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3279B1 -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 Google Patents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279B1
KR101503279B1 KR20130150890A KR20130150890A KR101503279B1 KR 101503279 B1 KR101503279 B1 KR 101503279B1 KR 20130150890 A KR20130150890 A KR 20130150890A KR 20130150890 A KR20130150890 A KR 20130150890A KR 101503279 B1 KR101503279 B1 KR 101503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device
stern
anchor
space
arrange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5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호
배재류
김진강
김성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5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2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2Handling or lashing of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에 있어서는, 선박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링 시스템인 계류장치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되고, 선미에 설치된 피크 탱크(peak tank)를 체인 라커로 활용함으로써, 헬리 데크(Heli-deck) 하부를 거주구 공간으로 밀착 배치 가능하므로 선수부 배치의 최적화 및 불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선미부 피크 탱크(Peak Tank)의 불용공간을 체인 라커(Chain Locker)로 전용함으로써, 선체 공간활용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앵커를 수직으로 내리거나 올리는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앵커 수납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선수부의 바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앵커 사이의 거리가 멀어 체인이 서로 엉키지 않는다.

Description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DRILL SHIP HAVING A ARRANGEMENT STRUCTURE OF MO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선박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링 시스템인 계류장치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되고, 선미에 설치된 피크 탱크(Peak Tank)를 체인 라커로 활용함으로써, 선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앵커링 시스템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에 관한 것이다.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일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육상 시추를 넘어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이나 심해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러한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 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첨단 시추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시추선(Drill ship)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시추선은 유전개발을 위한 시추 설비를 구비한 선박으로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등을 시추할 수 있도록 각종 시추장비를 갖추고 선체의 중앙에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한 라이저(Riser) 또는 시추 파이프(Drill Pipe)를 해저 바닥면에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시추선의 데릭 하부 선체 바닥에 통상 사각형 개구 형태로 문풀이 형성된다.
시추선의 선수에는 시추선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앵커링 시스템인 비상용 계류장치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는 선체의 헬리 데크(Heli-deck)(11) 하단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앵커 라인이 설치되는데, 헬리 데크(11) 하단에 체인 로커(12)가 설치되고, 체인 로커(12)에 앵커(13)가 지지된다. 그리고, 선미에는 충돌 사고를 예비하기 위하여 피크 탱크(Peak Tank)(14)가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헬리 데크(11) 하단에 체인 로커(12)의 설치로 불용 공간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다시 말해, 체인 로커(12)가 헬리 데크(11) 하단에 위치하므로, 구조적으로 거주구(20)를 선수 측에 밀착 배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선미 끝단의 피크 탱크(14)는 불용 공간으로 계속 존치하는 문제가 있다.
없음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링 시스템인 계류장치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되고, 선미에 설치된 피크 탱크를 체인 라커로 활용함으로써, 헬리 데크(Heli-deck) 하부를 거주구 공간으로 밀착 배치 가능하므로, 선수부 배치의 최적화 및 불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선미부 피크 탱크(Peak Tank)의 불용공간을 체인 라커(Chain Locker)로 활용함으로써, 선체 공간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는 선박을 고정하기 위한 계류장치를 구비하는 드릴십에 있어서, 상기 계류장치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된다.
상기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상기 계류장치가 수납되기 위한 돌출형 플랫폼이 마련된다.
상기 돌출형 플랫폼은 선택적으로 흘수선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선미의 피크 탱크를 상기 계류장치의 체인 라커로 활용한다.
상기 앵커는 상기 돌출형 플랫폼에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구조이다.
상기 돌출형 플랫폼의 하방에 위치하는 선미에는 상기 앵커를 거치하기 위한 랙(Rack)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계류장치 배치구조는 선박을 고정하기 위한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로서, 상기 계류장치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류장치 배치구조는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상기 계류장치가 수납되기 위한 돌출형 플랫폼이 마련되고, 상기 돌출형 플랫폼은 선택적으로 흘수선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선미의 피크 탱크를 상기 계류장치의 체인 라커로 활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링 시스템인 계류장치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되고, 선미에 설치된 피크 탱크(peak tank)를 체인 라커로 활용함으로써, 선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헬리 데크(Heli-deck) 하부를 거주구 공간으로 밀착 배치 가능하므로 선수부 배치의 최적화 및 불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선미부 피크 탱크(Peak Tank)의 불용공간을 체인 라커(Chain Locker)로 활용함으로써, 선체 공간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앵커를 수직으로 내리거나 올리는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앵커 수납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선수부의 바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앵커 사이의 거리가 멀어 체인이 서로 엉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상세도
도 5는 돌출형 플랫폼의 배치에 대한 제1 예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돌출형 플랫폼의 배치에 대한 제2 예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배치구조 및 그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상세도이고, 도 5는 돌출형 플랫폼의 배치에 대한 제1 예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돌출형 플랫폼의 배치에 대한 제2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드릴십은 선미에 충돌 사고를 예비하기 위한 피크 탱크(14)가 형성된다. 종래에는 선미 끝단의 피크 탱크(14)를 불용 공간으로 존치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드릴십에서는 계류장치(30)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되고, 피크 탱크(14)를 앵커링 시스템인 계류장치(30)의 체인 라커로 활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는 선체를 고정하기 위한 계류장치(30)를 구비하는 드릴십에 있어서 계류장치(30)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되는 구조로서, 상기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상기 계류장치(30)가 수납되기 위한 돌출형 플랫폼(100)이 마련된다.
상기 돌출형 플랫폼(100)은 선체에 별도의 구조물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계류장치(3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계류장치(30)는 앵커 체인(31)에 앵커(32)가 연결되고, 앵커 체인(31)은 프레임(33)의 가이드 롤러(34)에 가이드 되어 체인 라커 역할을 하는 피크 탱크(14) 안에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윈치(35)는 앵커 케이블(36)을 이용하여 앵커(32)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선미에는 앵커 체인(31)의 인장 방향에 따라 회전하여 마찰력이 감소한 상태로 앵커 체인(31)을 안내하는 페어 리더(37)가 설치된다.
상기 돌출형 플랫폼(100)의 위치는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상기 돌출형 플랫폼(100)은 선택적으로 흘수선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아지무스 스러스트(Azimuth Thruster)를 사용하는 드릴십 등 선박형 구조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앵커와 추진기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출형 플랫폼(100)은 선체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고(도 5 참조), 선체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다(도 6 참조).
상기 앵커(32)는 상기 돌출형 플랫폼(100)에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돌출형 플랫폼(100)의 하방에 위치하는 선미에는 상기 앵커(32)를 거치하기 위한 랙(Rack)(4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배치구조 및 그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에 있어서는, 선박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링 시스템인 계류장치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되고, 선미에 설치된 피크 탱크(peak tank)를 체인 라커로 활용함으로써, 선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헬리 데크(Heli-deck) 하부를 거주구 공간으로 밀착 배치 가능하므로 선수부 배치의 최적화 및 불용공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선미부 피크 탱크(Peak Tank) 불용 공간을 체인 라커(Chain Locker)로 전용함으로써, 선체 공간활용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앵커를 수직으로 내리거나 올리는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앵커 수납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선수부의 바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앵커 사이의 거리가 멀어 체인이 서로 엉키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4: 피크 탱크
30: 계류장치
31: 윈치
32: 앵커
33: 앵커 체인
34: 가이드 롤러
35: 프레임
36: 앵커 케이블
40: 랙(Rack)
100: 돌출형 플랫폼

Claims (8)

  1. 선박을 고정하기 위한 계류장치를 구비하는 드릴십에 있어서,
    상기 계류장치는 앵커 체인에 앵커가 연결되고 상기 앵커 체인은 프레임의 가이드 롤러에 가이드 되며, 상기 계류장치는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되어 상기 선미의 피크 탱크를 상기 계류장치의 체인 라커로 활용하는 구조이고, 상기 선미의 좌현 및 우현에는 상기 계류장치가 수납되기 위한 돌출형 플랫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십.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플랫폼은 선택적으로 흘수선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십.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돌출형 플랫폼에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십.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플랫폼의 하방에 위치하는 선미에는 상기 앵커를 거치하기 위한 랙(Rack)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십.
  7. 삭제
  8. 삭제
KR20130150890A 2013-12-05 2013-12-05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Expired - Fee Related KR101503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0890A KR101503279B1 (ko) 2013-12-05 2013-12-05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0890A KR101503279B1 (ko) 2013-12-05 2013-12-05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279B1 true KR101503279B1 (ko) 2015-03-17

Family

ID=5302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08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3279B1 (ko) 2013-12-05 2013-12-05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7825A (zh) * 2017-11-17 2018-03-06 佛山市榕岸海洋工程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海洋平台船舶的临时锚回收系统
CN113697036A (zh) * 2021-09-30 2021-11-26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具有锚台的船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429Y2 (ja) * 1989-08-01 1995-10-18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船尾アンカー格納装置
KR20110094385A (ko) * 2010-02-16 2011-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층 갑판을 갖춘 선박의 선미 구조
KR20130002508A (ko) * 2011-06-29 2013-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미 피크 탱크의 구조
KR20130050067A (ko) * 2011-11-07 2013-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fpso 가스 시운전을 위한 계류장치를 구비한 해상 부유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429Y2 (ja) * 1989-08-01 1995-10-18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船尾アンカー格納装置
KR20110094385A (ko) * 2010-02-16 2011-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층 갑판을 갖춘 선박의 선미 구조
KR20130002508A (ko) * 2011-06-29 2013-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미 피크 탱크의 구조
KR20130050067A (ko) * 2011-11-07 2013-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fpso 가스 시운전을 위한 계류장치를 구비한 해상 부유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7825A (zh) * 2017-11-17 2018-03-06 佛山市榕岸海洋工程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海洋平台船舶的临时锚回收系统
CN107757825B (zh) * 2017-11-17 2023-12-12 广州碧海新能源有限公司 一种用于海洋平台船舶的临时锚回收系统
CN113697036A (zh) * 2021-09-30 2021-11-26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具有锚台的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5289C1 (ru) Способ швартовки плавучего наливного судна и система для швартовки плавучего наливного судна
CN105083471A (zh) 一种船舶定位锚系统
KR20100107994A (ko) 부유식 시추선
KR101503279B1 (ko)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KR20150137353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추가 부력탱크 탈착구조
KR101519540B1 (ko)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KR101613216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앵커링 시스템
KR101549151B1 (ko) 계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EP3243734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KR102632396B1 (ko) 문풀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707517B1 (ko) 비오피 트롤리 설치구조 및 그 비오피 트롤리 설치구조를 갖는 시추 해양구조물
KR101788745B1 (ko) 문풀의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20210119793A (ko) 해양 구조물
KR101526365B1 (ko) 선박 및 선박의 배치 방법
KR200469615Y1 (ko) 쌍동선형 시추선
KR101599393B1 (ko) 드릴 워터 탱크의 배치구조 및 그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 쉽
KR20140143523A (ko)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KR20160003472A (ko)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KR20180006110A (ko) 문풀 댐핑장치 및 그 문풀 댐핑장치의 댐핑과 플립의 보관방법
KR20160115537A (ko) Bop 크레인 설치구조 및 그 bop 크레인 설치구조를 구비하는 드릴쉽
AU2010289487A1 (en) Tender assisted production structures
KR20160012442A (ko) 드릴쉽
KR20180077562A (ko) 드릴쉽
KR20170025822A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101475024B1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