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7498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498B1
KR101467498B1 KR1020130022110A KR20130022110A KR101467498B1 KR 101467498 B1 KR101467498 B1 KR 101467498B1 KR 1020130022110 A KR1020130022110 A KR 1020130022110A KR 20130022110 A KR20130022110 A KR 20130022110A KR 101467498 B1 KR101467498 B1 KR 101467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crew
gear
railing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7912A (ko
Inventor
심만섭
Original Assignee
(주)청우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청우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13002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49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4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나 인도 또는 계단의 경계등에 설치되는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를 커플링을 사용하여 턴버클 동작하도록 기초구조물과 연결하고, 그 외곽을 보호하는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였으므로, 평상시에는 슬라이딩 커버가 베이스와 커플링 및 지주의 하부측을 감싸고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연결부분이 외기에 직접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난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시에는 커플링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해체가 용이하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Assembling Guardrail}
본 발명은 도로변이나 인도변등에 설치되는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초구조물상에 설치되는 지주의 길이 조절와 난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지주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연결부분을 보호하는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여 설치시 작업성이 향상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이나 인도변등에 설치되는 난간은 등록특허번호 제10-0451960호에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설치된다.
이를 도1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난간을 설치하고자하는 도로변이나 인도변 또는 계단의 경계등에 우선 거푸집(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고, 난간 지지수단(120)을 상측에 고정한 후, 상기 거푸집내에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방법으로 기초구조물(110)을 형성한다. 이때 난간 지지수단(120)은 소정형상, 예를들어 사각기둥 형상으로서 난간지주(13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정 형상의 난간대(140)와 결합된 지주(130)가 상기 지지수단(120)에 삽입 설치되고,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122)에 의해 고정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난간은 지지수단과 난간지주가 체결되어 일단 설치되면, 난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고, 지주나 난간대등의 부속품이 공장에서 일괄 제작되므로 현장에서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난간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기 어렵고, 설치를 위하여 절단이나 용접등의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 공정이 복잡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난간은 기초 구조물과 일체로 설치된 지지수단과 볼트-너트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이들 부분이 손상되는 경우 손상 부분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어렵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로서 특허등록번호 제10-0476654호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은, 계단등에 설치되는 난간 모서리 부분의 모서리 연결구와 난간 파이프를 용접없이 접속구와 결속볼트로 용이하고 견실하게 체결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난간의 평형상태를 연결구를 개선하여 유지하게하는 기술로서, 난간 지주와 지지수단은 일단 고정 설치되면, 난간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고, 난간 일부 교체나 설치 작업시에도 절단이나 용접등이 현장에서 필요하게되어 작업이 복잡하고 어려워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난간의 지주가 일단 지지수단에 결합 설치되면, 난간의 높이는 임의로 현장에서 조절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필요시 설치 현장에서 절단하거나 용접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게 되어 설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난간은 지지수단이나 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각 부분이 손상 될 유려가 높으며, 난간의 손상시에는 교체 및 유지 보수가 곤란하여 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등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난간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난간 지주와 기초 구조물을 연결하는 지지수단을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덮개를 구비하는 결합구조물로 구성하여, 난간과 기초구조물의 결합부를 미관이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아울려 오염 및 손상이 방지되는 조립식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간의 일부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하며, 현장 작업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은,
도로나 인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기초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지주와, 지주와 결합되는 난간본체를 구비하는 조립식 난간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물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제1방향 나사를 외주면에 구비하는 나사축을 구비하는 베이스와,
상기 나사축에 체결되는 제1 또는 제2방향 나사홈을 내주면에 구비하고, 외부면 하단부에는 기어를 구비하고, 상단부에는 랜치부를 구비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나사홈에 체결되는 제2방향 나사를 일단부에 구비하는 지주와,
상기 커플링의 외곽에 설치되며 내측면 하부에 커플링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홈을 구비하여 커플링 외곽에서 상하로 유동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베이스는 상기 기초구조물과 앵커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커플링의 랜치부는 사각 또는 육각랜치부이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상측내면에 돌출턱을 구비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은,
난간의 지지수단을 프렌지와, 커플링, 지주 및 슬라이딩 덮개의 결합 구조로 형성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덮개를 구비하는 결합구조물로 구성하여, 평상시에는 덮개에 의해 결합구조가 보호되고 미관을 유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려 오염 및 손상이 방지되고, 난간의 일부 손상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난간은, 나사 구조에 의해 지주의 설치가 용이하고, 난간의 높이를 현장에서 어느정도 조절 할 수 있어 설치 작업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 작업효율이 증가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난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도2의 난간 지지부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난간 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도 5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주와 기초구조물을 연결하는 지지부에 커플링과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슬라이딩 커버가 연결부를 보호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시 해체 및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 가능한 조립식 난간을 도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간의 외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난간은 전체적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구조물(210)과, 기초구조물(210)과 결합되는 지지부(220)와, 지지부(220) 상에 체결 설치되는 지주 (230)와 지주에 고정설치되는 난간본체(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콘크리트등으로 지반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기초구조물(210)상에 행커 볼트등의 체결수단(254)으로 결합되는 지지부(220)에는 지주(230)가 나사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230)에는 난간본체(200)가 연결볼트(206)에 의해 결합되어있다.
지지부(220)와 지주(230)는 소정 형상, 예를들어 사각 기둥이나 원형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난간본체(200)는 사각의 외부프레임(202)과, 그 내부의 다양한 형태와 로고 또는 문양등이 형성된 내부프레임(204)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프레임(202)을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지지부의 일부 확대도로서, 지지부(220)의 평상시 설치상태에서의 상태도이다.
먼저, 기초구조물(210)의 체결수단(254)과 결합되는 사각판재인 베이스(250)의 중앙부에는 나사축(252)이 돌출되어 있으며, 나사축(252)의 외주면에는 일방향, 예를들어 왼방향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252)에는 커플링(270)이 체결되고, 상기 커플링(270)의 상측으로 지주(230)가 삽입 고정되고, 지주(230) 외주면에는 슬라이딩 커버(260)가 결합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270)의 내측면에는 왼방향 나사홈(276)이, 하측 외주면에는 기어(274)가, 상측 외주면에는 육각랜치부(272)가 각각 구비되어있다.
커플링(270)의 나사홈(276) 하부에는 나사축(252)의 나사(253)가 삽입되고, 상부에는 지주(230) 연결부(232)의 오른방향 나사(236)가 삽입된다. 상기 육각랜치부(272)는 커플링(270)을 랜치등의 작업도구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이므로 필요에 따라 사각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주(230)의 연결부(232)에는 기어(234)와 나사(236)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며, 나사(236)는 나사축(252)의 나사(253)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플링(270)의 내측 나사홈(276) 상측부에 체결된다.
상기 나사홈(276)은 나사축(252)의 나사(253) 및 연결부(232)의 나사(234)와 체결되는데, 상기 나사축(252)의 나사(253)와 연결부(232)의 나사(23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커플링(270)의 왼나사 나사홈(276)과 결합되면 턴버클과 같이 회전에 의해 나사간격이 조절되어 전체 난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270)의 외곽에는 사각 기둥 형상의 슬라이딩 커버(260)가 설치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커버(260)는 상부 내측에는 돌출턱(262)이 구비되어 있어 평상시 지지부(220)로 빗물이나 먼지등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되어 부식등을 방지하고, 하측 내주면에는 기어(274)와 맞물리는 기어홈(264)이 구비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작업시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난간 설치 또는 보수등의 작업시에 슬라이딩 커버(260)를 상측으로 올려서 작업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지지부(220)는 고정 설치된 단계에서는 슬라이딩 커버(260)가 커플링(270) 하측의 기어(274)와 맞물려있어 내부의 구성물을 보호하고, 난간의 설치나 해체 또는 조정을 위한 작업시에는 슬라이딩 커버(260)를 상측으로 올려주면, 슬라이딩 커버(260)의 기어홈(264)이 지주(230) 연결부(232) 상단의 기어(234)와 맞물리면서 내부의 커플링(270)이 노출된다.
그 상태에서 커플링(270) 외주면 상단의 육각랜치부(272)에 랜치등의 기구를 결합시켜 커플링(270)을 좌-우로 돌려주면, 나사축(252)의 나사(253)와 지주(230)의 나사(23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턴버클 작용에 의해 지주(2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나 보수, 해체 작업시에 난간의 높이를 용접이나 절단 공정없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지주(230)의 해체나 교환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난간 110,210 : 기초구조물
120 : 지지수단 122 : 체결수단
130, 230 : 지주 140 : 난간대
200 : 난간본체 202 : 외부프레임
204 : 내부프레임 206 : 연결볼트
220 : 지지부 230 : 지주
232 : 연결부 234, 274 : 기어
236 : 나사 250 : 베이스
252 : 나사축 253 : 나사
254 : 체결수단
260 : 슬라이딩 커버 262 : 돌출턱
264 : 기어홈 270 : 커플링
272 : 육각랜치부 276 : 나사홈

Claims (5)

  1. 기초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지주 난간본체를 구비하는 조립식 난간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물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제1방향 나사를 외주면에 구비하는 나사축을 구비하는 베이스와,
    상기 나사축에 체결되는 제1 또는 제2방향 나사홈을 내주면에 구비하고, 외부면 하단부에는 기어를 구비하고, 상단부에는 랜치부를 구비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나사홈에 체결되는 제2방향 나사를 일단부에 구비하는 지주와,
    상기 커플링의 외곽에 설치되며 내측면 하부에 커플링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홈을 구비하여 커플링 외곽에서 상하로 유동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기초구조물과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립식 난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랜치부는 사각 또는 육각랜치부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립식 난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나사 상측에 슬라이딩 커버의 기어홈과 맞물리는 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립식 난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상측내면에 돌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립식 난간.
KR1020130022110A 2013-02-28 2013-02-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Expired - Fee Related KR10146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110A KR101467498B1 (ko) 2013-02-28 2013-02-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110A KR101467498B1 (ko) 2013-02-28 2013-02-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912A KR20140107912A (ko) 2014-09-05
KR101467498B1 true KR101467498B1 (ko) 2014-12-01

Family

ID=5175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1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7498B1 (ko) 2013-02-28 2013-02-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748B1 (ko) 2019-05-03 2019-10-14 최우석 높이 조절형 난간 포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919B (zh) * 2015-09-30 2018-08-03 浙江联畅科技有限公司 升降围栏
CN105155923B (zh) * 2015-09-30 2018-08-14 浙江联畅科技有限公司 高度可调节围栏
CN110158880B (zh) * 2019-04-24 2024-04-16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成品式水晶玻璃栏杆安装结构
CN117127857B (zh) * 2023-08-31 2024-03-29 新疆维泰开发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桩基施工用桩孔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64U (ja) * 1993-07-31 1995-02-21 岡部株式会社 仮設手摺り用支柱の固定装置
KR19990005999U (ko) * 1997-07-23 1999-02-18 오상수 가전제품의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64U (ja) * 1993-07-31 1995-02-21 岡部株式会社 仮設手摺り用支柱の固定装置
KR19990005999U (ko) * 1997-07-23 1999-02-18 오상수 가전제품의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748B1 (ko) 2019-05-03 2019-10-14 최우석 높이 조절형 난간 포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912A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49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KR101142898B1 (ko) 태양광발전모듈 지지구조체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0873266B1 (ko) 조립식 기둥 구조물
CN106592454A (zh) 铁路声屏障偏置钢立柱
JP3149454U (ja) 手摺用仮設支柱
KR20150001323U (ko) 선박의 난간 설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131079B1 (ko) 교량공사용 멀티유헤드 서포트장치
KR20150004455U (ko) 안전 난간대
KR101985957B1 (ko)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KR20090032478A (ko) 건축공사용 케이지의 이탈방지 장치
KR100759836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JP200824024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の腰壁の取付け方法
JP3189564U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転落防止柵
KR20110126982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KR20110009836A (ko) 도로시설물 지주 연결장치
JP2008291438A (ja) アンカーフレーム
KR101439789B1 (ko) 기둥 설치장치
KR101272887B1 (ko) 낙하물 방지망 및 방지공 설치 브라켓
JP2013181373A (ja) 柱の据え付け具
JP6207182B2 (ja) 基礎ブロックの設置方法及び基礎ブロック
JP4836709B2 (ja) 案内軌条調整具
JP3774762B2 (ja) アンカーボルト設置構造
KR20140119455A (ko) 핸드레일용 지주와 지주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지주 결합장치
KR101636216B1 (ko) 지주 기초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2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82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