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9929B1 - 차량용 목 보호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929B1
KR101489929B1 KR20130084866A KR20130084866A KR101489929B1 KR 101489929 B1 KR101489929 B1 KR 101489929B1 KR 20130084866 A KR20130084866 A KR 20130084866A KR 20130084866 A KR20130084866 A KR 20130084866A KR 101489929 B1 KR101489929 B1 KR 101489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n body
neck
space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205A (ko
Inventor
구본섭
Original Assignee
구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섭 filed Critical 구본섭
Priority to KR20130084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9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92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79Head-rests with additional features not related to head-rest positioning, e.g. heating or cooling devices 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2Head-res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 상부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의 연결봉에 용이하게 착탈되며, 차량을 장시간 운전시 운전자 및 탑승객의 피로감을 감소킬 수 있고, 목 주위로 지압과 바람을 제공하여 더욱더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목 보호대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결합되는 차량용 목 보호대에 있어서,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정면부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배면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며 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걸림돌기가 삽입결합되도록 중심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의 측면에는 상, 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상, 하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목 보호대 {Neck guard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 상부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의 연결봉에 용이하게 착탈되며, 차량을 장시간 운전시에 운전자 및 탑승객의 피로감을 감소킬 수 있고, 목 주위로 지압과 바람을 제공하여 더욱더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는 차량의 시트(seat) 상부에 구비되어 충돌이나 추돌로 인해 탑승자의 머리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젖혀지는 차량의 사고시 또는 휴식을 취할때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편안한 승차감과 사고시 안전을 위하여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시트와 헤드레스트의 높이와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자동차의 성능이 향상되고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안전벨트로 직접 탑승자와 결속되어 고정해주는 시트와 헤드레스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기능적인 시트가 제작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차량의 시트 상단에 구비된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머리 후두부만을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머리 후두부만을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의 경우에는 시트와 사이에 위치되는 탑승자의 목 후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인하여 차량 추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전방의 일정길이만큼 이동한 뒤에 복귀하여 헤드레스트와의 2차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때 빈 공간에 의해 목 중심으로 "<" 이런 형상으로 골절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빈 공간에 의해 장시간 운전시 목 부분에 무리가 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0-0011810호 자동차용 목 보호대는 양측에 각각의 천공구(20,20a)를 형성한 장착편(30)이 자동차용 목 보호대(10)의 후면에 구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용 목 보호대는 목 부분을 보호할 수 있으나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이 불가능하고, 장시간 동안 운행시 목 부분과 맞닿는 면에 땀이 발생되어 승차감이 쾌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0-0011810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목 부분을 보호하면서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며, 탑승자의 목 부분에 지압 및 바람을 제공하여 장시간 운행시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정면부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배면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며 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걸림돌기가 삽입결합되도록 중심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의 측면에는 상, 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상, 하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 하 조절수단의 일측면에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결합홀더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 하 조절수단의 일측면에는 탄성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밴트에 삽입결합되는 걸림바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관통공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돌출된 돌기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하면부에는 상기 본체의 공간부와 연결되는 배출공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공간부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냉/온이 발생되는 발열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는 목 부분을 보호하면서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며, 탑승자의 목 부분에 지압 및 바람을 제공하여 장시간 운행시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목 보호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를 나타낸 결합측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를 나타낸 결합평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상, 하 조절수단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4b는 도 4a에 대한 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의 본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본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의 본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b는 도 7a에 대한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본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본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0a, 10b, 10c, 10d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를 나타낸 사용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를 나타낸 결합측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를 나타낸 결합평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상, 하 조절수단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며, 도 4b는 도 4a에 대한 실시예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본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본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본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며, 도 7b는 도 7a에 대한 실시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본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본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고, 도 10a, 10b, 10c, 10d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를 나타낸 사용실시예이다.
도 2 내지 도 3a, 3b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1)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결합되는 차량용 목 보호대에 있어서,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정면부에는 상기 공간부(12)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공(14)이 형성되며 배면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며 측면에 걸림돌기(16)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걸림돌기(16)가 삽입결합되도록 중심부에는 삽입공(22)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22)의 측면에는 상, 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걸림부(24)가 형성된 상, 하 조절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사각이나 원형, 반구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공간부(12)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재질은 라텍스, 스폰지 등과 같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하며, 상기 본체(10)의 정면부는 탑승자의 목 부분을 감싸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반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16)와 걸림부(24)는 굴곡형태인 엠보싱으로 이루어져 서로 교차결합하기 때문에 부수적인 장비없이 용이하게 상, 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6)과 걸림부(24)가 서로 교차결합하여 상,하 조절이 용이하게 가능하지만 더욱더 체결고정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으로 상, 하 조절수단(20)의 측면에 관통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나사공에 볼트를 끼워 결합되어 상기 본체(10)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본체(10)의 걸림돌기(16)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볼트가 구비되며, 이와 결합되는 상기 상, 하 조절수단의 후면에는 가이드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끼워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상, 하 조절수단(20)은 차량의 시트와 헤드레스트에 사이에 끼워 결합될 수 있으나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 및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 조절수단(20)의 일측면에는 차량의 시트와 연결되는 헤드레스트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결합홀더(26)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거나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 조절수단(20)의 일측면에는 탄성밴드(30)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밴트(30)에 삽입결합되는 걸림바(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밴드(30)와 걸림바(40)로 이루어져 탈부착시 상기 걸림바(40)를 탄성밴드(30)로 부터 해체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용 목 보호대(1)를 차량 시트나 헤어레스트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10)의 관통공(1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돌출된 돌기(14-1)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목 부분과 어깨 부분을 지압하므로써 장시간 운행시에 따른 탑승자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14-1)는 일정하게 돌출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지압 및 바람을 더욱더 제공할 수 있도록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높게 형성된 돌기(14-1)를 탑승자의 목 부분이 맞닿는 제일 높게 형성된 돌기(14-1)를 가압시키면 가압된 돌기(14-1)의 관통공(14)으로 공기가 압축되어 내부의 공간부(12)으로 밀려들어가면 이렇게 밀려들어간 공기는 낮게 형성된 돌기(14-1)로 통해 탑승자의 목 부분에 바람으로 배출되므로써 탑승자에게 지압과 바람을 제공하여 쾌적한 승차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관통공(12)을 통해 바람이 목 부분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하면부에는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2)와 연결되는 배출공(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탑승자의 목 부분에 더욱더 쾌적한 바람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2)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공간부(12)에는 냉/온이 발생되는 발열수단(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열수단(60)은 외부로 열 또는 냉을 발산시키는 매체로써, 일반적으로 물수건, 물주머니, 발열패드 등과 같이 열 또는 냉을 외부로 발산하는 발열장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랑용 목 보호대(1)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정면부에는 상기 공간부(12)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공(14)이 형성되며 배면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며 측면에 걸림돌기(16)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걸림돌기(16)가 삽입결합되도록 중심부에는 삽입공(22)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22)의 측면에는 상, 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걸림부(24)가 형성된 상, 하 조절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1)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와 상기 시트와 연결되는 헤드레스트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도 10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목 부분에 맞게 상기 본체(10)를 상, 하로 이동시키면 상기 본체(10)의 걸림돌기(16)가 상기 상, 하 조절수단(20)의 걸림부(24)에 따라 이동과 고정된다.
상기 본체(10)가 탑승자의 목 부분에 맞게 위치하며 탑승자는 상기 본체(10)의 정면부에 탑승자의 목 부분을 맞닿게 기대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목 부분이 상기 본체(10)의 정면부에 맞닿는 부분을 가압시키며, 상기 본체(10)의 정면부가 가압되지 않은 상기 본체(10)의 관통공(14)으로 부터 바람이 배출되어 탑승자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보호대는 목 부분을 보호하면서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며, 탑승자의 목 부분에 지압 및 바람을 제공하여 장시간 운행시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차량용 목 보호대
10 : 본체 12 : 공간부
14 : 관통공 14-1 : 돌기
15 : 연결공 16 : 걸림돌기
20 : 상, 하 조절수단 22 : 삽입공
24 : 걸림부 30 : 탄성밴드
40 : 걸림바 60 : 발열수단

Claims (7)

  1.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결합되는 차량용 목 보호대에 있어서,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정면부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배면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며 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걸림돌기가 삽입결합되도록 중심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의 측면에는 상, 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상, 하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 조절수단의 일측면에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결합홀더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보호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 조절수단의 일측면에는 탄성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밴드에 삽입결합되는 걸림바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보호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관통공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돌출된 돌기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보호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서로 높이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보호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면부에는 상기 본체의 공간부와 연결되는 배출공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보호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공간부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냉/온이 발생되는 발열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보호대.
KR20130084866A 2013-07-18 2013-07-18 차량용 목 보호대 Expired - Fee Related KR101489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866A KR101489929B1 (ko) 2013-07-18 2013-07-18 차량용 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866A KR101489929B1 (ko) 2013-07-18 2013-07-18 차량용 목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205A KR20150010205A (ko) 2015-01-28
KR101489929B1 true KR101489929B1 (ko) 2015-02-06

Family

ID=5248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48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9929B1 (ko) 2013-07-18 2013-07-18 차량용 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08B1 (ko) * 2015-07-14 2017-01-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헤드서포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666B1 (ko) 2016-12-07 2018-09-1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E102019103872A1 (de) * 2018-09-28 2020-04-02 Kinetix Ag Kraftfahrzeugsitzsystem und Grundträg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8813A (ja) 2002-09-18 2005-12-22 ダイムラークライス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シート用クッション
KR200426703Y1 (ko) 2006-07-07 2006-09-15 한규생 차량용 안전 베개
KR20100099001A (ko) * 2009-03-02 2010-09-10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목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8813A (ja) 2002-09-18 2005-12-22 ダイムラークライス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シート用クッション
KR200426703Y1 (ko) 2006-07-07 2006-09-15 한규생 차량용 안전 베개
KR20100099001A (ko) * 2009-03-02 2010-09-10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목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08B1 (ko) * 2015-07-14 2017-01-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헤드서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205A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8510B2 (en) Impact protection for child car seat
KR101332737B1 (ko)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아동 안전 좌석
US9758076B2 (en) Automatic headrest
JP3080266U (ja)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1489929B1 (ko) 차량용 목 보호대
CN105438032B (zh) 车座六向睡眠头枕
KR20160002364U (ko) 차량용 목 보호대
KR20110004602A (ko) 자동차용 테이블
JP3146000U (ja) 乗物用枕、及び、これを備えた乗物用の座席シート
KR200326836Y1 (ko) 자동차용 의자의 목-머리 받침대
CN202389244U (zh) 汽车充气座椅
KR20200048682A (ko)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헤드레스트
JP5190341B2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KR102150237B1 (ko) 차량용 목 받침쿠션
KR200173869Y1 (ko) 차량용 보조 헤드레스트
KR20140005046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KR102170934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0358961Y1 (ko) 자동차의자용 허리받침대 겸용 베개
CN217396333U (zh) 车辆座椅头枕及车辆
KR100506025B1 (ko) 길이 가변형 헤드 레스트가 구비된 시트
CN221476828U (zh) 一种儿童安全座椅
CN217374253U (zh) 头腰靠垫及汽车座垫
KR20041195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468725Y1 (ko) 차량용 목 베개
KR200317775Y1 (ko) 차량 프런트시트용 안전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