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1448B1 - Quick open closer - Google Patents

Quick open clo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448B1
KR101481448B1 KR20130039174A KR20130039174A KR101481448B1 KR 101481448 B1 KR101481448 B1 KR 101481448B1 KR 20130039174 A KR20130039174 A KR 20130039174A KR 20130039174 A KR20130039174 A KR 20130039174A KR 101481448 B1 KR101481448 B1 KR 101481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pipe
push plate
scre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2462A (en
Inventor
박영권
Original Assignee
신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3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448B1/en
Publication of KR2014012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44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3/00Covers or similar closure members for pressure vessels in general
    • F16J13/16Pivoted closures
    • F16J13/18Pivoted closures pivoted directly on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4Pressure vessels, e.g. autocl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positio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21Closure or weather strip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파이프를 개폐시키는 원형의 도어; 일 단부가 상기 파이프의 일 측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중앙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파이프로부터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힌지; 상기 도어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 상기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핸들이 상기 도어로부터 소정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가이딩하는 스크루; 상기 스크루 상에서 상기 핸들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스크루을 따라 가이딩됨에 따라 동반하여 가이딩되는 원반, 및 일측이 상기 원반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이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도어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퀵 오픈 클로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파이프의 입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퀵 오픈 클로져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comprising: a circula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ipe; A frame having one e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pip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door; A hing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frame to rotate the door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pipe; A handle rotatably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oor; A screw guiding the handle along a rotation axis of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as the handle rotates; A disc form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door on the screw, the disc being guided along with the screw along the screw, and a disc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disc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door and the handle being guided A quick open closure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t least one push plate forming an angle with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quick open closur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manufacture, and can seal the inlet of the pipe quickly and efficiently.

Description

퀵 오픈 클로져{QUICK OPEN CLOSER}Quick open closures {QUICK OPEN CLOSER}

본 발명은 퀵 오픈 클로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파이프의 입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퀵 오픈 클로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open clos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quick-open closure capable of quickly and efficiently sealing an inlet of a pipe while simplifying its structure.

압력용기는 증기보일러, 공기탱크, 수압기, 내연기관 등 부피의 변화없이 고압의 액체나 기체를 저장하는 유체용기를 말하며, 그 종류에는 Drum, Tower, Holder, Reactor, Storage Tank, Heat Exchange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러한 압력용기는 정밀화학, 석유화학, 발전소 등과 같은 산업전반에서 고압유체를 저장, 유체의 열에너지 교환 및 제어에 사용되고 있으며, 고압, 고온, 초저온 등과 같이 위험조건에서 상용운전이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성에 역점을 두어 설계 및 제작되어야 한다.The pressure vessel is a fluid vessel that stores high pressure liquid or gas without changing volume such as a steam boiler, an air tank, a hydraulic devic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like. Various types such as Drum, Tower, Holder, Reactor, Storage Tank, . These pressure vessels are used for storage and exchange of high-pressure fluids in the fields of fine chemicals, petrochemicals, power plants, etc., and for thermal energy exchange and control of fluids. Since commercial operation is carried out under dangerous conditions such as 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and ultra low temperature, It should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with an emphasis on reliability.

한편, 압력용기는 내부 공간에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가지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입구가 외부와 차단되어야 하며, 이러한 차단이 없으면 내부 공간의 유체가 가지는 압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러한 압력용기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 시키기 위하여 잠금장치를 구비한 뚜껑 즉 퀵 오픈 클로져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퀵 오픈 클로져는 필요에 따라 개방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잠금장치의 해제가 필요하다. 그러나 걸쇠결합이나 볼트결합과 같은 일반적인 잠금장치는 잠금장치의 해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압력용기의 급속 개방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제한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압력용기의 급속 개폐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잠금장치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 vessel must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receive the fluid having a pressure high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in the inner space. Without such interception, the pressure of the fluid in the inner space is drastically reduced. A lid, or quick open closures, with a locking device is used to shut off the internal space of such a pressure vessel from the outside. Such quick open closures must be opened as needed and the release of the locking device is required for this. However, conventional locking devices, such as latching or bolting, are subject to limitations where rapid release of the pressure vessel is required, since release of the locking device is sequential. Therefore, a new type of locking device for rapid opening and closing of the pressure vessel is needed.

이와 같은 압력용기 외에도 각종 파이프나 선체 내 입출입구 등에서 입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퀵 오픈 클로져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to such pressure vessels, quick-open closures are widely us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outlet in various pipes and in-and-outs of hull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83747호에서는 분할 링과 잠금 링을 구비하고, 기계적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분할 링 사이의 거리를 팽창시켜 잠금 링의 직경의 증가 또는 감소를 일으키도록 하여 개방상태와 밀폐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압력용기 도어 밀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밀봉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압력용기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7-0083747, a split ring and a lock ring are provid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lit rings is expand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echanical actuato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iameter of the lock ring, A pressure vessel door sealing apparatus is disclosed. However, the sealing device is complicated in its construction, and its application is limited when the volume of the pressure vessel is large.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 제1999-218220호에서는 압력용기의 몸체 플랜지와 도어 플랜지를 클램프로 고정시키는 압력용기 개폐장치에 있어서, 몸체 플랜지와 도어플랜지에는 서로 대향하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클램프 링의 회전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는 압력 용기의 실(seal)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몸체 플랜지와 클램프를 별도로 분리시킴으로써 유격이 발생하여 체결이 부적절해지는 문제가 생기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999-218220 discloses a pressure vessel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clamping a body flange and a door flange of a pressure vessel with a clamp. The body flange and the door flange are provided wit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facing each other, Discloses a seal structure of a pressure vessel in which a door is opened and closed. However, by separately separating the body flange and the clamp, a clearance is generated to cause a problem that the fastening is inadequat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또한, 압력용기 취급시에 뚜껑을 닫는 작업은 안전 및 유체의 보존상 극히 중요한 작업중의 하나인데, 만일 뚜껑의 부착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사용개시 후에 누설이 생기거나 체결 볼트 및 뚜껑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뚜껑을 자주 개폐하는 압력용기는 볼트 및 너트의 마모, 클러치부의 마모로 뚜껑의 체결이 불충분해지기 쉽고, 뚜껑이 이탈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안전장치가 부가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closing the lid during handling of the pressure vesse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perations for safety and fluid preservation. If the lid is improperly attached, there is a risk of leakage after the start of use or damage to the fastening bolt and lid . Particularly, in the pressure vessel which frequently opens and closes the lid, wear of the bolt and the nut, wear of the clutch portion, and tightening of the lid are liable to become insufficient, and the lid may be detac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a safety device therefor.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77808호는 압력용기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 단부는 압력용기의 말단부에 고정설치되고, 타 단부는 원형의 개구부를 가지며 중심축으로 돌출형성된 제1요철부가 구비된 잠금링, 상기 제1요철부와 대응되는 제2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용기를 개폐시키는 원형의 도어, 일 단부가 상기 압력용기의 측면에 결합된 제1프레임과, 일 단부가 상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체결하는 힌지로 이루어지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를 중심축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력용기 급속개폐장치를 개시하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요철부와 제2요철부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상기 압력용기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7808 discloses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of a pressure vessel, wherein one end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pressure vessel and the other end has a circular opening, A first frame having a lock ring provided with a first concavo-convex portion and a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the first door having a circula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essure vessel, A door frame including a second frame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and a hinge for engag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drive device for rotating the door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The first and second concavo-convex portions and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door is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It is engaged with a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ressure vessel made.

위 종래 기술 역시 압력용기의 도어를 반복하여 개폐함에 있어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치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요철부와 제2요철부가 마모될 위험성이 크고 도어를 치형의 반피치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그 제작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의의 개폐시 사용자는 도어를 여닫은 후 그 측면으로 이동하여 재차 상기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도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상기 도어를 빠른 속도로 개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lso has a problem that when the door of the pressure vessel is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there is a great risk that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pitch are worn and that the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door by half pitch The user has to close the door and move to the side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o operate the driving device again to rotate the door so that the door can not be opened and closed at a high speed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로 그 제작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빠른 속도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퀵 오픈 클로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required to develop a quick open close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oor at a low speed and at a low manufacturing cost with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ll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파이프의 입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퀵 오픈 클로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quick open closure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manufacture, and can seal the inlet of a pipe quickly and efficient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representa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파이프를 개폐시키는 원형의 도어; 일 단부가 상기 파이프의 일 측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중앙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파이프로부터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힌지; 상기 도어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 상기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핸들이 상기 도어로부터 소정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가이딩하는 스크루; 상기 스크루 상에서 상기 핸들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스크루을 따라 가이딩됨에 따라 동반하여 가이딩되는 원반, 및 일측이 상기 원반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이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도어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퀵 오픈 클로져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comprising: a circula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pipe; A frame having one e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pip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door; A hing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frame to rotate the door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pipe; A handle rotatably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oor; A screw guiding the handle along a rotation axis of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as the handle rotates; A disc form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door on the screw, the disc being guided along with the screw along the screw, and a disc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disc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door and the handle being guided A quick open closure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t least one push plate forming an angle with the door.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핸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홀에는 일측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도어의 중심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가이딩하는 가이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ush plate is formed in a fa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about a rotation axis of the handle, and includes at least one guide hole therein. One side of the guide hole is coupled to the door, And a guide for guiding the plate to linearly move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door is inserted.

또한, 상기 퀵 오픈 클로져는, 상기 도어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핀이 삽입되는 복수의 장홀이 형성되고, 소정부에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홀은 상기 고정핀의 직경과 비교하여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quick-open 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elongated holes into which the plurality of fixing pins fixed to the door are inserted, the elongated hole having a coupling plate to which the frame is coupled, And is formed to be longer in one direction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in.

또한, 상기 파이프의 말단 수용부에 상기 도어의 폐문시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ㄷ'자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nd receiving portion of the pipe is formed with a 'C' shaped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push plate is inserted when the door is clos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홈의 내부면은 상기 도어의 바깥 면과 평행을 이루고,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시 상기 고정홈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말단 중 상기 고정홈과의 접촉면은 상기 고정홈의 내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직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is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sliding surface of the push plate has a contact surface with the fixing groove among the ends of the push plate, Is vertically machin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또한, 상기 스크루의 끝단에는 록킹 홀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홀에 볼트 또는 핀을 고정시켜 상기 도어의 개폐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lock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screw, and a bolt or a pin is fixed to the locking ho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or closed.

또한, 상기 파이프의 말단으로부터 개폐되는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폐문시 상기 파이프의 내경과 상기 도어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tep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which is opened or closed from the end of the pipe,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and the center of the door coincide when the door is clos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이프는 상기 도어 안쪽면의 단차와 접촉하는 부위에 복수의 오링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 장착홈에 오링이 형성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pipe has a plurality of O-ring mounting grooves formed at portions thereof contacting the step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O-rings are formed in the O-ring mounting grooves to improve airtightness.

또한, 상기 도어의 소정부에 에어벤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n air ven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oor.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파이프의 입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퀵 오픈 클로져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quick open closur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manufacture, and can seal the inlet of the pipe quickly and efficiently.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오픈 클로져의 도어가 닫친 상태를 도시한 각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오픈 클로져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각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C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and 2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of a door of a quick open clo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3 and 4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door of a quick open clo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A of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2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2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오픈 클로져의 도어가 닫친 상태를 도시한 각 정면도,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오픈 클로져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각 정면도, 측면도이다.1 and 2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of a door of a quick open clo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and Figs. 3 and 4 are views showing a quick open d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ront view is a side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closure is open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오픈 클로져는 파이프(10)를 개폐시키는 원형의 도어(100), 일 단부가 상기 파이프(10)의 일 측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도어(100)에 결합되는 프레임(200), 상기 프레임(200) 중앙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100)가 상기 파이프(10)로부터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힌지(300), 상기 도어(100)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400), 상기 핸들(4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400)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핸들(400)이 상기 도어(100)로부터 소정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가이딩하는 스크루(500), 상기 스크루(500) 상에서 상기 핸들(400)과 도어(1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400)이 상기 스크루(500)을 따라 가이딩됨에 따라 동반하여 가이딩되는 원반(600), 및 일측이 상기 원반(6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100)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400)이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도어(100)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플레이트(7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quick-open 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lar door 100 for opening and closing a pipe 10,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ipe 10, A hinge 300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frame 200 to rotate the door 100 so that the door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pipe 10, The handle 400 may be rot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oor 100 so that the handle 400 is separated from the door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handle 400 as the handle 400 rotates A screw 500 is provided between the handle 400 and the door 100 on the screw 500 so that the handle 400 is guided along the screw 500,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disc 60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disc 600, And at least one push plate 700 coupled to the door 100 and forming an angle with the door 100 as the handle 400 is guided.

보다 상세히,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는 상기 핸들(4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는 상기 핸들(4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 푸시 플레이트(700)가 서로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이하, '당업자'라 함)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푸시 플레이트(70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홀(7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710)에는 일측이 상기 도어(100)와 결합되는 가이드(1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110)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가 상기 도어(100)의 중심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함에 있어서 똑바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를 가이딩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ush plate 700 may b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pivots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rotational axis of the handle 400.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4, the push plate 700 is formed with a total of four such that the push plates 700 form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handle 400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push plate 700 may be formed in a fan shape so that at least one guide hole 710 may be formed in each push plate 700. A guide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710 so that one side of the guide plate 710 is engaged with the door 100. The guide 110 may be formed so that the push plate 700 is linearly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door 100, You can guide it so that you can move straight in your movement.

상기 도어(100)의 개폐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어(100)의 폐문시 사용자는 상기 도어(100)를 상기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파이프(10)의 입구를 닫게 된다. 이 때, 상기 파이프(10)의 입구와 상기 도어(10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감안하여 상기 도어(100)가 원활히 닫힐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과 도어(100) 사이에 결합부(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상세 구조는 이하 도 5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door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hen the door 100 is closed, the user rotates the door 100 around the hinge 300 to close the inlet of the pipe 10 . In this case, in order to smoothly close the door 100 in consideration of tolerances that may occur between the entrance of the pipe 10 and the door 100, a coupling part (not shown) is inserted between the frame 200 and the door 100 A may be forme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upl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그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핸들(400)을 회전시켜 상기 핸들(400)과 상기 핸들(400)에 인접해 있는 상기 원반(600)이 상기 스크루(500)를 따라 상기 도어(1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루(500)의 표면은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들(400)은 마치 볼트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와 같이 상기 스크루(500) 상을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핸들(400) 및 원반(600)이 상기 도어(100)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도어(100)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110)의 가이딩을 받아 상기 도어(100)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Next, the user rotates the handle 400 to move the handle 400 and the disc 600 adjacent to the handle 400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100 along the screw 500 can do. The surface of the screw 500 may be formed in a threaded shape and the handle 400 may move back and forth on the screw 500 like a nut coupled to a bolt. As the handle 400 and the disc 600 move toward the door 100, the other side of the push plate 700 coupled with the door 100 is guided by the guide 110, And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door 100.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가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와 상기 도어(100)가 이루는 각도는 줄어들게 되고,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타측은 상기 파이프(10)의 말단 수용부(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상세 구조는 이하 도 6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에 푸시 플레이트(700)가 삽입되면서 그 압착력에 의하여 상기 도어(100)는 상기 파이프(10)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도어(100)가 상기 파이프(10)를 보다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폐문시 상기 파이프(10)의 말단과 결합되는 상기 도어(100)의 안쪽면에 단차(120)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의 내경과 상기 도어(10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10)가 상기 도어(100) 안쪽면의 단차(120)와 접촉하는 부위(C)에 복수의 오링 장착홈(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오링 장착홈(12)에 오링(13)이 형성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C 부위는 아래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The angle formed between the push plate 700 and the door 100 is reduced as the push plate 700 is guided and the other side of the push plate 700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receiving portion B ).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eceiv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push plate 7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door 100 seals the pipe 10 by the pressing force. A step 1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00 coupled with the end of the pipe 10 at the time of closing the door so that the door 100 can seal the pipe 10 more completely, 10 and the center of the door 100 coincide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O-ring mounting grooves 12 may be formed at a portion C where the pipe 10 contacts the step 120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100, An O-ring 13 is formed to improve airtightness. The C reg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상기 도어(100)의 폐문시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벤트(130)가 상기 도어(100)의 소정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폐문된 상기 도어(100)를 임의의 사람이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루(500)의 끝단에는 상기 스크루(5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록킹 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록킹 홀(510)에 볼트 또는 핀을 고정시켜 상기 도어(100)가 권한 없는 사람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n air vent 130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door 100 when closing the door 100 may be formed in the small portion of the door 100. In order to prevent an arbitrary person from opening the door 100, a locking hole 510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crew 500 to vertically penetrate the screw 500. The user can prevent the door 100 from being opened or closed by an unauthorized person by fixing a bolt or a pin to the locking hole 510. [

한편, 상기 도어(100)의 개방시에는 폐문시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핸들(40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핸들(400) 및 원반(600)과 상기 도어(100) 사이의 이격거리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 원반(600)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 역시 상기 원반(6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어(100)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도어(100)와 이루는 각도(도 6의 θ 참조)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타단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빠지게 되면 상기 도어(100)가 상기 파이프(10)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When the door 100 is opened, the handle 400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los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400 and the door 600 and the door 100 is increased do. The push plate 70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disc 600 is also separated from the door 1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sc 600 and the angle . When the other end of the push plate 700 is remov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the door 100 can be opened from the pipe 1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A of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00)의 폐문시 사용자는 상기 도어(100)를 상기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파이프(10)의 입구를 닫게 된다. 이 때, 상기 파이프(10)의 입구와 상기 도어(10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감안하여 상기 도어(100)가 원활히 닫힐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과 상기 도어(100) 사이에 결합부(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복수의 장홀(211)이 형성되는 결합판(2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판(210)은 상기 장홀(211)에 삽입되는 고정핀(212)에 의하여 상기 도어(100)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결합판(210)의 소정부에는 상기 프레임(2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홀(211)은 상기 고정핀(212)의 직경과 비교하여 일 방향으로 다소 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100)를 폐문할 때 상기 장홀(211)의 길이만큼 상기 도어(100)에 결합된 상기 고정핀(212)이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파이프(10)에 상기 도어(100)를 보다 용이하게 닫을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door 100 is closed, the user rotates the door 100 around the hinge 300 to close the inlet of the pipe 10. In this case, in order to smoothly close the door 100 in consideration of tolerances that may occur between the entrance of the pipe 10 and the door 100, (A) may be formed. 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coupling plate 210 on which a plurality of elongated holes 211 are formed and the coupling plate 210 is fixed to the door 100 by a fixing pin 212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211. [ Lt; / RTI > The frame 200 may be coupled to the small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210. The elongated holes 211 may be somewhat elongated in one direction in comparison with the diameter of the fixing pins 212. Therefore,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100, the position of the door 100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fixing pin 212 coupled to the door 100 by the length of the elongated hole 211,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lose the door 100 to the pipe 10.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2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폐문시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가 도어(100)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타측은 상기 파이프(10)의 말단 수용부(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파이프(10)의 말단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구성함으로써 형성되는 고정홈(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1)의 내부면은 상기 도어(100)의 바깥 면과 평행을 이루며, 만약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타측을 절단한 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와 상기 도어(100)가 이루는 각도(θ)로 인하여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가 상기 고정홈(11)에 원활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고정홈(11)과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말단 중 상기 고정홈(11)과의 접촉면은 상기 고정홈(11)의 내부면 또는 도어(100)의 바깥 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직 가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말단이 수직 가공될 경우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700)의 수직 가공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만나는 꺾인 점(D)까지만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6, when the push plate 700 is gu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enter of the door 100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the other side of the push plate 700 is connected to the distal receiving portion B of the pipe 10, As shown in FIG. The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groove 11 formed by forming the end of the pipe 10 as a whole in a 'C' shape.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11 is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00. If the cross s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push plate 700 is rectangular, The push plate 700 may not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 due to the angle? In order to minimize the friction that may occur between the push plate 700 and the fixing groove 11 when the push plate 700 slide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end of the push plate 700 and the fixing groove 11 May be vertically machin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11 or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00. When the distal end of the push plate 700 is vertically machined, the push plate 700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11 only up to the bent point D where the vertically machined portion of the push plate 700 meets the non- As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C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2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00)가 상기 파이프(10)를 보다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폐문시 상기 파이프(10)의 말단과 결합되는 상기 도어(100)의 안쪽면에 단차(120)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의 내경과 상기 도어(10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120)의 개수와 정도는 당업자의 선택에 좇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10)가 상기 도어(100) 안쪽면의 단차(120)와 접촉하는 부위(C)에 복수의 오링 장착홈(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오링 장착홈(12)에 오링(13)이 형성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오링 장착홈(12)의 개수나 위치 역시 당업자의 선택에 좇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오링(13)은 종래 일반적인 고무 재질의 오링(13)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step 1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00, which is engaged with the end of the pipe 10 when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door 100 can seal the pipe 10 more completely.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10 and the center of the door 100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number and degree of the steps 120 may vary according to the choice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 plurality of O-ring mounting grooves 12 may be formed at a portion C where the pipe 10 contacts the step 120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100, An O-ring 13 is formed to improve airtightness.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O-ring mounting grooves 12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oice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eanwhile, the O-ring 13 may be an O-ring 13 of a conventional rubber material.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I will say.

10: 파이프
11: 고정홈
12: 오링 장착홈
13: 오링
100: 도어
110: 가이드
120: 단차
130: 에어벤트
200: 프레임
210: 결합판
211: 장홀
212: 고정핀
300: 힌지
400: 핸들
500: 스크루
510: 록킹 홀
600: 원반
700: 푸시 플레이트
710: 가이드 홀
10: pipe
11: Fixing groove
12: O-ring mounting groove
13: O ring
100: Door
110: Guide
120: step
130: Air vent
200: frame
210:
211:
212: Fixing pin
300: Hinge
400: Handle
500: Screw
510: Locking hole
600: disk
700: push plate
710: Guide hole

Claims (9)

파이프를 개폐시키는 원형의 도어;
일 단부가 상기 파이프의 일 측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복수의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에 삽입되는 고정 핀에 의해 상기 도어와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의 입구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감안하여 상기 도어가 원활히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결합판;
상기 프레임 중앙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파이프로부터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힌지;
상기 도어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
상기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핸들이 상기 도어로부터 소정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가이딩하는 스크루;
상기 스크루 상에서 상기 핸들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스크루을 따라 가이딩됨에 따라 동반하여 가이딩되는 원반;
일측이 상기 원반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이 가이딩됨에 따라 상기 도어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플레이트; 및
상기 파이프의 말단 수용부에 상기 도어의 폐문시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삽입되며 내부면은 상기 도어의 바깥 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말단 중 상기 고정홈과 접촉면은 상기 고정홈의 내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직가공되어 슬라이딩 시 상기 고정홈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홈에 소정 길이만큼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A circula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pipe;
A frame having one e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pip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door;
A plurality of elongated holes formed in the frame and coupled to the door by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so as to smoothly close the door in consideration of tolerances that may occur between the inlet of the pipe and the door; plate;
A hing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frame to rotate the door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pipe;
A handle rotatably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oor;
A screw guiding the handle along a rotation axis of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as the handle rotates;
A disc form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door on the screw and guided along with the handle being guided along the screw;
At least one push plate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disc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door to form an angle with the door as the handle is guided; And
Wherein the push plate is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receiving portion of the pipe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ush plate is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The push plate is vertically machined so that its contact surface with the fixing groove is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so as to minimize friction between the fixing groove and the push plate, Quick open closure featur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핸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홀에는 일측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도어의 중심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가이딩하는 가이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 plate is formed in a fa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about a rotation axis of the handle, and includes at least one guide hole therein,
Wherein a guide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so that one side of the door is coupled to the door so that the push plate linearly moves in a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do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의 끝단에는 록킹 홀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홀에 볼트 또는 핀을 고정시켜 상기 도어의 개폐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ck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screw,
And a bolt or a pin is fixed to the locking ho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or clo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말단으로부터 개폐되는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폐문시 상기 파이프의 내경과 상기 도어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tep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which is opened and closed from a distal end of the pipe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and the center of the door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the door is clos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도어 안쪽면의 단차와 접촉하는 부위에 복수의 오링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 장착홈에 오링이 형성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O-ring mounting grooves are formed in a portion of the pipe in contact with a step on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O-rings are formed in the O-ring mounting groove to improve airtightn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소정부에 에어벤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오픈 클로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ir vent is formed in the small portion of the door.
KR20130039174A 2013-04-10 2013-04-10 Quick open closer Active KR101481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174A KR101481448B1 (en) 2013-04-10 2013-04-10 Quick open clo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174A KR101481448B1 (en) 2013-04-10 2013-04-10 Quick open clo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462A KR20140122462A (en) 2014-10-20
KR101481448B1 true KR101481448B1 (en) 2015-01-13

Family

ID=5199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174A Active KR101481448B1 (en) 2013-04-10 2013-04-10 Quick open clo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4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5484A (en) 2018-10-11 2019-01-11 北京航天动力研究所 A kind of blind plate apparatus for fast switching
CN110302729B (en) * 2019-07-04 2021-06-29 天津市亨必达化学合成物有限公司 Reaction kettle with sealing and heat-preserving mechanism
CN110978504B (en) * 2019-11-29 2022-02-08 成都青石激光科技有限公司 Transparent powder barrel device applied to additive manufactu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752U (en) * 1982-07-19 1984-01-27 三洋電機株式会社 High pressure container lid opening/closing device
JPS60168831U (en) * 1984-04-16 1985-11-09 多賀電気株式会社 Lid tightening device in sterilizer
EP0272123B1 (en) * 1986-12-17 1992-03-11 BEL FILTERS (a division of BRITISH ENGINES LIMITED) Closure
EP1054195A1 (en) * 1999-04-10 2000-11-22 Pipeline Engineering Limited Pipeline clos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752U (en) * 1982-07-19 1984-01-27 三洋電機株式会社 High pressure container lid opening/closing device
JPS60168831U (en) * 1984-04-16 1985-11-09 多賀電気株式会社 Lid tightening device in sterilizer
EP0272123B1 (en) * 1986-12-17 1992-03-11 BEL FILTERS (a division of BRITISH ENGINES LIMITED) Closure
EP1054195A1 (en) * 1999-04-10 2000-11-22 Pipeline Engineering Limited Pipeline 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462A (en) 201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3744B2 (en) Shutter valve
KR101481448B1 (en) Quick open closer
US8910920B1 (en) Shutter valve with pivot arms
CN107076153A (en) Inlet valve for compressor
US8820565B2 (en) Clamp-style closure
KR20140018512A (en) Top entry ball valve with screwed seat structure
US10072785B2 (en) Conduit connector
WO2015119008A1 (en) Valve device
KR100977808B1 (en) Apparatus for quick opening and closing of a pressure vessel
RU2546142C2 (en) Bayonet lock
EP3882498B1 (en) Butterfly valve
CN115807859A (en) Valve gate
KR20200083799A (en) Double-disc type butterfly valve
KR20210137613A (en) Apparatus for quick opening and closing of pressure vessel
RU2659599C1 (en) Valve, in particular valve of heat exchanger
TW201540995A (en) Relief valve assembly
RU151878U1 (en) END SECTOR LOCK
US3384107A (en) Bakeable vacuum valve
KR101811337B1 (en) Butterfly Valve
US10883609B2 (en) Fitting with maintenance opening
KR20240024368A (en) Dual motion shutoff valve
KR20120119248A (en) Apparatus for quick opening and closing of a pressure vessel with locking band
CN105736819B (en) Pressure piping tap wrench
KR101200263B1 (en) Ball Valve Comprising Locking Device
KR102574705B1 (en) Damper with tadpole gas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8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