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1448B1 - 퀵 오픈 클로져 - Google Patents

퀵 오픈 클로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448B1
KR101481448B1 KR20130039174A KR20130039174A KR101481448B1 KR 101481448 B1 KR101481448 B1 KR 101481448B1 KR 20130039174 A KR20130039174 A KR 20130039174A KR 20130039174 A KR20130039174 A KR 20130039174A KR 101481448 B1 KR101481448 B1 KR 101481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pipe
push plate
scre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462A (ko
Inventor
박영권
Original Assignee
신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3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448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4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3/00Covers or similar closure members for pressure vessels in general
    • F16J13/16Pivoted closures
    • F16J13/18Pivoted closures pivoted directly on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4Pressure vessels, e.g. autocl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positio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21Closure or weather strip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파이프를 개폐시키는 원형의 도어; 일 단부가 상기 파이프의 일 측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중앙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파이프로부터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힌지; 상기 도어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 상기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핸들이 상기 도어로부터 소정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가이딩하는 스크루; 상기 스크루 상에서 상기 핸들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스크루을 따라 가이딩됨에 따라 동반하여 가이딩되는 원반, 및 일측이 상기 원반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이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도어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퀵 오픈 클로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파이프의 입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퀵 오픈 클로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퀵 오픈 클로져{QUICK OPEN CLOSER}
본 발명은 퀵 오픈 클로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파이프의 입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퀵 오픈 클로져에 관한 것이다.
압력용기는 증기보일러, 공기탱크, 수압기, 내연기관 등 부피의 변화없이 고압의 액체나 기체를 저장하는 유체용기를 말하며, 그 종류에는 Drum, Tower, Holder, Reactor, Storage Tank, Heat Exchange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러한 압력용기는 정밀화학, 석유화학, 발전소 등과 같은 산업전반에서 고압유체를 저장, 유체의 열에너지 교환 및 제어에 사용되고 있으며, 고압, 고온, 초저온 등과 같이 위험조건에서 상용운전이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성에 역점을 두어 설계 및 제작되어야 한다.
한편, 압력용기는 내부 공간에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가지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입구가 외부와 차단되어야 하며, 이러한 차단이 없으면 내부 공간의 유체가 가지는 압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러한 압력용기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 시키기 위하여 잠금장치를 구비한 뚜껑 즉 퀵 오픈 클로져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퀵 오픈 클로져는 필요에 따라 개방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잠금장치의 해제가 필요하다. 그러나 걸쇠결합이나 볼트결합과 같은 일반적인 잠금장치는 잠금장치의 해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압력용기의 급속 개방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제한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압력용기의 급속 개폐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잠금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압력용기 외에도 각종 파이프나 선체 내 입출입구 등에서 입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퀵 오픈 클로져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83747호에서는 분할 링과 잠금 링을 구비하고, 기계적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분할 링 사이의 거리를 팽창시켜 잠금 링의 직경의 증가 또는 감소를 일으키도록 하여 개방상태와 밀폐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압력용기 도어 밀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밀봉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압력용기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 제1999-218220호에서는 압력용기의 몸체 플랜지와 도어 플랜지를 클램프로 고정시키는 압력용기 개폐장치에 있어서, 몸체 플랜지와 도어플랜지에는 서로 대향하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클램프 링의 회전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는 압력 용기의 실(seal)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몸체 플랜지와 클램프를 별도로 분리시킴으로써 유격이 발생하여 체결이 부적절해지는 문제가 생기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력용기 취급시에 뚜껑을 닫는 작업은 안전 및 유체의 보존상 극히 중요한 작업중의 하나인데, 만일 뚜껑의 부착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사용개시 후에 누설이 생기거나 체결 볼트 및 뚜껑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뚜껑을 자주 개폐하는 압력용기는 볼트 및 너트의 마모, 클러치부의 마모로 뚜껑의 체결이 불충분해지기 쉽고, 뚜껑이 이탈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안전장치가 부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77808호는 압력용기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 단부는 압력용기의 말단부에 고정설치되고, 타 단부는 원형의 개구부를 가지며 중심축으로 돌출형성된 제1요철부가 구비된 잠금링, 상기 제1요철부와 대응되는 제2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용기를 개폐시키는 원형의 도어, 일 단부가 상기 압력용기의 측면에 결합된 제1프레임과, 일 단부가 상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체결하는 힌지로 이루어지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를 중심축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력용기 급속개폐장치를 개시하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요철부와 제2요철부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상기 압력용기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종래 기술 역시 압력용기의 도어를 반복하여 개폐함에 있어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치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요철부와 제2요철부가 마모될 위험성이 크고 도어를 치형의 반피치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그 제작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의의 개폐시 사용자는 도어를 여닫은 후 그 측면으로 이동하여 재차 상기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도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상기 도어를 빠른 속도로 개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로 그 제작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빠른 속도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퀵 오픈 클로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파이프의 입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퀵 오픈 클로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파이프를 개폐시키는 원형의 도어; 일 단부가 상기 파이프의 일 측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중앙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파이프로부터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힌지; 상기 도어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 상기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핸들이 상기 도어로부터 소정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가이딩하는 스크루; 상기 스크루 상에서 상기 핸들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스크루을 따라 가이딩됨에 따라 동반하여 가이딩되는 원반, 및 일측이 상기 원반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이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도어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퀵 오픈 클로져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핸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홀에는 일측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도어의 중심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가이딩하는 가이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퀵 오픈 클로져는, 상기 도어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핀이 삽입되는 복수의 장홀이 형성되고, 소정부에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홀은 상기 고정핀의 직경과 비교하여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말단 수용부에 상기 도어의 폐문시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ㄷ'자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홈의 내부면은 상기 도어의 바깥 면과 평행을 이루고,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시 상기 고정홈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말단 중 상기 고정홈과의 접촉면은 상기 고정홈의 내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직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루의 끝단에는 록킹 홀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홀에 볼트 또는 핀을 고정시켜 상기 도어의 개폐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말단으로부터 개폐되는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폐문시 상기 파이프의 내경과 상기 도어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이프는 상기 도어 안쪽면의 단차와 접촉하는 부위에 복수의 오링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 장착홈에 오링이 형성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소정부에 에어벤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파이프의 입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퀵 오픈 클로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오픈 클로져의 도어가 닫친 상태를 도시한 각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오픈 클로져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각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C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오픈 클로져의 도어가 닫친 상태를 도시한 각 정면도,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오픈 클로져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각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오픈 클로져는 파이프(10)를 개폐시키는 원형의 도어(100), 일 단부가 상기 파이프(10)의 일 측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도어(100)에 결합되는 프레임(200), 상기 프레임(200) 중앙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100)가 상기 파이프(10)로부터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힌지(300), 상기 도어(100)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400), 상기 핸들(4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400)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핸들(400)이 상기 도어(100)로부터 소정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가이딩하는 스크루(500), 상기 스크루(500) 상에서 상기 핸들(400)과 도어(1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400)이 상기 스크루(500)을 따라 가이딩됨에 따라 동반하여 가이딩되는 원반(600), 및 일측이 상기 원반(6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100)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400)이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도어(100)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플레이트(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는 상기 핸들(4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는 상기 핸들(4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 푸시 플레이트(700)가 서로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이하, '당업자'라 함)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푸시 플레이트(70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홀(7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710)에는 일측이 상기 도어(100)와 결합되는 가이드(1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110)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가 상기 도어(100)의 중심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함에 있어서 똑바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를 가이딩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0)의 개폐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어(100)의 폐문시 사용자는 상기 도어(100)를 상기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파이프(10)의 입구를 닫게 된다. 이 때, 상기 파이프(10)의 입구와 상기 도어(10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감안하여 상기 도어(100)가 원활히 닫힐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과 도어(100) 사이에 결합부(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상세 구조는 이하 도 5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핸들(400)을 회전시켜 상기 핸들(400)과 상기 핸들(400)에 인접해 있는 상기 원반(600)이 상기 스크루(500)를 따라 상기 도어(1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루(500)의 표면은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들(400)은 마치 볼트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와 같이 상기 스크루(500) 상을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핸들(400) 및 원반(600)이 상기 도어(100)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도어(100)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110)의 가이딩을 받아 상기 도어(100)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가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와 상기 도어(100)가 이루는 각도는 줄어들게 되고,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타측은 상기 파이프(10)의 말단 수용부(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상세 구조는 이하 도 6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에 푸시 플레이트(700)가 삽입되면서 그 압착력에 의하여 상기 도어(100)는 상기 파이프(10)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도어(100)가 상기 파이프(10)를 보다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폐문시 상기 파이프(10)의 말단과 결합되는 상기 도어(100)의 안쪽면에 단차(120)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의 내경과 상기 도어(10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10)가 상기 도어(100) 안쪽면의 단차(120)와 접촉하는 부위(C)에 복수의 오링 장착홈(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오링 장착홈(12)에 오링(13)이 형성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C 부위는 아래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100)의 폐문시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벤트(130)가 상기 도어(100)의 소정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폐문된 상기 도어(100)를 임의의 사람이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루(500)의 끝단에는 상기 스크루(5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록킹 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록킹 홀(510)에 볼트 또는 핀을 고정시켜 상기 도어(100)가 권한 없는 사람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00)의 개방시에는 폐문시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핸들(40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핸들(400) 및 원반(600)과 상기 도어(100) 사이의 이격거리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 원반(600)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 역시 상기 원반(6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어(100)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도어(100)와 이루는 각도(도 6의 θ 참조)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타단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빠지게 되면 상기 도어(100)가 상기 파이프(10)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00)의 폐문시 사용자는 상기 도어(100)를 상기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파이프(10)의 입구를 닫게 된다. 이 때, 상기 파이프(10)의 입구와 상기 도어(10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감안하여 상기 도어(100)가 원활히 닫힐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과 상기 도어(100) 사이에 결합부(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복수의 장홀(211)이 형성되는 결합판(2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판(210)은 상기 장홀(211)에 삽입되는 고정핀(212)에 의하여 상기 도어(100)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결합판(210)의 소정부에는 상기 프레임(2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홀(211)은 상기 고정핀(212)의 직경과 비교하여 일 방향으로 다소 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100)를 폐문할 때 상기 장홀(211)의 길이만큼 상기 도어(100)에 결합된 상기 고정핀(212)이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파이프(10)에 상기 도어(100)를 보다 용이하게 닫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폐문시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가 도어(100)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타측은 상기 파이프(10)의 말단 수용부(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파이프(10)의 말단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구성함으로써 형성되는 고정홈(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1)의 내부면은 상기 도어(100)의 바깥 면과 평행을 이루며, 만약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타측을 절단한 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와 상기 도어(100)가 이루는 각도(θ)로 인하여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가 상기 고정홈(11)에 원활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고정홈(11)과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말단 중 상기 고정홈(11)과의 접촉면은 상기 고정홈(11)의 내부면 또는 도어(100)의 바깥 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직 가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말단이 수직 가공될 경우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수직 가공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만나는 꺾인 점(D)까지만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C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00)가 상기 파이프(10)를 보다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폐문시 상기 파이프(10)의 말단과 결합되는 상기 도어(100)의 안쪽면에 단차(120)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의 내경과 상기 도어(10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120)의 개수와 정도는 당업자의 선택에 좇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10)가 상기 도어(100) 안쪽면의 단차(120)와 접촉하는 부위(C)에 복수의 오링 장착홈(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오링 장착홈(12)에 오링(13)이 형성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오링 장착홈(12)의 개수나 위치 역시 당업자의 선택에 좇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오링(13)은 종래 일반적인 고무 재질의 오링(13)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파이프
11: 고정홈
12: 오링 장착홈
13: 오링
100: 도어
110: 가이드
120: 단차
130: 에어벤트
200: 프레임
210: 결합판
211: 장홀
212: 고정핀
300: 힌지
400: 핸들
500: 스크루
510: 록킹 홀
600: 원반
700: 푸시 플레이트
710: 가이드 홀

Claims (9)

  1. 파이프를 개폐시키는 원형의 도어;
    일 단부가 상기 파이프의 일 측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복수의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에 삽입되는 고정 핀에 의해 상기 도어와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의 입구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감안하여 상기 도어가 원활히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결합판;
    상기 프레임 중앙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파이프로부터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힌지;
    상기 도어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
    상기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핸들이 상기 도어로부터 소정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가이딩하는 스크루;
    상기 스크루 상에서 상기 핸들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스크루을 따라 가이딩됨에 따라 동반하여 가이딩되는 원반;
    일측이 상기 원반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이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도어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플레이트; 및
    상기 파이프의 말단 수용부에 상기 도어의 폐문시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삽입되며 내부면은 상기 도어의 바깥 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말단 중 상기 고정홈과 접촉면은 상기 고정홈의 내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직가공되어 슬라이딩 시 상기 고정홈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홈에 소정 길이만큼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핸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홀에는 일측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도어의 중심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가이딩하는 가이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의 끝단에는 록킹 홀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홀에 볼트 또는 핀을 고정시켜 상기 도어의 개폐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말단으로부터 개폐되는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폐문시 상기 파이프의 내경과 상기 도어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도어 안쪽면의 단차와 접촉하는 부위에 복수의 오링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 장착홈에 오링이 형성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소정부에 에어벤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KR20130039174A 2013-04-10 2013-04-10 퀵 오픈 클로져 Active KR101481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174A KR101481448B1 (ko) 2013-04-10 2013-04-10 퀵 오픈 클로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174A KR101481448B1 (ko) 2013-04-10 2013-04-10 퀵 오픈 클로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462A KR20140122462A (ko) 2014-10-20
KR101481448B1 true KR101481448B1 (ko) 2015-01-13

Family

ID=5199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174A Active KR101481448B1 (ko) 2013-04-10 2013-04-10 퀵 오픈 클로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5484A (zh) * 2018-10-11 2019-01-11 北京航天动力研究所 一种盲板快速切换装置
CN110302729B (zh) * 2019-07-04 2021-06-29 天津市亨必达化学合成物有限公司 一种带密封保温机构的反应釜
CN110978504B (zh) * 2019-11-29 2022-02-08 成都青石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增材制造的透明粉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752U (ja) * 1982-07-19 1984-01-27 三洋電機株式会社 高圧容器の蓋開閉装置
JPS60168831U (ja) * 1984-04-16 1985-11-09 多賀電気株式会社 滅菌器における蓋の緊定装置
EP0272123B1 (en) * 1986-12-17 1992-03-11 BEL FILTERS (a division of BRITISH ENGINES LIMITED) Closure
EP1054195A1 (en) * 1999-04-10 2000-11-22 Pipeline Engineering Limited Pipeline clos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752U (ja) * 1982-07-19 1984-01-27 三洋電機株式会社 高圧容器の蓋開閉装置
JPS60168831U (ja) * 1984-04-16 1985-11-09 多賀電気株式会社 滅菌器における蓋の緊定装置
EP0272123B1 (en) * 1986-12-17 1992-03-11 BEL FILTERS (a division of BRITISH ENGINES LIMITED) Closure
EP1054195A1 (en) * 1999-04-10 2000-11-22 Pipeline Engineering Limited Pipeline 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462A (ko) 201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3744B2 (ja) シャッタ弁
US9206911B1 (en) Shutter valve with seals
KR101481448B1 (ko) 퀵 오픈 클로져
US8910920B1 (en) Shutter valve with pivot arms
US8820565B2 (en) Clamp-style closure
KR20140018512A (ko) 나선형 시트 구조를 갖는 탑엔트리 볼 밸브
US10072785B2 (en) Conduit connector
WO2015119008A1 (ja) 弁装置
KR100977808B1 (ko) 압력용기 급속개폐장치
RU2546142C2 (ru) Затвор байонетный
EP3882498B1 (en) Butterfly valve
CN115807859A (zh) 阀门
KR20200083799A (ko) 더블 디스크 버터플라이 밸브
KR20210137613A (ko) 압력용기 급속개폐장치
KR101361669B1 (ko) 분체 비산형 팽창 시트 밸브
RU2659599C1 (ru) Клапан, в частности клапан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JP2010506152A (ja) 流体分析用のセンサーを当該流体を収容する本体部に対して分離可能に連結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関連する装置
RU151878U1 (ru) Затвор концевой секторный
RU2728669C1 (ru) Затвор поворотный
US10883609B2 (en) Fitting with maintenance opening
KR20240024368A (ko) 이중 동작 차단 밸브
KR20120119248A (ko) 잠금밴드가 구비된 압력용기 급속개폐장치
CN105736819B (zh) 高压管道阀门扳手
KR101200263B1 (ko) 록킹장치를 구비한 볼 밸브
TW201540995A (zh) 洩壓閥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8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