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0358B1 -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358B1
KR101500358B1 KR1020130079739A KR20130079739A KR101500358B1 KR 101500358 B1 KR101500358 B1 KR 101500358B1 KR 1020130079739 A KR1020130079739 A KR 1020130079739A KR 20130079739 A KR20130079739 A KR 20130079739A KR 101500358 B1 KR101500358 B1 KR 10150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trol mode
state
charge
so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222A (ko
Inventor
김형식
이지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358B1/ko
Priority to US14/143,859 priority patent/US20150012174A1/en
Priority to CN201410034023.4A priority patent/CN104276108B/zh
Publication of KR2015000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35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복수의 전기 부하가 요구하는 전압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전기 부하 검출부; 엔진의 동력으로 전압을 발전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알터네이터; 엔진의 시동시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에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배터리 검출부; 및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기초로 제어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모드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기초로 상기 알터네이터의 발전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은, 평균 주행 시간을 포함하는 주행 패턴을 기초로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어 모드를 기초로 상기 검출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발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정보를 기초로 주행 패턴을 산출하고 산출된 주행 패턴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발전량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를 최적화하는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통신(Telecommunication)과 정보과학 (Information)이 결합된 용어로서, 무선통신, 차량, 단말, 컨텐츠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관된 IT 산업과 자동차 산업의 결합을 통한 차량용 정보 제공 서비스로 정의된다.
텔레매틱스(Telematics) 기술은 무선 통신 기술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교통 정보, 긴급 구난 정보, 차량 진단 서비스 및 인터넷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는 연비 개선을 위한 시스템들이 적용되고 있다.
ISG(Idle Stop and Go) 시스템은 차량이 정지되어 일정시간 이상 공회전이 지속되고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이 아이들 정지되고,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해제 혹은 가속 페달의 팁인 등에 따른 출발의지가 검출되면 엔진을 재시동시킨다.
발전 제어 시스템은 ECU(Engine Control Unit)가 배터리 전극에 장착된 다양한 센서로부터의 배터리의 전류 및 전압 정보를 기초로 가속, 감속, 정속 및 아이들 조건 등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목표 발전 전압을 결정하고, 알터네이터의 구동을 조절하여 발전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ECU는 감속시 알터네이터의 발전량을 증가시켜 전기 에너지를 많이 생산하고, 전기 부하에서 사용되고 남는 전기 에너지로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ECU는 가속, 정속 및 아이들시에는 알터네이터의 발전량을 감소시키고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전기 부하를 작동시킴으로써, 연료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종래의 발전 제어 시스템은 단순히 운전 조건에 따라 목표 발전 전압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시동 횟수가 많고, 주행 시간이 짧은 경우와 같이 운전자의 주행 패턴이 배터리의 충전에 불리한 조건인 경우,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하여 배터리 충전 상태(SOC)가 일정값(예를 들어, 70%)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배터리 충전 상태가 일정값 이하로 장시간 경과하면 배터리의 내구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텔레매틱스 기술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고려한 배터리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10-0821776 (2008.4.1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산출되는 주행 패턴을 수신하여 주행 패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최적화하는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복수의 전기 부하가 요구하는 전압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전기 부하 검출부; 엔진의 동력으로 전압을 발전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알터네이터; 엔진의 시동시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에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배터리 검출부; 및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기초로 제어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모드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기초로 상기 알터네이터의 발전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은, 엔진의 시동 온/오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이그니션 검출부;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 차속 정보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 상기 ECU로부터 운전자의 운전 조건에 따른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및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로 상기 주행 패턴을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은 상기 주행 패턴을 상기 ECU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패턴은, 평균 주행 시간, 평균 시동 횟수, 감속 주행 비율 및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제1 제어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드는, 상기 평균 주행 시간이 설정된 시간(t1) 미만이고, 상기 평균 시동 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고, 상기 감속 주행 비율이 설정된 비율 미만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이 설정된 시간(t2)을 초과하는 경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제2 제어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모드는, 상기 평균 주행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t1) 이상이고, 상기 평균 시동 횟수가 상기 설정된 횟수 이하이고, 상기 감속 주행 비율이 상기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t2) 이하인 경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ECU는, 상기 제어 모드가 제1 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제1 기준 상태 미만이면, 발전 제어를 비활성화로 전환하고, 배터리 충전 제어를 활성화시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ECU는, 상기 제어 모드가 제2 제어 모드인 경우, 설정된 시간(t3)마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제2 기준 상태를 초과하면, 배터리 방전 제어를 활성화시켜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은, 평균 주행 시간을 포함하는 주행 패턴을 기초로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어 모드를 기초로 상기 검출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발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 패턴은 평균 시동 횟수, 감속 주행 비율 및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평균 주행 시간이 설정된 시간(t1) 미만이고, 상기 평균 시동 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고, 상기 감속 주행 비율이 설정된 비율 미만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이 설정된 시간(t2)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평균 주행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t1) 이상이고, 상기 평균 시동 횟수가 상기 설정된 횟수 이하이고, 상기 감속 주행 비율이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t2) 이하인 경우 제2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알터네이터의 발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와 제1 기준 상태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상기 제1 기준 상태 미만이면, 발전 제어를 비활성화로 전환하고, 배터리 충전 제어를 활성화시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알터네이터의 발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설정된 시간(t1)마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와 제2 기준 상태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상기 제2 기준 상태를 초과하면, 배터리 방전 제어를 활성화시켜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은,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텔레매틱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상기 주행 패턴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는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행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매틱스 기술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활용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최적화 할 수 있다.
운전자의 주행 패턴이 배터리의 충전에 불리한 조건인 경우, 배터리 충전 상태(SOC)가 설정된 상태(제1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발전 제어를 비활성화하고 배터리 충전 제어를 활성화하여 배터리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운전자의 주행 패턴이 배터리의 충전에 유리한 조건인 경우, 배터리 충전 상태(SOC)가 설정된 상태(제2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발전 제어가 가능한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연료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산출하여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은 이그니션 검출부(10), 엔진 회전수 검출부(20), 차속 검출부(30), 전기 부하(40), 전기 부하 검출부(45), 배터리(50), 배터리 검출부(55), 알터네이터(60) 및 ECU(Electronic Control Unit)(70)를 포함한다. 또한, 운행 패턴을 송수신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80) 및 텔레매틱스 서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그니션 검출부(10)는 엔진의 시동 온/오프에 대한 정보를 ECU(70)에 제공한다.
엔진 회전수 검출부(20)는 크랭크 각 센서 혹은 캠 각 센서일 수 있다. 크랭크 축의 각도 변화 또는 캠 축의 각도 변화로부터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ECU(70)에 제공한다.
차속 검출부(30)는 현재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ECU(70)에 제공한다.
전기 부하(40)는 차량에 장착되어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부하는 공조 장치, 와이퍼 장치, 헤드 램프, 블로워 및 열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부하 검출부(45)는 복수의 전기 부하(40)에서 요구하는 전압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ECU(70)에 제공한다.
배터리(50)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엔진 시동시, 재시동시 전압을 공급한다. 또한, 알터네이터(60)의 발전량이 낮은 가속, 정속 및 아이들시에는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기 부하(40)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한다.
배터리 검출부(55)는 배터리(50)의 전압, 전류, 온도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ECU(70)에 제공한다.
알터네이터(60)는 엔진의 동력으로 전압을 발전한다. 상기 ECU(70)의 제어에 따라 발전량이 조절되며, 복수의 전기 부하(40)에 전압을 공급하고 잉여의 발전 전압을 배터리(50)에 충전 전압으로 공급한다. 상기 알터네이터(60)는 발전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ECU(70)에 제공하고 상기 ECU(70)는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ECU(7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ECU(70)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 및 상기 배터리 검출부(55)로부터 제공되는 배터리 충전 상태(SOC)를 기초로 상기 알터네이터(60) 및 상기 배터리(50)를 제어한다.
상기 ECU(70)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이 배터리의 충전에 불리한 조건인 경우(예를 들어, 평균 주행 시간이 짧고, 평균 시동 회수가 많고, 감속 주행 비율이 낮고, 전기 부하의 사용 빈도가 높은 경우 등), 발전 제어를 비활성화하고 배터리 충전 제어를 활성화하여 배터리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ECU(70)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이 배터리의 충전에 유리한 조건인 경우(예를 들어, 평균 주행 시간이 길고, 평균 시동 회수가 적고, 감속 주행 비율이 높고, 전기 부하의 사용 빈도가 낮은 경우 등), 배터리 방전 제어를 활성화하여 발전 제어가 가능한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연료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도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텔레매틱스 단말(80)은 차량 정보를 상기 ECU(70)로부터 수집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텔레매틱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200)로부터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수신하여 상기 ECU(70)로 제공한다.
텔레매틱스 서버(200)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8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누적하고, 누적된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산출한다. 텔레매틱스 서버(200)는 산출된 운행 패턴을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80) 및 텔레매틱스 서버(20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산출하여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100)에 장착된 텔레매틱스 단말(8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텔레매틱스 서버(200)로 차량 정보를 전송한다(S100). 상기 전송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80)이 상기 ECU(70)로부터 수집한 정보이다. 상기 차량 정보는 엔진의 시동 온/오프 정보, 차속 정보, 가/감속 정보, 주행 시간 정보, 배터리 정보 및 복수의 전기 부하의 사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200)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8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저장한다(S110).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8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가 증가할수록 차량 정보가 누적된다.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200)는 누적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산출한다(S120).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200)는 상기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저장하고,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기초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패턴은 평균 주행 시간, 평균 시동 횟수, 감속 주행 비율 및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주행 시간은 시동 후 기간별(예를 들어 일간, 주간 또는 월간 등) 주행 시간을 평균한 값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시동 횟수는 ISG 시스템에 따라 엔진이 재시동된 횟수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 주행 비율은 차속 정보(가속, 감속, 정속 및 아이들)를 기초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은 기간별(예를 들어 일간, 주간 또는 월간 등) 전기 부하의 사용 시간을 평균한 값일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200)는 산출된 주행 패턴을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80)로 전송한다(S130).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80)은 상기 주행 패턴을 ECU(70)로 제공한다.
상기 ECU(70)는 상기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기초로 제어 모드를 결정한다(S140).
상기 제어 모드는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드는 제3 제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CU(70)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이 배터리의 충전에 불리한 조건인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드를 설정하여 배터리의 수명 단축을 방지한다. 상기 ECU(70)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이 배터리의 충전에 유리한 조건인 경우 상기 제2 제어 모드를 설정하여 연비 상승을 극대화한다.
상기 제1 제어 모드는, 상기 평균 주행 시간이 설정된 시간(t1) 미만이고, 상기 평균 시동 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고, 상기 감속 주행 비율이 설정된 비율 미만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이 설정된 시간(t2)을 초과하는 경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모드는, 상기 평균 주행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t1) 이상이고, 상기 평균 시동 횟수가 상기 설정된 횟수 이하이고, 상기 감속 주행 비율이 상기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t2) 이하인 경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시간(t1), 설정된 횟수, 설정된 비율 및 설정된 시간(t2)은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ECU(70)가 상기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3 제어 모드는, 상기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가 아닌 경우 설정되며 종래의 발전 제어가 수행되는 모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ECU(70)는 이그니션 검출부(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엔진의 시동 온을 판단한다(S200).
상기 ECU(70)는 배터리 검출부(55)로부터 현재 배터리 충전 상태(SOC)를 검출한다(S210).
상기 ECU(70)는 설정된 제어 모드가 제1 제어 모드인지 판단한다(S220).
상기 ECU(70)는 제1 제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SOC)를 제1 기준 상태와 비교한다(S230). 상기 제1 기준 상태는 배터리의 내구성 증대를 고려하여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0%일 수 있다.
상기 ECU(70)는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SOC)가 상기 제1 기준 상태 미만이면, 발전 제어를 비활성화로 전환하고, 배터리 충전 제어를 활성화시켜 배터리(50)의 충전을 제공한다(S240). 이에 따라 운전자의 주행 패턴이 배터리(50)의 충전에 불리한 조건인 경우, 배터리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S240 단계는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SOC)가 상기 제1 기준 상태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S250).
상기 ECU(70)는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SOC)가 상기 제1 기준 상태가 되면 발전 제어를 활성화시킨다(S310). 이에 따라, 알터네이터(60)의 발전 전압이 복수의 전기 부하(40)만을 작동시켜 연료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ECU(70)는 설정된 제어 모드가 제1 제어 모드가 아닌 경우 제2 제어 모드인지 판단한다(S260). 상기 ECU(70)는 제2 제어 모드가 아닌 경우 제3 제어 모드로 판단하고 발전 제어를 활성화시킨다(S310)
제2 제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설정된 시간(t3)이 경과했는지 판단한다(S270).
상기 ECU(70)는 상기 설정된 시간(t3)이 경과한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SOC)를 제2 기준 상태와 비교한다(S280). 상기 제2 기준 상태는 연비 향상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5%일 수 있다.
상기 ECU(7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상기 제2 기준 상태를 초과하면, 배터리 방전 제어를 활성화시킨다(S290). 이에 따라, 배터리(50)의 전압이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40)를 작동시켜 발전 제어가 가능한 영역이 확장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주행 패턴이 배터리(50)의 충전에 유리한 조건인 경우, 연비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S290 단계는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SOC)가 상기 제2 기준 상태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S300).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매틱스 기술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활용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최적화 할 수 있다.
운전자의 주행 패턴이 배터리(50)의 충전에 불리한 조건인 경우, 배터리 충전 상태(SOC)가 설정된 상태(제1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발전 제어를 비활성화하고 배터리 충전 제어를 활성화하여 배터리(5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운전자의 주행 패턴이 배터리(50)의 충전에 유리한 조건인 경우, 배터리 충전 상태(SOC)가 설정된 상태(제2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배터리(50)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발전 제어가 가능한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연료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기술을 이용하므로 텔레매틱스 서버(200)에 누적된 데이터에 따라 배터리 상태를 파악하여 A/S 센터로 고객의 차량의 입고를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이그니션 검출부 20: 엔진 회전수 검출부
30: 차속 검출부 40: 전기 부하
45: 전기 부하 검출부 50: 배터리
55: 배터리 검출부 60: 알터네이터
70: ECU(Electronic Control Unit) 80: 텔레매틱스 단말
100: 차량 200: 텔레매틱스 서버

Claims (14)

  1. 차량에 장착된 복수의 전기 부하가 요구하는 전압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전기 부하 검출부;
    엔진의 동력으로 전압을 발전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알터네이터;
    엔진의 시동시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에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배터리 검출부;
    엔진의 시동 온/오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이그니션 검출부;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
    차속 정보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기초로 제어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모드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기초로 상기 알터네이터의 발전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ECU로부터 운전자의 운전 조건에 따른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및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로 상기 주행 패턴을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은 상기 주행 패턴을 상기 ECU로 제공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패턴은,
    평균 주행 시간, 평균 시동 횟수, 감속 주행 비율 및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드는, 제1 제어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드는,
    상기 평균 주행 시간이 설정된 시간(t1) 미만이고, 상기 평균 시동 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고, 상기 감속 주행 비율이 설정된 비율 미만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이 설정된 시간(t2)을 초과하는 경우 설정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드는, 제2 제어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모드는,
    상기 평균 주행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t1) 이상이고, 상기 평균 시동 횟수가 상기 설정된 횟수 이하이고, 상기 감속 주행 비율이 상기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t2) 이하인 경우 설정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제어 모드가 제1 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제1 기준 상태 미만이면,
    발전 제어를 비활성화로 전환하고, 배터리 충전 제어를 활성화시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공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제어 모드가 제2 제어 모드인 경우,
    설정된 시간(t3)마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제2 기준 상태를 초과하면,
    배터리 방전 제어를 활성화시켜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에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8.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텔레매틱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평균 주행 시간을 주행 패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행 패턴을 기초로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어 모드를 기초로 상기 검출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발전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는 상기 차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행 패턴을 산출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패턴은 평균 시동 횟수, 감속 주행 비율 및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평균 주행 시간이 설정된 시간(t1) 미만이고, 상기 평균 시동 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고, 상기 감속 주행 비율이 설정된 비율 미만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이 설정된 시간(t2)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평균 주행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t1) 이상이고, 상기 평균 시동 횟수가 상기 설정된 횟수 이하이고, 상기 감속 주행 비율이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의 평균 사용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t2) 이하인 경우 제2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알터네이터의 발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와 제1 기준 상태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상기 제1 기준 상태 미만이면,
    발전 제어를 비활성화로 전환하고, 배터리 충전 제어를 활성화시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공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알터네이터의 발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설정된 시간(t1)마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와 제2 기준 상태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상기 제2 기준 상태를 초과하면,
    배터리 방전 제어를 활성화시켜 상기 복수의 전기 부하에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방법.
  14. 삭제
KR1020130079739A 2013-07-08 2013-07-08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00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739A KR101500358B1 (ko) 2013-07-08 2013-07-08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4/143,859 US20150012174A1 (en) 2013-07-08 2013-12-30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in vehicle
CN201410034023.4A CN104276108B (zh) 2013-07-08 2014-01-23 控制车辆中电池的充电状态的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739A KR101500358B1 (ko) 2013-07-08 2013-07-08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222A KR20150006222A (ko) 2015-01-16
KR101500358B1 true KR101500358B1 (ko) 2015-03-18

Family

ID=5213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7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0358B1 (ko) 2013-07-08 2013-07-08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12174A1 (ko)
KR (1) KR101500358B1 (ko)
CN (1) CN10427610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9764B2 (en) 2015-09-17 2018-02-1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of green c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8525B2 (en) * 2013-12-04 2015-08-18 General Motors Llc Telematics control of high energy electrical power storage device
CN203933073U (zh) 2014-04-28 2014-11-05 王熙宁 一种新型汽车充电器
US9007015B1 (en) 2014-07-03 2015-04-14 The Noco Company Portable vehicle battery jump start apparatus with safety protection
US11458851B2 (en) 2014-07-03 2022-10-04 The Noco Company Jump starting apparatus
KR101755800B1 (ko) * 2015-07-03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충전제어 방법
KR101713735B1 (ko) * 2015-07-10 2017-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저전압 직류 변환기의 출력 제어 방법, 및 친환경 차량의 저전압 직류 변환기
CN105730375A (zh) * 2016-01-28 2016-07-06 叶少甘 一种车载负载电源控制系统
CN105480113A (zh) * 2016-01-28 2016-04-13 科力远混合动力技术有限公司 混合动力汽车车载铅酸蓄电池组的充电方法
DE102016104290A1 (de) * 2016-03-09 2017-09-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waltungssteuergerät für ein Fahrzeug
US12074434B2 (en) 2017-09-22 2024-08-27 The Noco Company Portable vehicle battery jump starter with air pump
US10375764B2 (en) * 2017-10-04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load current detection and control
CA3085762C (en) 2017-12-14 2023-10-10 The Noco Company Portable vehicle battery jump starter with air pump
CN111409576B (zh) * 2019-01-08 2021-12-10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发电机控制方法及系统
KR102715814B1 (ko) * 2019-09-24 2024-10-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20289395A1 (en) * 2021-03-09 2022-09-15 Honda Motor Co., Ltd. Propulsion system for aircraf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ircraft
KR20230123840A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서버
US11994081B2 (en) * 2022-04-21 2024-05-2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Apparatus for active engine idle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236A (ko) * 2006-11-09 2008-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발전 및 충전 제어장치
KR20120116630A (ko) * 2011-04-13 2012-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발전제어 연비향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5602B2 (en) * 1997-11-03 2010-04-27 Midtronics, Inc. Automotive vehicle electrical system diagnostic device
US6554088B2 (en) * 1998-09-14 2003-04-29 Paice Corporation Hybrid vehicles
US20040113494A1 (en) * 2000-09-01 2004-06-17 Karuppana Samy V. Daytime running light control using an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6745117B1 (en) * 2003-05-16 2004-06-01 Deere & Company Power-limit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 work vehicle
JP4267565B2 (ja) * 2004-12-14 2009-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
JP4793335B2 (ja) * 2007-06-20 2011-10-12 株式会社デンソー 充放電管理装置および充放電管理装置用のプログラム
WO2013081657A1 (en) * 2011-12-02 2013-06-06 Odyne Systems, Llc System for and method of fuel optimization in a hybrid vehicle
JP2009247037A (ja) * 2008-03-28 2009-10-22 Toyota Motor Corp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EP2434466A1 (en) * 2009-05-20 2012-03-28 Optex Co., Ltd.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evice
US20100305798A1 (en) * 2009-05-29 2010-1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rive Cycle Determination And Energy Management
JP4905516B2 (ja) * 2009-07-23 2012-03-28 株式会社デンソー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制御装置
US20110082621A1 (en) * 2009-10-02 2011-04-07 Eric Berkobi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battery life based on vehicle battery, usage, and environmental data
US8359259B2 (en) * 2009-11-12 2013-01-22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telematics based reinsurance pools
US9545851B2 (en) * 2010-02-25 2017-01-17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Vehicle bi-directional power inverter system and method
US20110224868A1 (en) * 2010-03-12 2011-09-15 John K. Collings, III System for Determining Driving Pattern Suitability for Electric Vehicles
US9340121B2 (en) * 2011-04-14 2016-05-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heating a vehicle battery
EP3323658B1 (en) * 2011-05-13 2021-11-24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Intelligent belt drive system and method
CA2838558C (en) * 2011-05-24 2022-08-30 Fastcap Systems Corporation Power system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with rechargeable energy storage
JP5338856B2 (ja) * 2011-06-13 2013-11-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制御装置
US8935075B2 (en) * 2011-08-04 2015-0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start stop inhibit system and method
WO2013046251A1 (ja) * 2011-09-26 2013-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US8527129B2 (en) * 2011-10-27 2013-09-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ersonalized charging management for a vehicle
US9827925B2 (en) * 2011-11-18 2017-11-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riving environment prediction device,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s thereof
JP5594335B2 (ja) * 2011-12-21 2014-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システム
WO2013192214A2 (en) * 2012-06-19 2013-12-27 Telogis, Inc. System for processing fleet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US9406222B2 (en) * 2012-10-18 2016-08-02 Calamp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reporting of detected events in vehicle operation
US9061599B2 (en) * 2013-01-11 2015-06-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storing of vehicular energy
US10836375B2 (en) * 2013-02-08 2020-11-17 Cummins Electrified Power Na Inc. Powertrain configurations for single-motor, two-clutch hybrid electric vehicles
US20140277931A1 (en) * 2013-03-12 2014-09-18 Paccar Inc Vehicle power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fuel cells
US9388750B2 (en) * 2013-03-15 2016-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vailability of vehicle energy conserving modes
US9524592B2 (en) * 2013-06-03 2016-12-20 Honda Motor Co., Ltd. Driving analytic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236A (ko) * 2006-11-09 2008-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발전 및 충전 제어장치
KR20120116630A (ko) * 2011-04-13 2012-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발전제어 연비향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9764B2 (en) 2015-09-17 2018-02-1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of green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76108B (zh) 2018-12-14
CN104276108A (zh) 2015-01-14
KR20150006222A (ko) 2015-01-16
US20150012174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358B1 (ko)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RU2592468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одачей энергии
CN104838560B (zh) 充电控制装置、充电控制方法
US20140265558A1 (en) Vehicle-mounted power supply system
US9827925B2 (en) Driving environment prediction device,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s thereof
CN111196265B (zh) 混合动力车辆的控制装置、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US20190232944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21189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10498154B2 (en) Electric power system
JPWO2011058633A1 (ja) 昇圧制御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システム
KR101484241B1 (ko)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JP2007274885A (ja) 電源管理装置
JP2019030189A (ja) 電源システム
JP6277859B2 (ja) 電源制御装置
CN115195640A (zh) 基于历史和基于位置的车辆钥匙关断负载控制
GB2523666A (en) Hybrid vehicle
US10794353B2 (en) Vehicle system including idle stop and go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idle stop and go
JP2002155775A (ja) エンジン自動制御装置
JP2008154383A (ja)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
JP2018114815A (ja) 車両制御装置
JP6292113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4566092B2 (ja) 車両用バッテリ状態推定装置
JP2020006815A (ja) 発電制御装置
JP6682383B2 (ja) 車両用制御装置
CN113401103B (zh) 非瞬时性存储介质、车辆控制装置及数据结构的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