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531B1 - Safety display device of road boundary stone - Google Patents
Safety display device of road boundary st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0531B1 KR101140531B1 KR1020090100077A KR20090100077A KR101140531B1 KR 101140531 B1 KR101140531 B1 KR 101140531B1 KR 1020090100077 A KR1020090100077 A KR 1020090100077A KR 20090100077 A KR20090100077 A KR 20090100077A KR 101140531 B1 KR101140531 B1 KR 1011405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man body
- lighting unit
- road boundary
- plate
- sou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의 안전 및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고, 조명요소와 입체적 디자인 요소의 결합으로 도시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교통제어신호와 연동하여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the safe operation of vehicles, and improves the aesthetics of a city by combining lighting elements and three-dimensional design elements, while also allowing road traffic safety signs to smoothly flow in conjunction with traffic control signals. It is abou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판(100)과 측면판(200), 경사판(300)으로 이루어지되 상판(100)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집광모듈(130)이 삽입 설치된 집광모듈 수용부(120)와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상판 조명부(140)와 횡단보도를 과도하게 진입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160)와 상기 인체감지센서(16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기(170)가 구비되고, 측면판(20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측면판 조명부(210)와 횡단보도상의 보행자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부재(240)와 인체감지센서부재(24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안내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수단(230)이 구비되고, 경사판(30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경사판 조명부(310)가 설치된다. 또한, 교통신호제어기(5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적색신호시 인체감지센서(160)로부터 보행자가 감지되면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과도하게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판 조명부(140) 및 측면판 조명부(210), 경사판 조명부(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시간 점멸시키는 동시에 음향발신기(170) 또는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해 소정시간 경고음을 출력하고, 녹색신호시 우측통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판 조명부(140) 및 측면판 조명부(210), 경사판 조명부(310)를 통하여 보행방향을 디스플레이하고 동시에 음향발신기(170) 또는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해 안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구비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top plate 100, a side plate 200, the inclined plate 300, the top plate 100 is a light collecting module is installed is installed a light collecting module 130 for converting and stor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he human body detecting sensor 160 and the human body detecting sensor 160 for detecting a case where the upper panel lighting unit 140 and the crosswalk are excessively inpu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receiving unit 120 and the light collecting module 130. A sound emitter 170 is provided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whether the human body is detected, and the side plate 200 is a human body for detecting a pedestrian on a sidewalk lighting unit 210 and a crosswalk which are turned 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 sound emitting means 230 for outputting a guide sound is provided according to whether the sensing sensor member 240 and the human body sensing sensor member 240 detect the human body, and the inclined plate 300 is turned 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he lighting unit 310 Is installed. In addition,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500 and the pedestrian is detected from the human body sensor 160 when the red signal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has excessively entered the crosswalk and the upper panel lighting unit 140 and the side panel lighting unit 210 are determined. ), At least one of the inclined plate lighting unit 310 flashe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outputs a predetermined time warning sound through the sound transmitter 170 or the sound transmitting means 230, and the top plate lighting unit to induce a right passage in the green signal. The control unit 400 which displays the walking direction through the 140 and the side plate lighting unit 210 and the inclined plate lighting unit 310 and simultaneously outputs the guide sound through the sound generator 170 or the sound transmitting means 230 is provided. It is provided.
경계석, 집광모듈, 경고음, 무단횡단,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신호제어기 Boundary Stone, Condensing Module, Warning Sound, Stepless Crossing, Crosswalk, Pedestrian, Traffic Signal Controll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안전 및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고, 조명요소와 입체적 디자인 요소의 결합으로 도시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교통제어신호와 연동하여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boundary safety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mote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vehicles, and to improve the aesthetics by combining lighting elements and three-dimensional design elements while smoothly interlocking with traffic control signals. It relates to a road boundary stone safety indicator to enable traffic flow.
일반적으로 보도와 차도를 구분하거나 도로를 구획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의 도로 경계석이 설치된다. Generally, a road boundary stone of a certain height is installed to distinguish a sidewalk from a driveway or to divide a road.
이와 같은 도로 경계석은 자연석이나 콘크리트로 제작되는데, 야간에는 시인성이 떨어져 보도에서 차도로 내려서거나 차도에서 보도로 올라갈 때 발을 헛디뎌 다칠 우려가 있고, 차량이 도로변으로 과도하게 접근하여 보행자를 치거나 도로 경계석과 부딪쳐 차량이 파손되는 등의 사고와 더불어 산악지대나 해안도로의 경우에는 추락사고의 위험이 상존하였다. Such road boundary stones are made of natural stone or concrete. At night, visibility is low and there is a risk of getting injured as you step down from the sidewalk or ascending from the sidewalk to the sidewalk. In addition to accidents such as bumping the boundary stone and car damage, the risk of falling accidents existed in mountainous areas and coastal roads.
이에 따라 도로 경계석에 빗금을 칠하거나 자동차의 불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판을 부착하여 도로 경계석의 시인성을 높임으로써 보행자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있다.Accordingly, the reflector is attached to the road berths to reflect the lights of cars or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road berths,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pedestrians or drivers.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자체 발광 능력이 없어 시인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오로지 보행자나 운전자의 시각에만 의존함으로써 사고 예방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 of accident prevention is insignificant because it does not have self-luminous ability and not only the visibility is reduced but also depends solely on the eyes of the pedestrian or the driver.
또한, 상기의 방법은 단순한 시각적 효과만을 구현함으로써 시설물 설치에 따른 수익모델이 없어 관리자 측에서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야 하고, 재원확보가 어려워 안전시설물의 확대설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above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because there is no profit model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by implementing only a simple visual effect.
그리고 횡단보도의 경우 차도와 보도 간의 턱을 없애기 위하여 횡단보도의 양측 경계석은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별도의 표식이 없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도중 이곳을 밟게 되면 중심을 잃거나 넘어지는 등 안전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pedestrian crossings, the boundary seats on both sides of the pedestrian crossing are inclined to remove the jaws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sidewalk, and there are many problems in safety such as losing center or falling when stepping here while crossing the pedestrian crossing because there is no sign. .
본 발명은 자체 발광에 의한 도로 경계석의 시인성 향상으로 보행자의 안전 및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석의 안전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indicator of a road boundary stone, which can promote pedestrian safety and vehicle safety by improving visibility of road boundary stones by self-luminescence.
또, 본 발명은 횡단보도 상에서 음성 및 시각적으로 보행자 신호를 안내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 등 교통 약자를 배려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석의 안전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indicator of the road pedestrian seat that can consider the traffic weak, such as the visually impaired or hearing impaired by guiding the pedestrian signal by voice and visual on the crosswalk.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가 차도로 내려서거나 차도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함으로써 무단횡단을 방지하거나 차도에서의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석의 안전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indicator of the road pedestrian seat to prevent pedestrian crossing or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on the roadway by detecting and warning when the pedestrians get off the road or located on the roadway.
또, 본 발명은 조명요소와 입체적 디자인 요소를 결합하여 도시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광고유치를 통해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석의 안전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indicator of the road boundary stone to combine the lighting elements and the three-dimensional design elements to improve the urban aesthetics and to create a new revenue model through attracting advertisements.
또한, 본 발명은 교통제어신호와 연동하여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 boundary stone safety display device to induce a smooth traffic flow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control signal.
그리고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의 형상과 사용 양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 boundary stone safety display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and use of the road boundary ston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 치에 있어서, 도로 경계석(1)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상판(100)은, 그 중심부분에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집광모듈(130)이 삽입 설치된 일정 높이의 집광모듈 수용부(120)가 마련되고,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외측벽을 따라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상판 조명부(140)가 마련되며,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양측에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을 설치할 수 있도록 문안 삽입부(110)가 마련되고, 집광모듈(130) 및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을 보호하기 위하여 집광모듈 수용부(120)와 문안 삽입부(110)에 각각 보호커버(135, 115)가 구비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ad boundary stone safety display device, the
또, 상기의 보호커버(135, 115)는 빗물이나 오물이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밟았을 때 미끄러지거나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상면에 돌기들(136, 116)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135, 115) is formed convexly upwards so that rain water or dirt can easily flow down and projections (top)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prevent slipping or scratching when stepped on 136, 116 are formed.
또한, 상기의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내측에는 주위의 밝기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상판 조명부(140)가 점등되도록 하는 광센서(150)가 구비되고,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외측에는 사람이 보도에서 차도로 내려서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160)와, 인체감지센서(16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기(170)가 더 구비된다. In addition, an inner side of the condensing
다음, 상판(100)과 수직되게 도로 경계석(1)의 측면에 부착 설치되는 측면판(200)은, 그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엘이디가 실장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측면판 조명부(210)가 마련되고 측면판 조명부(210)의 각 엘이디에 대응하여 엘이디 공이 천공된 반사지(250)가 부착되며 측면판 조명부(210)를 보 호할 수 있도록 측면판 조명부 보호커버(260)가 구비되고, 그 상단에 빗물이나 오물이 전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턱(270)이 형성된다. Next, the
또, 상기의 측면판(200)의 소정위치에는 사람이 차도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부재(240)와 인체감지센서부재(24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수단(230)이 더 구비된다. In addi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또한, 상기의 측면판(200)은 그 전면이 차량 전조등의 불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익형으로 제작된다. In addition, the
다음,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도로 경계석(2)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고 상판(100)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경사판(300)은, 그 중심부분에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을 설치할 수 있도록 문안 삽입홈(330)이 마련되고, 문안 삽입홈(330)의 상측에 다수의 엘이디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경사판 조명부(310)가 설치되며, 문안 삽입홈(330)의 양측으로 밟았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 돌기들(320)이 형성되고,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을 보호하고 빗물이나 오물이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밟았을 때 미끄러지거나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상면에 보호 돌기들(336)이 형성된 보호 커버부재(335)가 문안 삽입홈(330)에 마련된다. Next, the
또, 상기의 경사판(300)의 측면에는 장착홈(301)이 형성되고, 도로 경계석의 모서리 부분을 감싼 상태에서 경사판(300) 측면에 일체로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 홈(301)에 대응하여 장착돌기(351)가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엘이디 조명부(360)가 마련된 모서리 커버부재(350)가 더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도로 경계석(2)의 경사각이 다르더라도 경사판(300)을 상판(100)에 나란하게 일체로 설치할 수 있도록 상판(100)에 조립홈(105)이 형성되고, 조립홈(105)에 대응하여 경사판(300)에 굴절 가능한 조립돌기(305)가 형성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수평 상태인 도로 경계석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상판(100)과, 상판(100)과 수직되게 일체로 조립되며 수평 상태인 도로 경계석의 측면에 부착 설치되는 측면판(200)으로 이루어지되, 상판(100)은 그 중심부분에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집광모듈(130)이 삽입 설치된 일정 높이의 집광모듈 수용부(120)가 마련되고,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외측벽을 따라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상판 조명부(140)가 마련되며,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외측 소정위치에 사람이 보도에서 차도로 내려서거나 차도에서 보도로 올라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160)와 인체감지센서(16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기(170)가 구비되고, 측면판(200)은 그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엘이디가 실장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측면판 조명부(210)가 마련되고 측면판(200)의 전면 소정위치에 사람이 차도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부재(240)와 인체감지센서부재(24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경고음 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수단(230)이 구비되고, 인체감지센서(160)로부터 인체가 감지되고 이어서 인체감지센서부재(240)를 통해 인체가 감지되면 사람이 차도로 내려선 것으로 판단하여 상판 조명부(140)와 측면판 조명부(210)를 소정시간 점멸시키는 동시에 음향발신기(170) 또는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해 소정시간 경고음을 출력하고, 인체감지센서(160)로부터 인체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체감지센서부재(24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차도에 사람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판 조명부(140)와 측면판 조명부(210)를 소정시간 점멸시키는 동시에 음향발신기(170) 또는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해 소정시간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어부(400)가 구비된다. Nex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수평 상태인 도로 경계석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상판(100)과, 상판(100)과 수직되게 일체로 조립되며 수평 상태인 도로 경계석의 측면에 부착 설치되는 측면판(200) 및, 상판(100)과 나란하게 일체로 조립되며 일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도로 경계석(2)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경사판(300)으로 이루어지되, 상판(100)은 그 중심부분에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집광모듈(130)이 삽입 설치된 일정 높이의 집광모듈 수용부(120)가 마련되고,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외측벽을 따라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상판 조명부(140)가 마련되며,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외측 소정위치에 횡단보도를 과도하게 진입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160)와 인체감지센서(16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기(170)가 구비되고, 측면판(200)은 그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엘이디가 실 장되고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측면판 조명부(210)가 마련되고 측면판(200)의 전면 소정위치에 횡단보도상의 보행자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부재(240)와 인체감지센서부재(24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안내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수단(230)이 구비되고, 경사판(300)은 그 중심부분에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을 설치할 수 있도록 문안 삽입홈(330)이 마련되고, 문안 삽입홈(330)의 상측에 다수의 엘이디로 이루어져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경사판 조명부(310)가 설치되며, 교통신호제어기(5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적색신호시 인체감지센서(160)로부터 보행자가 감지되면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과도하게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조명부(140) 및 측면판 조명부(210), 경사판 조명부(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시간 점멸시키는 동시에 상기 음향발신기(170) 또는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해 소정시간 경고음을 출력하고, 녹색신호시 우측통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판 조명부(140) 및 측면판 조명부(210), 경사판 조명부(310)를 통하여 보행방향을 디스플레이하고 동시에 음향발신기(170) 또는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해 안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구비된다. Nex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 발광에 의한 도로 경계석의 시인성 향상으로 보행자의 안전 및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pedestrians and th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b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road boundary stone by self-luminous.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가 차도로 내려서거나 차도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함으로써 무단횡단을 방지하거나 차도에서의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and warning when the pedestrians get off the road or located on the roadway,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unauthorized crossing or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on the roadwa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요소와 입체적 디자인 요소를 결합하여 도시미관을 개선하는 한편 광고유치를 통해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함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lighting elements and the three-dimensional design elements to improve the urban aesthetics, while creating a new profit model through the attraction of advertising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제어신호와 연동하여 음성 및 시각을 통하여 보행신호 등을 안내함으로써 일반 보행자나 운전자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 위한 새로운 보행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a new walk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r hearing impaired, as well as general pedestrians and drivers by guiding the pedestrian signal through voice and time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control signa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 경계석의 형상과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and usage of the road boundary stone, there is an effect that not only the construction is convenient, but also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ad boundary stone safety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의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road boundary stone safety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표시장치의 상판 상세도이다.2 is a detailed top view of a road boundary ston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표시장치의 측면판 상세도이다. 3 is a detailed side view of the road boundary ston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표시장치의 경사판 상세도이다. 4 is a detailed view of the inclination plate of the road boundary ston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판과 측면판이 일체로 조립된 예시도이다. 5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top plate and the side plate are integrally assembled.
도 6은 도 5의 사용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view of use of FIG. 5.
도 7은 상판과 측면판, 경사판이 일체로 조립되어 횡단보도 상에 설치된 사용 예시도이다.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use of a top plate, side plates, and inclined plates integrally assembled on a crosswalk.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road boundary safety 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상판(100)과 측면판(200), 경사판(300)으로 이루어진다. First, the road boundary ston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의 상판(100)과 측면판(200)은 수평 상태의 도로 경계석에 설치되고, 측면판(300)은 일측으로 경사진 도로 경계석(2)의 경사면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양태에 따라 단독 또는 둘 이상을 일체로 조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The
도로 경계석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상판(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분에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집광모듈(130)이 삽입 설치된 일정 높이의 집광모듈 수용부(120)가 마련되고,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외측벽을 따라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상판 조명부(140)가 마련되며,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양측에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을 설치할 수 있도록 문안 삽입부(110)가 마련되고, 집광모듈(130) 및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을 보호하기 위하여 집광모듈 수용부(120)와 문안 삽입부(110)에 각각 보호커버(135, 115)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the
여기서, 집광모듈 수용부(120)는 그 내측에 집광모듈(13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며, 그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여 복수개의 집광모듈(130)을 수용할 수 있다.Here, the condensing
또한, 집광모듈(130)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태양전지판과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판(10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로 경계석에 부착 설치하거나 도로 경계석에 구멍을 천공하여 칼블록(106)을 끼우고 상판(100)과 함께 나사(107)로 조여 도로 경계석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Th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상판(100)은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상판 조명부(140)가 마련됨에 따라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행자 및 운전자가 야간에 도로 경계석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문안 삽입부(110)가 마련됨으로써 광고유치를 통해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다음, 상기의 보호커버(135, 115)는 집광모듈(130) 및 계도 문안, 광고 문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빗물이나 오물이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Next, the
또한, 보행자가 밟았을 때 미끄러지거나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135, 115)의 상면에 돌기들(136, 116)이 형성된다. In addition,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보호커버(135, 115)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집광모듈(130)의 경우 집광률을 높일 수 있고,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의 경우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보호커버(135, 115)의 상면에 돌기들(136, 116)이 형성되어 보행자가 밟더라도 돌기에 의해 이격됨으로써 보호커버(135, 115)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as the
다음, 상기의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내측에는 주위의 밝기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상판 조명부(140)가 점등되도록 하는 광센서(150)가 구비되고, 집광모 듈 수용부(120)의 외측에는 사람이 보도에서 차도로 내려서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160)와, 인체감지센서(16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기(170)가 구비된다. Next, an inner side of the condensing
여기서, 인체감지센서(160)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현되며 사람이 보도에서 차도로 내려서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도로 경계석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인체감지센서(160)는 보행자가 도로 경계석을 통과하여 차도로 내려설 경우 감지하게 된다. Here, th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광센서(150)에 의해 비가 오거나 밤이 되는 등 주위가 어두워질 때에만 상판 조명부(140)가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절전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보행자가 차도로 내려서는 경우(예컨대 무단횡단 등) 인체감지센서(160)를 통하여 감지하고, 음향발신기(170)를 이용하여 미리 입력된 계도 방송이나 무단횡단의 위험성을 알리는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무단횡단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 power saving effect by turning on the upper
다음, 상판(100)과 수직되게 상기 도로 경계석(1)의 측면에 부착 설치되는 측면판(2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판(200)의 전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엘이디가 실장되고 외부로부터(바람직하게는 집광모듈(130)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측면판 조명부(210)가 마련되고 측면판 조명부(210)의 각 엘이디에 대응하여 엘이디 공이 천공된 반사지(250)가 부착되며 측면판 조명부(2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측면판 조명부 보호커버(260)가 구비된다. Next, the
또한, 측면판(200)의 상단에는 빗물이나 오물이 전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 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턱(27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그리고 측면판(200)은 그 전면이 차량 전조등의 불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익형으로 제작된다.And the
여기서, 측면판(200)의 전면은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돌출된 뒤 수렴되도록 한 익형으로 제작되어, 차량 전조등의 불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Here, the front surface of the
또한, 측면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로 경계석에 부착 설치하거나 도로 경계석에 구멍을 천공하여 칼블록을 끼우고 측면판(200)과 함께 나사로 조여 도로 경계석의 측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측면판(200)의 전면이 익형으로 돌출됨에 따라 차량 전조등의 불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고, 측면판 조명부(210)이 점등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보도의 빗물이 경사턱(270)을 따라 차도로 흘러내림으로써 측면판(200)의 전면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as the front surface of the
다음, 측면판(200)의 소정위치에는 사람이 차도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부재(240)와 인체감지센서부재(24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수단(230)이 구비된다. Nex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여기서, 인체감지센서부재(240)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현되며, 사람이 차도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차도를 향하여 설치된다. Here, the human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차도를 따라 걷거나 차에서 내린 경우 인체감 지센서부재(240)가 이를 감지하고,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하여 미리 입력된 계도 방송이나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신속히 보도로 올라올 수 있도록 유도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when walking along the road or get off the car, the human
그리고 측면판(200)은 수직상태에서 상판(100)과 일체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판(100)의 측면에 체결홈(10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측면판(200)의 상단 내측에 체결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And the
다음, 도로 경계석의 경사면에 부착 설치되고 상판(100)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경사판(3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300)의 중심부분에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을 설치할 수 있도록 문안 삽입홈(330)이 마련되고, 문안 삽입홈(330)의 상측에 다수의 엘이디로 이루어져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경사판 조명부(310)가 설치되며, 문안 삽입홈(330)의 양측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 돌기들(320)이 형성된다. Next, the
또한, 문안 삽입홈(330)에는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을 보호하고 빗물이나 오물이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밟았을 때 미끄러지거나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상면에 보호 돌기들(336)이 형성된 보호 커버부재(335)가 마련된다. 이 보호 커버부재(335)는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을 교체할 수 있도록 문안 삽입홈(33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이를 위하여 보호 커버부재(335)의 측면에 돌출부(337)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337)에 대응하여 문안 삽입홈(330) 내측면에 돌출부 홈(33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도로 경계석(2)은 보도와 차도의 턱을 없애기 위하여 횡단보도의 양측에 설치되는데, 이곳을 밟고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 하여 경사판(300)이 설치된다.Here, th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야간 또는 우천시 경사판(300)의 경사판 조명부(310)가 점등됨으로써 보행자가 쉽게 경사면을 인식할 수 있고, 이종의 뿔 모양의 미끄럼방지 돌기들(320)이 표면에 형성되어 보행자가 밟더라도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커버부재(335)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의 경우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보호 커버부재(335)의 상면에 보호 돌기들(336)이 형성되어 보행자가 밟더라도 이격됨으로써 보호 커버부재(335)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inclination
다음, 경사판(300)의 측면에는 장착홈(301)이 형성되고, 도로 경계석의 모서리 부분을 감싼 상태에서 경사판(300) 측면에 일체로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301)에 대응하여 장착돌기(351)가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 외부로부터(바람직하게는 집광모듈(130)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엘이디 조명부(360)가 마련된 모서리 커버부재(350)가 더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361은 엘이디 조명부(360)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재질의 덮개이다. Next, the mounting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경사판(300)과 도로 경계석 사이의 틈이 모서리 커버부재(350)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접착력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엘이디 조명부(360)의 점등으로 차도와 도로 경계석의 경계면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보행시 도로 경계석의 턱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gap between the
또한,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도로 경계석(2)의 경사각이 다르더라도 경사판(300)을 상판(100)에 나란하게 일체로 설치할 수 있도록 상판(100)에 조립홈(105; 도 2 참조)이 형성되고, 조립홈(105)에 대응하여 경사판(300)에 굴절 가능한 조립돌기(305)가 형성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이에 따라, 경사판(300)이 설치되는 도로 경계석의 경사각이 다르더라도 경사판의 조립돌기(35)가 굴절 가능하여 상판(100)과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even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oad boundary stone on which the
다음, 도 5는 상판과 측면판이 일체로 조립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사용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 블록도이다(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 부호의 경우 도 1 내지 4의 기술적 구성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Next, FIG. 5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top plate and the side plate are integrally assembled,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use of FIG. 5, and FIG.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cas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Figures 1 to 4).
도 5 및 6,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는 수평 상태인 도로 경계석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상판(100)과, 상판(100)과 수직되게 일체로 조립되며 수평 상태인 도로 경계석의 측면에 부착 설치되는 측면판(200)으로 이루어지되, 상판(100)은 그 중심부분에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집광모듈(130)이 삽입 설치된 일정 높이의 집광모듈 수용부(120)가 마련되고,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외측벽을 따라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상판 조명부(140)가 마련되며,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외측 소정위치에 사람이 보도에서 차도로 내려서거나 차도에서 보도로 올라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160)와 인체감지센서(16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기(17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5, 6, and 8, the road boundary stone safety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assembled vertically with the
측면판(200)은 그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엘이디가 실장되고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측면판 조명부(210)가 마련되고 측면판(200)의 전면 소정위치에 사람이 차도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부재(240)와 인체감지센서부재(24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수단(230)이 구비되고, 인체감지센서(160)로부터 인체가 감지되고 이어서 인체감지센서부재(240)를 통해 인체가 감지되면 사람이 차도로 내려선 것으로 판단하여 상판 조명부(140)와 측면판 조명부(210)를 소정시간 점멸시키는 동시에 음향발신기(170) 또는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해 소정시간 경고음을 출력하고, 인체감지센서(160)로부터 인체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체감지센서부재(24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사람이 차도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판 조명부(140)와 측면판 조명부(210)를 소정시간 점멸시키는 동시에 음향발신기(170) 또는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해 소정시간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어부(400)가 구비된다.The
여기서, 상판(100)과 측면판(200)은 상호 일체로 조립할 수 있도록 상판(100)의 측면에는 체결홈(10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측면판(200)의 상단에는 체결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Here, the
또한, 제어부(400)는 집광모듈(130)과 함께 집광모듈 수용부(120) 내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도로 경계석을 따라 상판(100)과 측면판(200) 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일정 간격마다 설치함으로써, 보행자가 무단횡단을 하기 위하여 차도로 내려서거나 차량에서 내린 후 보도로 올라서지 않고 차도에 위치하는 경우 위험을 알릴 수 있도록 상판(100)과 측면판(200)에 각각 설치된 인체감지센서(160)와 음향발신기(170), 인체감지센서부재(240)와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하여 경고음(무단횡단은 위험합니다. 질서를 지킵시다. 도로교통법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등)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물론, 상판(100)과 측면판(200)으로 이루어진 세트 구성은 해안 방파제 및 추락위험, 낙석구간 등 접근시 주의가 요망되는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Of course, the set consisting of the
다음, 도 7은 상판(100)과 측면판(200), 경사판(300)이 일체로 조립되어 횡단보도 상에 설치된 사용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 블록도이다. Next, 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the
도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는 수평 상태인 도로 경계석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상판(100)과, 상판(100)과 수직되게 일체로 조립되며 수평 상태인 도로 경계석의 측면에 부착 설치되는 측면판(200) 및, 상판(100)과 나란하게 일체로 조립되며 일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도로 경계석(2)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경사판(300)으로 이루어지되, 상판(100)은 그 중심부분에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집광모듈(130)이 삽입 설치된 일정 높이의 집광모듈 수용부(120)가 마련되고,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외측벽을 따라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상판 조명부(140)가 마련되며, 집광모듈 수용부(120)의 외측 소정위치에 횡단보도를 과 도하게 진입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160)와 인체감지센서(16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기(170)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road boundary stone safety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또, 측면판(200)은 그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엘이디가 실장되고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측면판 조명부(210)가 마련되고 측면판(200)의 전면 소정위치에 횡단보도상의 보행자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부재(240)와 인체감지센서부재(240)의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안내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발신수단(230)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경사판(300)은 그 중심부분에 계도 문안이나 광고 문안을 설치할 수 있도록 문안 삽입홈(330)이 마련되고, 문안 삽입홈(330)의 상측에 다수의 엘이디로 이루어져 집광모듈(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경사판 조명부(31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교통신호제어기(5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적색신호시 인체감지센서(160)로부터 보행자가 감지되면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과도하게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판 조명부(140) 및 측면판 조명부(210), 경사판 조명부(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시간 점멸시키는 동시에 음향발신기(170) 또는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해 소정시간 경고음(안전하게 뒤로 물러서 주시기 바랍니다)을 출력하고, 녹색신호시 상판 조명부(140) 및 측면판 조명부(210), 경사판 조명부(310)의 엘이디를 미리 프로그램된 점등 순으로 제어하여 화살표 등으로 보행방향을 디스플레이하고, 동시에 음향발신기(170) 또는 음향발신수단(230)을 통해 안내음(보행신호입니다. 안전하게 건너실 수 있습니다. 우측통행을 생활화합시다)을 출력하도록 제어하 는 제어부(400)가 구비된다. When th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교통신호제어기(500)나 보행자신호등의 적색신호 및 녹색신호와 연동하여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의 조명수단(140, 210, 310)과 음향수단(170, 230)이 작동함으로써 횡단보도 상에서 우측통행을 유도하는 한편 횡단보도 상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 등을 위하여 보행신호를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안내할 수 있는 새로운 보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the lighting means (140, 210, 310) and the sound means (170, 230) of the road safety sign safety display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red signal and the green signal, such a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의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road boundary stone safety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표시장치의 상판 상세도이다.2 is a detailed top view of a road boundary ston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표시장치의 측면판 상세도이다. 3 is a detailed side view of the road boundary ston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표시장치의 경사판 상세도이다. 4 is a detailed view of the inclination plate of the road boundary ston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판과 측면판이 일체로 조립된 예시도이다. 5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top plate and the side plate are integrally assembled.
도 6은 도 5의 사용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view of use of FIG. 5.
도 7은 상판과 측면판, 경사판이 일체로 조립되어 횡단보도 상에 설치된 사용 예시도이다.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use of a top plate, side plates, and inclined plates integrally assembled on a crosswalk.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제어 블록도이다.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applied to the road boundary safety 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상판 105 : 조립홈100: top plate 105: assembly groove
110 : 문안 삽입부 120 : 집광모듈 수용부110: text insertion unit 120: light collecting module receiving portion
130 : 집광모듈 135, 115 : 보호커버130:
136, 116 : 돌기들 140 : 상판 조명부136, 116: projections 140: top lighting unit
150 : 광센서 160 : 인체감지센서150: light sensor 160: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70 : 음향발신기 200 : 측면판170: sound transmitter 200: side plate
210 : 측면판 조명부 230 : 음향발신수단210: side plate lighting unit 230: sound transmitting means
240 : 인체감지센서부재 250 : 반사지240: human body detection sensor member 250: reflective paper
260 : 측면판 조명부 보호커버 270 : 경사턱260: side plate lighting protection cover 270: inclined jaw
300 : 경사판 301 : 장착홈300: inclined plate 301: mounting groove
305 : 조립돌기 310 : 경사판 조명부305: assembly protrusion 310: inclined plate lighting unit
320 : 미끄럼방지 돌기들 330 : 문안 삽입홈320: non-slip protrusions 330: insert groove
335 : 보호 커버부재 336 : 보호 돌기들335: protective cover member 336: protective projections
351 : 장착돌기 350 : 모서리 커버부재351: mounting projection 350: corner cover member
360 : 엘이디 조명부 400 : 제어부360: LED lighting unit 400: control unit
500 : 교통신호제어기500: traffic signal controller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0077A KR101140531B1 (en) | 2009-10-21 | 2009-10-21 | Safety display device of road boundary st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0077A KR101140531B1 (en) | 2009-10-21 | 2009-10-21 | Safety display device of road boundary st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3115A KR20110043115A (en) | 2011-04-27 |
KR101140531B1 true KR101140531B1 (en) | 2012-05-02 |
Family
ID=4404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0077A Active KR101140531B1 (en) | 2009-10-21 | 2009-10-21 | Safety display device of road boundary st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053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2108A (en) | 2018-12-28 | 2020-07-08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Safety Guidance Display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0511B1 (en) * | 2011-11-25 | 2013-10-22 | 녹색산업주식회사 | Safety sign board for preventing approach |
KR200486209Y1 (en) | 2016-07-05 | 2018-04-16 | 박우 | Apparatus for Making Pressed Meat |
KR102282948B1 (en) * | 2019-08-06 | 2021-07-28 | 한상윤 | LED lighting having display lamp |
KR102117043B1 (en) * | 2019-08-08 | 2020-05-29 |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 Boundary stone cover for protecting accident |
KR102274056B1 (en) * | 2020-09-29 | 2021-07-06 | 김정호 | Smart cover for boundary stone |
KR102528725B1 (en) * | 2022-02-17 | 2023-05-09 |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 Landscape facility control system for using phosphorescent stone and lighting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
CN114999190B (en) * | 2022-06-09 | 2023-09-15 | 菏泽城建绿源环保科技有限公司 | Pedestrian warning system with acousto-optic integrated curbstone and traffic system linke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080Y1 (en) * | 2006-08-10 | 2007-01-09 | 허민 | Road curbstone display |
KR100879447B1 (en) * | 2008-07-08 | 2009-01-20 | 박승 | Safety Guidance Signs |
-
2009
- 2009-10-21 KR KR1020090100077A patent/KR1011405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080Y1 (en) * | 2006-08-10 | 2007-01-09 | 허민 | Road curbstone display |
KR100879447B1 (en) * | 2008-07-08 | 2009-01-20 | 박승 | Safety Guidance Sign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2108A (en) | 2018-12-28 | 2020-07-08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Safety Guidance Display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3115A (en) | 2011-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7043B1 (en) | Boundary stone cover for protecting accident | |
KR101140531B1 (en) | Safety display device of road boundary stone | |
KR100732916B1 (en) | Safety light rail for road | |
KR100879447B1 (en) | Safety Guidance Signs | |
KR20090010935A (en) | Pedestrian protection devices | |
KR101019817B1 (en) | Road boundary stone with notice function | |
KR101590420B1 (en) | Safety lighting apparatus for pedestrian crosswalk | |
KR20200073477A (en) | System for safely Lighting a Crosswalk | |
US20070001872A1 (en) | Emergency response warning system | |
KR20090028878A (en) | Child protection sector multifunctional unification signpost | |
JP4081511B2 (en) | Pedestrian guidance road marking device | |
RU2541591C1 (en) | Self-contained pedestrian crossing system with gsm/gprs unit based telemetry | |
KR101713157B1 (en) | Marking apparatus for the crossroad line | |
KR200208098Y1 (en) | A device of indicating the sign of road | |
KR101201879B1 (en) | collision avoidance system by vehicle sensor | |
KR100977609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emitting source of median strip | |
KR20130083285A (en) | Traffic safety system on crosswalk using a led | |
KR101885882B1 (en) | Visibility Device for Median Road | |
JPH1181256A (en) | Traffic safety device by solar ray power generation | |
KR100826612B1 (en) | Driveway Lighting Fixtures | |
KR101002601B1 (en) | LED sidewalk safety device | |
KR102151974B1 (en) | Pedestrian notice device in non-traffic signal crosswalk | |
JP7091288B2 (en) | A pedestrian crossing road traffic light with no signal. | |
KR102281076B1 (en) | Lighting management system for roadside borders | |
KR20120001039U (en) | protecting cover for street lamp po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