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0764B1 - 국솥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국솥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764B1
KR101480764B1 KR20140045194A KR20140045194A KR101480764B1 KR 101480764 B1 KR101480764 B1 KR 101480764B1 KR 20140045194 A KR20140045194 A KR 20140045194A KR 20140045194 A KR20140045194 A KR 20140045194A KR 101480764 B1 KR101480764 B1 KR 101480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oker
driving means
lid
m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4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훈
Original Assignee
홍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훈 filed Critical 홍성훈
Priority to KR2014004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76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체 급식 조리실에서 사용되는 대형 국솥 내용물이 자동으로 혼합 됨에 따라 조리자가 주걱을 이용해 지속적인 혼합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뜨거운 국에 의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고, 혼합날개가 설치된 덮개프레임이 국솥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회동 됨에 따라 개방시에는 국솥 내에 재료가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자가 혼합날개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폐쇄시에는 국솥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혼합날개의 날개부재가 수직봉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조리되는 국의 양이나 국솥의 크기에 따라 날개부재의 교환이 가능함은 물론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며, 기존의 국솥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인 국솥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혼합장치는 국솥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국솥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덮개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측에 설치되며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덮개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덮개프레임 상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 하부에 탈착 및 높이조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여부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국솥 내의 내용물을 혼합시키는 혼합날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국솥 혼합장치{Agitation apparatus for soup kettle}
본 발명은 국솥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체 급식 조리실에서 사용되는 대형 국솥 내용물이 자동으로 혼합 됨에 따라 조리자가 주걱을 이용해 지속적인 혼합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뜨거운 국에 의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고, 혼합날개가 설치된 덮개프레임이 국솥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회동 됨에 따라 개방시에는 국솥 내에 재료가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자가 혼합날개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폐쇄시에는 국솥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혼합날개의 날개부재가 수직봉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조리되는 국의 양이나 국솥의 크기에 따라 날개부재의 교환이 가능함은 물론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며, 기존의 국솥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인 국솥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수 인원의 식사를 준비해야 하는 대형식당이나 군부대, 학교, 공장의 구내식당 등과 같은 급식소에서는 국과 같은 음식을 대량으로 조리하기 위하여 하부에 가스버너가 장착되어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그 상부에는 음식을 담아 조리하기 위한 솥이 일체로 구비된 국솥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량의 음식을 조리하는 국솥은 내부를 세척하거나 조리된 음식을 용이하게 퍼내기 위하여 국솥을 일측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리작업을 수월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국솥은 조리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타지않고 골고루 섞인 상태로 익혀질 수 있도록 조리자가 지속적으로 대형 국자를 이용해 내용물을 혼합 해 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이때 국솥의 상부가 그대로 개방된 상태가 되어 이물질이 국솥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 위생상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혼합작업 중 조리자가 뜨거운 국이 튀거나 쏟아져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8527호(2010.04.13)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07621호(2012.01.12)
따라서 본 발명은 단체 급식 조리실에서 사용되는 대형 국솥 내용물이 자동으로 혼합 됨에 따라 조리자가 주걱을 이용해 지속적인 혼합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뜨거운 국에 의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는 국솥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날개가 설치된 덮개프레임이 국솥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회동 됨에 따라 개방시에는 국솥 내에 재료가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자가 혼합날개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폐쇄시에는 국솥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국솥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날개의 날개부재가 수직봉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조리되는 국의 양이나 국솥의 크기에 따라 날개부재의 교환이 가능함은 물론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며, 기존의 국솥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인 국솥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국솥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국솥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덮개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측에 설치되며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덮개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덮개프레임 상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 하부에 탈착 및 높이조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여부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국솥 내의 내용물을 혼합시키는 혼합날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솥 혼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덮개프레임이 상기 국솥 상부에 안착 된 상태에서도 개폐가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한 덮개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덮개프레임을 상기 국솥 측에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후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권취홈이 형성된 손잡이부재와,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부재보다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와, 일단은 상기 권취홈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롤러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프레임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의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서 상기 덮개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와이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덮개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외측에 씌워지는 하우징과,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직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회전되고 상기 덮개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 위치되며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측에는 수직방향의 장공이 형성되는 회전봉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수단이 설치된 상기 덮개프레임 상에는 상기 회전봉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제 1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이동슬릿의 양측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이동슬릿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날개는 상기 회전봉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수직봉부재와, 상기 수직봉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봉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봉부재의 나사산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그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 측에는 상기 장공 내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수직봉부재를 상기 회전봉부재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봉부재의 하부 양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재 측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절곡홈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수직봉부재 측에 고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혼합장치는 첫째, 단체 급식 조리실에서 사용되는 대형 국솥 내용물이 자동으로 혼합 됨에 따라 조리자가 주걱을 이용해 지속적인 혼합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뜨거운 국에 의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둘째, 혼합날개가 설치된 덮개프레임이 국솥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회동 됨에 따라 개방시에는 국솥 내에 재료가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자가 혼합날개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폐쇄시에는 국솥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셋째, 혼합날개의 날개부재가 수직봉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조리되는 국의 양이나 국솥의 크기에 따라 날개부재의 교환이 가능함은 물론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며, 기존의 국솥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혼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혼합장치의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혼합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혼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혼합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혼합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혼합장치는 국솥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국솥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덮개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측에 설치되며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덮개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덮개프레임 상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 하부에 탈착 및 높이조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여부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국솥 내의 내용물을 혼합시키는 혼합날개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혼합장치(1)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00)은 국솥(600) 인근에 배치되어 국솥 혼합장치(1)를 사용가능하게 위치시키고, 추후에 설명될 회동수단(300) 및 덮개프레임(200)이 사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프레임(100)은 구성부재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며, 사용되는 국솥(600)의 크기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다양한 크기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고정프레임(100)의 일측에는 덮개프레임(20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데, 이 덮개프레임(200)은 그 회동 여부에 따라 국솥(600)의 개방된 상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동수단(400) 및 혼합날개(500)가 사용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프레임(100)은 그 회동 여부에 따라서 솥뚜껑과 같이 국솥(600) 상부에 안착 되는데, 그 양측에는 덮개프레임(200)이 국솥(600) 상부에 안착 된 상태에서도 개폐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한 덮개부재(210) 한 쌍이 더 설치된다.
따라서 혼합날개(500)에 의해 혼합이 진행되는 중이라도 조리자는 덮개부재(210)를 열고 국의 간을 보거나 양념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덮개프레임(200)의 양단에는 고정후크(220)가 더 구비되는데, 이 고정후크(220)는 국솥(600)에 안착 된 덮개프레임(200)이 임의로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국솥(60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추후에 설명될 구동수단(400)이 설치될 덮개프레임(200) 상에는 제 1 이동슬릿(230)과 제 2 이동슬릿(240)이 형성되는데, 전술한 제 1 이동슬릿(230)은 구동수단(400) 중 회전봉부재(430)가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이고, 전술한 제 2 이동슬릿(240)은 구도수단 중 구동모터(410)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이동슬릿(230)과 제 2 이동슬릿(240)을 통해 구동수단(400)은 국솥(600) 내의 중심부를 향해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고정프레임(100) 측에는 회동수단(300)이 설치되는데, 이 회동수단(300)은 조작 여부에 따라 덮개프레임(200)을 고정프레임(100) 상에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회동수단(300)은, 고정프레임(100)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권취홈(311)이 형성된 손잡이부재(310)와, 고정프레임(100) 상에 설치되되 손잡이부재(310)보다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320)와, 일단은 권취홈(311)에 연결된 상태로 롤러부재(320)에 지지되고 타단은 덮개프레임(200) 일측에 고정되어 손잡이부재(310)의 회전 여부에 따라 고정프레임(100) 상에서 덮개프레임(200)을 회동시키는 와이어(330)가 포함된다.
즉, 손잡이부재(3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권취홈(311) 내에 권취 된 와이어(330)가 감겨지기 시작하는데, 이때 와이어(330)는 롤러부재(320)에 지지 된 상태로 덮개프레임(200) 상에 고정되어 있어 와이어(330)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고정프레임(100) 측으로 서서히 회동되며 폐쇄된 상태의 국솥(600) 상부가 개방된다.
반대로, 손잡이부재(3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면 권취홈(311) 내에 권취 된 와이어(330)가 풀어지기 시작하고, 이때 롤러부재(320)에 지지 된 상태로 덮개부재(210)를 당겨주던 와이어(330)의 힘이 제거되면서 고정프레임(100) 측으로 회동되어 있던 덮개프레임(200)은 그 자중에 의해 국솥(600) 측으로 회동되며 개방된 상태의 국솥(600) 상부가 폐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회동수단(300)이 수동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모터 등이 더 설치되어 자동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덮개프레임(200) 상에는 구동수단(400)이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구동수단(400)은 작동 여부에 따라 혼합날개(5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동수단(400)은, 덮개프레임(200)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10)와, 구동모터(410) 외측에 씌워지는 하우징(420)과, 구동모터(410)의 축에 직결되어 구동모터(410)의 구동시 회전되고 덮개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 위치되며 외주연에는 나사산(431)이 형성되되 나사산(431)이 형성된 측에는 수직방향의 장공(432)이 형성되는 회전봉부재(430)가 포함된다.
전술한 구동수단(400)은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고, 국솥 혼합장치(1) 일측에 구비된 컨트롤러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이때 전술한 컨트롤러는 구동모터(410)의 ON/OFF는 물론 회전속도와 회전시간까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회전봉부재(430)의 하부에는 혼합날개(500)가 탈착 및 높이조절 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이 혼합날개(500)는 회동수단(300)의 조작 여부에 따라 국솥(600) 내에 위치되며 구동수단(400)의 구동시 회전되며 국솥(600) 내부의 내용물을 혼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혼합날개(500)는 전술한 회전봉부재(430)의 나사산(431) 측에 나사결합되는 수직봉부재(510)와, 이 수직봉부재(5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부재(520)가 포함된다.
전술한 수직봉부재(510)의 상단에는 회전봉부재(430)의 나사산(431)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그 내주연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 체결홈(511)이 형성되고, 이 체결홈(511) 측에는 장공(432) 내에 관통 체결되어 수직봉부재(510)를 회전봉부재(430)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체결나사(530)가 삽입되는 삽입공(5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봉부재(510)는 회전봉부재(430)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면서 그 전체 길이가 조절되고, 나사결합이 종료된 뒤에는 삽입공(512)과 장공(432)에 체결나사(530)를 삽입시켜 양측을 상호 위치고정시켜준다.
그리고 전술한 수직봉부재(510)의 하부 양측에는 고정돌기(513)가 돌출 형성되고 날개부재(520) 측에는 고정돌기(513)가 삽입되는 절곡홈(521)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날개부재(520)의 고정돌기(513)가 수직봉부재(510)의 절곡홈(521) 내로 진입되며 그 단부에 가서는 날개부재(520)가 자중에 의해 하강 되면서 수직봉부재(510) 측에 고정된다.
이때 혼합날개(500)의 회전시 날개부재(520)가 절곡홈(521)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나 이는 날개부재(520)가 국솥(600) 내에서 부하가 걸릴 시에 그 충격이 모터로 전달되지 않고 자체적으로 흡수되게 하는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국솥 혼합장치 100 : 고정프레임
200 : 덮개프레임 210 : 덮개부재
220 : 고정후크 230 : 제 1 이동슬릿
240 : 제 2 이동슬릿 300 : 회동수단
310 : 손잡이부재 311 : 권취홈
320 : 롤러부재 330 : 와이어
400 : 구동수단 410 : 구동모터
420 : 하우징 430 : 회전봉부재
431 : 나사산 432 : 장공
500 : 혼합날개 510 : 수직봉부재
511 : 체결홈 512 : 삽입공
513 : 고정돌기 520 : 날개부재
521 : 절곡홈 530 : 체결나사
600 : 국솥

Claims (9)

  1. 국솥(6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00);
    상기 고정프레임(10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국솥(600)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덮개프레임(200);
    상기 고정프레임(100) 측에 설치되며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덮개프레임(200)을 상기 고정프레임(100) 상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300);
    상기 덮개프레임(200) 상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수단(400); 및
    상기 구동수단(400) 하부에 탈착 및 높이조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구동수단(400)의 구동 여부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국솥(600) 내의 내용물을 혼합시키는 혼합날개(500)가 포함되고,
    상기 회동수단(300)은,
    상기 고정프레임(100)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권취홈(311)이 형성된 손잡이부재(310);
    상기 고정프레임(100) 상에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부재(310)보다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320); 및
    일단은 상기 권취홈(31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롤러부재(32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프레임(200)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재(31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00) 상에서 상기 덮개프레임(200)을 회동시키는 와이어(3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솥 혼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프레임(200)의 양측에는 상기 덮개프레임(200)이 상기 국솥(600) 상부에 안착 된 상태에서도 개폐가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한 덮개부재(2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솥 혼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프레임(200)의 양단에는 상기 덮개프레임(200)을 상기 국솥(600) 측에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후크(2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솥 혼합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덮개프레임(200)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10);
    상기 구동모터(410) 외측에 씌워지는 하우징(420); 및
    상기 구동모터(410)의 축에 직결되어 상기 구동모터(410)의 구동시 회전되고 상기 덮개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 위치되며 외주연에는 나사산(431)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431)이 형성된 측에는 수직방향의 장공(432)이 형성되는 회전봉부재(4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솥 혼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0)이 설치된 상기 덮개프레임(200) 상에는 상기 회전봉부재(430)가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제 1 이동슬릿(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이동슬릿(230)의 양측에는 상기 구동모터(410)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이동슬릿(2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솥 혼합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날개(500)는 회전봉부재(430)와 나사결합되는 수직봉부재(510)와, 상기 수직봉부재(5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부재(5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솥 혼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부재(51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봉부재(430)의 나사산(431)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그 내주연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 체결홈(51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511) 측에는 장공(432) 내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수직봉부재(510)를 상기 회전봉부재(430)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체결나사(530)가 삽입되는 삽입공(5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솥 혼합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부재(510)의 하부 양측에는 고정돌기(5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재(520) 측에는 상기 고정돌기(513)가 삽입되는 절곡홈(521)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재(52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수직봉부재(510) 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솥 혼합장치.
KR20140045194A 2014-04-16 2014-04-16 국솥 혼합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80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194A KR101480764B1 (ko) 2014-04-16 2014-04-16 국솥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194A KR101480764B1 (ko) 2014-04-16 2014-04-16 국솥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764B1 true KR101480764B1 (ko) 2015-01-21

Family

ID=5259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519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0764B1 (ko) 2014-04-16 2014-04-16 국솥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7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561B1 (ko) 2015-02-09 2015-09-24 김채원 대용량 솥용 솥뚜껑
KR101839810B1 (ko) * 2017-06-22 2018-03-19 최경선 사골 육수 조리장치
KR20210022241A (ko) * 2019-08-20 2021-03-03 황보기만 새싹작물의 세척기
KR102466361B1 (ko) * 2022-05-28 2022-11-10 서선연 음식소스 교반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2897B2 (ja) * 1989-04-13 1999-03-03 株式会社品川工業所 餡製造方法および餡製造装置
KR100860149B1 (ko) 2007-12-10 2008-09-24 이재성 자동 육류볶음장치
KR200463539Y1 (ko) * 2009-11-09 2012-11-14 조윤희 가정용 자동 교반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2897B2 (ja) * 1989-04-13 1999-03-03 株式会社品川工業所 餡製造方法および餡製造装置
KR100860149B1 (ko) 2007-12-10 2008-09-24 이재성 자동 육류볶음장치
KR200463539Y1 (ko) * 2009-11-09 2012-11-14 조윤희 가정용 자동 교반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561B1 (ko) 2015-02-09 2015-09-24 김채원 대용량 솥용 솥뚜껑
KR101839810B1 (ko) * 2017-06-22 2018-03-19 최경선 사골 육수 조리장치
KR20210022241A (ko) * 2019-08-20 2021-03-03 황보기만 새싹작물의 세척기
KR102259723B1 (ko) * 2019-08-20 2021-06-01 황보기만 새싹작물의 세척기
KR102466361B1 (ko) * 2022-05-28 2022-11-10 서선연 음식소스 교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764B1 (ko) 국솥 혼합장치
KR10197183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KR101131761B1 (ko) 회전국솥의 교반장치
CN209121883U (zh) 自动炒菜机
US20130036917A1 (en) Stir lid with overflow sensor
WO2018209839A1 (zh) 自动炒菜机
KR200486475Y1 (ko) 음식물 조리기구
CN206006865U (zh) 一种具有加料功能的烹饪装置
US9993016B1 (en) Hands free frozen drink mixing systems
CN102961055B (zh) 同向搅拌烤炉及其相关方法
EP3164039B1 (en) Household appliance mixing arrangement
RU154679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хлебопечка
US20150366393A1 (en) Cooking Appliance
CN102920358B (zh) 自动涂抹配料或油脂的同向搅拌煎锅及其相关方法
JP6866233B2 (ja) 加熱調理器
KR101480761B1 (ko) 국솥 교반장치
EP3881734A1 (en) Utensil for cooking risotto or creamy rice
KR102103085B1 (ko) 자동 조리기
EP3030121B1 (en) Food preparation equipment
KR101576207B1 (ko) 복합 교반날개가 구비된 국솥 교반장치
JP2002541890A (ja) 自動調理装置
CN204909166U (zh) 多功能食物处理装置
KR101958620B1 (ko)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CN104939689B (zh) 一种家用炒菜机的搅拌装置
US3251581A (en) Container stir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