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152B1 - 단위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단위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7152B1 KR101487152B1 KR20120035491A KR20120035491A KR101487152B1 KR 101487152 B1 KR101487152 B1 KR 101487152B1 KR 20120035491 A KR20120035491 A KR 20120035491A KR 20120035491 A KR20120035491 A KR 20120035491A KR 101487152 B1 KR101487152 B1 KR 1014871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unit module
- cell
- module assembly
- battery cell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과충전과 같은 이상 현상발생으로 단위모듈 내의 전지셀이 부풀어 오르는 경우, 도 1의 A 부분의 전기적 접속 구조의 작동상태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위모듈 어셈블리의 A 부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접속구조가 적용된 단위모듈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과충전과 같은 이상 현상 발생 시, 도 3의 복합 접속 구조의 작동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Claims (17)
- 적어도 두 개의 전지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적층된 구조의 단위모듈이 둘 이상 직렬 연결되어 적층되어 있는 단위모듈 어셈블리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모듈에서 전지셀들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전지셀들의 중 하나의 전지셀(제 1 전지셀)의 전극단자가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버스 바 또는 단위모듈들 상호 간을 연결하는 인터 버스 바(inter bus bar)에 접촉된 상태로 전기적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는 상기 버스 바 또는 인터 버스 바에 미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접촉된 상태로 전기적 연결되어 있는 복합 접속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전지셀의 전극단자는 적층면에 평행한 비절곡부; 및 상기 비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버스 바 또는 인터 버스 바에 접촉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지셀을 제외한 전지셀의 전극단자는 제 1 전지셀의 전극단자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제 1 전지셀의 비절곡부에 접촉되는 접속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모듈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적층된 둘 이상의 전지셀들, 및 전극단자들을 제외한 적층 전지셀들의 외면을 감싸는 셀 커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모듈 내의 전지셀들은 병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모듈 내의 전지셀들은 직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양측 단부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판상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 내에 전극조립체가 장착되어 있고,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외주면을 따라 전지케이스를 열융착한 실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전극조립체의 다수의 전극 탭들이 전지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하나의 전극 리드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최외측 단위모듈은 상기 복합 접속 구조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제 1 전지셀의 전극단자가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된 버스 바에 접촉된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 또는 인터 버스 바는 모듈 케이스에 정위치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커버는 상호 결합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셀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인접하여 적층되어 있는 제 1 전지셀의 제 1 셀 하우징의 외면과 제 2 전지셀의 제 2 셀 하우징의 외면에는, 팽창 개방부를 제외한 부위에 냉매 유로 형성을 위한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단위모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5 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6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 또는 동력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35491A KR101487152B1 (ko) | 2012-04-05 | 2012-04-05 | 단위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35491A KR101487152B1 (ko) | 2012-04-05 | 2012-04-05 | 단위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3145A KR20130113145A (ko) | 2013-10-15 |
KR101487152B1 true KR101487152B1 (ko) | 2015-01-27 |
Family
ID=4963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20035491A Active KR101487152B1 (ko) | 2012-04-05 | 2012-04-05 | 단위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715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1827B1 (ko) | 2015-02-27 | 2017-09-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압력 센서가 구비된 전지팩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 |
US12374734B2 (en) | 2019-12-16 | 2025-07-29 | Dyson Technology Limited | Battery cell with internal swelling relief and external cooling featur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52527A1 (ko) * | 2014-03-31 | 2015-10-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KR101821378B1 (ko) | 2014-03-31 | 2018-01-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 리드와 버스바 사이의 결합력 및 공정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KR101664590B1 (ko) * | 2014-11-25 | 2016-10-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시스템의 전류차단구조 |
KR102157377B1 (ko) | 2017-05-25 | 2020-09-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생산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1286A (ko) * | 2001-10-13 | 2003-04-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20060116424A (ko) * | 2005-05-10 | 2006-11-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중대형 전지팩 |
KR20100081942A (ko) * | 2009-01-06 | 2010-07-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KR20110116529A (ko) * | 2010-04-19 | 2011-10-26 | (주)브이이엔에스 | 전지 카트리지 |
-
2012
- 2012-04-05 KR KR20120035491A patent/KR10148715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1286A (ko) * | 2001-10-13 | 2003-04-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20060116424A (ko) * | 2005-05-10 | 2006-11-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중대형 전지팩 |
KR20100081942A (ko) * | 2009-01-06 | 2010-07-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KR20110116529A (ko) * | 2010-04-19 | 2011-10-26 | (주)브이이엔에스 | 전지 카트리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1827B1 (ko) | 2015-02-27 | 2017-09-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압력 센서가 구비된 전지팩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 |
US12374734B2 (en) | 2019-12-16 | 2025-07-29 | Dyson Technology Limited | Battery cell with internal swelling relief and external cooling featur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3145A (ko) | 2013-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4170792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KR101447062B1 (ko) |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1404712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 |
KR101029837B1 (ko) |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
KR100914839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
KR101469518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 |
KR101169205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 |
KR101853397B1 (ko) | 전지모듈 | |
KR101307985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EP3035061B1 (en) |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 |
KR102269112B1 (ko) | Bms 유동 방지용 댐핑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US9966637B2 (en) | Battery module comprising wire-fixing ribs | |
JP7546983B2 (ja) |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 |
KR101487152B1 (ko) | 단위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US9843032B2 (en) | Battery module | |
KR20160144325A (ko) |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KR20160103255A (ko) |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2117318B1 (ko) | 단차 구조의 전지셀 적층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 |
KR102104966B1 (ko) | 전극단자들 사이에 열융착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 |
KR20120056812A (ko) |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 |
KR101307386B1 (ko) | 전지팩 안전장치 | |
KR20210130444A (ko)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EP4485671A1 (en) |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KR101678940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5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4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