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9282B1 -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282B1
KR101499282B1 KR1020110134492A KR20110134492A KR101499282B1 KR 101499282 B1 KR101499282 B1 KR 101499282B1 KR 1020110134492 A KR1020110134492 A KR 1020110134492A KR 20110134492 A KR20110134492 A KR 20110134492A KR 101499282 B1 KR101499282 B1 KR 101499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olding
unit
bookbinding
cu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7299A (ko
Inventor
마사미찌 아까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2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43/00Auxiliary folding, collecting, or depositing of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14Buckling folders
    • B65H45/142Pocket-type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16Rotary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20Zig-zag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28Folding in combination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지 재단 및 제본과 함께 접음을 행할 때 적절하게 Z 접음된 시트를 포함하는 제본 문서를 완료할 수 있는 시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 처리 장치는 시트에 대해 Z 접음 처리, 재단 처리 및 제본 처리를 제어한다. Z 접음 처리, 재단 처리 및 제본 처리가 실행될 때, 시트의 자유 단부로부터의 제1 접음 위치는, 시트의 재단 폭과 제본 여백을 제외한 시트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위치와 일치한다.

Description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SHEET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에 대해 접음, 재단 및 제본을 포함하는 시트 처리를 행하는 시트 처리 유닛을 탑재한 시트 처리 장치, 시트 처리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POD(print-on-demand) 시장을 의도한 인쇄 시스템 등에서는, 다양한 시트 처리 장치와 프린터를 직접 접속(인라인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인쇄된 시트에 스테이플링 또는 케이스 제본과 같은 접음, 재단 및 제본이 행해진다.
이러한 인쇄 시스템 등이 접음과 재단을 조합해서 행할 경우, 접음에 의해 생성된 접음선 주변 부분이 재단될 수 있다. 또한, 접음 및 제본을 조합해서 행하는 경우, 접음에 의해 생성된 접음선 주변 부분이 스테이플 등에 의해 제본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시스템 등에서는, 접음 후에 재단이 불가능하도록 제어 패널 상에서의 조작이 제한되었다. 또한, 특정한 접음(예를 들어, Z 접음) 및 특정한 재단(예를 들어, 에지 재단)의 조합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제어 패널 상에서의 조작이 제한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인쇄 시스템 등과 관련하여, 접음선이 재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예를 들어 Z 접음 동안 2개의 접음선을 각각의 시트 에지의 내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접음선 주변 부분이 재단되지 않도록 접음선을 옮기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시트 처리 장치 등과 관련하여, 최종적으로 재단되는 임의의 부분을 시트가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접음선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Kokai) 제2001-163514호 참조].
또한, 종래의 시트 처리 장치 등에서는, 시트의 재단 위치가 접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 접혀진 시트의 인쇄가 중단된다. 종래의 시트 처리 장치 등에서는, 유저에게 접음 위치 조정을 위한 입력을 재촉함으로써 접음선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Kokai) 제2010-002859호 참조].
또한, 몇몇의 종래의 시트 처리 장치 등은 접혀지지 않는 시트만을 취출하여 재단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들 종래의 시트 처리 장치 등과 관련하여, 접음을 필요로 하는 시트와 접음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트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 접음을 필요로 하는 시트 종류와, 접음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트 종류로 시트를 분류하고, 그 후에 2종류의 시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Kokai) 평10-186959호 참조].
몇몇의 종래의 시트 처리 장치 등과 관련하여, Z 접음을 포함하는 복수의 접음 방법에 대한 접음 위치의 조정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Kokai) 제2006-193288호 참조].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의 이용은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Z 접음 등의 특정 접음과 에지 재단과 같은 특정 재단을 조합하는 경우에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Kokai) 제2001-163514호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Kokai) 제2010-002859호에 기재된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그렇게 할 때, 시트의 기단부로부터의 제1 접음 위치를 자동 조정하면, 단일 접음 위치만이 자동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수단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시트의 기단부로부터의 제1 접음 위치와 제2 접음 위치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게 된다. 이로써, 시트의 기단부로부터의 제2 접음 위치의 거리가 시트의 절반보다 길어지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의 Z 접음이 된다.
접음, 에지 재단 외에 제본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Kokai) 제2001-163514호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Kokai) 제2010-002859호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와 같이, 시트의 기단부로부터의 제1 접음 위치만이 자동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접음이 지정된 시트가 넓고, 큰 재단 폭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기단부로부터의 제2 접음 위치가 제본 위치에 겹쳐져서, 예기치 않은 출력 결과로 된다.
본 발명은 에지 재단 및 제본과 함께 접음을 행할 때 적절하게 Z 접음된 시트를 포함하는 제본 문서를 완료할 수 있는 시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시트에 대해 Z 접음 처리, 재단 처리 및 제본 처리를 제어하는 시트 처리 장치가 제공되며, 시트 처리 장치는, 상기 재단 처리를 위해 시트의 재단 폭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재단 폭 취득 유닛과; 상기 제본 처리를 위해 제본 여백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본 여백 취득 유닛과; Z 접음 처리, 재단 처리 및 제본 처리가 실행될 때, 상기 시트의 자유 단부로부터의 제1 접음 위치가, 상기 재단 폭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재단 폭과 상기 제본 여백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제본 여백을 제외한 시트의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위치와 일치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에지 재단 및 제본과 함께 접음을 행할 때 Z 접음된 시트의 제1 접음 위치 및 제2 접음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적절하게 Z 접음된 시트를 포함하는 제본 문서를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를 탑재한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인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인쇄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후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도 4의 접지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접지기에 의해 접혀진 시트의 Z 접음부를 설명하는데 이용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인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인쇄 잡을 설명하는데 이용되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도 2의 프린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시트 상에 행해진 더블 스테이플링 처리의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c는 더블 스테이플링 후의 시트의 다발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인쇄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널 유닛 상의 화면을 설명하는데 이용되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d는 도 1의 인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인쇄 잡을 설명하는데 이용되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프린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b는 시트 상에 행해진 Z 접음 처리 및 더블 스테이플링 처리의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c는 시트 상에 행해진 재단 처리의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d는 재단된 시트의 다발을 도시하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도 4의 후처리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접음 처리시의 시트의 접음 위치를 설명하는데 이용되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접음 여백이 지정된 경우에 도 4의 후처리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접음 처리시의 시트의 접음 위치를 설명하는데 이용되는 도면.
도 11은 도 2의 인쇄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인쇄 잡 처리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를 탑재한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PC)(102)와 인쇄 시스템(103)은, 네트워크(101)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PC)(102)는 네트워크(101)를 통해 화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후처리를 지정하는 명령을 인쇄 시스템(103)에 송신한다. 인쇄 시스템(103)은 인쇄 장치(104)와 후처리 장치(105)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의 인쇄 장치(104)의 내부 구성을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인쇄 시스템(103)의 인쇄 장치(104)는 복사기 기능 및 프린터 기능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주변 장치(multi function peripheral; MFP)이다.
인쇄 장치(104)는, 예를 들어 복사기 기능 또는 프린터 기능만을 갖는 단일 기능의 인쇄 장치(프린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인쇄 장치(104)는 후처리 장치(105) 이외의 각종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인쇄 장치(104)는 임의의 개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후처리 장치(105)가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쇄 장치(104)에 접속된 후처리 장치(105)는 인쇄 장치(104)에 의해 인쇄된 시트 상에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쇄 시스템(103)은, 인쇄 장치(104)에 후처리 장치(105)가 접속되지 않고 인쇄 장치(104)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후처리 장치(105)는 인쇄 장치(104)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인쇄 장치(10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후처리(후술됨)를 행한다.
이제, 인쇄 장치(104)의 개별 구성 요소를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쇄 장치(104)는 입력 화상 처리 유닛(201), NIC 유닛/RIP 유닛(202), 조작 유닛(203), 메모리 유닛(207), 출력 화상 처리 유닛(205), 및 이들에 접속된 제어 유닛(204)을 포함한다. 또한, 인쇄 장치(104)는 출력 화상 처리 유닛(205)에 접속된 프린터 유닛(206)을 포함한다. 프린터 유닛(206)에는 후처리 장치(105)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 화상 처리 유닛(201)은 원고로부터 화상을 판독하고, 상기 화상을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다른 유닛에 전송한다.
NIC 유닛/RIP 유닛(202)은 네트워크(101)에 접속된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고, 수신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페이지 기술 언어)] 데이터를 해석하며, 상기 PDL 데이터를 래스터 데이터(raster data)로 변환하여, 상기 래스터 데이터를 다른 유닛에 전송한다.
출력 화상 처리 유닛(205)은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프린터 유닛(206)에 적합한 화상 처리를 행한다. 프린터 유닛(206)은 출력 화상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 상에 화상을 인쇄한다.
조작 유닛(203)은 하드(hard) 키 입력 유닛(키 입력 유닛)(302) 및 터치 패널 유닛(301)을 포함하고, 이들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접수한다. 또한, 조작 유닛(203)은 터치 패널 유닛(301) 상에 각종 표시를 생성한다.
제어 유닛(204)은 인쇄 시스템(103) 내의 각종 유닛의 처리 및 동작에 대해 전반적인 제어를 한다. 즉, 제어 유닛(204)은 인쇄 장치(104) 및 인쇄 장치(104)에 접속된 후처리 장치(105)의 동작도 제어한다.
제어 유닛(204)에 접속된 메모리 유닛(207)은 제어 유닛(204)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과, 입력 화상 처리 유닛(201)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와, NIC 유닛/RIP 유닛(202)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유닛(207)은, 예를 들어 제어 유닛(204)이 흐름도(후술됨)에 도시된 각종 처리를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과, 각종 설정 화면(후술됨)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 유닛(207)은 클라이언트 컴퓨터(PC)(102)로부터 수신된 PDL(페이지 기술 언어) 데이터를 래스터 화상 데이터로 번역하기 위해 NIC 유닛/RIP 유닛(202)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 유닛(207)은 부팅 시퀀스, 폰트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제, 도 1의 인쇄 장치(104)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도 3에서, 인쇄 장치(104)는, 주로, 원고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입력 화상 처리 유닛(201)과, 기록 시트에 원고 화상을 출력하는 프린터 유닛(206)을 포함한다.
인쇄 장치(104)는 카피 모드 명령 등을 입력하는 사용자의 조작 유닛(203)의 조작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 장치(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조작 유닛(203)의 터치 패널 유닛(301) 상에 인쇄 장치의 각종 설정 및 현재의 잡 상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쇄 장치(104)는, 인쇄 장치 내에 트러블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터치 패널 유닛(301) 상에 "서비스맨에게 연락하세요" 메시지를 표시하고, 잼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장치 내에 걸린 기록 시트의 위치를 터치 패널 유닛(301)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쇄 장치(104)는 기록 시트를 저장하는 급지 트레이(34, 35, 36, 37)를 프린터 유닛(206)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와 같은 용지 사이즈와 용지 타입에 따라 기록 시트를 분류한다. 또한, 프린터 유닛(206)은, 그 외부에 대용량의 용지 데크(paper deck)(15)가 접속될 수 있다.
인쇄 장치(104)에서는, 급지 트레이(34, 35, 36, 37) 및 용지 데크(15)에 저장된 기록 시트가,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용지 공급/반송 롤러(38, 39, 40, 41, 42)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으로 반송된다.
인쇄 장치(104)는 그 상부에 설치된 입력 화상 처리 유닛(201)을 갖는다. 입력 화상 처리 유닛(201)에서는, 도 3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광원(21)이 입력 화상 처리 유닛(201)의 상면의 원고 유리판 상에 위치된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원고에 반사된 광에 의해 생성된 광학 화상이 미러(22, 23, 24) 및 렌즈(25)를 통해 CCD(26) 상에 결상된다. CCD(26)는 결상된 광학 화상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서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 화상 데이터에는 사용자의 요구에서의 확대 축소 등의 화상 변환 처리가 행해지며, 화상 변환 처리된 데이터는 메모리 유닛(207)에 저장된다.
인쇄 장치(104)에서는, 화상 출력시에, 프린터 유닛(206)이, 메모리 유닛(207)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호출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재변환한다. 프린터 유닛(206)은, 아날로그 신호를, 광학 조사 유닛(27)을 사용하여 레이저 빔의 광학 신호로 변환하고, 스캐너(28), 렌즈(29) 및 미러(30)를 통해 감광 드럼(31)을 조사하여, 감광 드럼(31)을 주사한다.
표면 상에 유기 광도전성 재료로 구성된 광도전층을 갖는 감광 드럼(31)은 카피 잡 동안 일정한 속도로 회전 구동되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31)의 표면 상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 위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 드럼(31)의 표면에는, 토너(도시되지 않음)로 충전된 현상 디바이스(33)로부터 전사된 토너가 부착되어, 가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기록 시트는 용지 반송로를 통해 급지 트레이(34, 35, 36 또는 37)로부터 반송되고, 가시 화상과 동기하여 그 저부에서 감광 드럼(31)과 회전 접촉된다. 이어서, 감광 드럼(31) 상의 가시 화상은 전사 대전기(48)에 의해 기록 시트에 전사된다.
가시 토너 화상(미정착 화상)을 갖는 기록 시트는 정착 디바이스의 정착 롤러(32)와 가압 롤러(43) 사이로 도입되고, 가열 및 가압되며, 이어서 기록 시트에 가시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토너가 정착된 화상 형성된 기록 시트는 인쇄 장치(104)의 외측의 후처리 장치(105)로 배출된다.
다음에, 도 1의 후처리 장치(105)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후처리 장치(105)는 인쇄 장치(104)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가 상류의 유닛으로부터 하류의 유닛으로 반송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종류의 임의의 수의 유닛에 연결할 수 있다.
도 4의 후처리 장치(105)에서, 인쇄 장치(104)로부터의 거리에 대해 순서대로, 접지기(paper folding machine)(400), 새들 스티치 제본기(saddle stitch binding machine)(410), 재단기(420)가 연결된다. 후처리 장치(105)의 각종 유닛은 인쇄 시스템(103)에서 자유롭게 선택해서 이용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후처리 장치(105)의 각 유닛은 배지 유닛을 탑재하여, 사용자가 후처리된 시트를 배지 유닛에서 취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104)의 정착 디바이스로부터 배지된 시트는 후처리 장치(105)로 진입한다. 후처리 장치(105)는 배지처로서 배지 트레이(413, 415)가 탑재된다. 배지된 시트는 잡의 종류, 배지되는 시트의 수 및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지 트레이(413, 415)에 적재된다.
또한, 배지 트레이(413, 415)로 안내되는 반송로 상에 접지기(400) 및 새들 스티치 제본기(410)가 위치된다. 접지기(400)는 Z 접음 기능(후술됨)을 포함하는 다기능 접음 유닛을 포함한다. 다기능 접음 유닛은 소위 Z 접음을 이용하여 시트의 긴측으로부터 볼 때 문자 Z 형상으로 시트를 두 번 접는다. 접지기(400)에 의해 접혀진 시트는 새들 스티치 제본기(410)로 보내진다.
새들 스티치 제본기(410)는 새들 스티쳐(saddle stitcher)(418)를 탑재한다. 새들 스티쳐(418)는 시트의 중앙부를 2개의 위치에서 제본하고, 시트의 중간부를 롤러 하에서 삽입하여, 시트 다발을 중간에서 접고, 잡지 또는 팜플렛과 같은 소책자를 생성한다. 새들 스티쳐(418)에 의해 제본된 시트는, 소책자 트레이(419)로 배지된 후에, 소책자 트레이(419)에 접속되어 있는 재단기로 반송된다.
새들 스티치 제본기(410)는 펀쳐(puncher)(414)를 탑재하여 시트에 구멍을 펀칭할 수 있다. 시들 스티치 제본기(410)는 더블 스테이플링 유닛(417)을 탑재하여 시트의 단부에 더블 스테이플링을 행할 수 있다. 새들 스티치 제본기(410)는 삽입기(411)를 탑재하여 인서트 트레이(412)로부터 시트를 공급함으로써 새들 스티치 제본, 더블 스테이플링 및 펀칭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새들 스티처(418)에 의해 새들 스티치 제본되거나 또는 펀칭 및 더블 스테이플링된 후에, 시트 다발은 소책자 트레이(419)를 경유하여 재단기(420)로 반송된다.
재단기(420)는 미리 결정된 길이로 에지를 재단하는 커터 유닛(421)에 의해 가지런히(neatly) 제본된 시트 다발의 에지를 잘라낸다. 재단 후에, 시트 다발은 소책자 보유 유닛(422)에 저장된다. 커터 유닛(421)에 부가하여, 재단기(420)는 시트 다발의 반송 방향으로 가까운 측과 먼 측 모두에 각각 위치된 커터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가져서, 에지 재단뿐만 아니라 3면 재단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5a를 참조하여 접지기(4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접지기(400)의 기술적인 상세 사항은 일본 특허 공개 공보(Kokai) 제2006-193288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5a에서, 인쇄 장치(104)의 정착 디바이스를 통해 배지된 시트는 반송로(501)를 통해 접지기(400) 내로 반입된다. 접지기(400) 내로 반입된 시트는 반송로(502)에서 반송되어 제1 스토퍼(407)에 부딪힌다. 이어서, 시트는 반송을 계속하여 제1 루프를 형성한다. 시트의 루프부는 접음 롤러(402, 403)에 의해 닙부(405)로 밀어넣어지고, 이어서 접음 롤러(402, 403)에 의해 가압 하에서 반송되어 반으로 접혀진다.
접지기(400)는 스토퍼(407)의 수직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스토퍼(407)와 닙부(405)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서, 도 5b에 도시된 Z 접음부의 거리(505)를 조정한다. 즉, 스토퍼(407)의 수직 위치의 조정은 접지기(400)가 시트의 자유 단부로부터의 제1 접음부(시트의 기단부로부터의 제2 접음부)인 "Z 접음의 제1 접음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접지기(400)는 상향으로 반으로 접힌 시트의 반송을 계속하고, 제2 스토퍼(401)에 대해 시트를 부딪히게 하고, 이러한 부딪힘 이후에 반송을 계속하여 시트가 루프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형성된 시트의 제2 루프는 접음 롤러(403, 404)에 의해 제2 닙부(406)로 밀어넣어지고, 이어서 접음 롤러(403, 404)에 의해 가압 하에서 반송되어 제2 접음선이 형성된다.
접지기(400)는 제2 스토퍼(401)를 수직으로 이동시켜서 제2 스토퍼(401)와 제2 닙부(406)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고, 도 5b에 도시된 Z 접음 폭(506)을 조정한다. 즉, 제2 스토퍼(401)의 수직 위치의 조정은 접지기(400)가 시트의 자유 단부로부터의 제2 접음부(시트의 기단부로부터의 제1 접음부)인 "Z 접음의 제2 접음부"를 형성한다.
접지기(400)에서는, Z 접음된 시트가 시트 반송로(503)를 경유하여 반송로(504) 하류의 후처리 장치로 반송된다.
이제, 도 1의 인쇄 시스템의 제어 유닛의 제어 상세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쇄 시스템에서, 제어 유닛(204)은 사용자의 명령으로 발행된 인쇄 요구(인쇄 잡)에 포함되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터 유닛(206)에게 인쇄를 실행시킨다. 동시에, 제어 유닛(204)은 인쇄 요구(인쇄 잡)에 동일하게 포함된 인쇄 제어 정보를 해석하고, 이어서 어떤 종류의 후처리가 필요한 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204)은 후처리 장치(105)가 지정된 후처리를 행하기 위해 인쇄 처리된 시트를 후처리 장치(105)의 유닛으로 반송한다.
이제, 인쇄 잡이, 인쇄 데이터용으로 4매의 A4 사이즈 시트를 사용하고 인쇄 제어 정보에서 더블 스테이플링이 지정되어 있을 때 행해지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인쇄 시스템용의 인쇄 잡의 예가 설명된다.
인쇄 시스템에서, 지정된 더블 스테이플링을 행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인쇄 잡을 실행할 때, 제어 유닛(204)은 프린터 유닛(206)이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프린터 유닛(206)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된 시트(601, 602, 603, 604)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204)은 인쇄된 시트(601 내지 604)를 접지기(400)를 경유해서 새들 스티칭 기계(410)로 반송하고, 더블 스테이플링 유닛(417)이 더블 스테이플링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어 유닛(204)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테이플된 시트 다발(참조)이 소책자 트레이(419)로 배지되고, 재단기(420)를 경유해서 소책자 보유 유닛(422)에 적재되도록 제어한다. 이는 지정된 더블 스테이플링을 행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인쇄 잡을 종료한다.
이제, 인쇄 잡이 인쇄 데이터용으로 혼재된 A4 플러스 시트와 A3 플러스 시트를 사용하고, 더블 스테이플링을 행하기 위한 제본 여백 및 재단 폭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행해지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도 8a 내지 8d를 참조하여 인쇄 시스템용 인쇄 잡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단 위치가 시트의 단부로부터의 거리로 지정되지만, 재단 위치는 재단으로 얻어지는 최종 사이즈로 지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인쇄 잡을 개시하면, 사용자는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PC(102)의 조작 유닛(203) 또는 드라이버(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제본 여백(701)과 재단 폭(702)을 지정한다.
예로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801), 제2 시트(802) 및 제4 시트(804)는 A4 플러스 사이즈이고, 제3 시트(803)는 A3 플러스 사이즈인 것으로 가정한다.
인쇄 시스템은 제어 유닛(204)의 제어 하에서 A3 플러스 사이즈의 시트(803)를 Z식으로 접는다. 이어서, 제1 시트(801), 제2 시트(802), 제3 시트(803) 및 제4 시트(804)를 순서대로 적층한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204)의 제어 하에서, 인쇄 시스템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트의 제본 여백의 외측에서 더블 스테이플링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204)의 제어 하에서, 인쇄 시스템은 도 8c에 도시된 재단 처리를 행하고, 재단으로 얻어지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본 문서를 출력한다.
이제, 전술한 바와 같은 A4 플러스 시트 및 A3 플러스 시트가 혼재된 예로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미관이 우수한(good-looking) 제본 문서를 만들기 위해 인쇄 시스템에 의해 행해지는 Z 접음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미관이 우수한 제본 문서"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음 위치가 임의의 재단 폭과 제본 여백을 제외한 시트 폭의 대략 절반에 대응하는 위치와 일치하도록 접혀진 제본 문서를 의미한다.
A4 플러스 사이즈는 A4 사이즈(폭 210㎜, 길이 297㎜)보다 약간 큰 사이즈이다. 정해진 값은 없지만, 본원에서는 A4 플러스 사이즈가 폭 220㎜, 길이 307㎜로 측정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A3 플러스 사이즈는 A3 사이즈(폭 420㎜, 길이 297㎜)보다 약간 큰 사이즈이다. 정해진 값은 없지만, 본원에서는 A3 플러스 사이즈는 폭 450㎜, 길이 307㎜로 측정된다고 가정한다. 한편, 재단 폭은 사용자가 지정한 10㎜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지정되며, 제본 여백을 취득하기 위한 제본 여백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되는 제본 여백(701)은 10㎜이다. 또한, 재단 폭을 취득하는 재단 폭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되는 재단 폭(702)은 10㎜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예에서, 미관이 우수한 제본 문서용으로 이상적인 1/4 Z 접음을 행하기 위해, A4 플러스 사이즈로부터 제본 여백 및 재단 폭을 감산하여 얻어진 사이즈의 절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시트를 접을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접음 폭에 대응하는 거리(506)는 (220-10-10)/2=100㎜로 주어지며, 이는 220㎜의 A4 플러스 사이즈에서 10㎜의 재단 폭과 10㎜의 제본 여백을 빼서 얻어진 값의 절반과 동일하다.
다음에,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단부로부터의 거리(505)를 측정하기 위해, 재단 폭(702)이 Z 접음 폭(506)에 더해진다. 즉, 단부로부터의 거리(505)는 100㎜+10㎜=110㎜로 주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단부로부터의 거리(505)를 이용하여, 제어 유닛(204)은 도 5에 도시된 접지기(400)에서 제2 스토퍼(401)와 제1 스토퍼(407)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Z 접음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2의 인쇄 시스템은 재단 작업 동안 접음부의 재단없이 또는 제본 작업 동안 접음부 주변 부분의 제본없이, 그리고 복잡한 접음 위치의 지정없이 이상적인 Z 접음을 행할 수 있다.
A4 플러스 사이즈와 A3 플러스 사이즈를 이용하는 예가, 더블 스테이플링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행해지는 처리를 포함하는 인쇄 잡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의 인쇄 시스템은 이러한 사이즈가 인쇄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한 임의의 사이즈에 대해 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재단 폭 및 제본 여백과, 용지 사이즈에 기초하여 접음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인쇄 시스템(103)의 제어 유닛(204)은 이하에서 설명한 일반화된 계산식을 이용한다. 사용되는 거리 또는 폭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다.
계산식 (1)
Z 접음 폭(506)=[시트 폭(901)-재단 폭(702)-제본 여백(701)]/2
계산식 (2)
단부로부터의 거리(505)=Z 접음 폭(506)+재단 폭(702)
시트 폭은 용지 사이즈를 나타낸다.
요컨대, 제어 유닛(204)은 시트의 자유 단부로부터의 제1 접음선이 시트 폭(901)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재단 폭(702)과 제본 여백(701)을 빼서 얻어진 값의 절반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Z 접음을 행한다. 따라서, 시트 폭(901)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재단 폭(702)과 제본 여백(701)을 빼서 얻어진 값의 절반의 사이즈를 재단 폭에 더해서 얻어진 사이즈가 재단 전의 시트의 자유 단부로부터의 제1 접음선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계산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재단 폭(702) 및 제본 여백(701)이 결정되면, 용지 사이즈를 나타내는 시트 폭(901)에 기초하여 이상적인 접음 위치가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제, 도 2에 도시된 인쇄 장치(104)에 의해 행해지는 인쇄 잡 처리가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인쇄 잡 처리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처리 프로그램은 메모리 유닛(207)에 저장되고 제어 유닛(204)에 의해 실행된다.
도 11에서, 인쇄가 지정된 인쇄 잡의 제1 인쇄 제어 정보가 취득된다(스텝 S1102).
다음에, 스텝 S1102에서 취득된 인쇄 제어 정보는 인쇄 잡에 대해 접음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스캔된다(스텝 S1103).
스텝 S1103의 판정의 결과로서, 접음이 지정된 시트가 있는 경우, 프로그램은 스텝 S1104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 S1102에서 취득된 인쇄 제어 정보는, 인쇄 잡에 대해 재단이 지정되었는지 여부, 즉 인쇄 잡이 재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스캔된다(스텝 S1104).
스텝 S1104의 판정의 결과로서, 인쇄 잡에 대하여 재단이 지정되면(스텝 S1104에서 예), 프로그램은 스텝 S1105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S1102에서 취득된 인쇄 제어 정보는, 인쇄 잡에 대해 제본 또는 제본 여백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스캔된다(스텝 S1105).
또한, 전술한 스텝 S1103, 스텝 S1104, 스텝 S1105의 순서는 임의적이다.
스텝 S1105의 판정의 결과로서, 제본 여백이 지정된 시트가 없을 때에는, 통상 인쇄 처리를 행하기 위해 제본 여백이 "0"으로 설정되고(스텝 S1108), 이어서 접음 위치가 계산된다(스텝 S1106).
다음에, 인쇄 잡에 포함되는 인쇄 데이터와 인쇄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가 행해지고, 이어서 프로그램이 종료된다(스텝 S1110).
한편, 스텝 S1105에서 제본 여백이 지정된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105에서 예), 제어 유닛(204)은 전술한 계산식을 이용하여 접음 위치를 계산한다(스텝 S1106).
다음에, 스텝 S1106에서 계산된 접음 위치뿐만 아니라 제본 여백 및 재단 폭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가 행해지고(스텝 S1110), 이어서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스텝 S1104에서 인쇄 잡이 재단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스텝 S1104에서 아니오), 표준 접음 위치가 설정되고(스텝 S1109), 이어서 표준 접음 위치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가 행해지고(스텝 S1110), 이어서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인쇄 시스템에 따르면, 접음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다발을 부주의로 재단 또는 제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인쇄 시스템에 따르면, 복잡한 접음 위치를 지정하지 않고 이상적인 1/4 Z 접음을 행할 수 있고, 에러를 방지함으로써 미관이 우수한 제본 문서 형태의 높은 가치의 제품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인쇄 시스템에 따르면, 시트가 제본, 재단 및 접혀지더라도, 최종 사이즈에 대한 1/4 Z 접음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인쇄 시스템에 따르면, 재단을 방지하기 위해 접음 위치가 조정되더라도, Z 접음된 시트가 부주의하게 제본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인쇄 시스템에 따르면, 제2 접음 위치가, 전술한 계산식을 이용해서 접음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임의의 재단 폭과 제본 여백을 제외한 시트 폭의 절반에 대응하는 위치와 일치하도록 접혀진 제본 문서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접음 위치와 재단 위치의 기계적인 정밀도의 문제로 인해 접음부를 재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음 여백이 제공되는, 도 1의 인쇄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가 도 10a 및 10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5㎜의 접음 여백(1001)이 제공되면, Z 접음 폭(1002)과 단부로부터의 거리(505)는 전술한 계산식을 이용하여 알 수 있다.
제본 거리(1002)는 (220㎜-10㎜-10㎜)/2=100㎜로 계산되며, 단부로부터의 거리(505)는 100㎜+10㎜=110㎜로 계산된다.
5㎜의 접음 여백(1001)을 고려하여, 제어 유닛(204)은 도 5에 도시된 접지기(400)의 제2 스토퍼(401)와 제1 스토퍼(407)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Z 접음을 행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즉, 접지기(400)의 제2 스토퍼(401)와 제2 닙부(406) 사이의 거리를 100㎜-5㎜=95㎜로 설정함으로써, 제어 유닛(204)은 기계적 정밀도의 문제로 인해 접음부 주변 부분이 재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하기에 기재된 계산식을 사용한다.
계산식 (3)
Z 접음 폭(506)=[시트 폭(901)-재단 폭(702)-제본 여백(701)]/2-접음 여백(1001)
계산식 (4)
단부로부터의 거리(505)=Z 접음 폭(506)+재단 폭(702)
즉, 재단 폭(702), 제본 여백(701) 및 접음 여백(1001)이 판정되면, 인쇄 시스템은 시트 폭(901)(용지 사이즈)으로부터 이상적인 접음 위치를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11의 처리에 도시된 처리 기능은 또한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각종 저장 매체를 통해 취득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컴퓨터의 처리 유닛(CPU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경,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광의의 해석을 따라야 한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서 본원에 합체된 2010년 12월 15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279276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Claims (9)

  1. 시트에 제1 접음부 및 제2 접음부를 제공하는 Z 접음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접음 유닛과,
    상기 Z 접음 처리가 행해진 시트에 행해지는 제본 처리에서 시트의 제본 여백 폭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취득 유닛과,
    상기 제본 처리가 행해진 시트에 행해지는 재단 처리에서 시트의 재단 폭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취득 유닛과,
    상기 재단 처리가 행해진 시트의 재단 에지측 자유 단부와, 상기 제2 접음부보다 상기 시트의 재단 에지측 자유 단부에 보다 가까운 상기 제1 접음부 사이의 제1 길이가, 제본 위치와, 상기 제1 접음부보다 상기 제본 위치에 보다 가까운 상기 제2 접음부 사이의 제2 길이의 절반이 되도록, 상기 제1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본 여백 폭과 상기 제2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단 폭에 기초하여, 상기 Z 접음 처리에 의해 제공된 시트 내의 상기 제1 접음부 및 상기 제2 접음부의 각각의 제1 접음 위치 및 제2 접음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과,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1 접음 위치 및 상기 제2 접음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Z 접음 처리가 행해지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시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 유닛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시트의 재단 폭을 취득하는, 시트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득 유닛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제본 여백 폭을 취득하는, 시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처리 장치의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상기 접음 유닛의 하류의 위치에서 상기 제본 처리를 행하는 제본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시트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반송 방향에서 상기 제본 유닛의 하류의 위치에서 상기 재단 처리를 행하는 재단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시트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본 처리는 상기 Z 접음 처리가 행해진 시트와 상기 Z 접음 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시트를 제본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시트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처리 장치의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상기 접음 유닛의 상류의 위치에서 시트에 인쇄 처리를 행하는 인쇄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시트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인쇄 유닛이 상기 인쇄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각각의 접음 위치를 결정하는, 시트 처리 장치.
  9. 시트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이며,
    시트에 제1 접음부 및 제2 접음부를 제공하는 Z 접음 처리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Z 접음 처리가 행해진 시트에 행해지는 제본 처리에서 시트의 제본 여백 폭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본 처리가 행해진 시트에 행해지는 재단 처리에서 시트의 재단 폭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재단 처리가 행해진 시트의 재단 에지측 자유 단부와, 상기 제2 접음부보다 상기 시트의 재단 에지측 자유 단부에 보다 가까운 상기 제1 접음부 사이의 제1 길이가, 제본 위치와, 상기 제1 접음부보다 상기 제본 위치에 보다 가까운 상기 제2 접음부 사이의 제2 길이의 절반이 되도록, 취득된 상기 제본 여백 폭과 취득된 상기 재단 폭에 기초하여, 상기 Z 접음 처리에 의해 제공된 시트 내의 상기 제1 접음부 및 상기 제2 접음부의 각각의 제1 접음 위치 및 제2 접음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상기 제1 접음 위치 및 상기 제2 접음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Z 접음 처리가 행해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10134492A 2010-12-15 2011-12-14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99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9276A JP5677071B2 (ja) 2010-12-15 2010-12-15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0-279276 2010-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299A KR20120067299A (ko) 2012-06-25
KR101499282B1 true KR101499282B1 (ko) 2015-03-05

Family

ID=4544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4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99282B1 (ko) 2010-12-15 2011-12-14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31774B2 (ko)
EP (1) EP2465798B1 (ko)
JP (1) JP5677071B2 (ko)
KR (1) KR101499282B1 (ko)
CN (1) CN102583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1862B2 (ja) * 2012-08-10 2015-07-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制御方法
JP5884749B2 (ja) * 2013-03-06 2016-03-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媒体処理装置、記録媒体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6346946B (zh) * 2016-08-29 2019-01-04 安徽奥斯博医疗仪器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化喷墨打印制版设备
CN112385354B (zh) * 2020-11-16 2022-02-01 山东省农业科学院作物研究所 一种智能种子带编织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900A (ko) * 2003-11-12 2006-10-23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포장 충진기
JP2010002859A (ja) * 2008-06-23 2010-01-07 Canon Inc 印刷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憶媒体および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5913A (en) * 1994-07-06 2000-07-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tacking apparatus capable of shifting sheets on bins
JPH10186959A (ja) * 1996-12-27 1998-07-14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873426B1 (en) * 1999-11-19 2005-03-2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lternate or abstract finishing to a print job
JP3864653B2 (ja) * 1999-12-15 2007-01-1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3160274A (ja) * 2001-11-28 2003-06-03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93288A (ja) * 2005-01-14 2006-07-27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199144B2 (en) * 2005-04-26 2012-06-12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lated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878231B2 (ja) * 2006-07-03 2012-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4964646B2 (ja) * 2007-03-29 2012-07-04 ニスカ株式会社 製本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US7946565B2 (en) * 2007-03-29 2011-05-24 Nisca Corporation Bookbinding apparatus and image-forming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JP5067883B2 (ja) * 2008-07-30 2012-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900A (ko) * 2003-11-12 2006-10-23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포장 충진기
JP2010002859A (ja) * 2008-06-23 2010-01-07 Canon Inc 印刷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憶媒体および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3555A1 (en) 2012-06-21
EP2465798B1 (en) 2014-05-14
EP2465798A1 (en) 2012-06-20
CN102583099A (zh) 2012-07-18
US8931774B2 (en) 2015-01-13
CN102583099B (zh) 2014-10-15
JP5677071B2 (ja) 2015-02-25
KR20120067299A (ko) 2012-06-25
JP2012126502A (ja)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7630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sheet processing method, and image forming system
EP3431426B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ing medium
US10647145B2 (en)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order of image formation on a plurality of pages to be post-processed, method of controlling the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902586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reating fold sec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9050845B2 (en)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US8434751B2 (en) Z-folder for sheets of various sizes
US8342496B2 (en) Printing system, printing apparatus, job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87113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499282B1 (ko)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US8408530B2 (en) Bookbinding system with controlled trimming unit
US9817349B2 (en) Print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int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256756B2 (en)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for print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JP6094378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8867057B2 (en) Print control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medium storing a program, that control a print processing based on number of sheets required by a print job
US20120154862A1 (en) Printing system,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60102115A (ko) 후처리 제어장치, 후처리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시트 처리 시스템 및 기억매체
JP200526612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制御装置
JP2010018435A (ja) 用紙後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用紙後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