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2552B1 -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552B1
KR101502552B1 KR1020070091540A KR20070091540A KR101502552B1 KR 101502552 B1 KR101502552 B1 KR 101502552B1 KR 1020070091540 A KR1020070091540 A KR 1020070091540A KR 20070091540 A KR20070091540 A KR 20070091540A KR 101502552 B1 KR101502552 B1 KR 10150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lens
cleaning
base material
lens base
deter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655A (ko
Inventor
히로카즈 카와시모
야스노리 호리오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5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11D7/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7/06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78Compositions for cleaning contact lenses, spectacles or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11D7/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7/10Salts
    • C11D7/14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4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은, 알칼리와, 알킬글리코시드와, 글리세릴에테르와, 탄화수소와, 물을 함유하며, 상기 조성물 중, 상기 알칼리의 함유량이 3∼8중량%이고, 상기 알킬글리코시드의 함유량이 8∼18중량%이며, 상기 알킬글리코시드의 함유량을 상기 글리세릴에테르의 함유량으로 나눈 값이 3∼4이다.
Figure R1020070091540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 알킬글리코시드, 글리세릴에테르

Description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DETERGENT COMPOSITION FOR PLASTIC LENS}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과, 이것을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 렌즈 등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성형에는, 일반적으로, 1쌍의 성형틀이 사용된다. 이 1쌍의 성형틀이, 테이프 또는 개스킷(gasket) 등의 밀봉재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밀봉재와 1쌍의 성형틀로 둘러싸인 캐버티가 형성된다. 이 캐버티에 모노머 등을 주입하고, 모노머를 중합 및 경화시킴으로써 플라스틱 렌즈 기재가 얻어진다.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기재는, 예를 들면, 그 외주에 대해서 연마되고, 세정되며, 어닐링을 거치고, 다음으로, 그 내면이 연마되며, 그 후, 세정된다. 외주를 연마할 때 및 내면을 연마할 때에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는 테이프를 사용해서 렌즈 고정 지그에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성형틀에 대해서는, 탈형(脫型) 후, 세정되며, 복수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성형하기 위해서 몇 번이나 반복해서 사용된다.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성형틀에서 이형(離型)한 후,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대하여 표면 코팅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동안 에,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표면에는 여러 가지 때가 부착한다. 상기 때로서는, 예를 들면, 이형시에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부착한 올리고머 형상 혹은 폴리머 형상의, 플라스틱 렌즈 원료 유래의 수지 때(이하, "수지 때"라고도 말한다.), 개스킷으로부터의 전사성분(예를 들면, 개스킷으로부터 블리드 아웃(bleed out)한 가소제), 테이프로부터의 전사 점착물, 외주 연삭 및 모따기시에 부착한,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수지분, 지문, 그 외 분위기 중의 먼지 등이 있다. 상기 수지 때는, 모노머를 캐버티 내에 주입했을 때에 넘쳐 흐른 플라스틱 렌즈 원료(미중합물)나, 이 플라스틱 렌즈 원료에 부착한 상기 수지분 등을 포함한다.
이들 때 중, 상기 수지 때는, 강한 점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강고하게 부착하고 있다. 덧붙여, 수지 때와 피세정물(플라스틱 렌즈 기재)이, 동질, 즉, 유사 또는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부식하는 등의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지 때를 제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지문은 극성이 작고, 유상(油狀)이기 때문에, 수지 때에 대한 것과는 달리, 세정제 조성물이 지문을 용해 가능한 것이 중요하다. 먼지에 대해서는, 세정제 조성물이 먼지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표면에 부착한 여러 가지 때에는,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때가 포함되며, 또한 상호 특성이 다른 때가 포함되므로, 1종류의 세정제 조성물만을 사용해서 세정을 행함으로써, 코팅 직전 등에 있어서 요구되는 고도로 청정한 표면을 얻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이와 같은 배경하, 수지 때나 먼지 등, 특성이 다른 2종 이상의 때에 대해서 도 양호한 세정성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이, 일본국 특허공개 2001-129500호 공보나 일본국 특허공개 2005-1577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허공개 2005-15776호 공보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세정제 조성물(동 문헌의 표 1 참조)을 그대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에 사용해도, 특히,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연마할 때에,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렌즈 고정 지그에 임시 고정하기 위해서(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테이프 유래의 전사 점착물(이하, "점착물 때"라고도 부른다) 등에 대해서는,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삭제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부착한 각종의 때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점착물 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과, 이것을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이하, 간단히 세정제 조성물이라고도 말한다.)은, 알칼리와, 알킬글리코시드와, 글리세릴에테르와, 탄화수소와, 물을 함유하며, 알칼리, 알킬글리코시드 및 글리세릴에테르의 특정의 함유량에 있어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부착하는 점착물 때를 현저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알킬글리코시드와 글리세릴에테르의 양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래 물에 용해하지 않는, 올레핀계 탄화수소나 파라핀계 탄화수소 등의 탄화수소를, 헹굼시와 같은 고함수역(高含水域)에서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표면상에 존재하는, 친수성뿐만 아니라 친유성의, 각종의 때(예를 들면, 지문 등의 유성 때, 먼지 등의 무기 때 등)를 용이하게 용해해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세정하는 공정에 있 어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1종의 세정제 조성물로 상기 각종의 때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세정에 요하는 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종래의 세정제에 비하여, 인화성을 고려한 엄밀한 수분관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 취급하기 쉽다.
또한, 종래의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수계 세정제를 사용한 경우는, 피세정물에 부착한 세정성분이 헹굼조에 반입되면 백탁하기 때문에, 피세정물로부터 세정성분을 씻어낼 때의 헹굼시의 부하가 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탄화수소를 헹굼시와 같은 고함수역에서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희석해도 투명하며, 세정 후의 헹굼공정의 부하를 대폭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알킬글리코시드와 글리세릴에테르와의 특정 비율에 있어서 알칼리와 조합함으로써, 알킬글리코시드 단독보다도 표면 장력을 낮춰서, 기름 때에 대한 침투력 및 용해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알킬글리코시드에 의한 유화력, 헹구기 용이함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소정량의 알킬글리코시드를 포함하므로 높은 유화력을 가지며, 헹구기 용이함도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저온에서도 충분한 세정성능을 갖지만, 특히 50℃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높은 세정성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킬글리코시드의 일례로서, 하기의 일반식(1):
R1(OR2)xGy (1)
(식 중, R1은 직쇄 또는 분기쇄의, 탄소수 8∼18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킬페닐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2∼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G는 탄소수 5∼6의 환원당에서 유래하는 잔기를 나타내고, x는 0∼5를, y는 1∼5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알킬글리코시드의 매우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높은 세정성을 얻는 관점에서, 데실글리코시드, 도데실글리코시드, 미리스틸글리코시드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중, x는 세정성과 헹굼성의 양방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 보다 바람직하게는 0이다. y는 세정성과 헹굼성의 양방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5이다. R1의 탄소수는 세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4,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3이다. R2의 탄소수는 세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4이다.
또한, y는 원료의 1가 알코올 또는 페놀류와 당의 첨가 몰비 및 반응조건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y의 값은 생성물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축합도 분포 측정, 프로톤 NMR(1H)에 의한 R1에서 유래하는 프로톤수의 비율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킬글리코시드는, 점착물 때의 제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폴리글리코시드로서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y가 1∼1.5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y가 1.3∼1.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킬폴리글리코시드로서는,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9∼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4,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3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킬글리코시드의 함유량은, 점착물 때의 충분한 제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8∼18중량%인 것을 요하지만, 점착물 때의 제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8∼16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글리세릴에테르는,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대하여, 세정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또한, 사용온도 범위에서 투명한 제품 성상을 얻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탄소수 4∼12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n-부틸기, 이소부틸기, n-헥실기, 이소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2-에틸헥실기, n-노닐기, n-데실기 등의,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10의 알킬기를 1 또는 2개, 특히 1개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8의 알킬기를 1 또는 2개, 특히 1개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글리세릴에테르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3개의 글리세릴기가 에테르 결합으로 이어진, 모노알킬디글리세릴에테르 또는 모노알킬폴리글리세릴에테르여도 좋다. 특히, 세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모노알킬글리세릴에테르, 모노알킬디글리세릴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들 글리세릴에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글리세릴에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수중에 있어서의 유기 용제의 분산성을 안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때가 심한 유성 때의 세정성이 높아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글리세릴에테르는, 세정성과 분산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에 있어서의 탄화수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높은 세정성과 양호한 헹굼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글리세릴에테르의 함유량은 2∼6중량%가 바람직하고, 2∼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높은 세정성과 양호한 헹굼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알킬글리코시드의 함유량을 글리세릴에테르의 함유량으로 나눈 값(함유량비)은 3∼4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탄화수소는, 대상으로 하는 수지 때의 높은 분산성,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으로 하는 수지 때의 높은 가용화성을 갖는다고 하는 이유에서, 탄소수가 10∼18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화수소로서는, 올레핀계 탄화수소나 파라핀계 탄화수소를 예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데칸, 도데칸, 테트라데칸, 헥사데칸, 옥타데칸, 데센, 도데센, 테트라데센, 헥사데센, 옥타데센 등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계 용제나, 시클로데칸, 시클로도데센 등의 시클로 화합물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탄소수가 10∼18, 바람직하게는 10∼14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탄화수소이다. 탄소수가 10∼18, 바람직하게는 10∼14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탄화수소는, 상술한 올레핀계 탄화수소 또는 파라핀계 탄화수소 이외의 탄화수소여도 좋고, 예를 들면, 노닐벤젠, 도데실벤젠 등의 알킬벤젠, 메틸나프탈렌, 디메틸나프탈렌 등의 나프탈렌 화합물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여도 좋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탄화수소의 함유량은, 세정제 조성물의 높은 안정성을 얻는 관점에서, 세정제 조성물 중, 0.005∼15중량%이면 바람직하고, 높은 세정성을 얻는 관점에서, 0.1∼15중량%가 바람직하며, 5∼1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이온 교환수, 순수, 탈이온수 등을 들 수 있으나, 공업적으로는 이온 교환수가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은, 세정제 조성물 중, 10∼85중량%이면 바람직하고, 세정제 조성물의 헹굼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30∼85중량%가 바람직하며, 60∼8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글리코시드가, 데실글리코시드 및 도데실글리코시드 중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데실글리코시드 또는 도데실글리코시드인 경우, 글리세릴에테르는,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 및 헥실글리세릴에테르 중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 또는 헥실글리세릴 에테르이고, 탄화수소는, 데센, 도데센, 테트라데센, 데칸, 도데칸 및 테트라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데센, 도데센, 테트라데센, 데칸, 도데칸 또는 테트라데칸이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높은 세정성을 얻는 관점에서, 알칼리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칼리로서는, 수용성의 알칼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알칼리의 구체예로서는, 알칼리금속의 수산화물, 규산염, 및 인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의 수산화물; 오르토규산나트륨, 메타규산나트륨, 세스퀴규산나트륨(예를 들면, 1호 규산나트륨, 2호 규산나트륨, 3호 규산나트륨) 등의 규산염;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트리폴리인산나트륨,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등의 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이들 알칼리 중,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오르토규산나트륨, 메타규산나트륨이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부식 억제와 높은 세정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알칼리의 함유량은, 3∼8중량%이다. 이 범위 내이면, 통상의 수지 때나 먼지뿐만 아니라, 점착물 때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의하면,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공정에 있어서, 다른 세정제 조성물을 병용할 필요가 없어져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알칼리의 함유량은,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부식 억제와 세정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3∼6중량%이면 바람직하고, 3∼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는, 세정공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억제하는 소포제가, 임의 성분으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소포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이나 그 염, 플루로닉(Pluronic)형 코폴리머, 테트라닉형 코폴리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이들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통상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녹방지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으며,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는 이들 성분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 즉, 알칼리와, 알킬글리코시드와, 글리세릴에테르와, 탄화수소와, 물과, 임의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칼리와, 알킬글리코시드와, 글리세릴에테르와, 탄화수소 등을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임의 성분을 혼합하며, 최후에 물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알칼리 이외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알칼리를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그대로라도, 세정시에 물 등의 수성 매체에 의해 희석해서 사용해도 좋다. 즉,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그대로,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세정하는 세정공정에서 사용해도 좋으나, 물 등의 수성 매체에 의해 희 석하고 나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세정하는 세정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세정하므로, 상기 세정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캐스팅공정과, 코팅공정을 포함하며, 캐스팅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성형, 성형틀의 탈형,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외주 연마,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 어닐링,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내면 연마,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이, 이 순서로 행해진다. 코팅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염색, 하드 코트층의 형성, 반사 방지층의 형성, 오염 방지층의 형성이 이 순서로 행해진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외주 연마 후에 행해지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 내면 연마 후에 행해지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에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통상, 코팅 전 공정인,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공정을 포함하는 캐스팅 공정에서 상기 외주 연마 및 내면 연마를 행할 때,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렌즈 고정 지그에 테이프를 사용해서 고정하는 등, 렌즈 기재의 일면을 테이프로 임시 고정한다. 이 테이프로부터의 전사 점착물에 기인하는 점착물 때, 즉, 이 테이프로부터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전사된 점착물 때는, 그 점착성이 높기 때문에, 종래의 세정제 조성물로는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 법에서는,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을 행하므로, 상기 점착물 때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공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공지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성형에 사용하는 1쌍의 성형틀은, 탈형 후, 세정되며, 복수의 플라스틱 렌즈를 성형하기 위해서 몇 번이나 반복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은, 이 성형틀을 세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이 공정, 즉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의 세정공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성형틀을 조립할 때의, 모노머의 누설 방지를 위해서 사용하는 테이프의 점착물에 기인하는 점착물 때, 즉, 성형틀을 사용해서 캐버티를 조립할 때에 사용되는 테이프로부터 성형틀에 전사한 점착물 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공정은, 때가 부착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세정하는 세정제 세정공정과,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린스액을 사용해서 헹궈내는 린스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세정성능이 향상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공정은, 때가 부착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세정하는 공정, 즉, 세정제 세정공정과, 통상의 물만으로 헹궈내는 린스공정 외에,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린스액을 사용해서 헹궈내는 공정을, 린스공정으로서 더 포함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보다 효율적으로 때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세정제 세정공정에 있어서의 세정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 사용되는 공지의 세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침지법, 초음파 세정법, 침지 요동법, 스프레이법, 손으로 닦는 법 등의 각종의 세정방법을,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 세정시간 등의 세정조건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오염의 정도, 때의 성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는, 20∼80℃가 바람직하고, 세정성의 향상이나 수분 증발량의 저감의 관점에서, 35∼6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시간은 일반적으로는 30초∼20분간 정도이다.
상기 린스공정은,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부착한 세정제 조성물, 잔류한 때, 또는 재부착한 때 등을 헹궈내는 공정이다. 상기 린스액에는, 통상은, 물, 바람직하게는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지만, 잔류 때나 재부착 때 등의 정도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과 물, 바람직하게는 이온 교환수를 혼합해서 이루어지는 수성 용액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린스액은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함유한다. 또한, 이 공정 후에 행해지는, 후술하는 마무리 린스 후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린스액 중의 세정제 조성물의 함유량은 헹굼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즉, 대부분의 경우는, 물 또는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유기 용제 등을 사용해서 행해지는, 마무리 린스 후에, 때 및/또는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이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남지 않도록, 린스액 중의 세정제 조성물의 함유량을 조정하면 된다.
상기 린스공정에 있어서의 린스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 사용되는 공지의 린스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침지법, 초음파 세정법, 침지 요동법, 스프레이법, 손으로 닦는 법 등의 각종의 린스방법을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린스액의 온도, 린스시간 등의 린스조건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의 부착 세정제나 잔류 또는 재부착 때 등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린스액의 온도는, 5∼95℃가 바람직하며, 린스성이나 수분 증발량의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20∼8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린스시간은 일반적으로는 30초∼20분간 정도이다.
상기 세정공정은, 상술과 같이, 또한 마무리 린스공정을 포함해도 좋다. 마무리 린스공정에서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세정, 린스된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또한, 대부분의 경우는 5∼95℃의 물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상온의 이소프로필알코올과 같은 유기 용제 등의 마무리 린스액을 사용해서, 마무리 헹굼을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ADC)를 라디칼 중합해서 얻어지는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푸말산에스테르/알릴계 모노머 공중합 수지, 트리아진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브롬 배합계 수지, 우 레탄계 수지, 함유황 우레탄계 수지 및 티오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수지의 미중합물이나 미중합물을 통하여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부착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연삭분 등의 수지분 등에서 유래하는 수지 때, 실리콘계 점착제 등의 점착제에서 유래하는 점착제 때, 지문, 먼지 등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부착한 때의 세정에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부착한 각종의 때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점착물 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과, 이것을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세정제 조성물(실시예 1∼8)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린스액으로서 물을 준비하였다. 이들 세정제 조성물, 린스액을 사용해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대한 세정제 조성물의 세정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로서,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세정제 조성물(비교예 1∼6)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마찬가지로 세정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실시예 1∼8 및 비교예 1∼6에 대해서, 모두, 표 1에 나타내는 성분을 제외한 잔부는 이온 교환수였다.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유리틀 내에 있어서, 미츠이 카가쿠(주)제 MR-8 모노머를 중합하고, 상기 틀에서 중합물을 이형하여,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제작하였다. 즉, 1쌍의 성형틀과 테이프를 사용해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 성형용 유리틀을 형성하였다. 상기 유리틀 내의 캐버티에, 함황 우레탄계 모노머(미츠이 카가쿠(주)제, MR-8)를 주입한 후, 상기 모노머를 중합하고, 그 후, 성형틀을 탈형해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제작하였다. 하드 코트 전의 부착할 가능성이 있는 때로서, 테이프의 점착물 40㎎과, 플라스틱 렌즈 원료(미중합물)와 이것에 부착한 수지분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때, 먼지, 및 지문을,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부착시켰다. 즉, 하드 코트층의 형성 전에,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부착할 가능성이 있는 때로서, 테이프의 점착물 40㎎(특수 실리콘계 점착제, 슬리온텍(Sliontec) No.6263-53), 플라스틱 렌즈 원료(미중합물)와 이것에 부착한 수지분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때, 먼지, 및 지문을 부착시켰다.
(세정제 성분)
알킬글리코시드로서, 상술한 일반식(1):R1(OR2)XGY에 있어서, R1이 평균 탄소수 11의 직쇄 알킬기, G가 글루코오스 잔기, x=0, y=1.43인 화합물(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을 사용하였다. 글리세릴에테르로서는,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를 사용하였다. 탄화수소로서는, 실시예 1∼6 및 비교예 1∼6에 대해서는 이데미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리니알렌(Linealene) 12(탄소수가 12인 α올레핀), 실시예 7에 대해서는 동사 제품의 리니알렌 14(탄소수가 14인 α올레핀), 실시예 8에 대해서는 동사 제품의 리니알렌 18(탄소수가 18인 α올레핀)을 사용하였다.
(세정시험)
50℃의 각종 세정제 조성물 중에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투입하고, 침지해서, 1분간, 초음파(39kHz, 200W, 8.3L, 샤프사 제품 초음파 세정장치 UT-204) 세정한 후, 물에 침지하고, 상기 세정과 동일한 조건에서 헹굼(린스공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25℃의 이온 교환수의 유수(流水)로 2분간 마무리 헹굼(마무리 린스공정)을 실시하였다. 그 후, 1분간 에어 블로우한 후, 실내에서, 바람에 말렸다. 그 후, 점착물 때의 제거상태를 눈으로 관찰하고, 때가 완전히 제거된 경우를 ○(양호), 때가 잔존하지만, 때의 잔존 면적이 당초의 때의 면적의 반 이하인 경우를 ×(뒤떨어짐), 때가 잔존하지만, 때의 잔존 면적이 당초의 때의 면적의 반을 넘고 있는 경우를 ××(매우 뒤떨어짐)로 해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도 1A∼도 1D에 나타내는 사진은, 각각, 세정 전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 표면, 세정 후에 있어서 평가가 ○(양호)인 경우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 표면, 세정 후에 있어서 평가가 ×(뒤떨어짐)인 경우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 표면, 세정 후에 있어서 평가가 ××(매우 뒤떨어짐)인 경우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의 A, C, D에 있어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 표면 중앙에 관찰되는 것이 점착물 때이다.
Figure 112007065533126-pat00001
표 1로부터, 실시예 1∼8은, 수산화나트륨이 3∼8중량%의 범위, 알킬글리코시드의 함유량이 8∼18중량%의 범위, 함유량비(알킬글리코시드/글리세릴에테르)가 3∼4의 범위로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물 때에 대하여 양호한 세정성능을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조건의 적어도 1개가 범위 외인 비교예 1∼6은, 점착물 때가 잔존하여, 실시예 1∼8에 비해서 세정성능이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실시예 1∼8에서는, 점착물 때 이외의 때(수지 때, 먼지, 및 지문)에 대해서도 완전히 제거되어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의 영향도 없었다.
이하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알킬글리코시드의 동정방법을 설명한다.
(알킬글리코시드의 동정방법)
우선, 사용한 알킬글리코시드의 알킬기 R1의 화학식을 적외 스펙트럼 및 NMR에 의해 확정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알킬글리코시드의 당축중합도(糖縮重合度)(y)를 측정하였다.
(1)시료 약 0.3g을 시험관에 채취하였다. (2)이 시험관을 100±5℃로 설정한 블록 히터로 가열하여, 시료의 수분을 증발시켰다. (3)그리고, 시험관 내에, 무수초산:피리딘=1:1(중량비)의 용액을 5mL 첨가해서, 혼합하였다. (4)이어서, 시험관을 100±5℃로 설정한 블록 히터로 90분간 가열하여, 아세틸화 반응을 행하였다. (5)그 후, 이 시험관을 100±5℃로 설정한 블록 히터로 질소를 불어 넣으면서 가열하여, 시험관 내의 무수초산 및 피리딘을 증발시켰다. (6)계속해서, 무수초산 및 피리딘을 증발시킨 후의 시험관 내에 톨루엔을 5mL 첨가해서, 아세틸화물과 충분히 혼합하여, 아세틸화물을 톨루엔에 용해시켰다. (7)그 후, 질소를 불어 넣으면서, 이 시험관을 100±5℃로 설정한 블록 히터로 가열하여, 시험관 내의 톨루엔을 증발시켰다. (8)(6)∼(7)의 조작을 3회 행하였다. (9)그 후, 톨루엔을 증발시킨 후의 시험관 내에 테트라히드로푸란(특급)을 3mL 첨가해서, 아세틸화물과 충분히 혼합하여, 아세틸화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다. (10)그리고, 얻어진 용해액으로부터, 메시 직경 0.2㎛의 필터를 사용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HPLC)에 의한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HPLC 차트의 각 피크에 상당하는 아세틸화한 알킬글리코시드의 분자량을 질량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분자량에 기초해서, HPLC 차트의 각 피크에 각 당축중합도의 아세틸화한 알킬글리코시드를 할당하였다. 또한, 각 피크 면적을 상기 검출기에 부속하는 컴퓨터에 의해 산출하였다.
계속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계산식을 사용해서 당축중합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AG-n은 당축중합도 n(n=1, 2…)의 아세틸화한 알킬글리코시드를 나타낸다. 또한, Sn은 당축중합도 n(n=1, 2…)의 아세틸화한 알킬글리코시드가 할당된 HPLC 피크의 면적을 나타낸다.
(당축중합도를 구하기 위한 계산식)
AG-1의 분자량=〔아세틸화한 글루코오스의 분자량―OH의 분자량〕+R1OH의 분자량=331.2+172.3=503.5
AG-2의 분자량=AG-1의 분자량+더 축합한 글루코오스의 아세틸화물의 분자량=AG-1의 분자량+288
마찬가지로, AG-n의 분자량=AG-(n-1)의 분자량+288
AG-n의 몰비=Sn/AG-n의 분자량/∑(Si/AG-i의 분자량)
당축중합도=∑(AG-j의 몰비×j)
또한, 아세틸화한 글루코오스의 분자식은 C14H20O10이며, 축합한 글루코오스의 아세틸화물의 분자식은 C12H16O8이다.
상기 계산식으로 얻어진 수치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5량체(AG-5)는 HPLC에 있어서 검출되지 않았다.
Figure 112007065533126-pat00002
표 2로부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알킬글리코시드의 당축중합도(y)는, y=AG-1의 몰비+AG-2의 몰비×2+AG-3의 몰비×3+AG-4의 몰비×4=1.43에 의해 산출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은, 플라스틱 렌즈 기재에 부착한 각종의 때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점착물 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세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안경 렌즈 등의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할 때의 세정공정에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 1A는 세정 전의 렌즈 표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B는 세정 후에 있어서 세정시험의 평가가 ○(양호)인 경우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 표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1C는 세정 후에 있어서 세정시험의 평가가 ×(뒤떨어짐)인 경우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 표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D는 세정 후에 있어서 세정시험의 평가가 ××(매우 뒤떨어짐)인 경우의 플라스틱 렌즈 기재 표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14)

  1.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세정하는 세정공정; 및
    1쌍의 성형틀을 사용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성형, 상기 성형틀의 탈형,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외주 연마, 세정, 어닐링, 내면 연마 및 세정 순서로 행해지는 캐스팅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알칼리와, 알킬글리코시드와, 글리세릴에테르와, 탄화수소와, 물을 함유하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알칼리의 함유량이 3~8중량%이고,
    상기 알킬글리코시드의 함유량이 8~18중량%이며,
    상기 글리세릴에테르의 함유량이 2~5중량%이며,
    상기 탄화수소의 함유량이 5~15중량%이며,
    상기 알킬글리코시드의 함유량을 상기 글리세릴에테르의 함유량으로 나눈 값이 3~4이며,
    상기 세정공정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리콘계 점착제에서 유래하는 점착물 때가 부착된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세정하고,
    상기 캐스팅공정에서는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외주 연마 및 내면 연마를 행할 때,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렌즈 고정 지그에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테이프를 사용해서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세정공정은, 상기 외주 연마 후에 행해지는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하는 것 및 상기 내면 연마 후에 행해지는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세정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는 알칼리금속의 수산화물, 규산염, 및 인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는, 탄소수가 10~18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는, 올레핀계 탄화수소 및 파라핀계 탄화수소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글리코시드는,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총 중량이 100중량%이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물의 함유량이 60~8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공정은,
    때가 부착된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세정하는 공정과,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린스액을 사용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를 헹궈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091540A 2006-09-11 2007-09-10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502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5723 2006-09-11
JPJP-P-2006-00245723 2006-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655A KR20080023655A (ko) 2008-03-14
KR101502552B1 true KR101502552B1 (ko) 2015-03-12

Family

ID=3924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5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2552B1 (ko) 2006-09-11 2007-09-10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2552B1 (ko)
CN (1) CN1011486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6483B2 (ja) * 2008-08-26 2013-06-19 花王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型用洗浄剤組成物
JP6929019B2 (ja) * 2016-03-31 2021-09-01 小林製薬株式会社 メガネ洗浄剤組成物
CN106799377A (zh) * 2016-12-29 2017-06-06 芜湖乐普汽车科技有限公司 塑料注塑模具的清洗方法
CN106824869A (zh) * 2016-12-29 2017-06-13 芜湖乐普汽车科技有限公司 树脂制件的清洗方法
US12031110B2 (en) 2018-06-19 2024-07-09 Essilor International Economically optimized lens cleaning and stripping system
CN109140388B (zh) * 2018-08-20 2020-06-23 六安名家汇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洗墙灯透镜的清洁方法
CN109174754A (zh) * 2018-08-20 2019-01-11 六安名家汇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洗墙灯的灯壳的除尘方法
CN109174817A (zh) * 2018-08-20 2019-01-11 六安名家汇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投光灯透明灯罩的清洁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500A (ja) * 1999-11-09 2001-05-15 Kao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洗浄剤組成物
KR20040066988A (ko) * 2003-01-21 2004-07-30 한독옵텍 주식회사 표면이 보호된 플라스틱 안경렌즈 캐스팅용 몰드 및 이몰드의 제조방법
KR20040105203A (ko) * 2003-06-06 2004-12-14 카오카부시키가이샤 경질 표면용 세정제 조성물
JP2007039627A (ja) * 2004-11-30 2007-02-15 Kao Corp 硬質表面用洗浄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500A (ja) * 1999-11-09 2001-05-15 Kao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洗浄剤組成物
KR20040066988A (ko) * 2003-01-21 2004-07-30 한독옵텍 주식회사 표면이 보호된 플라스틱 안경렌즈 캐스팅용 몰드 및 이몰드의 제조방법
KR20040105203A (ko) * 2003-06-06 2004-12-14 카오카부시키가이샤 경질 표면용 세정제 조성물
JP2007039627A (ja) * 2004-11-30 2007-02-15 Kao Corp 硬質表面用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8635B (zh) 2013-04-10
CN101148635A (zh) 2008-03-26
KR20080023655A (ko) 200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552B1 (ko) 플라스틱 렌즈용 세정제 조성물
EP0853116B1 (en) Detergent composition for removing resinous stains
JP4350364B2 (ja) 洗浄剤組成物、半導体ウェーハの洗浄方法および製造方法
US6635118B2 (en) Aqueous cleaning of polymer apply equipment
RU2631870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чистки после химико-механического полирования (после - смр), содержащая конкретное содержащее серу соединение и сахарный спирт или поликарбоновую кислоту
KR20050010805A (ko) 폴리실라잔 함유 피막의 친수성 촉진제 및 친수성 유지제
JP2013531090A (ja) 剥離用組成物、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KR100874350B1 (ko) 전자 부품 세정액
KR20090045859A (ko) 폴리이미드용 박리제
JP2019513851A (ja) 金属表面をコ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双性イオン性ポリマー含有組成物、方法、及び物品
ES2562758T3 (es) Composición y método para la retirada de revestimientos de pintura orgánica de sustratos
JP2012052024A (ja) 光造形樹脂成形体用洗浄剤組成物
KR101585634B1 (ko) 플라스틱 렌즈 성형 다이를 구성하는 유리 다이의 청정화 방법
JP4990074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洗浄剤組成物
KR101673589B1 (ko) 평판표시장치의 유리기판용 세정제 조성물
JPH0959677A (ja) 洗浄剤組成物
JPH0931490A (ja) 物品の洗浄方法
JP2020196813A (ja) 水系仮止め接着剤及び該水系仮止め接着剤を用いた各種部材又は部品の製造方法
JP6535427B1 (ja) 水系仮止め接着剤及び水系仮止め接着剤の製造方法、並びに該水系仮止め接着剤を用いた各種部材又は部品の製造方法
EP1505146A1 (en) Processing of substrates with dense fluids comprising acetylenic diols and/or alcohols
JP2004189944A (ja) 樹脂状汚れ除去用洗浄剤、及び洗浄方法
JP5143379B2 (ja) アルカリ洗浄液
KR100863526B1 (ko) 세정제 조성물
JP2792263B2 (ja) 合成樹脂成形物に付着した離型剤の洗浄に用いる非ハロゲン系洗浄剤
CN1120345A (zh) 改良的地板脱漆剂组合物及脱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9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4101003046

Request date: 20140523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6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9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5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1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