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5752B1 -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752B1
KR101735752B1 KR1020160056819A KR20160056819A KR101735752B1 KR 101735752 B1 KR101735752 B1 KR 101735752B1 KR 1020160056819 A KR1020160056819 A KR 1020160056819A KR 20160056819 A KR20160056819 A KR 20160056819A KR 101735752 B1 KR101735752 B1 KR 101735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bolt
door
main body
ratchet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화
Original Assignee
전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화 filed Critical 전병화
Priority to KR1020160056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7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1Spring-retrac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2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for lock parts held in place before or during mounting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또는 창고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몰 작동되는 래칫볼트가 본체의 노출측 측면으로부터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래칫볼트에 작용하는 탄발스프링은 스프링블록에 의해 이탈 방지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기존 출입문에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래칫볼트의 방향을 간편하게 전환 조립시켜 출입문의 개폐 방향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고, 출입문에 대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출입문의 개폐방향에 따라 누구나 손쉽게 래칫볼트의 삽입 방향을 간편하게 변경시켜 조립 및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Description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Digital door rock}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또는 창고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의 래칫볼트를 간편하게 분리 및 역방향으로 재조립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출입문에 대한 개폐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락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락 장치에는 실외에서 출입문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열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락의 잠금과 해정을 하는 기계식 도어락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도어락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비밀번호 혹은 지문인식이나 카드인식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 과정에 의해, 전자석과 클러치를 이용하여 데드볼트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식 도어락과 모터 및 모터에 의해 데드볼트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식 도어락이 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 구조가 간단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은 모터 구동식이 근자에는 더욱 선호되고 있다.
모터 구동식 도어락은 경우 통상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으로 칭해지는 것인데, 상기의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도어의 실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키패드 장치와 도어의 실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티스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키패드 장치는 버튼식 혹은 터치식 입력부를 갖고 있어 외부로부터 실내 측 모티스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모티스 장치는 전원공급부 및 구동모터와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를 구성하고 있어 상기 키패드 장치와 연동되게 하거나, 개폐핸들 혹은 푸쉬-풀 방식의 작동바와 연동하여 도어에 대한 도어락의 잠금 혹은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은 종래의 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 제20-0464252호와 같이 디지털 도어락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도어락의 클러치 구조체가 안출된 바 있고,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0310006호와 같은 현관문용 잠금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1163호의 경우와 같이 푸시풀 도어락에 사용되는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도어락의 해정을 위해 회전식 노브 혹은 푸쉬풀 방식의 작동바를 사용하거나 키패드 장치를 조작하여 돌출된 상태의 상기 모티스 장치 내 데드볼트가 장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상기 데드볼트가 문틀의 걸림쇠와 간섭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하는 경우 상호 간의 간섭 저항으로 인해 구동모터에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이고 이로 인해 구동모터의 수명 저하 및 도어락 전체의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도어락은 잠금 해제 상황에서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동시에 함몰 삽입되면서 잠금 해제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와 같은 잠금 해제과정에서 상기 도어에 자동 개폐장치 혹은 실,내외 간 압력차이 혹은 인위적인 개방력이 작용하게 되면 데드볼트의 측면이 문틀 내 걸림쇠와 간섭되므로, 상호 간섭 저항력으로 인해 상기 데드볼트는 원활하고 신속하게 모티스장치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면서 구동모터를 손상시키거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은 모티스 장치 내부에 회전노브 혹은 작동바에 의해 회전되는 부속품이 결합되는 제1구동축부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부속품이 결합되는 제2구동축부 및 래칫볼트가 출몰하기 위한 부속품이 결합되는 제3구동축부 등을 갖고 있어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매우 많은 부속품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제작비가 매우 고가이므로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이 크고 판매자 역시 이익이 적어 지극히 불합리한 경제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2016년 특허출원 제0029068호와 같이, 모티스 장치의 본체 내에 유동식 데드볼트와 회동식 래칫볼트를 각기 삽입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와 연계 작동되게 한 실내측회전구와 작동회전구 및 단속레버와 실외측회전구를 동축상에 결합 형성하며, 상기 작동회전구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실내측회전구 혹은 실외측회전구의 회전 작동을 통해 상기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유기적으로 연계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동축상의 결합구조를 통해 내부 구조의 단순화 및 그로 인한 원가 절감과 제작성의 향상을 꾀하는 것은 물론 데드볼트가 함몰된 상태에서만 래칫볼트가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데드볼트와 연결된 구동모터의 부하를 최소화시켜 도어락 자체의 사용 수명이 크게 연장되도록 한 특징의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을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디지털 도어락은 많은 장점과 효율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입문에 대한 개폐방향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모티스 본체 전체를 도어로부터 제거 후 본체 및 커버체의 분해 및 내장된 래칫볼트와 연계 부속품을 역방향으로 조립한 후 이들을 다시 출입문에 고정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래칫볼트는 일측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사면으로 인해 문틀 내 가이더와 간섭하면서 본체로부터 출몰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래칫볼트가 열림 동작에서 경사면이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 항상 출입문의 개폐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래칫볼트는 출입문의 잠금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문틀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구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데드볼트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문틀과 간섭되며 본체 내로 함몰되었다가 다시 외향 돌출되는 것이며 출입문의 닫힘작용시 회전되면서 함몰 후 다시 돌출되어 출입문이 문틀에 계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출입문에 대한 개폐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래칫볼트의 경사면이 방향전환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향하여야 하는 것으로 기존에는 상기 래칫볼트를 역방향으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모티스 본체를 완전히 분해 후 다시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출몰 작동되는 래칫볼트가 본체의 노출측 측면으로부터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래칫볼트에 작용하는 탄발스프링은 스프링블록에 의해 이탈 방지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출입문에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상기 래칫볼트를 분리 및 역방향으로 재조립하여 출입문의 개폐방향을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도어락 장치의 미설치 상태에서도 누구나 간편하게 래칫볼트의 삽입 방향을 전환 조립할 수 있어 출입문의 개폐방향에 따라 손쉽게 도어락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버를 갖는 모티스 본체 내에 본체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데드볼트가 출몰되게 한 구동모터가 안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실내측회전구와 작동회전구와 단속레버와 실외측회전구를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는 래칫수용부를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탄발스프링에 계지된 래칫볼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하며, 상기 래칫볼트는 단속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 억제되도록 구성하여 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래칫볼트는 양측면 중앙에 이탈방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홈의 상측에는 걸림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단속레버의 끝단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부와 간섭되는 계지턱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의 끝단에는 상기 이탈방지홈으로 삽입되게 한 걸림턱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커버와 본체에는 상기 단속레버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공을 관통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출입문에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래칫볼트의 방향을 간편하게 전환 조립시켜 출입문의 개폐 방향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고, 출입문에 대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출입문의 개폐방향에 따라 누구나 손쉽게 래칫볼트의 삽입 방향을 간편하게 변경시켜 조립 및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평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평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저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래칫볼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결합 전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평면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측면 상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정방향 개폐 결합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정방향 개폐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래칫볼트 교체 조립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역방향 개폐 작동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역방향 개폐 결합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평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저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평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저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래칫볼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결합 전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평면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요부 측면 상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정방향 개폐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기존의 도어락과 마찬가지로 내부 수용공간을 갖고 있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커버(11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으로부터 각기 데드볼트(10)와 래칫볼트(20)가 출몰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인데, 상기 데드볼트(10)와 래칫볼트(20)는 내부의 구동모터(30)와 실내측회전구(40) 및 작동회전구(50)와 단속레버(60) 그리고 실외측회전구(70)의 유기적인 작동을 통해 출몰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래칫볼트(20)는 상기 본체(100)에 마련된 래칫수용부(101)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래칫볼트(20)의 일측에는 상기 래칫수용부(101) 내에 위치하고 있는 탄발스프링(120)에 계지되어 있어 상기 래칫볼트(20)는 항상 외측으로의 돌출력을 받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의 작동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2016년 특허출원 제0029068호에 의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간략하게 이들의 작동구조를 살펴보면 실내측에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실내측 레버를 회전시키면 상기 실내측회전구(40)의 회전에 따라 작동회전구(50)가 함께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작동회전구(50)의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단속레버(60)가 회전을 하면서 래칫볼트(20)의 회전 억제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작동회전구(50)의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데드볼트(10)가 후퇴하면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도어의 개방 회전력으로 인해 돌출 상태인 래칫볼트(20)는 평행사변형 모양을 갖고 있어 문틀과의 간섭으로 인해 래칫수용부(101) 내에서 회전을 하여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 개방된 상태의 도어가 닫힘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도어 개방력에 의해 회전되었던 래칫볼트(20)가 다시 문틀과의 간섭으로 회전 및 함몰되면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고 도어의 닫힘상태에서 구동모터(30)의 작동으로 인해 데드볼트(10)가 돌출되면서 도어의 보안 잠김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외측에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실외측 번호키를 눌러 구동모터(30)를 작동시켜 상기 데드볼트(10)가 후퇴되게 한 상태에서 실외측의 도어 레버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결된 실외측회전구(7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실외측회전구(70)의 회전에 따라 단속레버(60)가 함께 회전하면서 래칫볼트(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므로 도어를 잡아당겨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의 디지털 도어락의 개폐 작동은 상기 래칫볼트(20)의 경사면 방향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일정한 방향 즉, 실외측으로 밀어 도어를 개방시키는 형태로 제작 및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방향을 실내측으로 전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락 본체(100)를 분해한 후 래칫볼트(20)의 결합 방향을 뒤집은 상태에서 재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 도어에 이미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어로부터 도어락 전체를 분리시킨 후 다시 도어락 몸체(100)를 분해하여 래칫볼트(20)를 역방향으로 끼워 조립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요하는 것은 물론 도어 및 도어락 장치에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작동 구조를 갖는 도어락에 대하여 상기 래칫볼트(20)를 간편하게 분리 및 재조립할 수 있도록 개선함에 따라 출입문에 도어락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래칫볼트(20)의 간편 재조립이 가능한 것은 물론 출입문에 도어락을 설치하기 전인 경우에도 래칫볼트(20) 만을 손쉽게 분리 및 역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시공 및 설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락은 상기 모티스 본체(100)의 래칫볼트(20)에 대한 구조를 개선하고, 상기 본체(100)의 노출측 측면에는 별도로 구비된 측면커버(8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단속레버(60)의 구조적 개선과 함께 본체(100) 및 커버(110)에 대하여 탄발스프링(120)을 계지하고 있는 스프링블록(90)의 유동안치홈(102)(112)을 각기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의 래칫볼트(20)는 측면상 평행사변형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측이 수평면인 경우 하측으로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래칫볼트(20)의 회전에 의해 하측이 수평면이 되면 상측으로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래칫볼트(20)의 양측면에는 중앙에는 일측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이탈방지홈(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이탈방지홈(21)이 형성된 양측면의 상부에는 걸림돌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래칫볼트(20)는 본체(100)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래칫수용부(101) 내에서 유동 및 회전되는 것이고, 상기 래칫볼트(20)의 일측면과 래칫수용부(101)의 내면에는 탄발스프링(120)이 삽입되어 있어 상기 탄발스프링(120)에 의해 상기의 래칫볼트(20)는 항상 외측으로 돌출되려는 힘을 갖고 있는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래칫볼트(20)와 탄발스프링(120)의 사이에는 별도로 구비된 스프링블록(90)이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스프링블록(90)은 래칫볼트(20)의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의 래칫볼트(2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경우라도 상기 탄발스프링(120)이 본체(100)로부터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블록(90)의 상면과 하면은 각기 본체(100) 및 커버(110)에 형성되어 있는 유동안치홈(103)(112)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유동안치홈(103)(112)은 래칫볼트(20)의 출몰 이동 경로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래칫볼트(20)의 유동시 상기 스프링블록(90)도 유동안치홈(103)(112)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출입문의 개폐방향을 바꾸기 위해 상기 래칫볼트(20)를 본체(100)로부터 분리 및 제거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블록(90)은 상,하단이 유동안치홈(103)(112)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본체(100)로부터 이탈되지는 않고 탄발스프링(120)의 반력에 의해 유동안치홈(103)(112)의 일측 끝단 즉, 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최대한 밀려나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래칫볼트(20)를 재조립하게 되면 스프링블록(90)은 탄발스프링(120)을 압축시키며 유동안치홈(103)(112)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의 래칫볼트(20)는 본체(100)의 일측으로부터 래칫수용부(101)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래칫볼트(20)를 래칫수용부(101) 내측으로 밀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별도로 구비된 측면커버(80)를 결합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래칫볼트(20)는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것이다.
즉, 상기의 측면커버(80)에는 데드볼트(10)가 출몰되게 한 제1통공(81)과 상기 래칫볼트(20)가 출몰되게 한 제2통공(8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본체(100)의 측부에 상기 측면커버(80)를 밀착 고정하게 되면 제1통공(81)은 데드볼트(10)의 출몰 경로 상에 정확히 일치하게 되고 제2통공(82)은 래칫볼트(20)의 출몰 경로 상에 정확히 일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통공(82)은 래칫볼트(2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조금 큰 형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인데, 상기 래칫볼트(20)를 래칫수용부(101) 내에 삽입한 후 상기 측면커버(80)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래칫볼트(20)는 제2통공(82)을 통해 일부가 돌출되는 반면 래칫볼트(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부(22)는 상기 측면커버(80)의 내면에 걸려 간섭되므로 래칫볼트(20)의 이탈 혹은 분리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칫볼트(20)는 탄발스프링(120)의 반력에 의해 측면커버(80)의 제2통공(82)으로부터 자유로운 출몰은 가능한 반면, 측면커버(80)에 대한 걸림돌부(22)와의 간섭으로 인해 분리는 이루어지지 않게 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 래칫볼트(20)는 본체(100)에 결합된 측면커버(80)를 분리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본체(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래칫볼트(20)를 역방향으로 뒤집어 래칫수용부(101)에 밀어넣은 상태에서 다시 상기 측면커버(80)를 조립하게 되면 상기 래칫볼트(20)는 자유로운 출몰이 이루어지는 조립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래칫볼트(20)의 회전을 억제하는 단속레버(60)는 일측에 상기 래칫볼트(20)의 걸림돌부(22)와 간섭되게 하는 계지턱(61)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지턱(61)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래칫볼트(20)의 이탈방지홈(21)으로 삽입되는 걸림턱(62)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단속레버(60)가 본체(100) 내에 축 결합된 상태에서 출입문의 개방에 따른 회전 작동시 상기 단속레버(60)의 계지턱(61)이 래칫볼트(20)의 걸림돌부(22)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래칫볼트(20)의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속레버(60)의 걸림턱(62)은 상기 래칫볼트(20)의 이탈방지홈(21)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래칫볼트(20)가 본체(100)로부터 임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100) 내에 래칫볼트(20)를 삽입 및 조립하게 되면 래칫볼트(20)의 이탈방지홈(21)으로 단속레버(60)의 걸림턱(62)이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의 래칫볼트(20)는 걸림돌부(22)가 단속레버(40)의 계지턱(61)에 계지되어 있어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는 반면 상기 걸림턱(62)은 이탈방지홈(21) 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출몰 방향으로의 유동은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래칫볼트(20)는 본체(100)의 측면에 측면커버(80)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본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래칫볼트(20)가 돌출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면 이탈방지홈(21)의 내측 끝단에 상기 단속레버(60)의 걸림턱(62)이 계지됨에 따라 상호 간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래칫볼트(20)는 이탈 혹은 분리될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단속레버(60)를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턱(62)이 이탈방지홈(21)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상기 래칫볼트(20)는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속레버(60)를 간편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단속레버(60)의 회전 구간 내 본체(100)와 커버(110)에 대하여 관통의 작업공(102)(111)을 형성함에 따라 본체(100)에 커버(110)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작업공(102)(111)으로 드라이버 등을 삽입시켜 상기 작업공(102)(111) 내부로 노출된 상기 단속레버(60)를 드라이버 등으로 강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래칫볼트(20)의 분리 및 제거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어락은 측면커버(80)의 미조립 상태에서도 래칫볼트(2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제품의 미설치 상태인 반조립 상태에서도 상기 래칫볼트(20)가 분리되지 아니하므로 제작단계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래칫볼트(20)를 조립하여 출고시켜 소비자 혹은 설치자로 하여금 혼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설명서 등에 최초 출고시의 출입문 개폐방향을 기재하게 되면 사용자는 개폐방향에 따라 래칫볼트(20)의 출고 조립상태를 그대로 사용할지,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단속레버(60)를 회전시켜 래칫볼트(20)의 분리 및 역방향 조립을 통해 개폐방향을 전환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래칫볼트(20)의 조립 방향이 결정되면 출입문에 대하여 모티스 본체를 조립 설치한 후 측면커버(80)를 상기 본체(100)의 노츨측면에 추가 조립함에 따라 상기 래칫볼트(20)는 단속레버(60)의 회전과 관계없이 회동 가능한 상태의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기존 도어락과 같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락이 설치된 상태에서 출입문의 개폐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측면커버(80)를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킨 후 작업공(102)(111)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단속레버(60)를 회전시켜 래칫볼트(20)의 분리 및 역방향 조립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작업공(102)(111)이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실내측 혹은 실외측 개폐핸들을 임의로 회전시켜 상기 단속레버(60)가 회전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래칫볼트(20)에 대한 분리 및 재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어락은 래칫볼트(20)의 간편한 분리와 역방향으로의 재조립이 가능하므로 사용 및 설치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락에 대한 설치 상태에서의 작동 설명 및 래칫볼트에 대한 교체 설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0의 도시와 같이 도어에 본체(100)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의 도어를 실외측 방향으로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실내방향에서 도어락 레버 등을 회전시킴에 따라 실내측회전구(40) 및 작동회전구(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칫볼트(20)는 후퇴가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구동모터(30)의 작동으로 인해 데드볼트(10)가 후퇴하여 문틀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도어를 사용자에 의해 실외측으로 밀어내면 래칫볼트(20)는 래칫수용부(101) 내에서 회전과 동시에 문틀과 경사면 간의 간섭으로 인해 본체(100)의 내측으로 함몰 삽입되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닫게 되면 탄발스프링(120)의 반력에 의해 돌출된 상태인 래칫볼트(20)는 다시 문틀과의 간섭으로 인해 회전 및 함몰되어 도어가 원활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고 도어의 닫힘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구동모터(30)의 작동에 의해 다시 데드볼트(10)가 돌출되면서 완전한 잠금 상태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의 도어가 실내측으로부터 실외방향으로 열고 닫히는 상태로 도어락 장치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을 반대 방향 즉, 실외측에서 실내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본체(100)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측면커버(80)를 분리 제거한 후 래칫볼트(20)를 분해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 래칫볼트(20)의 경우 이탈방지홈(21)으로 단속레버(60)의 걸림턱(62)이 삽입된 상태일 것이므로 실내,외 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본체(100) 혹은 커버(110)의 작업공(102)(111)으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단속레버(60)를 강제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단속레버(60)의 걸림턱(62)이 래칫볼트(20)의 이탈방지홈(21)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 후 상기 래칫볼트(20)를 손으로 잡아 빼내면 되는 것이다.
이어, 분리된 래칫볼트(20)를 역방향으로 본체(100) 내 래칫수용부(101)로 삽입시킨 후 상기 측면커버(80)를 조립함에 따라 도어의 개폐방향 전환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 잠금 방향이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래칫볼트(20)의 전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 12의 도시와 같이 실외측으로부터 실내 방향으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측으로부터 도어를 밀어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잡아당겨 개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래칫볼트(20)의 전환 조립을 통헤 도어의 개폐방향을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의 개폐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기존과 같이 본체(100) 및 커버(110)의 전체 분해 및 래칫볼트(20)의 재조립이 아니라 도어락이 도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측면커버(80) 만을 분리시켜 래칫볼트(20)의 간단하고 신속한 전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어, 공장 초기 출고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래칫볼트(20)를 간편하게 대응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도어락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도어의 개폐방향을 바꿔야하는 경우 도어락의 분해 없이 래칫볼트(20) 만을 간편하게 전환 조립함에 따라 도어의 개폐방향 전환에 따른 도어락의 대응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데드볼트
20 : 래칫볼트 21 : 이탈방지홈
22 : 걸림돌부
30 : 구동모터
40 : 실내측회전구
50 : 작동회전구
60 : 단속레버 61 : 계지턱
62 : 걸림턱
70 : 실외측회전구
80 : 측면커버 81 : 제1통공
82 : 제2통공
90 : 스프링블록
100 : 본체 101 : 래칫수용부
102 : 작업공 103 : 유동안치홈
110 : 커버 111 : 작업공
112 : 유동안치홈
120 : 탄발스프링

Claims (3)

  1. 커버(110)를 갖는 모티스 본체(100) 내에 본체(10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데드볼트(10)와 래칫볼트(20)가 삽입되고, 상기 본체(100) 내에는 상기 데드볼트(10)가 출몰되게 한 구동모터(30)가 안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실내측회전구(40)와 작동회전구(50)와 단속레버(60)와 실외측회전구(70)를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는 래칫수용부(101)를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탄발스프링(120)에 계지된 래칫볼트(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하며, 상기 래칫볼트(20)는 단속레버(60)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 억제되도록 구성하여 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래칫볼트(20)는 단속레버(6)와 나란한 방향의 양측면 중앙에 이탈방지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홈(21)으로부터 커버(110)를 향하는 방향으로는 걸림돌부(22)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단속레버(60)의 끝단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부(22)와 간섭되는 계지턱(61)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계지턱(61)의 끝단에는 상기 이탈방지홈(21)으로 삽입되게 한 걸림턱(62)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커버(110)와 본체(100)에는 별도 구비의 도구를 사용하여 본체(100) 및 커버(110) 사이에 내장된 상기 단속레버(60)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공(111)(102)을 관통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2. 제 1항에 있어서,
    데드볼트(10)와 래칫볼트(20)가 출몰되는 방향의 본체(100) 일측에는 별도의 측면커버(80)을 결합 형성하되, 상기 측면커버(80)에는 데드볼트(10)가 출몰되게 한 제1통공(81)과 상기 래칫볼트(20)가 출몰되게 한 제2통공(82)을 형성하되,
    상기 제2통공(82)은 래칫볼트(20)의 출몰은 자유로운 반면 래칫볼트(20)의 걸림돌부(22)와는 간섭되게 하여 래칫수용부(101)로부터 상기의 래칫볼트(2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3. 제 1항에 있어서,
    래칫볼트(20)의 일측과 탄발스프링(120)의 사이에는 스프링블록(90)을 삽입 형성하되, 상기 스프링블록(90)의 상하면은 각기 커버(110)와 본체(100)의 내면에 형성된 유동안치홈(112)(103)에 삽입되게 하여 상기 스프링블록(90)이 상기 유동안치홈(112)(103) 내에서 유동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래칫볼트(20)가 제거되더라도 스프링블록(90) 및 탄발스프링(120)은 커버(110)와 본체(100) 내에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20160056819A 2016-05-10 2016-05-10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Expired - Fee Related KR10173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819A KR101735752B1 (ko) 2016-05-10 2016-05-10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819A KR101735752B1 (ko) 2016-05-10 2016-05-10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752B1 true KR101735752B1 (ko) 2017-05-15

Family

ID=5873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8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735752B1 (ko) 2016-05-10 2016-05-10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812B1 (ko) 2020-01-21 2020-07-03 이현진 푸쉬풀 도어락의 레버 작동 방향 전환장치
CN111577021A (zh) * 2020-05-29 2020-08-25 佛山市奇点安防科技有限公司 自动换向锁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7905A (ja) 1998-07-06 2000-01-18 Hokuden Kogyo Kk ラッチ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7905A (ja) 1998-07-06 2000-01-18 Hokuden Kogyo Kk ラッチ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812B1 (ko) 2020-01-21 2020-07-03 이현진 푸쉬풀 도어락의 레버 작동 방향 전환장치
CN111577021A (zh) * 2020-05-29 2020-08-25 佛山市奇点安防科技有限公司 自动换向锁盒
CN111577021B (zh) * 2020-05-29 2025-01-21 佛山市奇点安防科技有限公司 自动换向锁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58023B2 (en) Locking assembly with spring mechanism
US6807834B2 (en) Electric door lock with a coupling mechanism for selective engagement between a deadbolt operating spindle and a door handle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US9890564B2 (en) Interconnected lock with direct drive for adjustable deadbolt to latchbolt spacing
US7871112B2 (en) Reversible double deadbolt mortise latch
AU2011283430B2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1599410B1 (ko) 디지털 도어록의 턴-노브 개폐장치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KR101241231B1 (ko) 도어록
US20050092040A1 (en) Door lock with a coupling mechanism for simultaneous movement of latch bolt and deadbolt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TWI673421B (zh) 具多功能模組更換之鎖閘結構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KR101878461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의 핸들 샤프트 연결 구조
KR101777640B1 (ko)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AU2010226865A1 (en) Escape Lock
JP4205081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US20180347243A1 (en) Double door latch and lock assembly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KR100875296B1 (ko) 모티스 락용 래치 볼트 및 이를 구비한 모티스 락
KR101802481B1 (ko) 시공 구조를 개선한 보조 도어 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105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50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