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78B1 - Safety guidanc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Safety guidanc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5778B1 KR101485778B1 KR20130059655A KR20130059655A KR101485778B1 KR 101485778 B1 KR101485778 B1 KR 101485778B1 KR 20130059655 A KR20130059655 A KR 20130059655A KR 20130059655 A KR20130059655 A KR 20130059655A KR 101485778 B1 KR101485778 B1 KR 101485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unit
- sensing
- sensing unit
- identification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지역이나 인위적으로 구획된 지역에 설치하여 경각심을 높이거나 접근 제한 또는 주변 지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식별구 몸체와, 식별구 몸체 전면 양측에 각 형성된 반사체 기둥과, 반사체 기둥 사이에 주행방향과 대응하여 그 일측이 내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 편향 사인부가 구비된다.
상기의 식별구 몸체는 그 전면 상측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가 매립 설치되고, 물체가 감지되면 경보할 수 있도록 경보수단이 삽입 내재된다.
상기의 감지부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일정거리 내에 인체가 감지되면 경보수단을 통하여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보한다.
상기의 감지부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일정거리 내에 차량이 감지되면 경보수단을 통하여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보한다.
상기의 반사체 기둥은 편향 사인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직립상태로 조명부가 매립 설치된다.
상기의 식별구 몸체는 상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판 덮개로 이루어지되, 상판 덮개는 감지부, 경보수단 또는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의 입구를 기밀되게 밀폐하고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렌즈 캡이 구비된다.
상기의 식별구 몸체는 인접하는 식별구 몸체와의 사이로 물체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식별구 몸체의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광을 수신하기 위한 수광부가 매립 설치되고, 수광부의 물체 감지에 따라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고하기 위한 경고수단이 삽입 내재된다.
상기의 수광부는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광과 정렬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회동시키기 위한 정렬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의 식별구 몸체는 그 표면에 주변 지리정보를 담고 있는 점자표식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의 식별구 몸체는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변 지리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그 표면에 QR코드표식이 부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providing a warning area or an access restriction or surroun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by installing in an area where a risk of a safety accident is great or in an artificially divided area.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hole body protruding from the ground, a reflector colum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dentification hole body, and a deflection sign formed between the reflector columns so that one side thereof is gradually inclined inward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direction.
The sensing unit is embedded in the identification pillar body so as to detect an object on the front side of the identification pillar body, and an alarm means is inserted and inserted so that an alarm can be detected when an object is detected.
The sensing unit is a sensor for sensing a human body. When a human body is sens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nsing unit alerts the user through sound, light,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sensing unit is a sensor for sensing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ensed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sensing unit alerts the user through a warning means, such as sound or light, or a mixture thereof.
The reflector column is embed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reflector column so that the deflected sign portion can be illuminated.
The upper case cover includes a solar cell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the alarm unit, or the illumination unit. The upper case cover includes a housing having a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n upper plate cover for sea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lens cap for hermetically sealing the entran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condensing sunlight.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adjacent discriminating sphere body is embedded so as to detect passage of the object between the adjacent discriminating sphere bodies, Warning means for warning in the form of sound or light, or a mixed form thereof are incorporated.
The light-receiving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lignment means for rotating the light-receiving uni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unit.
The identification hole body is attached with a braille mark on its surface, which contains surrounding geographic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hole body is attached with a QR code mark on the surface thereof so that the surrounding geographic information can be read by using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QR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 유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지역이나 인위적으로 구획된 지역에 설치하여 경각심을 높이거나 접근 제한 또는 주변 지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or limiting access or surrounding geographic information by installing the device in a region where a risk of a safety accident is high or an artifici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induction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승강장, 스쿨 존, 도로의 급커브 지역, 강변 또는 해안도로, 선착장, 교량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지역에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경각심을 높이기 위하여 안전 표시 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safety indicators are installed to raise awareness of pedestrians or drivers in areas such as a platform, a school zone, a steep curve area of a road, a river or a coastal road, a marina, a bridge, and the like.
등록특허공보 제10-0879447호(2009. 01. 20) '경계석 부착용 안전유도 표지판'은 차도와 보도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표지판의 시인성을 높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광고 문안이나 계도 문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명요소와 입체적 디자인 요소의 결합으로 도시미관을 한층 개선하고자 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Registration No. 10-0879447 (2009. 01. 20) "Safety Indication Signboard for Boundary Stone Attachment" aims to prevent signs of accident by enhancing the visibility of signboards so as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roadway and sidewalk,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and manufacturing costs and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city by combining the lighting elements and the three-dimensional design elements.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3115호(2011. 04. 27)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는 보행자의 안전 및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고, 조명요소와 입체적 디자인 요소의 결합으로 도시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교통제어신호와 연동하여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된다. 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43115 (Apr. 27, 2011) "Safety Screening Device for Boundary Stage" aims at safety of pedestrians and safe operation of vehicles, and improves the beauty of the city by combining lighting elements and three-dimensional design elements A configuration for inducing a smooth traffic flow in conjunction with a traffic control signal is disclosed.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9098호(2011. 05. 12) '지면 매립형 상향 조명등'은 주로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의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차량정지 표시선이나 교차로에 설치되는 차량진행 표시선 설치장소의 지면에 상향 조사되게 한 조명등이 매립설치되어 차량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야간이나 우선시 또는 안개 등으로 전방의 시계가 좋지 않은 경우에 상향 조사되는 조명등이 발광하여 운전자에게 눈부시지 않으면서 표시선의 시인성을 높여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된다. [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1-0049098 (May, 2011. 12, 2011) The 'floor-mounted upward lighting lamp' is mainly used for a vehicle stop sign installed on a crosswalk of a road on which a vehicle is traveling, When the clock in front of the vehicle is not good due to nighttime, priority, or fog, etc., the illuminating lamp illuminated upward is irradiated upward to illuminate the driver's eyes, so that the visibility To induc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그러나 종래 안전 표시 장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지역임을 표시하여 보행자나 운전자로 하여금 주의를 환기시키는 수준에 머물러 능동적인 사고예방에는 한계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afety indicator indicates that there is a great risk of a safety accident, so that the pedestrian or the driver is caught up in a state of being caution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강장, 스쿨 존, 도로의 급커브 지역, 강변 또는 해안도로, 선착장, 교량, 절벽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지역이나 공사장, 도로경계, 경작지, 사유지 등 인위적으로 구획된 지역에 설치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접근을 통제함으로써 추돌, 추락 등의 안전사고는 물론이고 도난, 로드 킬, 농작물 피해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such as a landing area, a school zone, , Private land, or the like, to provide a safety induc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ft, roadkill, damage to crops and the like as well as safety accidents such as collision and crash by controlling access of people or animals.
또한 본 발명은 일몰로 인해 주위의 지형지물이 파악되지 않거나 시각 장애가 있는 경우라도 손쉽게 주변 지리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보행 중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capable of easily obtaining surroun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ven when the surrounding feature is not recognized due to sunset or having a visual impairment,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while walking.
그리고 본 발명은 차도와 접하는 보도의 경계석에 설치하여 버스승강장의 경우에는 버스를 타고 내릴 때 주의할 수 있도록 하고, 불법주정차구역의 경우에는 주·정차의 금지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 통학차량의 경우에는 승·하차시 뒤따르는 오토바이 등으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boundary of a sidewalk contacting a roadway so as to be careful when getting on and off a bus in the case of a bus platform. In the case of an illegal parking area,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that can protect students from motorcycles and the like that follow when getting on and off.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식별구 몸체와, 식별구 몸체 전면 양측에 각 형성된 반사체 기둥과, 반사체 기둥 사이에 주행방향과 대응하여 그 일측이 내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 편향 사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den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n identification hole body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ground; a reflector colum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dentification hole body; And a deflection sign portion is provided.
상기의 식별구 몸체는 그 전면 상측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가 매립 설치되고, 물체가 감지되면 경보할 수 있도록 경보수단이 삽입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nsing unit may be embedded in the identification hole body so that the sensing unit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hole, and an alarm unit may be inserted into the identification unit to enable an alarm when an object is sensed.
상기의 감지부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일정거리 내에 인체가 감지되면 경보수단을 통하여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nsing unit is a sensor for sensing a human body. When a human body is sens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nsing unit alerts the user through sound, light, or a mixture thereof.
상기의 감지부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일정거리 내에 차량이 감지되면 경보수단을 통하여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nsing unit is a sensor for sensing a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ens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nsing unit is alerted through a warning means or a mixed light or light.
상기의 반사체 기둥은 편향 사인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직립상태로 조명부가 매립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flector colum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lluminating unit is embed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reflector column so as to illuminate the deflection sign.
상기의 식별구 몸체는 상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판 덮개로 이루어지되, 상판 덮개는 감지부, 경보수단 또는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의 입구를 기밀되게 밀폐하고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렌즈 캡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case cover includes a solar cell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the alarm unit, or the illumination unit. The upper case cover includes a housing having a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n upper plate cover for sea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lens cap for hermetically sealing the entran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condensing solar light is provided.
상기의 식별구 몸체는 인접하는 식별구 몸체와의 사이로 물체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식별구 몸체의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광을 수신하기 위한 수광부가 매립 설치되고, 수광부의 물체 감지에 따라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고하기 위한 경고수단이 삽입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adjacent discriminating sphere body is embedded so as to detect passage of the object between the adjacent discriminating sphere bodies, Warning means for warning in the form of sound or light, or a mixture thereof, is inserted and contained.
상기의 수광부는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광과 정렬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회동시키기 위한 정렬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lignment means for rotating the light receiving uni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의 식별구 몸체는 그 표면에 주변 지리정보를 담고 있는 점자표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dentification hol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hole body is provided with a braille mark containing the surroun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상기의 식별구 몸체는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변 지리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그 표면에 QR코드표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dentification pilla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 QR code mark is attached to its surface so that the surrounding geographic information can be read by us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QR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장, 스쿨 존, 도로의 급커브 지역, 강변 또는 해안도로, 선착장, 교량, 절벽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지역이나 공사장, 도로경계, 경작지, 사유지 등 인위적으로 구획된 지역에 설치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접근을 통제함으로써 추돌, 추락 등의 안전사고는 물론이고 도난, 로드 킬, 농작물 피해 등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such as a landing area, a school zone, a steep curve area of a road, a riverside or a coastal road, By controlling the approach of people or animals by install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not only safety accidents such as collision, fall, but also theft, road kills, crop dam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몰로 인해 주위의 지형지물이 파악되지 않거나 시각 장애가 있는 경우라도 손쉽게 주변 지리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보행 중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the surroun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ven if the surrounding feature is not recognized due to sunset or there is a visual impairment,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while walk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차도와 접하는 보도의 경계석에 설치하여 버스승강장의 경우에는 버스를 타고 내릴 때 주의할 수 있고, 불법주정차구역의 경우에는 주·정차의 금지를 유도할 수 있으며, 통학차량의 경우에는 승·하차시 뒤따르는 오토바이 등으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 car in a corner of a sidewalk that is in contact with a roadway, and in case of a bus platform, caution can be taken when getting on and off a bus. In the case of an illegal parking area,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students from motorcycles, etc., that follow when getting on and of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유도 표시 장치의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유도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유도 표시 장치의 활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유도 표시 장치에 적용된 정렬수단의 예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예시도.1 is an embodiment of a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ample of utilization of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llustration of an alignment means applied to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FIG.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유도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유도 표시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식별구 몸체(100)와, 식별구 몸체(100) 전면 양측에 각 형성된 반사체 기둥(10)과, 반사체 기둥(10) 사이에 주행방향과 대응하여 그 일측이 내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 편향 사인부(20)가 구비된다.1, the safety guidanc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식별구 몸체(100)는 공지의 경계석에 부착 설치되거나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the above technical arrangement, the
반사체 기둥(10)은 식별구 몸체(100) 전면 양측에 각 설치되고, 재귀반사 시트지 등을 붙여 차량의 전조등에서 나온 빛이 반사되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쉽게 인지하도록 한다.The
편향 사인부(20)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문이나 경고문, 계도문 등이 부착되고, 운전자나 보행자가 대각방향에서 마주볼 수 있게 주행방향에 대응하여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편향 설치된다. Th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유도 표시 장치는 방파제 또는 도로의 갓길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차량의 추락을 예방할 목적으로 설치되고, 주차장 등에도 설치되어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방파제나 도로 외에도 해안 또는 강변도로, 항만(선박) 계류장, 양식장 부교에도 설치될 수 있고, 자전거(원동기) 전용도로, 유도로, 교각(교량)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추락 또는 추돌의 위험이 있는 어떠한 장소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arrangement,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houlder of a breakwater or a shoulder of a road to prevent a person or a vehicle from falling down, and is also installed in a parking lot, etc.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pushed back.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breakwaters and roads, they can be installed in coastal or riverside roads, harbor moorings, farms, and bicycle (prime mover) roads, induction roads and bridge bridges. It can of course be installed in any place where there is a risk.
다음, 상기의 식별구 몸체(100)는 그 전면 상측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30)가 매립 설치되고, 물체가 감지되면 경보할 수 있도록 경보수단(40)이 삽입 내재된다.Next, the
예컨대, 상기의 감지부(30)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일정거리 내에 인체가 감지되면 경보수단(40)을 통하여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보한다. For example, the
상세하게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30)는 적외선 센서로 양호하게 구현되고, 동물의 접근 또한 감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경보수단(40)은 감지부(30)에 의해 인체(사람)가 감지되면 안내문이나 경고문, 계도문 등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41)로 구현되고, 동물의 출몰이 잦은 지역에서는 감지부(30)에 의해 인체(동물)가 감지되면 특정 대역의 고주파를 발생시켜 동물을 퇴치할 수 있도록 고주파 발생기(42)로 구현할 수 있다. The alarm means 40 is realized by a
또한 경보수단(40)은 야간의 경우 사람이나 동물의 접근을 시각적으로 억제하거나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고주파 발생기(42)가 경광등으로 교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larm means 40 may be replaced with a warning light so that the accessibility of people or animals can be visually suppressed or informed to the outside in the case of the nighttim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유도 표시 장치를 선착장, 교량, 절벽 등에 설치하여 감지부(30)로부터 인체가 감지되면 경보수단(40)을 통해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보함으로써 낙상,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arrangement, when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marina, a bridge, a cliff, etc. and a human body is sensed from the
또한 본 발명의 안전 유도 표시 장치를 동물의 출몰이 잦은 고속도로, 경작지 등에 설치하여 감지부(30)로부터 동물이 감지되면 경보수단을 통해 고주파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보함으로써 로드 킬이나 농작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Also, when the safety inductio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highway or a cultivated land where animals frequently show up frequently, and the animal is detected from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안전 유도 표시 장치를 공사장, 사유지 등에 설치하여 감지부(30)로부터 인체가 감지되면 경보수단(40)을 통해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보함으로써 도난이나 무단침입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construction site, a private land, or the like, and a human body is sensed from the
다음, 상기의 감지부(30)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일정거리 내에 차량이 감지되면 경보수단(40)을 통하여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보한다.Next, the
상세하게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자기장 변화를 이용하여 차량의 유무를 감지하는 비접촉 감지 센서로 양호하게 구현되고, 경보수단(40)은 안내문이나 경고문, 계도문 등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41)로 구현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nsor for sensing the vehicle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non-contact sensor for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using a magnetic field change, and the alarm means 40 can output a warning message, warning, The
또한 경보수단(40)은 주변을 밝히기 위한 조명램프나 주의를 촉구하는 경광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warning means 40 may also be implemented as an illumination lamp for illuminating the surroundings or a warning light for urging attention.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유도 표시 장치를 버스승강장에 설치한 경우에는 버스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버스를 비접촉 감지 센서를 통하여 감지하고, 조명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승·하차시 버스와 경계석 사이를 밝혀줌으로써 발을 헛 딛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arrangement, when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s platform, a bus entering the bus platform is detected through a non-contact detection sensor and the lighting lamp is turned 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hitting the foot by revealing between.
또한 본 발명의 안전 유도 표시 장치를 주·정차금지구역에 설치한 경우에는 주·정차 차량을 비접촉 감지 센서를 통하여 감지하고, 스피커(41)를 통해 계도문을 내보내는 한편 경광등을 점멸시켜 차량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Also, when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ain / stop prohibition area, the main / stationary vehicle is sensed through the non-contact sensor,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안전 유도 표시 장치를 스쿨 존에 설치한 경우에는 통학차량의 주·정차를 비접촉 감지 센서를 통하여 감지하고, 경광등을 점멸시켜 뒤따르는 오토바이 운전자 등의 주의를 촉구시켜 추돌사고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chool zone, the main and stop of the vehicle are detected through the non-contact detection sensor, and the warning light is blinked to urge the driver of the following motorcycle, It becomes possible to protect it.
다음, 상기의 반사체 기둥(10)은 편향 사인부(20)를 조명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직립상태로 조명부(50)가 매립 설치된다.Next, the
상세하게는, 편향 사인부(20)는 일측이 식별구 몸체(100) 내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반사체 기둥(10)과 만나는 부분, 즉 반사체 기둥(10) 내측벽에 조명부(50)를 매립 설치할 수 있도록 조명부 수용홈이 형성된다.The deflected
조명부(50)는 바 형태로 다수의 엘이디가 실장되고, 반사체 기둥(10) 측면에서 편향 사인부(20)를 조명하게 된다. Th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주위의 밝기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60)와 연동할 경우 야간에만 조명부(5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주간과 동일하게 편향 사인부(20)에 부착된 안내문이나 경고문, 계도문 등을 운전자 또는 보행자로 하여금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arrangement, when the
다음, 상기의 식별구 몸체(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판 덮개(102)로 이루어지되, 상판 덮개(102)는 감지부(30), 경보수단(40) 또는 조명부(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수용부(110)의 입구를 기밀되게 밀폐하고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렌즈 캡(120)이 구비된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식별구 몸체(100)는 하우징(101) 내부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충전하고 양생시켜 지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고, 하우징(101) 측면 하부에 형성된 체결편(130)에 앙카를 박아 지면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technical construction, the
상판 덮개(102)는 하우징(101) 상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하우징(101) 상단과 상판 덮개(102) 하부에 각 형성된 암수 체결돌기(미도시)에 의해 조립되거나 나사에 의해 하우징(101)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The top plate cover 102 is assembled by male and female fastening protrusions (not show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또한 상판 덮개(102)는 태양전지모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수용부(110)는 상단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렌즈 캡(120)과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기밀하게 밀폐된다.The top plate cover 102 is formed with a receiving
태양전지모듈(미도시)은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축전지를 포함한다.A solar cell module (not shown) is for converting sunlight into electric energy, and includes a battery to store the generated electric energy.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낮 동안에 태양전지모듈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어 축전지에 충전되고, 야간에 축전지로부터 감지부(30), 경보수단(40) 또는 조명부(50)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의 안전 유도 표시 장치는 전기시설이 없는 곳에도 양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arrangement, electric energy is generated by the solar cell module during the daytime and charged into the battery,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의 식별구 몸체(100)는 인접하는 식별구 몸체(100)와의 사이로 물체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식별구 몸체(100)의 발광부(미도시)로부터 송출된 광을 수신하기 위한 수광부(70)가 매립 설치되고, 수광부(70)의 물체 감지에 따라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고하기 위한 경고수단(40)이 삽입 내재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식별구 몸체(100)는 일정 거리 떨어져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그 사이로 지나가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In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이를 위하여, 식별구 몸체(100)는 인접하는 식별구 몸체(100')와 마주보는 부분, 즉 편향 사인부(20)가 전방을 향하도록 식별구 몸체(100)가 설치된 경우에는 식별구 몸체(100)의 측면에 광센서가 매립 설치된다.In order to do this, the
상세하게는, 광센서는 수광부(70)와 발광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이 물체에 의해 차단될 경우 이를 수광부(70)에서 검출하여 경고수단(40)을 통하여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고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optical sensor includes a
즉, 일측 식별구 몸체(100)에 수광부(70)가 매립 설치되고 타측 식별구 몸체(100')에 발광부가 매립 설치되어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이 지나가는 물체에 의해 차단될 경우 수광부(70) 측 식별구 몸체(100)에 삽입 내재된 경고수단(40)에서 경고가 이루어지게 된다. That is, when the
경고수단(40)은 수광부(70)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면 경고문 등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41)로 구현되고, 동물의 출몰이 잦은 지역에서는 수광부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면 특정 대역의 고주파를 발생시켜 동물을 퇴치할 수 있도록 고주파 발생기(42)로 구현할 수 있다.The warning means 40 is implemented as a
또한 경고수단(40)은 위치를 표시하고 밝은 빛을 내어 경고하기 위한 경광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arning means 40 may be implemented as a warning light for indicating a position and warning a bright light.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공사장이나 사유지 등에 본 발명의 안전 유도 표시 장치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야간에 무단으로 침입하는 침입자를 감지함으로써 도난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struction,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 construction site or a private site to detect an intruder who intrudes unauthorized at night,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such as theft.
또한 경작지나 동물의 출몰이 잦은 도로변에 본 발명의 안전 유도 표시 장치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동물의 접근을 통제함으로써 농작물의 피해 또는 로드 킬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afety guidanc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roads where crops or animals are frequent, so that the accessibility of the animals can be controlled to prevent damage or road killing of the crops.
다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수광부(70)는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광과 정렬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회동시키기 위한 정렬수단(80)이 더 구비된다.Next, as shown in FIG. 4, the
상세하게는, 정렬수단(80)은 수광부(70)가 삽입 설치되고 볼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륜부(81)와, 내륜부(81)가 상하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잡아주기 위한 외륜부(82)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alignment means 80 includes an
또한 내륜부(81)는 수광부(70)를 내측에 두고 원형의 지그 홈(83)이 형성되고, 지그 홈(83)에 끼워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광과 수광부(70)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내륜부(81)를 상하좌우로 회동 조절하기 위한 중공의 정렬 지그(84)가 마련된다. 수광부(70)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의 도시는 생략하였다.The
따라서 중공의 정렬 지그(84)를 지그 홈(83)에 끼워 내륜부(81)를 상하좌우로 회동 조절하고 이때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광이 정렬 지그(84)를 통과하여 수광부(70)에 수광될 경우 수광부(70)의 정렬이 완료되게 된다.Therefore, the
다음, 상기의 식별구 몸체(100)는 그 표면에 주변 지리정보를 담고 있는 점자표식(90)이 부착된다.Next, the
점자표식(90)은 시각장애인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로 주변 지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The Braille marker (90) is a means for conveying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and mainly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terrain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일례로, 전방에 절벽이 위치한다든가 오른쪽에 선착장, 왼쪽에 승강장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For example, it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a cliff on the front, a marina on the right, and a platform on the left.
따라서 주위로부터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라도 점자표식(90)을 통하여 주변의 위험요소를 파악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even if you do not receive help from the surrounding area, you can identify the danger factors around you through the braille marker (90), thus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 of the visually impaired.
또한 상기의 식별구 몸체(100)는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변 지리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그 표면에 QR코드표식이 부착된다. 이는 점자표식(90)과 대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R코드는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 형식의 코드로, ‘QR’이란 ‘Quick Response’의 머리글자이다. The QR code is a two-dimensional (matrix) format code containing a variety of information in a rectangular horizontal and vertical grid pattern, and is the acronym for 'Quick Response', 'QR'.
따라서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스마트폰)로 QR코드를 스캔할 경우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a QR code is scanned by a terminal (smart phone) equipped with a QR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a variety of information can be obtained.
일례로, QR코드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시설물유지관리처의 홈페이지에 접속되어 야간에도 해당 지역의 주변환경을 영상이나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위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연락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if the QR code is recognized, it will be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homepage of the facility maintenance center so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area can be confirmed by video or photograph at night, and contact information is provided so that quick action can be taken in case of an emergency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그리고 QR코드표식은 야간에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후방에서 빛을 비춰주는 백그라운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desirable that the QR code markers are provided with a backlight that illuminates the rear side so that it can be easily found even at night.
한편, 본 발명의 안전 유도 표시 장치는 전술한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외형이 제작될 수 있다.Meanwhile, the safety inductio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the above technical constructions.
도 5를 참조하면, 식별구 몸체(100)는 장방형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서 합성수지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 그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가능함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설치장소의 특성 및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 가능하고, 식별구 몸체(100)는 상판 덮개(102), 좌·우측면판, 전·후면판으로 분할 제작되어 조립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아울러, 식별구 몸체(100) 또는 상판 덮개(102)에는 '스쿨 존입니다'와 같은 안내문이나 '추락위험 접근금지'와 같은 경고문, '신호준수'와 같은 계도문 등이 부착될 수 있고, 광고 수익을 창출할 목적으로 광고 등이 더 부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부착된 안내문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보호커버(140)가 그 위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And a protective cover 14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may be attached thereto so as to prevent breakage of the attached guide door or the like.
다음으로, 상판 덮개(102)는 태양전지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0)나 안내문 등이 부착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삼각뿔 형태의 돌기(150)가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top cover 102 may have a triangular
삼각뿔 형태의 돌기(150)는 착석 방지를 위한 것으로, 뾰족한 형태라만 본 발명에 있어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또한 수용부(110)나 안내문 등이 부착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설치 주체인 지방자치단체나 회사 등의 로고나 마크 또는 특정 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ogo, a mark, or a specific figure such as a local government or a company, which is a main body of the installation, may be formed in the remaining part except for the space to which the
한편, 감지부(30)에 의해 경보수단(40)이 작동하는 경우 축전지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작동 후 정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소정시간 경과 후 경보수단(40)이 멈추도록 프로그램화할 수도 있다. When the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경보수단(40)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리셋 버튼(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Further, a reset button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lease the alarm means 40 directl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반사체 기둥
20: 편향 사인부
30: 감지부
40: 경보수단
41: 스피커
42: 고주파 발생기
50: 조명부
70: 수광부
80: 정렬수단
81: 내륜부
82: 외륜부
83: 지그 홈
84: 정렬 지그
90: 점자표식
100: 식별구 몸체
101: 하우징
102: 상판 덮개
110: 수용부
120: 렌즈 캡
130: 체결편
140: 보호커버
150: 돌기10: reflector pole
20: deflection sign portion
30:
40: alarm means
41: Speaker
42: High frequency generator
50:
70:
80: alignment means
81: inner ring part
82:
83: jig groove
84: alignment jig
90: Braille marker
100: Identification hole body
101: Housing
102: top cover
110:
120: Lens cap
130: fastener
140: protective cover
150:
Claims (10)
상기 식별구 몸체는 인접하는 식별구 몸체와의 사이로 물체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상기 식별구 몸체의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광을 수신하기 위한 수광부가 매립 설치되고, 상기 수광부의 물체 감지에 따라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고하기 위한 경고수단이 삽입 내재되며, 상기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광과 정렬할 수 있도록 상기 수광부를 상하좌우로 회동시키기 위한 정렬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 A reflector column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ront face of the discriminating member body and a deflected sign portion formed between the reflector columns so that one side of the reflector column is inclined inwardly in correspondence with the running direction,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adjacent discriminating unit body is embedded so that the discrimination unit body can detect the passage of the object between the adjacent discriminating unit bodies, And a warning means for warning in the form of a sound or a light or a mixture thereof is inserted and an aligning means for rotating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Safety Indicator.
상기 식별구 몸체는 그 전면 상측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가 매립 설치되고, 물체가 감지되면 경보할 수 있도록 경보수단이 삽입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tection unit is embedded in the identification hole body so as to detect an object on an upper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hole and an alarm means is inserted and installed so that an alarm can be detected when an object is detected.
상기 감지부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일정거리 내에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을 통하여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nsing unit is a sensor for sensing a human body, and when a human body is sens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nsing unit alerts the sensed person to a sound, light, or a mixture thereof.
상기 감지부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일정거리 내에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을 통하여 음향 또는 경광, 이들의 혼합형태로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nsing unit is a sensor for sensing a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is sens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nsing unit alerts the user through sound, light, or a combination thereof through the warning unit.
상기 반사체 기둥은 상기 편향 사인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직립상태로 조명부가 매립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or column is embedded with an illumination unit in an upright state on its side so as to illuminate the deflection sign portion.
상기 식별구 몸체는 상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판 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 덮개는 상기 감지부, 경보수단 또는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입구를 기밀되게 밀폐하고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렌즈 캡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The identification hole body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hexahedron shaped housing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 top plate cover for sea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upper plate cover is provided with a solar cell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And a lens cap for sealing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part hermetically and condensing sunlight is provided.
상기 식별구 몸체는 그 표면에 주변 지리정보를 담고 있는 점자표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dentification hole body is provided with a braille mark on the surface thereof to hold surroun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상기 식별구 몸체는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변 지리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그 표면에 QR코드표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도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dentification hole body is attached with a QR code mark on its surface so as to read surrounding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QR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59655A KR101485778B1 (en) | 2013-05-27 | 2013-05-27 | Safety guidance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59655A KR101485778B1 (en) | 2013-05-27 | 2013-05-27 | Safety guidance display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9243A KR20140139243A (en) | 2014-12-05 |
KR101485778B1 true KR101485778B1 (en) | 2015-02-03 |
Family
ID=5245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59655A Active KR101485778B1 (en) | 2013-05-27 | 2013-05-27 | Safety guidance display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577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5379B1 (en) * | 2018-12-28 | 2020-12-24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Safety Guidance Display Apparatus |
KR102396876B1 (en) * | 2022-03-22 | 2022-05-18 | 지티에스 주식회사 | Warning light with enhanced visibility |
CN117868019A (en) * | 2023-02-04 | 2024-04-12 | 深圳市东冠达交通工程有限公司 | Anticollision buffering early warning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9480A (en) * | 2002-11-21 | 2004-06-17 | Kintaro Otani | Curb and road indicator |
KR100876304B1 (en) * | 2008-07-08 | 2008-12-31 | 광주광역시 남구 | Parking stop warning device |
KR100879447B1 (en) * | 2008-07-08 | 2009-01-20 | 박승 | Safety Guidance Signs |
KR101019817B1 (en) * | 2009-10-01 | 2011-03-04 | 이정대 | Road boundary stone with notice function |
-
2013
- 2013-05-27 KR KR20130059655A patent/KR1014857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9480A (en) * | 2002-11-21 | 2004-06-17 | Kintaro Otani | Curb and road indicator |
KR100876304B1 (en) * | 2008-07-08 | 2008-12-31 | 광주광역시 남구 | Parking stop warning device |
KR100879447B1 (en) * | 2008-07-08 | 2009-01-20 | 박승 | Safety Guidance Signs |
KR101019817B1 (en) * | 2009-10-01 | 2011-03-04 | 이정대 | Road boundary stone with notice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9243A (en) | 2014-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7043B1 (en) | Boundary stone cover for protecting accident | |
KR100982966B1 (en) |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 |
KR101019817B1 (en) | Road boundary stone with notice function | |
KR102227584B1 (en) | Lighting safety bollard | |
KR101140531B1 (en) | Safety display device of road boundary stone | |
KR101485778B1 (en) | Safety guidance display apparatus | |
ES2663655B1 (en) | System and autonomous device for road detection and signaling | |
KR102339582B1 (en) | Blocking system on the pedestrian linked to the traffic lights | |
KR102263867B1 (en) | System for protecting pedestrian in crosswalk | |
KR200208098Y1 (en) | A device of indicating the sign of road | |
KR102033922B1 (en) | Safety alarm system for pedestrians and vehicle drivers | |
KR100646683B1 (en) | Pedestrian crossing with pedestrian detection. | |
KR102274056B1 (en) | Smart cover for boundary stone | |
CA2300291A1 (en) | Active light emitting road marking system | |
KR101564902B1 (en) | Road Stud And Apparatus | |
KR20130083285A (en) | Traffic safety system on crosswalk using a led | |
KR20130098555A (en) | Bollard for illuminating border line | |
KR102596955B1 (en) | Bollards for traffic accident prevention and safety | |
KR102549464B1 (en) | Sensitive Bollard Device Based on Radar Detection for Mutual Recognition of Vehicles and Pedestrians | |
KR101320511B1 (en) | Safety sign board for preventing approach | |
US20070012237A1 (en) | Pedestrian cross walk marker | |
KR20240054038A (en) | Smart fence for pedestrian prote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ES2422505B1 (en) | ACTIVE AND BRIGHT HORIZONTAL SIGNALING FOR ROAD SAFETY AND PEDESTRIAN STEPS. | |
ES2432851A2 (en) | "alert system and notice to drivers applicable to pedestrian step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
JP2009127415A (en) | Warning display system using warning display and warning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