이면, 상기 2개의 열 벡터들은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의 첫 2개 열 벡터들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랭크와 동일한 개수의 열 벡터들과 상기 현재 랭크와 동일한 개수의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을 곱하는 것은 상기 현재 랭크가 3이면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의 첫 3개 열 벡터들과 3개 데이터 스트림들을 곱하고, 상기 현재 랭크가 4이면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의 첫 4개 열 벡터들과 4개 데이터 스트림들을 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은 불연속적으로 할당된 물리 자원 유닛들에 따라 변경되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랭크가 1 또는 2이면,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로부터의 상기 2개의 열 벡터들과 데이터 스트림별 파일럿을 곱하여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분산 자원 유닛에서 2개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해서만 파일럿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해 전송하거나 4개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해 파일럿을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은 자원 인덱스에 의해 정해지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t*Nt 차원의 대각행렬인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cyclic delay diversity, CDD) 행렬을 상기 열 벡터들과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의 곱하여 얻어진 스트림들에 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11. 개루프(open-loop)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시스템에서 송신기가 전송 다이버시티를 수행함에 있어서,
    현재 랭크가 1인 경우에는 공간 시간 블록 코드(space time block code, STBC)와 공간 주파수 블록 코드(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중 하나를 이용하여 2개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생성하고, 상기 현재 랭크가 2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랭크와 동일한 개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MIMO 인코딩 블록; 및
    상기 현재 랭크가 1인 경우에는 소정 유니터리(unitary) 행렬로부터의 2개 열(column) 벡터들과 상기 2개 데이터 스트림들을 곱하고, 상기 현재 랭크가 2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로부터의 상기 현재 랭크와 동일한 개수의 열 벡터들과 상기 현재 랭크와 동일한 개수의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을 곱하도록 구성된 유니터리 행렬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로부터의 각 열 벡터의 차원은 Nt*1이며, 여기서 Nt는 안테나의 개수인,
    송신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은 폐루프(closed-loop) MIMO를 위해 정의된 코드북의 서브셋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송신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랭크가 1 또는 2이면, 상기 2개의 열 벡터들은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의 첫 2개 열 벡터들이며,
    상기 행렬 블록은 상기 현재 랭크가 3이면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의 첫 3개 열 벡터들과 3개 데이터 스트림들을 곱하고, 상기 현재 랭크가 4이면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의 첫 4개 열 벡터들과 4개 데이터 스트림들을 곱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유니터리 행렬은 자원 인덱스에 의해 정해지는,
    송신기.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t*Nt 차원의 대각행렬인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cyclic delay diversity, CDD) 행렬을 상기 열 벡터들과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의 곱하여 얻어진 스트림들에 곱하도록 구성된 CDD 행렬 블록을 더 포함하는,
    송신기.
KR20080088256A 2008-05-08 2008-09-08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07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15699.3A CN102017443B (zh) 2008-05-08 2009-04-14 在多天线系统中实现传输分集的方法
EP09742802.3A EP2255457A4 (en) 2008-05-08 2009-04-14 METHOD FOR OBTAINING DIVERSITY OF TRANSMISSIONS IN A MULTIPLE ANTENNA SYSTEM
PCT/KR2009/001902 WO2009136696A2 (en) 2008-05-08 2009-04-14 Method for achieving transmission diversity in a multiple antenna system
JP2011508415A JP2011523526A (ja) 2008-05-08 2009-04-14 多重アンテナシステムで転送ダイバーシティ方法
US12/453,345 US8311150B2 (en) 2008-05-08 2009-05-07 Method for achieving transmission diversity in a multiple antenna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35808P 2008-05-08 2008-05-08
US61/051,358 2008-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581A KR20090117581A (ko) 2009-11-12
KR101507835B1 true KR101507835B1 (ko) 2015-04-06

Family

ID=4160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882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7835B1 (ko) 2008-05-08 2008-09-08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11150B2 (ko)
EP (1) EP2255457A4 (ko)
JP (1) JP2011523526A (ko)
KR (1) KR101507835B1 (ko)
CN (1) CN102017443B (ko)
WO (1) WO20091366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3723B (zh) * 2010-01-19 2013-09-11 北京邮电大学 一种多天线系统的信号处理方法、系统和装置
US9020029B2 (en) * 2011-01-20 2015-04-28 Alcatel Lucent Arbitrary precision multiple description coding
GB2501750B (en) * 2012-05-03 2015-04-29 Toshiba Res Euro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a signal in a relay network
US9942060B2 (en) * 2015-08-01 2018-04-10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for performing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training using a beam refinement packet
EP3419190A4 (en) * 2016-03-10 2019-01-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nsmission diversity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7733592B (zh) 2016-08-10 2020-11-27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方案指示方法、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10971275B (zh) * 2018-09-28 2021-11-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传输方法、上行传输的调度方法和设备
JP7595065B2 (ja) 2019-08-05 2024-12-05 シュアー アクイジッション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送信アンテナダイバーシティ無線オーディオ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765A (ko) * 2004-10-13 200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록 부호화기법과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는 기지국송신 장치 및 방법
US20070274411A1 (en) 2006-05-26 2007-11-29 Lg Electronics Inc. Signal generation using phase-shift based pre-coding
KR20080007072A (ko) * 2006-07-13 200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간, 또는 시간 및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가지는 데이터의송신 방법,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패턴 생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873B1 (ko) * 2004-09-13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전송률을 가지는 차등 시공간 블록 부호 장치 및 방법
KR101295576B1 (ko) * 2006-06-22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상천이 기반의 프리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송신 장치
US8160177B2 (en) * 2007-06-25 2012-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 methods with delay diversity and space-frequency diversity
CA2701914A1 (en) * 2007-10-08 2009-04-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s for signaling contro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144797B2 (en) * 2008-03-25 2012-03-27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QI table for wireless MIMO networks
KR100912226B1 (ko) * 2008-06-27 2009-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시스템을 위한 코드북 설계 방법 및 상기 코드북의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765A (ko) * 2004-10-13 200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록 부호화기법과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는 기지국송신 장치 및 방법
US20070274411A1 (en) 2006-05-26 2007-11-29 Lg Electronics Inc. Signal generation using phase-shift based pre-coding
KR20080007072A (ko) * 2006-07-13 200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간, 또는 시간 및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가지는 데이터의송신 방법,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패턴 생성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njie Zhang et al. Downlink Single-user MIMO Comparison for IEEE 802.16m, C80216m-08/407, 2008년 05월 06일, http://www.ieee802.org/16/tgm/contrib/C80216m-08_407.ppt. *
Senjie Zhang et al. Downlink Single-user MIMO Comparison for IEEE 802.16m, C80216m-08/407, 2008년 05월 06일, http://www.ieee802.org/16/tgm/contrib/C80216m-08_407.pp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23526A (ja) 2011-08-11
US20090279632A1 (en) 2009-11-12
WO2009136696A2 (en) 2009-11-12
EP2255457A4 (en) 2013-10-16
CN102017443A (zh) 2011-04-13
KR20090117581A (ko) 2009-11-12
WO2009136696A3 (en) 2010-01-14
CN102017443B (zh) 2014-04-16
US8311150B2 (en) 2012-11-13
EP2255457A2 (en)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289B1 (ko) 위상천이 기반의 프리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송수신기
KR100934662B1 (ko) 위상천이 기반의 프리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송수신기
KR100928263B1 (ko) 위상천이 기반의 프리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이를 지원하는 송수신기
KR101341526B1 (ko) 위상천이 기반 프리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송수신기
EP2272180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open-loop spatial multiplexing mode
KR101507835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JP499531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ユーザ多重入力多重出力フィードバック及び転送
JP5127394B2 (ja) Mimoシステムのプリ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た装置
KR100939723B1 (ko) 위상천이 기반의 프리코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송수신기
AU20092081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space-frequency block coding, spatial multiplexing and beamforming in a MIMO-OFDM system
US8199853B2 (en) Method for feedback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codebook in multi-antenna system
KR101370916B1 (ko) 다수의 부 반송파를 이용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80022033A (ko) 프리코딩 정보 피드백 방법 및 프리코딩 방법
KR20080036499A (ko) 순환지연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JP5111524B2 (ja) 位相遷移基盤のプリコーディングを使用する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送受信機
KR20080095732A (ko) 다중 입출력 안테나 시스템에서, 코드북 구성방법 및 신호전송 방법
JP2010517463A5 (ko)
RU2438262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данных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кодирования на основе фазового сдвига и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455765C2 (ru) Способ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кодирования на основе фазового сдвига и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 для его поддержки
AU20122411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space-frequency block coding, spatial multi-plexing and beamforming in a MIMO-OFDM system
KR20080036508A (ko) 순환지연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9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