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4001B1 -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001B1
KR101474001B1 KR1020130096491A KR20130096491A KR101474001B1 KR 101474001 B1 KR101474001 B1 KR 101474001B1 KR 1020130096491 A KR1020130096491 A KR 1020130096491A KR 20130096491 A KR20130096491 A KR 20130096491A KR 101474001 B1 KR101474001 B1 KR 101474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test
power supply
testing
lo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3009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0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험용 릴레이의 구동을 위한 전원과 시험부하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스위치 온과 스위치 오프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시험용 릴레이를 자동으로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 시키는 스위칭부 및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스위치 오프 시 역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시험부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RELAY}
본 발명은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의 역기전압(또는 역기전력)에 대한 내구 시험을 통해 릴레이의 안정성 및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실제로 릴레이가 적용된 필드에서 역기전압 발생에 의한 릴레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릴레이란, 전기 및 전자제품의 구동과 신호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부품으로서, 코일이 감겨진 철심에 전류를 흘리면 철심이 전자석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거의 모든 가전제품, 통신기기에 적용되는 범용 전자부품이다.
다시 말해 상기 릴레이는 입력(코일에 인가되는 전원 입력)이 임의의 설정 값에 도달했을 때 작동하여 상기 코일의 작동에 의해 움직이는 철편의 끝에 장착된 접점을 통해 다른 회로(또는 부하)에 전원을 입력하는 것으로, 접점 릴레이, 서멀(thermal) 릴레이, 광 릴레이 등이 있다. 상기 릴레이는 작은 전압(또는 전류)을 스위칭 하여 큰 전압(또는 전류)을 스위칭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릴레이가 손상되는 원인은 정해진 전류보다 높은 전류를 지속적으로 단속할 경우 내부 코일이 손상되거나 접점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습기에 의한 소손도 상당수 발생할 수 있으며, 다이오드가 내장된 경우 쇼트에 의한 강한 역전류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니트(ECU : 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 오프 시(①), 부하의 내부 인덕턴스 성분에 의한 역기전력(또는 역기전압)의 발생(②)으로 릴레이의 접점부에 아크(arc)가 발생(③)하여 손상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역기전력(reverse electromotive force)은 하나의 회로(즉, 부하)에 흐르는 전류가 변하는 경우, 상기 회로의 내부를 관통하는 자속도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역기전력은 회로에서 작용하는 기전력(정상으로 흐르고 있는 전류)의 방향과 반대가 된다. 이때 상기 역기전력은 부하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약 ??350V 정도이며 발생 시간은 약 7.5ms 정도이다.
그런데 상기 릴레이를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차량 내의 유니트 및 모터류의 각종 부하들을 작동한 후에야 비로소 릴레이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역기전력(또는 역전압)에 대한 릴레이의 내구성을 검증할 방법이 없었다.
여기서 상기 유니트는 솔레노이드 부하 및 모터류 이외의 차량이나 시스템(예 : 차량 에어컨 등) 내에서 한 가지 기능을 담당하는 부하들을 의미한다.
따라서 내구성이 검증되지 않은 릴레이를 장착한 후 릴레이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그 릴레이가 사용된 유니트에 따라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부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릴레이를 장착하기 전에 미리 내구성을 시험하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다른 손상 원인보다도 사용기간에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는 역기전력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하는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8-050984호(1998.09.15.공개, 차량용 에어컨의 역기전력 방지 회로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릴레이의 역기전압에 대한 내구 시험을 통해 릴레이의 안정성 및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릴레이의 역기전압에 대한 내구 시험을 통해 실제로 릴레이가 적용된 필드에서 역기전압 발생에 의한 릴레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는, 시험용 릴레이의 구동을 위한 전원과 시험부하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스위치 온과 스위치 오프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시험용 릴레이를 자동으로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 시키는 스위칭부; 및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스위치 오프 시 역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시험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시험용 릴레이를 장착하고,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내구성 시험 중 상기 시험용 릴레이가 손상되더라도 파편으로부터 시험자를 보호하는 시험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코일과 시험부하에 공통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코일과 시험부하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시험을 위하여 제1 시간 동안 스위치 온 시키고, 제2 시간 동안 스위치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프로그래머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험부하는,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스위치 오프 시, 원하는 레벨의 역기전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특정 값을 갖는 인덕턴스와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의 특정 값은 60mH 이상, 상기 저항의 특정 값은 3.8옴(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릴레이의 역기전압에 대한 내구 시험을 통해 릴레이의 안정성 및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실제로 릴레이가 적용된 필드에서 역기전압 발생에 의한 릴레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역기전력에 의해 발생된 아크에 의해 릴레이가 손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시험에 릴레이에 인가되는 역기전력을 그래프로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릴레이 내구 시험장치의 외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내구 시험장치의 시험조건 스펙을 테이블로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내구 시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내구 시험장치는, 전원 공급부(110), 타이머(120), 스위칭부(130), 시험챔버(140), 및 시험부하(1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제1 전압(예 : 14.5V)을 시험챔버(140) 내에 장착된 시험용 릴레이에 인가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릴레이의 코일과 시험부하(150)에 공통 전원이 인가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상기 릴레이의 코일과 시험부하(150)에 별도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독립 전원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내장형이나 외장형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타이머(120)는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 온 시간과 스위치 오프 시간을 조정한다. 예컨대 상기 릴레이를 제1 시간(예 : 2초) 동안 스위치 온 시키고, 상기 릴레이를 제2 시간(예 : 8초) 동안 자동으로 스위치 오프 시킨다.
상기 제1 시간과 제2 시간을 한 주기(1 Cycle)로 시험한다. 이때 상기 제1 시간 및 제2 시간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타이머(120)는 상기 제1 시간과 제2 시간을 소정의 시간단위(예 : 0.01초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120)는 프로그래머블 수단(예 :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타이머(120)가 프로그래머블 수단으로 구성될 경우, 시험 횟수 및 상기 제1 시간과 제2 시간을 가변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130)는 상기 타이머(120)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스위칭 된다.
상기 스위칭부(130)는 상기 스위칭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도통/차단시킴으로써, 상기 릴레이를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시킨다.
상기 시험챔버(140)는 상기 릴레이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릴레이에 구동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릴레이의 구동에 따라 시험부하(150)에 부하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험챔버(140)는 상기 릴레이의 내구성 시험 중 상기 릴레이가 손상되더라도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여 파편으로부터 시험자를 보호한다.
상기 시험챔버(140)는 상기 릴레이의 N.O(Normal Open) 접점이 연결된 단자에서 역기전압을 측정한다.
상기 릴레이의 N.O 접점은 평상시 오픈(Open) 상태로 있다가 상기 릴레이가 스위치 온 되는 경우에 클로즈(Close) 상태로 전환되어 시험부하(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시험부하(150)는 인덕턴스(L1)와 저항(R1)의 등가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시험부하(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 오프 시, 원하는 레벨의 역기전력(제2 전압)(예 : -100V)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상기 시험부하(150)의 상기 인덕턴스(L1)는 60mH 이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저항(R1)은 3.8옴(Ω) 이하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인덕턴스(L1)와 저항(R1)은 상기 원하는 역기전력(제2 전압)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릴레이 내구 시험장치의 외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 내구 시험장치는 내부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210)로 둘러싸여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 내구 시험장의 전면부에는 시험횟수 디스플레이부(240)와 타이머 시간 조정부(250) 및 전원 스위치(260)를 포함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 내구 시험장치의 후면부에는 시험부하 연결단자(220)와 외부 전원공급기 연결단자(230)를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 내구 시험장치의 외관 형상은 일 예시적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얼마든지 다른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에 배치된 수단들도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내구 시험장치의 시험조건 스펙을 테이블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내구 시험장치는 시험항목으로서, 전압, 릴레이 온/오프 시간, 시험부하, 주위온도, 전선 길이, 내구 시험횟수, 대상부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내구 시험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각 항목에 대한 시험 조건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압은 14.5V, 릴레이 온/오프 시간은 2초(ON)/8ch(OFF)를 1 주기로 설정하며, 시험부하는 60mH 이상(L1), 3.8옴(R1), 주위온도는 실내(60 ℃)와 엔진룸(90 ℃)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며, 전선의 길이는 1.5m 이상, 내구 시험횟수는 10만 횟수(사이클), 대상부하는 솔레노이드 부하(예 : 혼, 에어컨, 시동모터 등)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릴레이 내구 시험장치를 이용해 릴레이의 내구성을 미리 시험한 후 실차(또는 제품)에 반영함으로써 실차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내구 시험을 통해 릴레이 및 릴레이를 장착한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릴레이의 손상에 따른 비용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전원 공급부 120 : 타이머
130 : 스위칭부 140 : 시험챔버
150 : 시험부하 210 : 케이스
220 : 시험부하 연결단자 230 : 외부 전원공급기 연결단자
240 : 시험횟수 디스플레이부 250 : 타이머 시간 조정부
260 : 전원 스위치

Claims (8)

  1. 시험용 릴레이의 구동을 위한 전원과 시험부하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스위치 온과 스위치 오프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시험용 릴레이를 자동으로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 시키는 스위칭부; 및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스위치 오프 시 역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시험부하;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코일과 시험부하에 공통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코일과 시험부하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용 릴레이를 장착하고,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내구성 시험 중 상기 시험용 릴레이가 손상되더라도 파편으로부터 시험자를 보호하는 시험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시험을 위하여 제1 시간 동안 스위치 온 시키고, 제2 시간 동안 스위치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프로그래머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부하는,
    상기 시험용 릴레이의 스위치 오프 시, 원하는 레벨의 역기전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특정 값을 갖는 인덕턴스와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의 특정 값은 60mH 이상, 상기 저항의 특정 값은 3.8옴(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KR1020130096491A 2013-08-14 2013-08-14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74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91A KR101474001B1 (ko) 2013-08-14 2013-08-14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91A KR101474001B1 (ko) 2013-08-14 2013-08-14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001B1 true KR101474001B1 (ko) 2014-12-19

Family

ID=5267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4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4001B1 (ko) 2013-08-14 2013-08-14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0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7422A (zh) * 2015-04-27 2015-07-15 句容华源电器设备有限公司 弹簧储能型断路器合闸铁心动作、合闸失灵故障检测方法
KR20180045217A (ko) * 2016-10-25 2018-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릴레이의 내구성 시험장치
CN113866629A (zh) * 2021-11-24 2021-12-31 合肥邦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继电器性能及耐久性综合试验台
WO2024136202A1 (ko) * 2022-12-23 2024-06-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시스템, 릴레이 역기전력 보호 회로, 및 보호 회로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306B1 (ko) * 2007-05-07 2008-06-13 엄현덕 자동차용 배터리 활성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306B1 (ko) * 2007-05-07 2008-06-13 엄현덕 자동차용 배터리 활성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7422A (zh) * 2015-04-27 2015-07-15 句容华源电器设备有限公司 弹簧储能型断路器合闸铁心动作、合闸失灵故障检测方法
KR20180045217A (ko) * 2016-10-25 2018-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릴레이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2540915B1 (ko) 2016-10-25 2023-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릴레이의 내구성 시험장치
CN113866629A (zh) * 2021-11-24 2021-12-31 合肥邦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继电器性能及耐久性综合试验台
WO2024136202A1 (ko) * 2022-12-23 2024-06-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시스템, 릴레이 역기전력 보호 회로, 및 보호 회로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001B1 (ko) 릴레이의 내구 시험장치
US10796871B2 (en) Electric switch
ES2563279T3 (es) Circuito de protección térmica y de regulación de potencia de motores eléctricos
WO2009009232A3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tator winding resistance in an ac motor
US20180259582A1 (en) Household appliance
JP6751206B2 (ja) 電力接触器及び電力接触器用ハウジング体の製造方法
KR102432318B1 (ko) 하이브리드 pra 제어방법
US20100027183A1 (en) single coil actuator for low and medium voltage applications
JP2015126544A5 (ko)
KR101233958B1 (ko) 엔진 시동 장치
KR100753736B1 (ko) 차량용 시동기의 전기 모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 및 차량용 시동기
KR20130108539A (ko) 차량의 스타터 작동 방법 및 그 장치
CN102047521B (zh) 变压器的保护系统
CN104396144A (zh) 功率输出级、用于运行的方法
KR101483286B1 (ko) 릴레이의 채터링 시험장치
JP2011523762A (ja) 噛み合わせリレーおよびスタータ
US8179083B2 (en) Starting device for electric motors
DE50304601D1 (de) Elektrische Heiz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20110205677A1 (en) Switch-on protection device for an electrical device that can be operated on a supply voltage
KR101332842B1 (ko) 차량의 쇼트 판단장치
JP6014618B2 (ja) 電磁弁駆動回路
US10818446B2 (en) Device to attenuate arc faults in an electric distributor
US10821924B2 (en) Vehicle power supply circuit
KR101922553B1 (ko) 바이메탈을 이용한 릴레이 독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798859B1 (ko) 전류 제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스위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