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7984B1 -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984B1
KR101467984B1 KR1020130069396A KR20130069396A KR101467984B1 KR 101467984 B1 KR101467984 B1 KR 101467984B1 KR 1020130069396 A KR1020130069396 A KR 1020130069396A KR 20130069396 A KR20130069396 A KR 20130069396A KR 101467984 B1 KR101467984 B1 KR 101467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lever
gear
lever
drive modul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용
Original Assignee
고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용 filed Critical 고병용
Priority to KR102013006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98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디지털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디지털 도어락은, 데드볼트를 동작시켜주는 메인 데드레버에 일체로 형성된 데드레버기어와 상기 메인 데드레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의 종동기어가 상호 치합 연결되고, 래치볼트만 동작시켜주는 래치레버와 상기 메인 데드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보조 데드레버가 동축상으로 조합된 패닉레버가 상기 구동모듈과 접촉되게 배치된 디지털 도어락으로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데드레버기어로부터 종동기어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유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 데드레버의 구동모듈과의 접촉구간 일부에, 보조 데드레버의 회전시 상기 데드레버기어와 종동기어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모듈을 밀어내기 위한 푸쉬돌기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데드레버는, 레버부 및 상기 데드레버기어가 형성되고, 일단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원통케이스; 및 상기 원통케이스의 내부에 헐겁게 삽입된 채,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키홈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원통케이스의 일단부와 접촉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원통케이스의 일단부와 접촉되는 면상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원호형의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모듈의 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요홈이 형성된 키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실내손잡이를 조작할 경우 데드레버와 구동모듈 간의 치합관계를 이간시켜줌으로써 기어가 손상되는 경우의 수를 제거한 것에 제1 특징이 있고, 비상키에 의해 보조 데드레버를 강제 조작할 때 메인 데드레버와 구동모듈 간의 치합관계를 이간시켜줌으로써 비상키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제2 특징이 있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삽입식 키이(key)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또는 열었던 기존의 방식을 대체하여 버튼식 또는 접촉식 키이 등을 이용하여 도어를 열 수 있고, 도어를 닫았을 때는 자동으로 도어가 잠기도록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으로서 기존 대비 도어를 열거나 또는 잠금하는 과정이 간소화됨과 아울러 방범기능이 강화되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자동으로 작동되는 데드볼트와, 수동으로 작동되는 래치볼트에 의한 이중잠금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실내손잡이를 조작하였을 때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이중잠금상태를 일시에 해제시킬 수 있는 이른 바 패닉기능(panic function)도 갖추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국내특허등록 제10-543831호(선행자료 1)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로서, 패닉 기능을 갖춘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개략도이다.
위 도면에 따르는 선행자료 1에서 개시된 디지털 도어락은, 도 1에서와 같이, 실내손잡이(1)와 연결핀(3), 내측 래치레버(5)가 상호 연결되어 연동 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실외손잡이(7)와 연결축(9), 외측 래치레버(11)가 상호 연결되어 연동 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로부터, 실외측에서 디지털 도어락을 열기 위해서는 전자키를 이용하거나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데드볼트(13)가 데드레버(17)에 의해 케이스의 내부로 몰입됨에 따라 1차적으로 잠금이 해제되고, 실외손납이(7)를 회전 조작하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던 래치볼트(15)도 외측 래치레버(11)에 의해 케이스의 내부로 몰입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즉, 실외측에서는 데드볼트(13)와 래치볼트(15)가 개별적으로 조작되는 것이다.
반면, 실내측에서는 실내손잡이(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3과 같이, 내측 래치레버(5) 및 데드레버(17)가 연동되면서 데드볼트(13) 및 래치볼트(15)가 일시에 케이스의 내부로 몰입됨으로써 1회 조작만으로도 도어를 열 수 있는 패닉기능을 발휘하게 됨에 따라 유사시에 신속하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국내특허등록 제10-0543829호(선행자료 2)에는 상기 데드레버(17)의 구동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선행자료 2에 개시된 데드레버 구동수단은 케이스에 내장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 상에 결합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 종동기어와, 상기 제1 종동기어에 치합되는 제2 종동기어와, 상기 제2 종동기어에 치합되는 제3 종동기어와, 상기 제3 종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데드레버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4 종동기어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상호 연결관계에 있는 구동기어 및 제1 ~ 4 종동기어가 연쇄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4 종동기어와 일체로 된 데드레버가 회전하게 되고, 데드레버와 연결관계에 있는 데드볼트가 직선운동하여, 잠금 및 열림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데드레버 구동수단은 각 기어들이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데드볼트가 동작되는 과정 중에 사용자가 실내손잡이를 조작하게 되면 구동모터와 데드레버 사이의 기어들이 파손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데드볼트가 구동모터에 의해 몰입되는 순간에, 실내손잡이를 조작하면 데드볼트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에 의해 각 기어들이 데드볼트가 몰입되는 방향으로(정방향) 회전되는 과정에서 실내손잡이를 조작하게 되면 각 기어들이 역방향으로 부하를 받게 되므로 기어파손의 원인이 되었다.
다른 예로써, 디지털 도어락이 고장으로 인해 작동 불능인 상태가 되면, 비상키를 이용하여 데드볼트를 강제로 조작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데드레버에 형성된 키홀에 비상키를 삽입하고 회전시키게 되면, 데드레버가 회전하면서 데드볼트를 강제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각 기어들은 정지되어 있는 구동모터에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데드레버를 강제로 조작하게 되면 기어들에게 부하가 작용되어 수명을 단축킴은 물론 데드레버를 강제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실내손잡이를 조작할 경우 데드레버와 구동모듈 간의 치합관계를 이간시켜줌으로써 기어가 손상되는 경우의 수를 제거한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키에 의해 보조 데드레버를 강제 조작할 때 메인 데드레버와 구동모듈 간의 치합관계를 이간시켜줌으로써 기어에 작용되는 부하를 줄이고 비상키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드볼트를 동작시켜주는 메인 데드레버에 일체로 형성된 데드레버기어와 상기 메인 데드레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의 종동기어가 상호 치합 연결되고, 래치볼트만 동작시켜주는 래치레버와 상기 메인 데드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보조 데드레버가 동축상으로 조합된 패닉레버가 상기 구동모듈과 접촉되게 배치된 디지털 도어락으로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데드레버기어로부터 종동기어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유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 데드레버의 구동모듈과의 접촉구간 일부에, 보조 데드레버의 회전시 상기 데드레버기어와 종동기어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모듈을 밀어내기 위한 푸쉬돌기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데드레버는, 레버부 및 상기 데드레버기어가 형성되고, 일단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원통케이스; 및 상기 원통케이스의 내부에 헐겁게 삽입된 채,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키홈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원통케이스의 일단부와 접촉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원통케이스의 일단부와 접촉되는 면상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원호형의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모듈의 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요홈이 형성된 키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듈이 이격되는 반대쪽에서 구동모듈을 탄력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은, 그 하부 일측을 힌지축으로 하여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의 본 발명은 데드볼트가 구동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가동되는 중에 실내손잡이를 조작할 경우 데드레버와 구동모듈 간의 연결관계를 단절시켜서 구동모듈로부터 데드레버로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되게 하여 실내손잡이에 의해서만 데드볼트가 조작되도록 함에 따라 기어파손의 일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이 가동 불능 상태에서 비상키에 의해 데드레버를 강제 조작할 때, 데드레버와 구동모듈 간의 치합관계를 이간시켜서 비상키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고 기어 및 구동모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패닉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상태도이다.
도 3은 종래 디지털 도어락의 패닉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데드레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닉레버의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닉레버의 작동에 따른 구동모듈의 변위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데드레버의 작동에 따른 구동모듈의 견위 상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일반의 디지털 도어락과 마찬가지로, 케이스(100), 데드볼트(200), 메인 데드레버(300), 래치볼트(400), 래치레버(500) 및 패닉레버(600) 및 구동모듈(7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들 요소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드볼트(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상측에, 케이스(100)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수평 설치된다. 이러한 데드볼트(200)는 디지털 도어락의 메인 잠금요소이다.
메인 데드레버(3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채 상기 구동모듈(7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데드볼트(200)를 직선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래치볼트(4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데드볼트(200)의 하부에 배치된 채 데드볼트(200)와 같은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패닉레버(6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채, 도시되지 않는 실외손잡이에 의해 상기 래치레버(500)를 단독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실내손잡이에 의해 레치레버(500) 및 메인 데드레버(300)를 동시에 동작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 구체적인 구성을 후술한다.
구동모듈(700)은 상기 메인 데드레버(300)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은 메인 데드레버(300), 패닉레버(600) 및 구동모듈(700)의 구성을 개선하여 기어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개선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데드레버(300)는, 도 5에서와 같이, 원통케이스(310) 및 키블록(320)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케이스(3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데드볼트(200)의 연결홈(210:도 4에 도시됨)에 끼워지는 레버부(311)가 형성되고, 원통케이스(310)의 도면상 하측 원주면 상에는 부채꼴 형태의 데드레버기어(312)가 형성되며, 원통케이스(310)의 원주면 상에는 작동돌기(3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부(311)는 원통케이스(310)와 메인 데드레버(300)를 연결하여 주는 커넥터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데드레버기어(312)는 상기 구동모듈(700)의 종동기어(후술함)와 치합되어 구동모듈(70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원통케이스(310)가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작동돌기(313)는 상기 패닉레버(600)의 보조 데드레버(후술함)에 접촉된 채 보조 데드레버의 회전에 따라 원통케이스(310)도 연동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케이스(310)는 일단(도면상 우측단)에 돌기부(314)가 형성된다. 돌기부(314)는 후술될 키블록(320)의 장홈에 삽입된다.
키블록(320)은n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원통케이스(310)의 내부에 헐겁게 삽입되는 원기둥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원통케이스(310)의 내부에서 자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키블록(320)은 그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키홈(321)이 형성된다. 상기 키홈(321)은 디지털 도어락이 가동 불능 상태일 때 비상키를 삽입하여, 키블록(320)을 강제로 회전시켜서 원통케이스(310) 및 이 원통케이스와 연결관계에 있는 상기 메인 데드레버(300)를 강제로 동작시키고자 할 때 활용된다.
또한, 상기 키블록(320)은 그 일단부(도면상 우측단부)에 원통케이스(310)의 일단부(도면상 우측단부)와 접촉되는 플랜지부(3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키블록(320)은 상기 플랜지부(322)의 원통케이스(310)의 일단부와 접촉되는 면상에, 상기 돌기부(314)가 삽입되는 원호형의 장홈(323)이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부(314)는 장홈(321)의 길이범위 내에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블록(320)의 상기 플랜지부(322)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모듈(700)의 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반달형의 요홈(324)이 형성된다.
이상의 메인 데드레버(300)는 원통케이스(310)에 형성된 돌기부(314)와, 상기 키블록(320)에 형성된 장홈(323) 및 요홈(324)이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이 구성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 패닉레버(600)는, 도 6에서와 같이, 래치레버(500) 및 보조 데드레버(610)가 동축상으로 조합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래치레버(500)는 상기 래치볼트(400)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이 동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보조 데드레버(610)는 상기 한 쌍의 래치레버(500) 사이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회전시 상기 메인 데드레버(300)의 작동돌기(313)를 밀어서 원통케이스(310)를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한 쌍의 래치레버(500) 중, 실외측에 배치되는 래치레버에는 실외손잡이(미도시)와 결합되고, 실내측에 배치되는 래치레버 및 상기 메인 데드레버(300)는 실내손잡이(미도시)와 결합된다. 따라서, 실외손잡이를 회전조작하면 실외측에 배치되는 래치레버만이 회전하고, 실내손잡이를 회전조작하면 실내측에 배치되는 래치레버 및 메인 데드레버(30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된 바 있는 패닉기능으로서, 데드볼트(200) 및 래치볼트(400)를 한꺼번에 몰입되게 함으로써 실내에서는 도어를 신속하게 열 수 있게 해 주는 편리한 기능이다.
또한, 상기 패닉레버(600)는 그 외주면이 상기 구동모듈(700)과 접촉상태로 설치되는데, 특히 상기 보조 데드레버(610)의 구동모듈(700)과의 접촉구간 일부에는 보조 데드레버(610)의 회전동작시 상기 데드레버기어(312)와 구동모듈(700)의 부속물인 종동기어(후술됨)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모듈(700)을 밀어내기 위한 푸쉬돌기(611)가 형성된다.
상기 푸쉬돌기(611)는 패닉레버(600)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이 구성의 필요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구동모듈(700)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는 하우징(71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710)은 도 7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데드레버기어(312)로부터 후술될 종동기어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유동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710)의 하부 일측이 힌지축(h)을 기점으로 그 상부가 회동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10)의 상기 데드레버기어(312)와 이격되는 방향의 반대쪽에는 스프링(720)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720)은 하우징(710)의 상부를 데드레버기어(312) 쪽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구동모듈(700)은 상기 하우징(7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730)를 갖는다.
또한, 구동모듈(700)은 상기 구동모터(730)의 축에 결합되는 웜기어 형태의 구동기어(740)를 갖는다.
또한, 구동모듈(700)은 상기 하우징(710)의 내측 상부에 내장된 채 상기 구동기어(740)와 치합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750)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종동기어가 2개 설치된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작동과정은 메인 데드레버(300, 패닉레버(600) 및 구동모듈(700)의 관계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패닉레버(600)를 작동하였을 때를 살펴본다.
구동모듈(700)에 의해 메인 데드레버(300)가 회전하여 데드볼트(20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실내손잡이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패닉레버(600)의 래치레버(500) 및 보조 데드레버(610)가 도 8의 아래도면에서와 같이 메인 데드레버(300)가 작동돌기(313)를 밀게 되므로 메인 데드레버(300)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메인 데드레버(300)에 접속된 데드볼트(210)는 도면상 우측의 몰입방향으로 강제 이동하게 된다.
즉, 구동모듈(700)에 의한 데드볼트(210)의 인출방향과 실내손잡이에 의한 데드볼트(210)의 인입방향이 서로 반대로 작동되므로써 데드레버기어(312), 종동기어(750) 및 구동기어(740)에 큰 부하로 작용되어 기어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도 8의 아래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 데드레버(610)의 구동모듈(700)과 접촉면에 푸쉬돌기(6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조 데드레버(610)가 회전하면서 푸쉬돌기(611)가 구동모듈(700)을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듈(700)은 힌지축(h)을 기점으로 상부가 도면상 시계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자신의 부속물인 종속기어(750)가 데드레버기어(312)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데드볼트(210)로의 동력이 차단된다.
이로써, 데드볼트(210)는 구동모듈(700)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패닉레버(600)에 의해서만 작동되므로 기어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되었던 구동모듈(700)은 스프링(72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다음, 메인 데드레버(300)를 수동으로 작동하였을 때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의 상부 도면으로부터, 키블록(320)의 키홈(321)에 비상키를 인입한 후, 키블록(320)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9의 중간도면에서와 같이, 키블록(320)의 플랜지부(322)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324)이 구동모듈(700) 외면과의 접촉상태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플랜지부(322)의 외주면과 구동모듈(700)의 외면이 접촉되므로써 구동모듈(700)은 그 힌지축(h)을 기점으로 그 상부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레버기어(312)와 구동모듈(700)의 종동기어(750)가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이후부터는 기어의 간섭없이 메인 데드레버(30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9의 중간도면에서와 같이, 기어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키블록(320)의 장홈(323)의 단부에 원통케이스(310)의 돌기부(314)가 걸린 시점부터는 키블록(320)과 원통케이스(310)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원통케이스(310)에 형성된 레버부(311)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케이스 200 : 데드볼트
210 : 연결홈 300 : 메인 데드레버
310 : 원통케이스 311 : 레버부
312 : 데드레버기어 313 : 작동돌기
314 : 돌기부 320 : 키블록
321 : 키홈 322 : 플랜지부
323 : 장홈 324 : 요홈
400 : 래치볼트 500 : 래치레버
600 : 패닉레버 610 : 보조 데드레버
611 : 푸쉬돌기 700 : 구동모듈
710 : 하우징 720 : 스프링
730 : 구동모터 740 : 구동기어
750 : 종동기어 h : 힌지축

Claims (4)

  1. 데드볼트를 동작시켜주는 메인 데드레버에 일체로 형성된 데드레버기어와 상기 메인 데드레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의 종동기어가 상호 치합 연결되고,
    래치볼트만 동작시켜주는 래치레버와 상기 메인 데드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보조 데드레버가 동축상으로 조합된 패닉레버가 상기 구동모듈과 접촉되게 배치된 디지털 도어락으로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데드레버기어로부터 종동기어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유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 데드레버의 구동모듈과의 접촉구간 일부에, 보조 데드레버의 회전시 상기 데드레버기어와 종동기어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모듈을 밀어내기 위한 푸쉬돌기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데드레버는,
    레버부 및 상기 데드레버기어가 형성되고, 일단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원통케이스; 및
    상기 원통케이스의 내부에 헐겁게 삽입된 채,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키홈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원통케이스의 일단부와 접촉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원통케이스의 일단부와 접촉되는 면상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원호형의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모듈의 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요홈이 형성된 키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이 이격되는 반대쪽에서 구동모듈을 탄력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은, 그 하부 일측을 힌지축으로 하여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4. 삭제
KR1020130069396A 2013-06-18 2013-06-18 디지털 도어락 Expired - Fee Related KR101467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396A KR101467984B1 (ko) 2013-06-18 2013-06-18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396A KR101467984B1 (ko) 2013-06-18 2013-06-18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984B1 true KR101467984B1 (ko) 2014-12-02

Family

ID=5267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3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7984B1 (ko) 2013-06-18 2013-06-18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9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053B1 (ko) * 2017-12-20 2018-04-27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용 무부하 제어수단을 구비한 모티스
KR101878463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 작동 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모티스
CN108431349A (zh) * 2015-12-29 2018-08-21 丹娜门锁有限责任公司 电动门锁驱动装置及其操作方法
CN109441239A (zh) * 2018-12-25 2019-03-08 中山欧诺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锁体离合结构以及锁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361Y1 (ko) * 2002-09-11 2002-12-16 인탑스 주식회사 도어록킹장치
KR20070113548A (ko) * 2006-05-25 2007-11-29 케이엠홈 주식회사 절전형 디지털 도어록 백셋
KR20110003896U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이랜시스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20110058033A (ko) * 2009-11-25 2011-06-01 우창정기 주식회사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361Y1 (ko) * 2002-09-11 2002-12-16 인탑스 주식회사 도어록킹장치
KR20070113548A (ko) * 2006-05-25 2007-11-29 케이엠홈 주식회사 절전형 디지털 도어록 백셋
KR20110003896U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이랜시스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20110058033A (ko) * 2009-11-25 2011-06-01 우창정기 주식회사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1349A (zh) * 2015-12-29 2018-08-21 丹娜门锁有限责任公司 电动门锁驱动装置及其操作方法
EP3400351A4 (en) * 2015-12-29 2019-05-22 Danalock IVS ELECTROMECHANICAL DOOR LOCK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111697B2 (en) 2015-12-29 2021-09-07 Danalock Aps Electromechanical door lock actu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t
KR101853053B1 (ko) * 2017-12-20 2018-04-27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용 무부하 제어수단을 구비한 모티스
KR101878463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 작동 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모티스
CN109441239A (zh) * 2018-12-25 2019-03-08 中山欧诺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锁体离合结构以及锁体
CN109441239B (zh) * 2018-12-25 2023-12-26 中山市元智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锁体离合结构以及锁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888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6807834B2 (en) Electric door lock with a coupling mechanism for selective engagement between a deadbolt operating spindle and a door handle
EP1600583B1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KR101467984B1 (ko) 디지털 도어락
US8256253B2 (en) Cylindrical lock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101436602B1 (ko)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
JP3788968B2 (ja) 電気錠
US7302818B2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JP5278934B2 (ja) 電気錠のクラッチ機構
JP3362208B2 (ja) モータ駆動電気錠のデッドボルト制御機構
CN112983139A (zh) 用于门锁的驱动机构、门锁
CN102041921A (zh) 锁栓启闭的驱动机构改良
KR102060741B1 (ko) 구동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는 도어락의 자동 해정 조립체
KR100786338B1 (ko) 전자도어락의 백셋
RU2425203C2 (ru) Замок с предохранителем
KR200476806Y1 (ko)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KR102005011B1 (ko) 푸쉬풀 도어락의 모티스 조립체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CN217950058U (zh) 机动车锁的锁定装置、机动车锁及机动车
CN114046095A (zh) 一种智能锁芯及锁具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20230090312A (ko) 도어 로크용 클러치
KR100897023B1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200360631Y1 (ko) 베벨기어를 이용한 전동 모티스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