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7241B1 -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241B1
KR101477241B1 KR1020130117401A KR20130117401A KR101477241B1 KR 101477241 B1 KR101477241 B1 KR 101477241B1 KR 1020130117401 A KR1020130117401 A KR 1020130117401A KR 20130117401 A KR20130117401 A KR 20130117401A KR 101477241 B1 KR101477241 B1 KR 101477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control
bolt
frame
fas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두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정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정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정보산업
Priority to KR102013011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2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랙 조립 전에 랙의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을 조립한 후, 너트 및 볼트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조립하여 종래의 수작업에 따른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auto Assembly device for Rack frame.}
본 발명은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랙 조립 전에 랙의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을 조립한 후, 너트 및 볼트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조립하여 종래의 수작업에 따른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랙(rack)은 캐비닛 형상을 가지며, 통신, 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등의 여러 장비들을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각종 영향력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랙을 완성하기 위하여 랙 조립 전에 랙의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을 조립한 후, 너트 및 볼트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조립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다이게스팅부품이란 조립식 랙의 프레임들을 고정하는 3축 고정부재를 의미하며, 본 발명인이 대한민국에 출원하여 등록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9337호(공고일 2008.04.04)인 3축 고정부재를 갖는 랙에 개시한 바 있다.
상기한 3축 고정부재를 다이게스팅부품이라 정의한 것이다.
이를 통해 랙의 조립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지만, 각각의 프레임에 볼트를 삽입하거나 바퀴를 삽입한 후 결합시키는 공정은 모두 수작업으로 행하고 있어서 조립식 랙을 완성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여 수백대의 주문 제작시 납기를 원하는 기간까지 완료할 수가 없었다.
결국, 제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과 다수의 인력 투입에 따른 인건비 상승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이게스팅부품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인용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9337호(공고일 2008.04.0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랙 조립 전에 랙의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을 조립한 후, 너트 및 볼트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조립하여 종래의 수작업에 따른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는,
다수의 너트를 보관하고 있으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진동하여 보관된 너트를 조립지지대(400)에 제공하기 위한 너트진동공급부(100)와;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50)을 안착시키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지지대(400)와;
상기 조립지지대에 너트가 공급될 경우에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체결부(200)와;
너트진동공급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며, 너트진동공급부가 동작한 후 너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제어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는,
조립식 랙 조립 전에 랙의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을 조립한 후, 너트 및 볼트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조립하여 종래의 수작업에 따른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와 수작업시 소요되는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의 제어수단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의 조립지지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조립지지대에 다이게스팅부품이 삽입된 예시도이며, 도 6은 다이게스팅부품에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결합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의 너트진동공급부와 너트체결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공급된 너트를 결합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의 다이게스팅부품의 세로측 방향에 세로프레임과 가로측 가로프레임이 삽입된 예시도이며, 중앙 부위에 각각 볼트 구멍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는,
다수의 너트를 보관하고 있으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진동하여 보관된 너트를 조립지지대(400)에 제공하기 위한 너트진동공급부(100)와;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50)을 안착시키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지지대(400)와;
상기 조립지지대에 너트가 공급될 경우에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체결부(200)와;
너트진동공급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며, 너트진동공급부가 동작한 후 너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제어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는,
다수의 너트를 보관하고 있으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진동하여 보관된 너트를 조립지지대(400)에 제공하기 위한 너트진동공급부(100)와;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50)을 안착시키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지지대(400)와;
상기 조립지지대에 너트가 공급될 경우에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체결부(200)와;
상기 다이게스팅부품에 형성된 구멍에 볼트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체결하기 위한 볼트체결부(300)와;
너트진동공급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며, 너트진동공급부가 동작한 후 너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고, 이후 상기 볼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제어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조립지지대와 연결되어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조립지지대를 이동시켜 상기 너트진동공급부로부터 너트를 공급받기 위한 이동스테이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600)은,
너트진동공급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너트진동공급동작부(610)와,
상기 너트가 공급된 후, 너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너트체결동작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600)은,
너트진동공급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너트진동공급동작부(610)와,
상기 너트가 공급된 후, 너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너트체결동작부(620)와,
상기 너트 체결 후, 볼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볼트공급동작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600)은,
이동스테이지(500)를 동작시켜 상기 너트진동공급부로부터 너트를 재차 공급받도록 하기 위한 이동스테이지동작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세로프레임(20)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의 세로면에 접착부재를 삽입하여 세로프레임을 다이게스팅부품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볼트체결부(300)는,
2개를 구성하여 세로프레임이 결합된 다이게스팅부품에 형성된 구멍(70)과 가로프레임이 결합된 다이게스팅부품에 형성된 구멍(80)에 각각 볼트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는,
다수의 너트를 보관하고 있으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진동하여 보관된 너트를 조립지지대(400)에 제공하기 위한 너트진동공급부(100)와;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50)을 안착시키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지지대(400)와;
상기 조립지지대에 너트가 공급될 경우에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체결부(200)와;
너트진동공급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며, 너트진동공급부가 동작한 후 너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제어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너트진동공급부(100)는 다수의 너트를 보관하고 있으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진동하여 하측에 형성된 조립지지대에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다이게스팅부품(50)의 바퀴삽입구멍에 삽입된 바퀴의 볼트(60)에 너트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조립지지대(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다이게스팅부품을 안착시키기 위한 형틀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형틀에 구성된 홈에 바퀴를 먼저 삽입하고, 4개의 다이게스팅부품을 안착시키게 된다.
왜냐하면, 랙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므로 4 개의 꼭지점에 다이게스팅부품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각 형상의 조립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후, 제어수단(600)은 조립지지대에 너트가 공급될 경우에 너트체결부(200)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너트체결부는 동작하여 너트를 바퀴의 볼트(6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600)은,
너트진동공급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너트진동공급동작부(610)와,
상기 너트가 공급된 후, 너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너트체결동작부(620)로 구성되게 된다.
즉, 조립지지대에 형성된 형틀에 바퀴를 삽입하고, 다이게스팅부품을 삽입한 후, 조작자가 별도의 버튼부(미도시)를 누르게 되면 이를 제어수단에서 획득하게 된다.
또는, 별도의 삽입을 감지하는 수단을 통해 삽입이 감지되면 이를 제어수단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너트진동공급동작부(610)는 너트진동공급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너트를 공급하게 된다.
이후, 너트체결동작부(620)는 너트가 공급된 후, 너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너트체결부는 동작하여 너트를 볼트에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이게스팅부품에 형성된 구멍에 볼트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체결하기 위한 볼트체결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다이게스팅부품의 세로측 방향에 세로프레임을 삽입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성하고, 중앙 부위에 볼트 구멍(70)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볼트체결부는 볼트공급부(미도시)로부터 볼트를 공급받아 해당 구멍(볼트 구멍을 의미함.)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게 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게스팅부품의 세로프레임이 결합되는 부위에 구멍(70)이 형성되며, 다이게스팅부품의 가로프레임이 결합되는 부위에 구멍(8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볼트체결부를 2개로 구성하여 세로프레임이 결합된 다이게스팅부품에 형성된 구멍(70)과 가로프레임이 결합된 다이게스팅부품에 형성된 구멍(80)에 각각 볼트를 체결할 수도 있다.
그러면, 볼트공급부는 2개를 구성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때, 제어수단은 너트 체결 후, 볼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볼트공급동작부(6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볼트공급동작부(630)는 너트 체결 후, 볼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볼트를 해당 구멍에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2개의 볼트체결부를 구성하면 2개의 볼트체결부에 각각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해당 각각의 구멍에 볼트를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조립지지대와 연결되어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조립지지대를 이동시켜 상기 너트진동공급부로부터 너트를 공급받기 위한 이동스테이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스테이지(500)는 조립지지대의 첫번째 형틀에 너트와 볼트를 공급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조립지지대를 상측으로 너트진동공급부가 구성된 위치까지 이동시켜 너트진동공급부로부터 너트를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수단(600)은,
이동스테이지(500)를 동작시켜 상기 너트진동공급부로부터 너트를 재차 공급받도록 하기 위한 이동스테이지동작부(6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즉, 이동스테이지동작부(640)는 이동스테이지(500)를 동작시켜 조립지지대를 상측으로 너트진동공급부가 구성된 위치까지 이동시켜 너트진동공급부로부터 너트를 재차 공급받도록 하게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스테이지는 일반적으로 동작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스테이지의 구성 및 동작 원리는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양측에 너트진동공급부와 너트체결부 및 볼트체결부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좀 더 빠르게 조립 과정을 거칠 수 있게 될 것이다.
조립 과정을 설명하자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지지대에 형성된 4개의 형틀에 바퀴를 삽입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게스팅부품을 각각 삽입하게 된다.
이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게스팅부품에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을 결합하게 된다.
작업자가 이후 별도의 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너트진동공급부가 동작하여 조립지지대의 바퀴에 형성된 볼트에 너트를 삽입하게 된다.
이후,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너트체결부를 동작시켜 너트를 바퀴의 볼트에 단단히 결합시키게 된다.
이후,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볼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다이게스팅부품의 세로측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이동스테이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이동스테이지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조립지지대의 다른 바퀴가 위치한 형틀을 너트진동공급부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시켜 재차 너트를 공급하게 되며, 이후 과정은 동일하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세로프레임(20)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의 세로면에 접착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접착부재를 통해 세로프레임을 다이게스팅부품에 고정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랙의 세로 프레임은 가로 프레임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다이게스팅부품에 세로 프레임을 결합하여도 흔들리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이게스팅부품의 세로면에 접착부재 혹은 접착재를 도포한 후 세로프레임을 돌출부에 결합시키게 되면 단단히 고정되어 절대 흔들리지 않는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조립식 랙 조립 전에 랙의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을 조립한 후, 너트 및 볼트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조립하여 종래의 수작업에 따른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와 수작업시 소요되는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너트진동공급부
200 : 너트체결부
300 : 볼트체결부
400 : 조립지지대
500 : 이동스테이지
600 : 제어수단

Claims (8)

  1. 삭제
  2.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너트를 보관하고 있으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진동하여 보관된 너트를 조립지지대(400)에 제공하기 위한 너트진동공급부(100)와;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50)을 안착시키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지지대(400)와;
    상기 조립지지대에 너트가 공급될 경우에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체결부(200)와;
    상기 다이게스팅부품에 형성된 구멍에 볼트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체결하기 위한 볼트체결부(300)와;
    너트진동공급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너트진동공급동작부(610)와,
    상기 너트가 공급된 후, 너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너트체결동작부(620)와,
    상기 너트 체결 후, 볼트체결부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볼트공급동작부(630)와,
    이동스테이지(500)를 동작시켜 상기 너트진동공급부로부터 너트를 재차 공급받도록 하기 위한 이동스테이지동작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600)과;
    조립지지대와 연결되어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조립지지대를 이동시켜 상기 너트진동공급부로부터 너트를 공급받기 위한 이동스테이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세로프레임(20)이 결합되는 다이게스팅부품의 세로면에 접착부재를 삽입하여 세로프레임을 다이게스팅부품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볼트체결부(300)는,
    2개를 구성하여 세로프레임이 결합된 다이게스팅부품에 형성된 구멍(70)과 가로프레임이 결합된 다이게스팅부품에 형성된 구멍(80)에 각각 볼트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117401A 2013-10-01 2013-10-01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 Active KR101477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401A KR101477241B1 (ko) 2013-10-01 2013-10-01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401A KR101477241B1 (ko) 2013-10-01 2013-10-01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241B1 true KR101477241B1 (ko) 2014-12-29

Family

ID=5268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401A Active KR101477241B1 (ko) 2013-10-01 2013-10-01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2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0537A (zh) * 2015-02-26 2015-06-10 南通江华热动力机械有限公司 一种散热器衬套压装机
CN113695907A (zh) * 2021-09-18 2021-11-26 优麦驰(南京)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通用货架柱片智能装配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429U (ko) * 1990-11-08 1992-06-26
KR940008662Y1 (ko) * 1990-12-31 1994-12-27 대한전선 주식회사 스크루우(screw) 자동체결장치
KR19980073072A (ko) * 1997-03-12 1998-11-05 김광호 청소기용 모터의 너트 체결 장치
JP2832194B2 (ja) * 1993-08-27 1998-12-02 光洋機械工業株式会社 座金組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429U (ko) * 1990-11-08 1992-06-26
KR940008662Y1 (ko) * 1990-12-31 1994-12-27 대한전선 주식회사 스크루우(screw) 자동체결장치
JP2832194B2 (ja) * 1993-08-27 1998-12-02 光洋機械工業株式会社 座金組付け装置
KR19980073072A (ko) * 1997-03-12 1998-11-05 김광호 청소기용 모터의 너트 체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0537A (zh) * 2015-02-26 2015-06-10 南通江华热动力机械有限公司 一种散热器衬套压装机
CN113695907A (zh) * 2021-09-18 2021-11-26 优麦驰(南京)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通用货架柱片智能装配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716B2 (en) Electronic module installation tools for electronic racks
KR101458745B1 (ko)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KR101477241B1 (ko) 랙 프레임 자동 조립장치
KR101873647B1 (ko) 결합 분리가 용이한 한옥 구조물의 연결구조체
US10398226B2 (en) Bracket assembly
KR20140121112A (ko) 범퍼 도장용 지그
JP2014153217A (ja) 振動試験装置
KR20150117907A (ko) 조립식 책상
KR101267325B1 (ko) 파티션
US10433449B2 (en) Double line replaceable module locking bracket
JP6446720B2 (ja) 棚用取付け部材
KR101375109B1 (ko) 너트 고정 장치
CN106240675B (zh) 汽车车架平衡轴总成装配孔位样架及车架总成装配方法
JP2006296790A (ja) 組立て構造
KR101327189B1 (ko) Pcb소자 분리용 컷팅지그
KR101600932B1 (ko) 자동차 모터 브라켓 부시 조립장치
CN106275446A (zh) 固定结构及应用该固定结构的飞行设备
KR20080053641A (ko) 섀시부 압착에 의한 pcb고정구조
CN220207004U (zh) 相机振动测试连接工装及相机振动测试设备
KR101464103B1 (ko) 몰드물 고정용 패스너 조립체
CN216540084U (zh) 摄像头模组离心水洗固定装置
KR101218497B1 (ko) 볼트 선별 장치
CN220917030U (zh) 一种销售架
KR101188318B1 (ko) 취부금구 및 이의 제조방법
CN215588280U (zh) 一种用于固定压框散件进行焊接加工的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