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2861B1 -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 Google Patents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861B1
KR101472861B1 KR1020130016840A KR20130016840A KR101472861B1 KR 101472861 B1 KR101472861 B1 KR 101472861B1 KR 1020130016840 A KR1020130016840 A KR 1020130016840A KR 20130016840 A KR20130016840 A KR 20130016840A KR 101472861 B1 KR101472861 B1 KR 101472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visible light
near infrared
present
co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461A (ko
Inventor
손대희
이헌동
전승엽
허진
김진모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 씨에프씨테라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에프씨테라메이트 filed Critical (주) 씨에프씨테라메이트
Priority to KR102013001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861B1/ko
Priority to PCT/KR2014/001244 priority patent/WO2014126425A1/ko
Publication of KR2014010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8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에 부착되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필름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차폐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층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입자가 분산된 도포액을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코팅하여 형성되어, 향상된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면서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선명성이 향상되며, 향상된 내후성, 내열성 및 내광성을 가지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Film having sheilding properties of visible and near-infrared rays}
본 발명은 윈도우에 부착되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필름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차폐층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층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입자가 분산된 도포액을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코팅하여 형성되어, 향상된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면서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선명성이 향상되며, 향상된 내후성, 내열성 및 내광성을 가지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에 대한 것이다.
건물, 자동차 등의 원도우에는 근적외선을 차단하여 열을 차폐하는 필름이 부착되는데, 상기 필름들은 열을 차폐하기 위해 열차폐 물질을 포함한다.
아래 표시한 특허문헌을 참조하면, 대표적인 열차폐 물질로, 안티몬틴옥사이드(ATO), 인듐틴옥사이드(ITO), 텅스텐 브론즈(Tungsten Bronze), 카본 블랙 및 프탈로시아닌계, 디임모늄계, 디티올렌계 등의 염료 형태의 유기색소 등이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0736662호(2007. 07. 09. 공고) "투명체판용 적외선 차단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0354362호(2003. 03. 10. 공고) "근적외선흡수필름,및이필름을포함하는다층패널"
하지만, 상기 안티몬틴옥사이드의 경우 1500 ~ 2000nm의 빛이 흡수되므로 완벽한 근적외선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높은 근적외선 차단율을 가지게 위해서는 많은 안티몬틴옥사이드를 첨가하여 필름을 제조하여야 하는데, 과도한 안티몬틴옥사이드을 함유한 필름은 크랙, 백탁현상 및 경시변화가 발생하기가 쉽고, 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인듐틴옥사이드의 경우 높은 적외선 차단 특성을 나타내지만 인듐(indium)은 세계적으로 높은 가격의 원료로 잘 알려져 있고 많은 IT 업계에서는 인듐틴옥사이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찾는 게 현실이며, 열차폐 필름제조에서도 이런 고가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은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텅스텐 브론즈의 경우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 및 근적외선 차단율을 가지나, 가시광선 투과도가 낮고 근적외선 차단 특성을 요하는 필름에는 적합하지 않고, 합성 과정이나 재료 등이 고가여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카본 블랙의 경우 가시광선 흡광률이 근적외선 흡광율보다 현저히 높아 근적외선 차단 효과보다는 가시광선 차단하는 소재로 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카본블랙의 특성상 고농도의 분산액 제조가 어렵고 필름 제조시 헤이즈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유기색소를 활용한 필름은 지속적인 자외선, 열 및 습도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서 색소 파괴 등의 원인으로 효과의 지속을 오래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면서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내후성, 내광성 및 내열성 등이 향상된 필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입자를 분산시킨 용액을 코팅하여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하는 차폐층을 형성하므로, 향상된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면서도 고가의 원료 및 성막 방법(예컨대, 진공증착, 화학기상증착 등)을 사용하지 않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효율이 높은 무기화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무기화합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나노미터 크기의 상기 무기화합물을 분산하여 차폐층을 형성하므로, 필름의 헤이즈 값이 낮아 선명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을 포함하여 향상된 내후성, 내열성 및 내광성을 가지므로 사용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층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에 있어서 상기 무기화합물은 질화지르코늄(ZrN), 질화하프늄(HfN),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질화티타늄(TiN), 질화탄탈륨(TaN, Ta2N), 질화바나듐(VN), 질화크롬(CrN, Cr2N), 질화몰리브덴(Mo2N), 질화니오브(NbN) 및 질화텅스텐(WN, W2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에 있어서 상기 무기화합물은 1 ~ 900nm의 입자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은 상기 차폐층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차폐층을 지지하는 지지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상기 무기화합물 입자가 분산된 도포액을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직경이 30nm인 질화티타늄 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94중량부 및 분산제 1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지르코늄 비드를 이용한 볼밀법에 의해 분산액을 생성하고, 상기 분산액을 하드코팅용 수지에 혼합하여 생성된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및 롤투롤 코팅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지지층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용 수지는 자외선 경화수지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은 안티몬틴옥사이드(ATO), 인듐틴옥사이드(ITO), 텅스텐 브론즈(Tungsten Bronze), 프탈로시아닌계·디임모늄계·디티올렌계의 염료 형태의 유기색소가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입자를 분산시킨 용액을 코팅하여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하는 차폐층을 형성하므로, 향상된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면서도 고가의 원료 및 성막 방법(예컨대, 진공증착, 화학기상증착 등)을 사용하지 않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효율이 높은 무기화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무기화합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나노미터 크기의 상기 무기화합물을 분산하여 차폐층을 형성하므로, 필름의 헤이즈 값이 낮아 선명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을 포함하여 향상된 내후성, 내열성 및 내광성을 가지므로 사용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필름은 지지층(1)과, 상기 지지층(1)의 상면에 형성되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차폐층(2)과, 상기 지지층(1)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름이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점착층(3)과, 상기 점착층(3)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름이 윈도우에 부착되기 전 상기 필름을 보호하는 이형시트(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층(1)은 그 상면에 차폐층(2)이 코팅되어 상기 차폐층(2)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수행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층(1)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불소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비닐 부틸랄 등이 사용될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층(1)에 상기 차폐층(2)을 코팅하여 열풍 건조 및 UV 조사를 하게 되면 상기 지지층(1)의 온도가 120℃ 이상으로 상승하여 일반적인 플라스틱 기재는 열변형 온도를 가지게 되고 열변형 온도 이상일 때는 기재 자체에 변형이 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열변형온도가 제일 높은 플라스틱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층(2)은 상기 지지층(1)의 상면에 형성되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상기 차폐층(2)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입자가 분산된 도포액을 상기 지지층(1)의 상면에 코팅하여 형성되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을 차단한다.
상기 무기화합물은 질화지르코늄(ZrN), 질화하프늄(HfN),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질화티타늄(TiN), 질화탄탈륨(TaN, Ta2N), 질화바나듐(VN), 질화크롬(CrN, Cr2N), 질화몰리브덴(Mo2N), 질화니오브(NbN) 및 질화텅스텐(WN, W2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화합물은 1 ~ 900nm의 입자 직경을 가진다. 상기 차폐층(2)은 안티몬틴옥사이드(ATO), 인듐틴옥사이드(ITO), 텅스텐 브론즈(Tungsten Bronze), 프탈로시아닌계·디임모늄계·디티올렌계의 염료 형태의 유기색소가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상기 필름은 상기 지지층(1)의 하면에 형성되는 점착층(3)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3)은 상기 지지층(1)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름을 윈도우에 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점착층(3)의 하면에는 이형시트(4)가 부착된다. 상기 필름을 윈도우에 부착하고자 할 때에 이형시트(4)를 제거하고 상기 점착층(3)을 윈도우 표면에 붙이면 상기 필름을 상기 윈도우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층(3)은 아크릴계 중합체, 아크릴 에스테르와 다른 작용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상기 지지층(1)의 하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형성된다. 상기 혼합물의 도포방법으로는 예컨대, 분무 코트법, 그라비아코트법, 롤브러쉬법, 함침법 등을 사용되고, 상기 혼합물의 건조방법으로 가열, 자외선조사, 전자파조사에 의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필름은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형성되는 이형시트(4)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이형시트(4)는 상기 필름의 사용 전에 상기 점착층(3)에 부착되어 상기 점착층(3)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필름을 사용할 경우 상기 이형시트(4)를 탈착하여 상기 필름을 윈도우에 부착한다. 상기 이형시트(4)는 지지기재에 박리처리제를 도포하여 형성하는데, 상기 박리처리제로서는 실리콘수지, 알키드수지 등이 사용되며 상기 지지기재로서는 종이, 합성지, 합성수지필름 등이 사용된다. 상기 종이로는 예를 들면 글라신지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합성수지필름으로는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염화비닐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필름에서 이형시트(4)를 제거하고 점착층(3)을 윈도우에 맞댄 후 압력을 가해 상기 필름을 윈도우에 부착시키면, 상기 차폐층(2)에 분산되어 있는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입자가 대부분의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을 흡수하여 극히 일부만의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이 상기 윈도우를 통과하여 실내 공간에 유입되게 된다. 상기 필름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입자를 분산시킨 용액을 코팅하여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하는 차폐층(2)을 형성하므로, 향상된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면서도 인듐 같은 고가의 원료 및 진공증착, 화학기상측착 등의 성막방법을 사용하지 않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필름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효율이 높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무기화합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나노미터 크기의 상기 무기화합물을 분산하여 차폐층(2)을 형성하므로, 필름의 헤이즈 값이 낮아 선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필름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을 포함하여 향상된 내후성, 내열성 및 내광성을 가지므로 사용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상기 필름은 지지층(1)의 상면에 차폐층(2)을 형성하는 차폐층 형성단계(S1)와, 상기 차폐층 형성단계(S1)에서 차폐층(2)을 형성한 다음 지지층(1)의 하면에 점착층(3)을 형성하는 점착층 형성단계(S2)와, 상기 점착층 형성성단계(S2)에서 점착층(3)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점착층(3)의 하면에 이형시트(4)를 부착하는 이형시트 부착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층 형성단계(S1)는 지지층(1)의 상면에 차폐층(2)을 형성하는 단계로, 분산액 형성단계(S11), 도포액 형성단계(S12), 코팅단계(S13), 경화단계(S14)를 포함한다.
상기 분산액 형성단계(S11)는 상기 질소를 포함하는 무기화합물이 분산된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1 ~ 900nm의 직경의 무기화합물 1 ~ 8 중량%, 분산제 0.5 ~ 1.5 중량% 및 용제 85 ~ 98 중량%를 혼합한 다음 지르코늄 비드를 이용한 볼밀법에 의해 분산액을 형성한다. 상기 용제로는 메틸에틸케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화합물 입자는 서로 응집되어 있으면 광학적인 특성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상기 무기화합물 입자를 분산시킴으로써 광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분산액을 형성한다.
상기 도포액 형성단계(S12)는 상기 분산액 형성단계(S11)에서 형성된 상기 분산액을 지지층(1)에 코팅하여 차폐층(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산액이 혼합된 도포액을 형성하는 단계로, 분산액 50 중량%, 하드코팅용 수지 50%를 혼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하드코팅용 수지는 예컨대 자외선 경화수지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단계(S13)는 상기 도포액 형성단계(S12)에서 형성된 상기 도포액을 상기 지지층(1)의 상면에 도포하는 단계로, 도포방법으로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및 롤투롤 코팅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단계(S14)는 상기 코팅단계(S13) 후에 상기 도포액을 경화시켜 차폐층(2)을 형성하는 단계로, 자외선 조사, 열조사, 전자파 조사의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 형성단계(S2)는 상기 차폐층 형성단계(S1) 후에 상기 지지층(1)의 하면에 점착층(3)을 형성하는 단계로, 아크릴계 중합체, 아크릴 에스테르와 다른 작용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상기 지지층(1)의 하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점착층(3)을 형성한다. 상기 혼합물의 도포방법으로는 예컨대, 분무 코트법, 그라비아코트법, 롤브러쉬법, 함침법 등을 사용되고, 상기 혼합물의 건조방법으로 가열, 자외선조사, 전자파조사에 의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형시트 부착단계(S3)는 상기 점착층 형성단계(S2) 후에 상기 점착층(3)의 하면에 상기 점착층(3)을 포호하는 이형시트(4)를 부착하는 단계로, 상기 이형시트(4)는 종이 등의 지지기재에 박리처리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직경이 30nm인 질화티타늄 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94중량부 및 분산제 1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볼밀링기를 이용해서 24시간 분산을 실시하여 분산액을 형성하였다.
2) 상기 분산액 10중량부 및 하드코팅용 아크릴계 점착제(고형분 20%)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도포액을 형성하였다.
3) 상기 도포액을 PET수지 필름 상면에 바 코팅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80℃도의 열풍건조기에서 30초간 건조하여 차폐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1) 직경이 30nm인 질화티타늄 6중량부, 메틸에틸케톤 93중량부 및 분산제 1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볼밀링기를 이용해서 24시간 분산을 실시하여 분산액을 형성하였다.
2) 상기 분산액 10중량부 및 하드코팅용 자외선 경화수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도포액을 형성하였다.
3) 상기 도포액을 PET수지 필름 상면에 바 코팅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자외선 경화기를 이용하여 경화시켜 차폐층을 형성하였다.
<시험예>: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광학적 특성 확인
-시험 목적: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 및 선명도 확인
-시험 방법: 실시예 1 및 2에 의해 제조된 필름에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여 가시광선(550nm)와 근적외선(950nm)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JISK7105에 근거해 헤이즈값 측정
-결과 확인: 시험결과는 하기의 표 1 및 실시예 1에 의한 제조된 필름의 빛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인 도 5와 같다.
구분 가시광선(550nm) 투과율 근적외선(950nm) 투과율 헤이즈 값
실시예 1 6% 7% 1.4%
실시예 2 5% 5.6 1.8%
상기 표 1 및 도 5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의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고, 헤이즈값이 낮아 상기 필름의 선명도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지지층 2: 차폐층 3: 점착층 4: 이형시트

Claims (8)

  1.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차폐층과, 상기 차폐층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차폐층을 지지하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층은 직경이 30nm인 질화티타늄 입자 5~6중량부, 메틸에틸케톤 93~94중량부 및 분산제 1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지르코늄 비드를 이용한 볼밀법에 의해 분산액을 생성하고, 상기 분산액 10중량부를 하드코팅용 수지 10중량부에 혼합하여 생성한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및 롤투롤 코팅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지지층에 코팅하여 형성되어,
    가시광선 투과율이 5~6%이고, 근적외선 투과율이 5.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용 수지는
    자외선 경화수지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은
    안티몬틴옥사이드(ATO), 인듐틴옥사이드(ITO), 텅스텐 브론즈(Tungsten Bronze), 프탈로시아닌계·디임모늄계·디티올렌계의 염료 형태의 유기색소가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KR1020130016840A 2013-02-18 2013-02-18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Active KR10147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840A KR101472861B1 (ko) 2013-02-18 2013-02-18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PCT/KR2014/001244 WO2014126425A1 (ko) 2013-02-18 2014-02-14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840A KR101472861B1 (ko) 2013-02-18 2013-02-18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461A KR20140103461A (ko) 2014-08-27
KR101472861B1 true KR101472861B1 (ko) 2014-12-16

Family

ID=5135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840A Active KR101472861B1 (ko) 2013-02-18 2013-02-18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2861B1 (ko)
WO (1) WO201412642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22B1 (ko) 2016-03-29 2016-07-11 김민식 블루라이트 차단 필름을 포함하는 led 조명등
KR20200027224A (ko)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한별 유리 코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9024B1 (ko) * 2018-12-07 2020-05-27 이종만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114A (ko) 2015-10-06 2016-08-17 주식회사 필링크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5841A (ko) 2016-04-27 2017-02-09 주식회사 필링크 홀로그램을 갖는 유리창 부착용 착색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9485097A (zh) * 2018-12-17 2019-03-19 深圳大学 一种铯铪钨青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498906B (zh) * 2019-07-17 2022-05-10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透明遮热材料、透明遮热微粒子分散体及其制法及用途
KR102211975B1 (ko) * 2019-09-06 2021-02-04 미래솔레어 주식회사 적외선 차폐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차폐용 필름
KR20220039148A (ko) 2020-09-22 2022-03-29 박민우 낚시용 손전등
KR102558045B1 (ko) * 2021-01-12 2023-07-21 주식회사 레이노코리아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744621B1 (ko) * 2021-12-10 2024-12-23 한국기계연구원 능동 복사 제어 윈도우
KR20240143033A (ko) 2023-03-23 2024-10-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자동차 또는 건물용 창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8255A (ja) * 2009-12-07 2011-06-16 Asahi Glass Co Ltd 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および撮像装置・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4188B2 (ja) * 1998-03-16 2006-02-08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膜形成用塗布液及び熱線遮蔽膜
JP2004025586A (ja) * 2002-06-25 2004-01-29 Asahi Glass Co Ltd 熱線遮断性フッ素樹脂複合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屋根材
KR101173904B1 (ko) * 2011-02-28 2012-08-1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8255A (ja) * 2009-12-07 2011-06-16 Asahi Glass Co Ltd 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および撮像装置・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22B1 (ko) 2016-03-29 2016-07-11 김민식 블루라이트 차단 필름을 포함하는 led 조명등
KR20200027224A (ko)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한별 유리 코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9024B1 (ko) * 2018-12-07 2020-05-27 이종만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6425A1 (ko) 2014-08-21
KR20140103461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861B1 (ko)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JP2005062506A (ja) 近赤外線吸収性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フィルム
CN109963710B (zh) 用于热管理的透明多层体
JP2004536733A (ja) 低い熱伝導性、高い光透過率および近赤外線領域における吸収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製品
WO2015198762A1 (ja) 光学反射フィルム、光学反射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光学反射体
JP6265003B2 (ja)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および自動車、建造物
JP2002264278A (ja) 近赤外線カッ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Mohammadian-Kohol et al.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gamma-ray radiation effects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polyvinyl butyral film
US20190344538A1 (en) Opaque multi-layer body of polycarbonate for heat management
CN114761838B (zh) 树脂面板和红外线传感器
KR101525999B1 (ko) 열전사 필름
JP2016068423A (ja) 窓外面用耐候性遮熱フィルム
JP2004361525A (ja) 光学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JP2007140098A (ja)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ム
KR102132280B1 (ko)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JP6204227B2 (ja) 水性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6892002B2 (ja) 樹脂パネル及び赤外線センサー
KR101067718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리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8295B1 (ko)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비산방지필름
JP2007017742A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及びディスプレイ
JP2007078786A (ja)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ム
JP6268838B2 (ja) 赤外線遮蔽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21560A (ja) 可視光調整フィルター
JP2019111887A (ja) 車両ウインドウ用積層体
JP3925934B2 (ja) 可視光調整フィルター及び可視光透過率調整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