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8694B1 - 냉온수 배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냉온수 배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694B1
KR101498694B1 KR20140127756A KR20140127756A KR101498694B1 KR 101498694 B1 KR101498694 B1 KR 101498694B1 KR 20140127756 A KR20140127756 A KR 20140127756A KR 20140127756 A KR20140127756 A KR 20140127756A KR 101498694 B1 KR101498694 B1 KR 101498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t water
piping
cold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12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춘
이근기
이누리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누리 filed Critical 이누리
Priority to KR2014012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69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 배관 조립체로서,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냉수 또는 온수가 유동하는 내부 배관과, 상기 내부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내부 배관이 수용되고, 상기 내부 배관이 접혀서 상기 냉수 또는 온수의 흐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 배관을 포함하는 냉온수 배관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협소한 배관 설치공간에서 결합 작업 시, 작업자가 실리콘 배관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보다 용이한 배관 작업이 가능하여, 대량의 반복적인 배관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도, 용이한 배관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온수 배관 조립체{Assembly for cold and hot water piping}
본 발명은 냉온수 배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서의 배관 작업 시에도 작업자가 배관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냉온수 배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배관(Piping)이란 유체의 이송을 목적으로 관(管)과 기기 등을 접합 설치하는 기술이다. 효율적인 이용, 제어 및 관리를 위하여 밸브, 유량계 등의 기기가 시스템화 되는데, 서로 영향을 줌에 따라 배관설계 시에는 배관뿐만 아니라 기기류의 기능, 특성, 구조 등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추구하는 목적에 적합하도록 최적의 설계가 이뤄져야 한다. 특히 적정 유속이 적합하도록 관경을 결정하고, 사용압력에 안전한 관종 및 관 두께를 선정한다.
이러한 배관에 있어서, 기존의 변기, 보일러 등의 배관에는 실리콘, PVC, 산토프렌(Santoprene) 등의 고무소재 재질의 배관 부재(예: 호스 등)가 결합되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실리콘 재질 배관 부재는 종래 호스가 외력에 의하여 상하 또는 좌우 방향 등으로 쉽게 꺾이게 됨으로써, 호스 내부에 충진되어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을 막아 배관 부재들을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실리콘 재질의 배관 부재는 고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 호스가 외력에 의해 쉽게 꺾이는 문제점은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리콘 재질 배관 부재의 고장력으로 인하여 배관 작업 시, 작업자가 물리적으로 일정량의 강한 힘을 가해 실리콘 재질의 배관 부재를 펼쳐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 재질의 배관 부재를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작업 반경이 좁아져, 실리콘 재질의 배관 부재에 강한 힘을 가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작업자가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어렵고, 이러한 환경에서 실리콘 재질의 배관 부재를 대량으로 반복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가 크게 증가되고 플렉서블(Flexible) 호스가 꺾이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4519호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서의 배관 작업 시에도 작업자가 배관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냉온수 배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온수 배관 조립체로서,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냉수 또는 온수가 유동하는 내부 배관과, 상기 내부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내부 배관이 수용되고, 상기 내부 배관이 접혀서 상기 냉수 또는 온수의 흐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 배관을 포함하는 냉온수 배관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배관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호스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접히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부에 충진되어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협소한 공간에서 배관 작업 시, 작업자가 실리콘, PVC, EPDM, 산토프렌 등 고무소재 배관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한 배관 작업이 가능하여, 대량의 반복적인 배관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도, 용이한 배관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배관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냉온수 배관 조립체의 구성들 중 배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냉온수 배관 조립체의 구성들 중 내부 배관과, 제1연결부재 와, 제2연결부재 및 압입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들에 직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냉온수 배관 조립체가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냉온수 배관 조립체의 구성들 중 제1연결부재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배관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배관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9 에는 상기 냉온수 배관 조립체(100)의 구성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냉온수 배관 조립체(100)는 내부 배관(120), 외부 배관(110), 제2연결부재(140), 제1연결부재(130) 및 압입 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배관(120)은 배관부(121)와, 직조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130)는 몸체부(131)과 소켓부(132) 및 클립(133)을 포함한다.
냉온수 배관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배관(120)은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에 냉수 또는 온수가 유동한다.
상기 배관부(121)는 폴리염화비닐(PVC) 소재 또는, 산토프렌, EPDM(Ethylen e-propy lene rubber), 고무 소재로만 이루어지거나, 폴리염화비닐 또는 EPDM 등이 첨가된 투명 호스, 고압 호스, 편사 호스, 흑편사 호스, 싱크/에어콘 호스, 절단 호스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직조부(122)는 상기 배관부(12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메탈 또는 섬유 소재로 직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관부(121)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을 방지해주고, 날카로운 부재에 의한 찔림 등의 손상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관부(121)에 형성되는 직조부(122)는 그 두께를 두껍게 하여 상기 배관부(121)에 대한 보호층으로서 역할을 강화할 수 있으며, 반대로 그 두께를 얇게 하여 상기 배관부(121)의 상하좌우로의 유동이 비교적 자유롭게 해줄 수 있다. 상기 직조부(122)의 두께는 배관 작업 시 사용자의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 및 상기 제2연결부재(140)는 각각 상기 내부 배관(120)의 양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130)의 외경은 상기 외부 배관(110)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2연결부재(140)의 외경은 상기 외부 배관(110)의 내경보다 작아, 상기 외부 배관(110)이 상기 제2연결부재(140)를 통하여 상기 내부 배관(120)으로 외삽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는 신주호스닛블, 신주호스연결, 신주호스 엘보, 신주호스T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는 상기 내부 배관(120)을, 상기 냉수 또는 상기 온수를 공급하는 타부재(예: 밸브, 유체 공급관 등)와 기계적으로 결합시켜줌으로써 상기 배관 부재가 내부에 상기 냉수 또는 상기 온수를 충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140)는 상기 냉수 또는 상기 온수를 직접 외부로 토출하거나, 다른 대상물에 거치 또는 결합되어 상기 냉수 또는 상기 온수를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140)는 엑셀닛블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130) 및 상기 제2연결부재(140)는 일단이 각각 상기 내부 배관(120)의 양단으로 내삽된다. 상기 압입 부재(150)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 및 상기 제2연결부재(140)을 각각 상기 배관부(121)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압입 부재(150)는 내삽된 상기 제1연결부재(130) 및 상기 제2연결부재(140)의 일단과, 상기 일단에 대응하는 상기 직조부(122)의 길이방향 외둘레면 상호간을 각각 압입한다. 이러한, 상기 압입 부재(150)의 외경은 상기 외부 배관(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압입 부재(150)를 상기 제1연결부재(130) 및 상기 제2연결부재(140)를 각각 상기 배관부(110)에 고정하는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 공지된 다양한 수단들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의 상기 몸체부(131)는 일부분이 상기 내부 배관(120)에 내삽되고, 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구비된 중공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상기 클립(133)이 결합된다.
상기 소켓부(132)는 양방이 개구되어 상기 몸체부(131)와 상기 외부 배관(110) 사이에 외삽되어 위치되고, 상기 양방 중 일방의 내경이 타방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타방으로 체결 대상물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31)를 체결 대상물과 상호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립(133)은 상기 몸체부(131)의 상기 홈에 체결되고, 상기 소켓부(132)가 상기 배관부(1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경이 상기 소켓부(132)의 상기 일방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소켓부(132)는 상기 클립(133)에 의하여 상기 외부 배관(110)의 단부와 상기 클립(133) 사이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소켓부(132)의 내주면에는 체결 대상물(미도시)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요홈이 형성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상기 체결 대상물과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 및 상기 제2연결부재(140)와, 상기 내부 배관(120)과의 사이 또는, 상기 몸체부(131)과 상기 소켓부(132)의 사이에는 각각 패킹 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패킹 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가 체결 대상물과 결합된 상태에서 누수가 발생 될 수 있는 공간을 메꾸어 줌으로써 상기 내부 배관(120)의 내부로 상기 냉수 또는 상기 온수가 온전하게 충진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즉, 상기 패킹 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재(140)가 상기 내부 배관(120)의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냉수 또는 상기 온수를 누수 없이 외부로 온전하게 토출하거나, 체결 대상물로 이송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상기 패킹 부재는 오링(O-ring), 고무패킹(packing) 등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배관(110)은 상기 내부 배관(120)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거나, 상기 배관부(121)의 외둘레면 상부로 형성된 상기 압입 부재(150)의 전체 또는 일부까지 둘러싸도록 외삽된다.
상기 내부 배관(120)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 배관(120)이 접혀서 상기 냉수 또는 온수의 흐름이 막힐 수 있는데, 상기 외부 배관(110)이 상기 내부 배관(120)의 접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배관(120)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배관(110)은 소정 간격으로 주름이 형성된 플라스틱 소재의 주름관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배관(110)은 상기 주름관의 주름 구조 내에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자유로운 유동이 아닌 한정적인 유동을 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배관 조립체(200)의 제1연결부재(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연결부재(230)는 몸체부(231)와 소켓부(232) 및 클립(미도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냉온수 배관 조립체(100)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130)는 상기 외부 배관(110)과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반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냉온수 배관 조립체(200)의 구성인 상기 제2연결부재는(230) 상기 외부 배관(210)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배관 작업 시 다양한 구조의 시공 환경에서 유용한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210 : 외부 배관 120 : 내부 배관
130, 230 : 제1연결부재 140 : 제2연결부재
150, 250 : 압입 부재

Claims (6)

  1. 냉온수 배관 조립체에 있어서,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냉수 또는 온수가 유동하고, 양 단부에 각각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가 결합된 내부 배관; 및
    상기 내부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일측으로 상기 내부 배관이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삽입되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되, 상기 내부 배관이 접혀서 상기 냉수 또는 온수의 흐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재의 외경은 상기 외부 배관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외경은 상기 외부 배관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부 배관이 상기 제2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내부 배관으로 외삽되는 냉온수 배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배관은 폴리염화비닐(PVC), EPDM(Ethylene-propylene rubber), 산토프렌(Santoprene) 및 고무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배관부; 및
    상기 내부 배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메탈 또는 섬유 소재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직조부를 포함하는 냉온수 배관 조립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는 일단이 각각 상기 내부 배관의 양단부로 내삽되되,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를 각각 상기 배관부에 고정하도록, 내삽된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단과, 상기 일단에 대응하는 상기 직조부의 길이방향 외둘레면 상호간을 포함하도록 각각 압입하는 압입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온수 배관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일부분이 상기 내부 배관에 내삽되고, 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양방이 개구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외부 배관 사이에 외삽되어 위치되되, 상기 양방 중 일방의 내경이 타방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타방으로 체결 대상물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체결 대상물과 상호 고정시키는 소켓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홈에 체결되고, 상기 소켓부가 상기 배관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경이 상기 소켓부의 상기 일방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호 형상의 클립을 포함하는 냉온수 배관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압입 부재의 외경은 상기 외부 배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냉온수 배관 조립체.
KR20140127756A 2014-09-24 2014-09-24 냉온수 배관 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1498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7756A KR101498694B1 (ko) 2014-09-24 2014-09-24 냉온수 배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7756A KR101498694B1 (ko) 2014-09-24 2014-09-24 냉온수 배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694B1 true KR101498694B1 (ko) 2015-03-06

Family

ID=5302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77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98694B1 (ko) 2014-09-24 2014-09-24 냉온수 배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0622A (zh) * 2019-08-27 2019-11-05 江苏百安居管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冻防裂功能的pvc管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762A (ja) * 1999-03-10 2000-09-19 Bridgestone Corp 防食性に優れる給水ホース
KR200391276Y1 (ko) * 2005-05-13 2005-08-01 김윤수 관이음 구조
JP2007147029A (ja) * 2005-11-30 2007-06-14 Maruichi Kk フレキシブル管
JP2010084836A (ja) * 2008-09-30 2010-04-15 Bridgestone Corp 給水・給湯用ホ−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762A (ja) * 1999-03-10 2000-09-19 Bridgestone Corp 防食性に優れる給水ホース
KR200391276Y1 (ko) * 2005-05-13 2005-08-01 김윤수 관이음 구조
JP2007147029A (ja) * 2005-11-30 2007-06-14 Maruichi Kk フレキシブル管
JP2010084836A (ja) * 2008-09-30 2010-04-15 Bridgestone Corp 給水・給湯用ホ−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0622A (zh) * 2019-08-27 2019-11-05 江苏百安居管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冻防裂功能的pvc管材
CN110410622B (zh) * 2019-08-27 2024-01-19 江苏杜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防冻防裂功能的pvc管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7890B2 (en) Quick connection coupling
US9765912B2 (en) Telescoping pipe coupling
ES2366746T3 (es) Conjunto integrado de manguera y acoplamiento de material polímero y método para fabricarlo.
TWI570346B (zh) 用於管之夾緊接頭
KR950003302B1 (ko) 관로의 누수방지방법 및 누수방지용 피복체
BRPI0901351B1 (pt) Método para conectar um membro de mangueira flexível a um soquete
GB2554067A (en) Hose arrangements
US10550965B2 (en) Hose arrangements
PT103946A (pt) Junta multimateriais com garras de bloqueio
US20180196482A1 (en) Liquid cooling device
KR101318774B1 (ko) 신축가동관
KR101498694B1 (ko) 냉온수 배관 조립체
KR20090056148A (ko) 퀵 커넥터
US3529664A (en) End structure for thermoplastic tubing
KR100919108B1 (ko) 플랜지 커버체
EP3078892B1 (en) Garden water supplying hoses
JP2017057996A (ja) 遮断装置用エアバッグ
KR101732074B1 (ko) 투명관체의 유격구조가 형성된 유체 공급관
JP2022110386A (ja) マンホールの下水バイパス装置用止水プラグ
KR101339840B1 (ko) 관 연결구
CN206513961U (zh) 一种适用于外置节温小循环出口胶管
KR20100073539A (ko) 수축 팽창용 연결구가 부착된 하수도관
JP2013100849A (ja) ホース
CN100383452C (zh) 管道容纳系统
KR20200037951A (ko) 동구경 누수방지용 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2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