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7167B1 - Burner system of the tube type heater - Google Patents

Burner system of the tube type 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167B1
KR101477167B1 KR1020130116242A KR20130116242A KR101477167B1 KR 101477167 B1 KR101477167 B1 KR 101477167B1 KR 1020130116242 A KR1020130116242 A KR 1020130116242A KR 20130116242 A KR20130116242 A KR 20130116242A KR 101477167 B1 KR101477167 B1 KR 10147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rner
room
fan blower
nozz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장현
허신
Original Assignee
헵시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헵시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헵시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1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16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이 개방된 난방기 본체의 내부 전방에 지그 재그형으로 굴곡 형성된 난방관(튜브)이 설치되는 튜브형 원적외선 난방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버너가 버너룸 내의 공기를 유입하게 됨에 따라서, 버너룸 내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공기밀도 변화로 공기흡입량이 유동적이어서 연소성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심한 냄새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버너룸 내에는 연료탱크의 기름유입부가 구성됨으로 항상 기름이 잔존해있게 됨으로써, 버너룸의 온도가 상승하면 유증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의 유증기가 버너의 공기흡입부로 유입되면서 냄새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버너룸 외부로 부터 버너 내부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통경로수단을 제공하여 히터의 가동에 따른 버너가 설치된 버너룸의 온도변화와 상관없이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에서 공기가 버너 내로 유입될때 유입되는 공기를 가드하는 에어가드(air guard) 구조를 개선하여 소음발생을 최소화한 튜브형 히터의 버너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far-infrared hea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heating tube (tube) bent in a jig-like shape in front of the inside of a radiator main body opened frontward.
Conventionally, as the burner inflows air into the burner room, the air intake amount is changed due to the change of the air density due to the temperature rise in the burner room, so that the combustion performance is changed. As a result, incomplete combustion occurs, . In addition, since the oil inlet portion of the fuel tank is always provided in the burner room,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urner room rises, oil is generated, and the oil vapor is introduced into the air suction portion of the burner to generate an od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flow path means for allowing air to flow into the burner from the outside of the burner room so that the air can be supplied smoothly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burner in which the burner is installed, And also to provide a burner system of a tubular heater which minimizes noise generation by improving an air guard structure for guiding air introduced when air flows into a burner in a structure for sucking air.

Description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BURNER SYSTEM OF THE TUBE TYPE HEAT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ner system for a tubular heater,

본 발명은 전방이 개방된 난방기 본체의 내부 전방에 지그 재그형으로 굴곡 형성된 난방관(튜브)이 설치되는 튜브형 원적외선 난방기에 있어서, 히터의 동작사황과 상관없이 버너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일정하게 변화 없이 함은 물론 버너의 노즐에 연료 연소 시 충분한 공기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불완전연소로 인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히터의 버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far-infrared radiator provided with a heating tube (tube) bent in a jig-like shape in front of the inside of a radiator main body opened at the front thereof, wherein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to the burner is consta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heater burner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eliminating the odor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by providing sufficient air in the combustion of the fuel to the nozzles of the burner as well as the change without any change.

삭제delete

본 발명은 특히 전방 상부가 개방된 본체의 내부 하부 일측에 버너가 마련되고, 본체의 내부 전방에 지그재그형으로 굴곡 형성된 난방관이 설치되는 튜브형 원적외선 난방기에 관계하는 것으로, 이러한 형태의 튜브형 원적외선 난방기에 있어서 난방관 일단의 연소공기 유입부는 버너와 접속되고 다단의 연소공기 배출부는 본체의 상면 일측 또는 측면 상부에 노출되는 것이 보통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far-infrared heat radiator, in particular, a tubular far-infrared radiator in which a burner is provided at an inner lower one side of a main body having a front upper portion opened and a heating pipe bent in a zigzag shape is provided in the inner front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combustion air inlet portion at one end of the heating pipe is connected to the burner and the combustion air outlet portion at the multi-stage is exposed at one side or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튜브형 원적외선 난방기는 난방관 내부에 촉매체, 재연소체 등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며, 그에 따라 연소효율이 매우 높아 실제 난방관의 연소공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인체 유해성분이 적으므로 넓은 면적의 작업장 등 외부공기의 유입이 많아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넓은 장소에서는 연소공기 배출부를 그대로 노출시킨 상태로 사용하기도 하고, 외부 공기의 유입이 적어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사무실이나 거실 등의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난방관의 연소공기 배출부에 별도의 배기유도관의 일단부를 결합하여 연소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형태로 사용하기도 한다.
Since the tubular far-infrared radiator is usually provided with a catalyst body, a reheat burner, etc. in the heating pipe, the combustion efficiency is very high, and thus the exhaust gas discharged to the burning air discharge portion of the actual heating pipe has few harmful components. In a large area where ventilation is smoothly performed due to a large inflow of outside air such as a workplace, the combustion air discharge portion may be used as it is exposed, or may be used in an office such as an office or a living room where ventilation is poor due to inflow of outside air The combustion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connecting one end of a separate exhaust induction pipe to the combustion air discharge portion of the heating pipe.

일반적으로 튜브형 원적외선 난방기기는 원적외선의 복사에 의한 난방을 수행하는 기기로서, 버너의 점화에 의한 연소로에서의 연소와 연소 시 발생하는 열기를 이송하는 튜브의 가열에 의한 튜브 자체의 원적외선의 방출로 난방을 하는 기기 이다.In general, a tubular far-infrared heating apparatus is a device that performs heating by radiation of far-infrared rays. It is a device for heating the tube to transfer heat generated during combustion in a combustion furnace by ignition of the burner, It is a heating device.

도 1은 종래 튜브형 원적외선 히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튜브형 원적외선 히터의 버너룸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tubular far infrared ray heater,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burner room of a conventional tubular far infrared ray heater.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가 내장되는 하단부의 상부로는 연소가 이루어지는 주연소관(10) 및 난방관(20)이 설치되는 난방관설치부(30)가 구성되고, 난방관설치부(30)의 그 일 측으로 버너(40)가 설치되는 버너룸(50)이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main combustion pipe 10 in which combustion is performed and a heating pipe 30 in which a heating pipe 20 is installed ar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a lower end portion where a fuel tank is installed. A burner room 50 in which a burner 40 is installed is constituted.

버너(40)를 통해 연료가 연소되면서 주연소관(10)과 난방관(20)을 통해 발생하는 열기가 이송되면서 난방이 수행된다. The fuel is burned through the burner 40 and the heat generated through the main pipe 10 and the heating pipe 20 is transferred to perform heating.

이와 같은 종래 튜브형 원적외선 히터에 있어서, 상기 버너(40)는 연료를 연소 시 필요한 공기를 외부로 부터 유입하여 노즐 측으로 공급하게 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40)는 버너룸(50)에 설치된 상태로 버너룸(50) 내의 공기를 유입하여 공급한다. 2, the burner 40 is connected to the burner room (not shown). The burner 40 is connected to the burner room (not shown) 50, the air in the burner room 50 is supplied and supplied.

그러나 히터의 가동 초기에는 버너룸(50) 내의 공기가 가열되지 않은 상태이나, 동작 시간이 경과할수록 난방관설치부(30)와 인접된 버너룸(50) 내의 온도는 상승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버너룸(50)의 공기밀도변화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버너(40) 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부족할 수 밖에 없다.However, in the initial stage of operation of the heater, the air in the burner room 50 is not heated, but the temperature in the burner room 50 adjacent to the heating chamber 30 is inevitably increased as the operation time elapses,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burner 40 is inevitably short because the air density of the burner room 50 is chang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버너룸(50) 내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공기밀도 변화로 공기흡입량이 유동적이어서 연소성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심한 냄새가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the air intake amount is changed due to the change of the air density due to the temperature rise in the burner room 5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mbustion performance is changed, and incomplete combustion occurs, resulting in a severe odor.

또한 버너룸 내에는 연료탱크의 기름유입부가 구성됨으로 항상 기름이 잔존해있게 됨으로써, 버너룸의 온도가 상승하면 유증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의 유증기가 버너의 공기흡입부로 유입되면서 냄새를 발생시키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oil inlet portion of the fuel tank is always provided in the burner room,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urner room rises, oil is generated, and the oil vapor is introduced into the air suction portion of the burner to generate an odor.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버너룸 외부로 부터 버너 내부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통경로수단을 제공하여 히터의 가동에 따른 버너가 설치된 버너룸의 온도변화와 상관없이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히터의 버너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ir flow path means for allowing air to flow from the outside of the burner into the inside of the burner so that the burner can be smoothly opera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rner system of a tubular heater capable of supplying air.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에서 공기가 버너 내로 유입될때 유입되는 공기를 가드하는 에어가드(air guard) 구조를 개선하여 소음발생을 최소화한 튜브형 히터의 버너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rner system for a tubular heater that minimizes noise generation by improving an air guard structure for guiding air introduced when air is introduced into a burner.

본 발명 튜브형 히터의 버너시스템은, In the burner system of the tubular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버너룸의 외부로 부터 버너로 공기유통경로수단을 구성하여 버너룸의 공기밀도변화와 상관없이 버너 내로 일정한 공기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a). Air flow path means is provided as a burner from the outside of the burner room to provide a constant amount of air into the burner irrespective of variations in the air density of the burner room.

(b). 버너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 블로어(Fan Blower)의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가드를 팬 블로어의 공기유입방향에 맞추어 경사면을 두도록 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b). An air guard for guiding inflow air of a fan blower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burner is aligned with the air inflow direction of the fan blower so that an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so as to minimize noise.

(c). 분사되는 연료를 연소함에 있어서, 공기를 확산시켜 연료를 연소효율을 높이는 디퓨저(defuser) 에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 맞춰 구조를 개선하여 소음 및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c). A defuser for diffusing air to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fuel by burning the fuel to be inject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improv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introduced so that noise and combus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와 같은 본 발명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은, In the burner system of the tubular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버너를 통해 연료를 연소하면서 난방관으로 발생하는 열기를 이송하면서 난방이 수행되는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에 있어서, A burner system for a tubular heater in which heating is performed while transferring heat generated in a heating pipe while burning fuel through a burner,

버너룸 내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버너룸(100)의 일 측에 형성된 공기유입장치와, 공기유입장치와 버너룸 내에 설치된 버너의 공기유입부와 설치되어 공기유입장치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버너의 내부로 제공하기 위한 덕트가 구성되며, An air inflow device formed at one side of the burner room 100 for allowing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burner room and an air inflow part of the air inflow device and a burner installed in the burner room to blow air from the air inflow device A duct for providing the inside of the burner is constituted,

상기 버너의 내부로는 공기유입부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디퓨저로 연결되는 공기유통경로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팬 블로어와, 흡입되는 공기를 팬 블로어로 안내하는 에어가드와, 팬 블러어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노즐을 중심으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로 노즐의 전단으로 공급하는 디퓨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 fan blower for supplying air through an air circulation path that is rotated by a motor and connected by a diffuser to suck outside air through the air inlet, and an air guard for guiding the sucked air to the fan blower And a diffuser for supplying the air supplied by the fan blaster to the front end of the nozzle with the air required for combustion around the nozzl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버너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버너룸 외부로 부터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너가 동작함에 따라서 변화되는 버너룸의 온도, 밀도 등의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한 공기를 버너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너의 연소율을 높이고 불완전연소로 인한 냄새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supplied into the burner can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burner room, so that constant air can be supplied into the burner irrespective of changes in the temperature, density, etc. of the burner room, So that the burning rate of the burner can be increased and the odor due to the incomplete combus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버너 내로 공기를 공급함에 있어서, 팬 블로어 내에 구성된 에어가드의 형상을 팬 블로어와 경사면을 두고 결합 구성하여 공기의 흡입량을 늘이고, 소음을 줄일 수 있다.Further, in supplying air into the burner, the shape of the air guard provided in the fan blower may be combined with the fan blower so as to have an inclined surface, thereby increasing the suction amount of air and reducing the noise.

그리고 디퓨저의 팬 회전방향을 후단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노즐 전단에서 확산되는 공기형태를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설계 변화없이도 대용량의 버너를 소용량의 버너에 맞는 효과적인 연소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n rotation direction of the diffuser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downstream side, so that the diffused air shape can be seen at the front end of the nozzle, so that a large capacity burner can be effectively used for a small- .

도 1은 종래 튜브형 원적외선 히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튜브형 원적외선 히터의 버너룸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튜브형 히터의 버너시스템을 보인 버너룸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버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버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버너의 정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있어서, 팬 블로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a는 분리사시도, 도 7b는 에어가드 구조를 보인 도면. 도 7c는 팬 블로어와 에어가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버너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디퓨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버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디퓨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디퓨저 팬의 회전방향에 따른 공기확산 및 유동을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ine of a conventional tubular far-infrared heater.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burner room of a conventional tube type far infrared ray heater.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burner room showing the burner system of the tubular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urner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urner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burner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the burn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to 7C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an blow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7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7B is an air guard structure. Fig. 7C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fan blower and the air guard. Fig.
8 is a side view of the burner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rner for showing a structure of a diff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iff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 and 12 show air diffusion and flow alo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iffuser pan.

본 발명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burner system of the tubula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3 to 12. FIG.

도 3은 본 발명 튜브형 히터의 버너시스템을 보인 버너룸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튜브형 히터의 버너시스템에 있어서 버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burner room showing the burner system of the tubular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urner in the burner system of the tubular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튜브형 히터의 버너시스템은, In the burner system of the tubular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버너룸(100) 내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버너룸(100)의 일 측에 형성된 공기유입장치(200)와, 공기유입장치(200)와 버너룸(100) 내에 설치된 버너(300)의 공기유입부(310)와 설치되어 공기유입장치(200)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버너(300)의 내부로 제공하기 위한 덕트(210)가 구성되며, An air inflow device 200 formed on one side of the burner room 100 and a burner 300 installed in the air inflow device 200 and the burner room 100 so that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burner room 100 A duct 210 for provid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310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200 into the burner 300 is formed,

상기 버너(300)의 내부로는 공기유입부(310)로 부터 디퓨저(320)로 연결되는 공기유통경로 상에 구성되며 모터(400)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유입부(310)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팬 블로어(330)와, 공기유입부(3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팬 블로어(330)로 안내하는 에어가드(340)와, 팬 블로어(33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노즐(350)을 중심으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로 노즐(350)의 전단으로 공급하는 디퓨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burner 300 is formed on the air circulation path connected from the air inlet 310 to the diffuser 320 and is rotated by the motor 400 to discharge the outside air through the air inlet 310 An air guard 340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310 to the fan blower 330 and a blower 330 for blowing air supplied by the fan blower 330 And a diffuser 320 for supplying air around the nozzle 350 to the front end of the nozzle 350 with air required for combus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버너룸의 외부로 부터 공기를 버너내로 유입하기 위한 수단, (a). Means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burner from the outside of the burner room,

(b). 버너 내로 공기를 흡입할 때 안내하는 수단,(b). Means for guiding air into the burner,

(c). 버너 내로 흡입된 공기를 연소단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단,(c). Means for guiding the air sucked into the burner to the combustion end,

을 구성함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s a technical feature.

상기 버너(300)는 난방관설치부 방향으로 주연소관(10)과 연결되도록 버너룸(100) 내에 설치 고정된다.The burner 300 is installed and fixed in the burner room 10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ain pipe 10 in the direction of the heating pipe.

상기 버너룸(100) 일 측면으로는 공기유입장치(200)가 구성되며, 공기유입장치(200)와 상기 버너(300)의 공기유입부(310)를 연결하는 덕트(210)가 구성된다. An air inflow device 2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urner room 100 and a duct 210 connecting the air inflow device 200 and the air inflow part 310 of the burner 300 is formed.

상기 공기유입장치(200)는 버너룸(100) 외부로 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기유입장치수단이며, 상기 덕트(210)는 공기유입장치(200)와 버너(300)를 연결하는 공기유통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The air inlet device 200 is an air inlet device for providing a space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burner room 100. The duct 210 connects the air inlet device 200 and the burner 300 Air circulation path.

상기 공기유입장치(200)는 덕트(210)가 연결되며 그 내부로는 공기가 유입될 때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흡음제가 내장된다. The duct 210 is connected to the air inflow device 200, and a sound absorbing material is embedded in the air inflow device 200 to suppress noise generated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duct 210.

상기 덕트(210)는 버너(300)의 공기유입부(310)에 연결되어 공기유입장치(200)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버너(30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한다.The duct 210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310 of the burner 300 to supp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200 to the interior of the burner 3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300)는 모터(400)에 의해 회전하는 팬 블로어(330)에 의해 공기유입부(310)를 통해 외부 공기가 버너(300) 내부로 유입되고, 팬 블로어(330)의 하단으로 부터 내부로 유입되면서 팬 블로어(330)의 회전에 따라서 노즐(350) 측으로 공급되고, 노즐(350)의 전단에 구성된 디퓨저(defuser)(320)에 의해 노즐(350) 전단으로 외부공기가 공급된다.
한편 펌프(360)에 의해 연료가 노즐(350)로 공급되고 노즐(350)을 통해 분사되며 전단의 점화장치(ignitor)(370)에 착화 되어 연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5,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burner 300 through the air inlet 310 by the fan blower 330 rotated by the motor 400, The nozzle 350 is suppli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lower 330 to the nozzle 35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an blower 330. The nozzle 350 is driven by a defuser 320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nozzle 350,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front end.
Meanwhile, the fuel is supplied to the nozzle 350 by the pump 360, is injected through the nozzle 350, and is ignited and ignited at the front ignitor 370.

상기 버너(300)의 정면으로는 상기와 같이 모터(400), 점화장치(370)를 제어하기 위한 점화제어전기장치 및 노즐(350)로 연료를 공급하는 펌프(360), 그리고 공기유입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배면은 연소공기유입관으로 연결되는 디퓨저(320)가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tor 400, the ignition control electrica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device 370, the pump 360 for supplying fuel to the nozzle 350, and the air inlet 310, and a diffuser 320 connected to the combustion air inlet pipe.

그리고 그 내부로는 공기유입부(310)를 통해 노즐(350) 측으로 공기유통경로가 형성되고, 공기유통경로 상에 공기유입부(31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블로어(330)가 구성되고, 팬 블로어(330) 내로 공기를 가드해주는 에어가드(340)가 구성된다. An air circulation path is formed through the air inlet 310 to the nozzle 350 and a fan blower 330 is installed on the air circulation path to suck air through the air inlet 310. [ And an air guard 340 for guiding air into the fan blower 330 is formed.

상기 공기유입부(310)에는 덕트(210)가 결합된다. The duct 210 is coupled to the air inlet 310.

도 7a, 도 7c는 팬 블로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다. 7A and 7C show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an blower.

팬 블로어(330)는 외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으로 구성되며 중앙부로는 공간이 구성되고 그 공간 내로는 모터(400)의 축이 끼워지며 에어가드(340)가 구성된다. The fan blower 330 is constituted by a fan for sucking air to the outside, a space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 shaft of the motor 400 is inserted into the space to constitute the air guard 340.

상기 에어가드(340)는 모터(400)의 설치판 배면상에 구성된 모터(400)의 축이 통과되며 공기유입부(310)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유통되는 구멍 주위로 구성되며 팬 블로어(330)와 결합되어 팬 블로어(3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때 팬 블로어(330)의 상면과 직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팬 블로어(330)의 팬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팬 블로어(330)에 의해 공기의 유입 및 유입된 공기를 노즐(350) 측으로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b는 에어가드(340)를 나타낸다.
The air guard 340 is formed around a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of the motor 400 configured on the mounting plate of the motor 400 passes and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310 flows, So that i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an of the fan blower 330 so as not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n blower 330 when being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an blower 33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lower 330 and the introduced air are smoothly discharged to the nozzle 350,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sucked and minimizing the noise.
7B shows the air guard 340. Fig.

상기 디퓨저(320)는 팬 블로어(330)에 의해 노즐(350) 측으로 공급된 공기를 노즐(350)의 전단으로 공급하는 수단으로, 팬 블로어(33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The diffuser 320 is a means for supplying the air supplied to the nozzle 350 side by the fan blower 330 to the front end of the nozzle 350. The diffuser 320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introduced by the fan blower 330 rotates do.

도 9 및 도 10에서는 디퓨저의 구조를 나타낸다. 9 and 10 show the structure of the diffuser.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320)의 팬(321) 꺽임을 후단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노즐(350)의 전단에서 공기가 확산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연소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불완전연소로 인한 냄새를 방지한다.10, the fan 321 of the diffuser 320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ir flowing in the rear end, so that the air can be diffused from the front end of the nozzle 350 The combustion rate can be increased to prevent smell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도 11 및 도 12는 디퓨저 팬(321)의 회전방향에 따른 공기확산 및 유동를 나타낸다.11 and 12 show the air diffusion and flow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iffuser fan 321. As shown in Fig.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디퓨저 후단의 공기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일 경우(a)에는 보다 직진성이 강화되며 동일방향일 경우(b)에는 디퓨저(320)단에서 확산되는 형태를 보임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1 and 12,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air at the downstream of the diffuser, the straightness is further enhanced in (a) and diffused in the diffuser 320 in the case of (b) have.

이에 따르면 불꽃이 디퓨저 후단의 공기의 회전방향과 동일할 경우에는 불꽃이 디퓨저 앞에서 확산되는 형태를 보이게 되며, 역방향일 경우에는 직진성을 보인다. According to this, when the flame is the same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ir at the rear end of the diffuser, the flame spreads in front of the diffuser.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lame is straight.

일반적으로 대용량에서 직진성이 유리하며 소용량 난방기에서는 확산되는 형태가 유리한 바, 본 발명의 구조는 실시 예적으로 대용량의 구조에서 설계 변경없이 소용량에도 적용할 수 있는 디퓨저 구조를 제공한다.
In general, the linearizer is advantageous in large capacity and is advantageous in the case of a small-capacity heate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ffuser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a small capacity without changing a design in a large-capacity structure.

이와 같은 본 발명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The operation of the burner system of the tubula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버너시스템이 가동되면, 모터(400)에 의해 팬 블로어(33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서 공기유입장치(200)의 외부로 부터 공기가 공기유입장치(200) 내로 유입되고, 덕트(210)를 통해 버너(300)의 공기유입부(310)로 흡입된다. When the burner system is operated, the fan blower 330 is rotated by the motor 400,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flow device 200 from the outside of the air inflow device 200, And is sucked into the air inflow portion 310 of the burner 300. [

이때 공기유입장치(200) 내에는 흡음제가 구성되어 있어서, 공기가 흡입될 때의 소음이 억제된다.At this time, a sound absorbing agent is formed in the air inflow device 200, so that noise when the air is sucked is suppressed.

이후, 팬 블로어(330)에 의해 공기유입부(310)로 유입되는 공기는 팬 블로어(330)의 내부로 흡입되어 노즐(350) 측으로 공급된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flow part 310 by the fan blower 330 is then sucked into the fan blower 330 and supplied to the nozzle 350 side.

이때 팬 블로어(330)의 내부 즉,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에 에어가드(340)가 구성되어 있어, 팬 블로어(330)의 회전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가드(340)에 의해 팬 블로어(330)의 내부로 유입 및 노즐(350)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된다.
이때 에어가드(340)가 팬 블로어(330)의 팬과 경사면을 이루고 있어서, 팬 블로어(330)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고 팬 블로어(330)를 통해 노즐(350) 측으로 배출될 때 소음이 최소화되고 또한 원활하게 공기가 배출된다. 따라서 흡입되는 공기량도 증가된다.
At this time, the air guard 340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an blower 330, that is, the space where the air is introduced. The air guided by the rotation of the fan blower 330 is guided by the air guard 340 to the fan blower 330 And to be discharged toward the nozzle 350 side.
At this time, since the air guard 340 forms an inclined surface with the fan of the fan blower 330, noise is minimized when air is introduced by the fan blower 330 and is discharged to the nozzle 350 side through the fan blower 330 Also, the air is exhausted smoothly. Therefore, the amount of air sucked is also increased.

디퓨저(320)에서는 상기와 같이 공급된 공기를 흡입하여 노즐(350)의 전단으로 공급하여, 노즐(350)의 전단에서 점화장치(370)에 의해 연료가 연소될 때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The diffuser 320 sucks the supplied air and supplies the air to the front end of the nozzle 350 so that sufficient air is supplied to the front end of the nozzle 350 when the fuel is burned by the ignition device 370.

여기서, 디퓨저(320)는 전달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 즉, 공기유동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노즐(350)의 전단에 뿌려지는 형태로 많은 양의 공기가 일시에 공급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연소율을 증가시키고, 불완전연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diffuser 320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low direction of the delivered air, that is, the air flow rotation direction, so that a large amount of air can be supplied at a time in a form sprinkled on the front end of the nozzle 350 So that the combustion rate can be increased and incomplete combustion can be prevented.

삭제delete

Claims (4)

버너를 통해 연료를 연소하면서 난방관으로 발생하는 열기를 이송하면서 난방이 수행되는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에 있어서,
버너룸(100) 내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버너룸(100)의 일 측에 형성된 공기유입장치(200)와, 공기유입장치(200)와 버너룸(100) 내에 설치된 버너(300)의 공기유입부(310)와 설치되어 공기유입장치(200)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버너(300)의 내부로 제공하기 위한 덕트(210)가 구성되며,
상기 버너(300)의 내부로는 공기유입부(310)로 부터 디퓨저(320)로 연결되는 공기유통경로 상에 구성되며 모터(400)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유입부(310)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노즐(350) 측으로 공급하는 팬 블로어(330)와, 공기가 유입되는 팬 블로어(330)의 내부 공간에 팬 블로어(330)의 회전에 따라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팬 블로어(330)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하는 에어가드(340)와, 팬 블로어(33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노즐(350)을 중심으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로 노즐(350)의 전단으로 공급하는 디퓨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
A burner system for a tubular heater in which heating is performed while transferring heat generated in a heating pipe while burning fuel through a burner,
An air inflow device 200 formed on one side of the burner room 100 and a burner 300 installed in the air inflow device 200 and the burner room 100 so that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burner room 100 A duct 210 for provid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310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200 into the burner 300 is formed,
The burner 300 is formed on the air circulation path connected from the air inlet 310 to the diffuser 320 and is rotated by the motor 400 to discharge the outside air through the air inlet 310 A fan blower 330 for sucking and supplying air to the nozzle 350 and a fan blower 330 for blowing outside air flow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fan blower 330 into the fan blower 33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an blower 330, And a diffuser 320 for supplying the air supplied by the fan blower 330 to the front end of the nozzle 350 with the air required for combustion around the nozzle 350 And a burner system for heating the tubular he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장치(200) 내부에는 공기가 유입될 때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흡음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
The tubular heater burne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ound absorbing material is disposed in the air inflow device (200) to prevent nois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air inflow device (20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드(340)는 공기를 노즐(350) 방향으로 배출이 원활하도록 팬 블로어(330)의 회전하는 팬과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
The air guard (34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air guard (340) comprise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angle with the rotating fan of the fan blower (330) Burner system of tubular heat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320)의 공기유동 회전방향은 노즐(350) 측으로 공급된 공기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디퓨저(320)의 팬(321) 꺽임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ir flow rotation direction of the diffuser (320) comprises a fan (321) break of the diffuser (320) so as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air supplied to the nozzle Wherein the burner system is a tubular heater.
KR1020130116242A 2013-09-30 2013-09-30 Burner system of the tube type heater Active KR101477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242A KR101477167B1 (en) 2013-09-30 2013-09-30 Burner system of the tube type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242A KR101477167B1 (en) 2013-09-30 2013-09-30 Burner system of the tube type he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167B1 true KR101477167B1 (en) 2014-12-30

Family

ID=5268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242A Active KR101477167B1 (en) 2013-09-30 2013-09-30 Burner system of the tube type 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1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025A (en) 2017-01-31 2018-08-08 헵시바주식회사 Hea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618A (en) * 1996-11-08 1998-08-05 구자홍 Air intake device for combustion of oil combustor
KR20020070953A (en) * 2002-08-26 2002-09-11 가재엽 Mobile heater
KR200335960Y1 (en) * 2003-09-25 2003-12-11 헵시바디지텍 주식회사 a pre-heated air supplying structure for a tube type heater
KR200436588Y1 (en) * 2007-06-26 2007-09-10 한대성 Burner for hea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618A (en) * 1996-11-08 1998-08-05 구자홍 Air intake device for combustion of oil combustor
KR20020070953A (en) * 2002-08-26 2002-09-11 가재엽 Mobile heater
KR200335960Y1 (en) * 2003-09-25 2003-12-11 헵시바디지텍 주식회사 a pre-heated air supplying structure for a tube type heater
KR200436588Y1 (en) * 2007-06-26 2007-09-10 한대성 Burner for he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025A (en) 2017-01-31 2018-08-08 헵시바주식회사 He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5480B2 (en) Apparatus for treating and preparing food by gas-fired heating and a heat exchange device for such an apparatus
CN101454614B (en) Heating cooker
EP1748254B1 (en) Gas fireplace
CN105745495A (en) Fuel/air mixture and combustion apparatus
CN116447746B (en) A flow channel system, combustion heat exchange component and gas water heater
US20140158110A1 (en) Home appliance with supplemental primary air supply
US7481210B2 (en) Gas range
JP2004177075A (en) Hot air heater
KR101477167B1 (en) Burner system of the tube type heater
US20100024794A1 (en) Direct-fired ductable heater
KR101408993B1 (en) Wood pellet stove heater
JP2004125261A (en) Hybrid hot air heater
KR101505885B1 (en) Fan heater
CA1193502A (en) Warm air blowing heater
KR20230067772A (en) Air heater
JP3789425B2 (en) Hot air heater
CN223076918U (en) Burners and gas water heaters
KR100786072B1 (en) Gas copy cooker
JP3031403B2 (en) Hot air heater
CN222811749U (en) Burners and gas water heaters
JP4259690B2 (en) Hot air heater
CN101957065B (en) Combustor of hot blast heater
KR20050097716A (en) Radiation gas range
CN100455891C (en) Gas radiant cooking appliances
KR0179140B1 (en) Combustion apparatus of hot/cold air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