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6939B1 - The method and apparatus adapting multiplication Chunjiin system for inputing Hangul - Google Patents

The method and apparatus adapting multiplication Chunjiin system for inputing Hangu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939B1
KR101466939B1 KR1020120104267A KR20120104267A KR101466939B1 KR 101466939 B1 KR101466939 B1 KR 101466939B1 KR 1020120104267 A KR1020120104267 A KR 1020120104267A KR 20120104267 A KR20120104267 A KR 20120104267A KR 101466939 B1 KR101466939 B1 KR 101466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keyboard
selection
selector
heaven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7732A (en
Inventor
김규리
Original Assignee
김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리 filed Critical 김규리
Priority to KR102012010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939B1/en
Publication of KR2014003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93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 천지인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입력장치와 기기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자음 기본자 다섯자( ㄱ, ㄴ, ㅁ, ㅅ, ㅇ )와 모음 천( . ), 지( ㅡ ), 인( ㅣ ) 3자를 기본으로 가획원리를 적용해서 글자를 만들었다.
세종대왕께서 1443년 훈민정음을 만든 이래 약 570년이 경과한 현재까지 훈민정음은 더 이상의 발전과 창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는 IT 기기, 특히 휴대폰에 문자를 입력할 경우 상기의 원리를 활용하여 글자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모음 천( . ) 지( ㅡ ), 인( ㅣ ) 세 글자를 조합하여 사용하게 됨에 따라 일부 글자의 경우 지나치게 가획이 많이 필요하여 입력횟수가 많아지고 오타율이 증가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고 성능은 높이고자 새로운 창제원리를 추가하여 개발되었다.
모음 천( . ) 지( ㅡ ), 인( ㅣ ) 3자를 이용하는 방식을 기존의 천지인(또는 1배 천지인) 방식이라고 정의한다면 새로운 천지인 방식은 "자체 증가 원리"를 적용한 "배수 천지인" 방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글자를 만든다면 문자 입력방식을 획기적으로 편리하게 바꿀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의 천지인을 1배 천지인이라고 한다면, 1.5배 천지인, 2배 천지인, 3배 천지인도 적용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가획원리의 반대인 감획원리(-1배수 천지인)를 적용해 볼수도 있는 것이다.
여러가지 실험결과 3배 이상의 천지인 방식은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지만, 1.5배 및 2배 천지인 방식을 도입하게 되면 문자 입력 속도가 빨라지고 오타율은 현격히 감소하게 된다.
기존의 천지인의 원리를 이해하고 있는 한국 사람이라면 1.5배 및 2배 천지인등을 적용한 문자 입력 방식은 별도의 설명이 필요없이 즉시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사용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eul input method and an input device and a device using a multi-view method.
Hangeul made a letter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based on three basic characters of consonant (a, b, k, g, o) and vowel cloth (,) and person (ㅣ).
Until the King Sejong King created the Hunminjeongum in 1443, the Hunminjeongeum has not been further developed and created until about 570 years later.
We use a combination of letters by using the above principle when inputting characters to IT devices, especially mobile phones.
However, since this method uses a combination of vowel (.) And vowel (l) characters, some characters require a lot of over-planning, resulting in a large number of input times and an increase in the error rat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by eliminating these disadvantages and adding new inventive principles to enhance performance.
If we define the method of using three vowels (ㅡ) and 인 (ㅣ) as the existing method (or 1x), the new method is defined as the "method of multiplying" If you make letters using this, you can change th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greatly.
In other words, if the existing heavenly person is one times the heavenly person, 1.5 times heavenly heavenly, 2 times heavenly heavenly, and 3 times heavenly heaven can be applied.
Likewise, you can apply the principle of reparations, which is the opposite of the principle of division (-1).
As a result of various experiments, it is not helped much more than 3 times of Chungjin method, but if 1.5 times and 2 times of Chungjin method are introduced, the character input speed becomes faster and the error rate is greatly reduced.
For Korean people wh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 existing Chun Ji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1.5 times and 2 times of Chunji, etc. can be understood and used intuitively immediately without any explanation.

Description

배수 천지인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입력장치와 기기{The method and apparatus adapting multiplication Chunjiin system for inputing Hangu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본 발명은 휴대폰등 모바일 및 IT 기기의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등에 두드리기(tapping), 미끄러지기(sliding, 드래그), 집기(pinching)등의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입력 횟수를 줄임과 동시에 쉽고 편리하게 문자입력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한글 입력에 도움이 되는 방법 및 입력 장치와 이들 기기를 포함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by using a touch gesture such as tapping, sliding, pinching, etc. on a key pad or a touch screen of a mobile or IT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providing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and an input device and the inclusion of these devices.

본 발명은 키패드, 터치 스크린등을 이용한 문자 입력을 간결하게 처리하고,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원리인 가획원리를 이용함은 물론 이를 확대하여 창조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훈민정음의 가장 큰 장점인 직관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글 입력방법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새로운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greatest advantage of the Hunminjeongeum by processing character input using a keypad, a touch screen, etc., and using the principle of principle of King Sejo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w Korean input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more easily and efficiently use a Hangul input method being used.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세종대왕께서 1443년(세종 25년) 훈민정음을 만들고, 세종 28년(1446년)에 훈민정음을 반포하였다.As you know, King Sejong made the Hunminjeongjeum in 1443 (Sejong 25th year) and Hunminjeonggum in the 28th year of King Sejong (1446).

자음은 "발음기관"인 입술,이,혀 목구멍의 모양,어금니에 혀뿌리가 닿은 모양을 본 떠 자음의 기본자 다섯(ㄱ,ㄴ,ㅁ,ㅅ,ㅇ) 글자를 만들었고 그 기본자에 "가획 원리"를 이용하여 나머지 글자(ㄱ-ㅋ, ㄴ-ㄷ-ㅌ, ㅁ-ㅂ-ㅍ, ㅅ-ㅈ-ㅊ, ㅇ-ㅎ)를 만들었다.Consonants consisted of five basic letters of consonant ("a", "b", "ㅁ", "ㅅ", "ㄱ", "b", " Principle "to make the remaining letters (a - k, c - k -, k - k - k, k - k - k, k - k).

또한 모음의 경우 성리학의 삼재를 상형하여 "기본자"인 천( · ) 지( ㅡ ), 인( ㅣ ) 3자를 만들고 나머지 글자는 이들을 서로 조합하여 만들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vowel, the three characters of Confucianism are hieroglyphic to make three characters, "the basic character" and the other characters, and the remaining characters are made by combining them.

오늘날 우리가 휴대폰을 비롯한 각종 IT 기기에서 위에 기술한 자음과 모음의 가획 원리를 메시지 입력등에 적용시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으니 세종대왕의 이 창제원리와 아이디어가 최초의 입력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oday, we use the principle of consonant and vowel separation described above in various IT devices including mobile phones conveniently by inputting the message, so that the principle and idea of King Sejong King's creation is the first input method.

현재 IT 기기, 특히 휴대폰의 경우 휴대폰 제작사에서 채택한 한글 입력방식(천지인 방식 - 삼성, 나랏글 방식 - LG전자, 스카이 한글 II - 팬택앤큐리텔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결국은 세종대왕이 창제하신 자음과 모음의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Currently, IT devices, especially mobile phones, a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Hangul input method adopted by the mobile phone maker (such as Samsung, Narragul-LG, Sky Hangeul II, Pantech & Curitel) It is merely utilizing this principle of vowels.

이러한 원리를 채택한 한글 입력방식은 유치원생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고, 원리만 이해하면 별다른 설명없이 1분도 걸리지 않아 누구나 쉽게 스스로 한글 메시지 입력을 할 수 있다는 아주 큰 장점이 있는 반면, 모음의 경우 지( ㅡ ), 인( ㅣ ) 글자에 천( · )글자를 가획하여 홑홀소리(ㅏ,ㅓ,ㅗ,ㅜ,ㅡ,ㅣ,ㅐ,ㅔ,ㅚ,ㅟ)를 만드는 경우는 물론, 겹홀소리(이중모음)인 ㅑ,ㅕ,ㅛ,ㅠ,ㅒ,ㅖ,ㅘ,ㅝ,ㅙ,ㅞ,ㅢ 11개 글자를 만들 경우에는 천( · )글자를 너무 많이 가획하여야 함에 따라 한글 메지시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모음 입력시 오타율이 커지고, 천( · )글자 키패드를 유독 많이 사용하게 됨에 따라 다른 키패드에 비해 천( · )글자 키패드만 고장날 확률이 높아지는 등 여러가지 단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Hangul input method adopting this principle is intuitive to know from kindergarten to elderly, and it is very advantageous that anyone can easily input Hangul message because it does not take less than one minute without understanding it if it understands the principl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reating a monophonic sound (a,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If you make 11 characters, you have to organize too many chunks (·) characters, so you need to input Hangul message ())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such as a high error rate when inputting a vowel and a high probability that only a letter keypad will fail as compared with other keypads due to a large number of use of a cloth keypad .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고자 최근 새로이 어플리케이션등이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Recently, new applications are being developed to secure such shortcomings.

터치 방식 및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하날 글", "모아키","딩굴"등이 개발되어 기존 천지인 방식에 비해 입력 속도면에서는 개선될 소지가 있다고 생각되나, 이러한 방법은 한글 창제원리인 가획원리에 충실하지 않아 직관적이지 않고 임의적이어서 글자의 위치나 글자 조합 방법을 외워야 하는등 직관적으로 쉽게 습득할 수 있는 기존의 천지인 방식에 비해 배우기가 매우 어려워서 새로운 방법에 익숙해지려면 보통 1~2개월정도의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 한두시간 정도 습득하다가 포기하게 되는 것이 최대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It is considered that "Hanalog", "MoaKi", "Dinggul" etc. which are developed by using touch method and drag method are improved in terms of input speed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However, It is difficult to learn because it is difficult to learn intuitively because it is not intuitive and it is not intuitive and it is necessary to memorize the way of letter position and combination of letters. Therefore, it is usually 1 ~ 2 months The most disadvantage is that you have to spend about an hour or two and then give up.

우리는 가정용 IT기기인 VTR에서 베타방식과 VHS 방식이 서로 경쟁하다가 최종적으로 VHS 방식이 소비자에게 선택된 것을 알고 있다.We know that Beta and VHS methods compete with each other in VTR, which is a home IT device, and finally VHS method is selected by consumers.

최근 노인층의 증가등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라 기능 버튼을 최소화하고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한 가전제품이 복잡하고 어려운 가전제품대신 선택되고 있는 것도 알고 있다.We know that the function buttons are minimized and the simple and convenient appliances are selected instead of complicated and difficult household appliances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nge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eople.

즉, 사용자 대다수가 쉽게 배울 수 있는 간단하면서 성능 좋은 제품을 발명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invent simple, high-performance products that most users can easily learn.

새로운 시스템을 발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중요하므로 국민 대다수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배우기 쉽고 편리한 천지인 방식을 창조적으로 추가 발전시키면서 단점은 제거하고, 성능은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오히려 중요하다 할 것이다.It is important to invent a new system, but more importantly,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system that users can use easily and convenien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ively develop the method that most of the people use most, It is rather important to improve performance dramatically.

본 발명은 최근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모바일 메신저가 폭발적으로 보급되면서 문자입력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입력 방식을 발명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novel character input method that enables users to input Korean characters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as the importance of character input increases with the spread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 and mobile messenger.

새로운 방식을 발명함에 있어 입력 속도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배우고 익히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사용 방법이 어렵다면 사용자의 외면을 받아 유명무실해질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입력속도의 단축은 물론이고, 배우고 익히는데 1분도 소요되지 않을 정도로 직관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input speed is also important in inventing a new method. However, if it takes a long time to learn and learn and it is difficult to use it,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only reduce the input speed but also learn one minute And to provide an intuitive and logical way to do so.

일부 복모음의 입력횟수를 단축시키고자 속칭 두점문자(등록번호 10-0662549호)를 이용한 사례도 있으나 한글에서 사용되는 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ㅢ,ㅚ,ㅟ,ㅔ,ㅐ,ㅖ,ㅒ,ㅘ,ㅝ,ㅙ,ㅞ) 21글자 모두를 처리하기에는 직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그 또한 일부 복모음에만 적용되고 그 적용방법도 외워야 하는 등 한글 창제 원리와 같이 누구나 직관적으로 쉽게 알 수 있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There are some cases where the number of input of some diphthongs is shortened by using the second letter of diphthong (registration number 10-0662549). However, there is a case where the vowels (a, ㅑ, ㅓ, ㅕ, ㅗ, ㅛ, ㅜ, , ㅢ, ㅚ, ㅟ, ㅔ, ㅐ, ㅖ, ㅒ, ㅘ, ㅝ, ㅙ, ㅞ) It is not intuitive to process all 21 letters, There is no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intuitively by anyone, like the principle of creation.

예를 들면, 모음 ㅑ의 경우는 ㅣ+ : 와 같이 창제원리에 따르면서 직관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모음 ㅘ 의 경우는 . + . 를 입력하는 방식이고, ㅝ 의 경우는 .. + ..를 입력하고, ㅞ 의 경우는 .. + .. + .. 를 입력하는 등 체계적이고 직관적인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는 방법이 아니라 임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vowel 는, it is intuitiv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creation like ㅣ +:, but in the case of vowel.. +. . In the case of ㅝ, it is not a method based on a systematic and intuitive principle such as inputting .. + .. and inputting .. + .. + .. in case of ㅞ, It can be said that the method is applied.

또한 모음 변환키(등록번호 10-0971280호)를 사용한 경우를 살펴보면 하나의 키에 복수의 기능을 부여하여 이를 활용한 경우에 해당한다 할 것이며, 사용자가 이를 사용할 경우 혼동이 발생하여 글자 입력에 어려움이 발생한다.Also, in the case of using a vocabulary conversion key (registration number 10-0971280), it is assumed that a plurality of functions are assigned to one key and utilized. When the user uses the vocabulary conversion key, Lt; / RTI >

예를 들면, 모음 ㅣ를 누르고 모음 변환키를 누르면 ㅑ 가 입력되고, 모음 변환키를 누르고 모음 ㅣ를 누르면 ㅕ 가 입력된다.For example, if you press a vowel and press a vowel conversion key, ㅑ is entered, and pressing a vowel conversion key and pressing a vowel will input ㅕ.

. 를 누르고 모음 변환키를 누르면 ㅔ 가 입력되고 모음 변환키를 누르고 . 를 누르면 ㅐ 가 입력된다.. Press and press the VOLUME conversion key, then press the VOLUME conversion key. Press ㅐ to enter.

. + . + 모음변환키의 경우는 ㅖ 가 입력되고 모음 변환키 + . + . 의 경우는 ㅒ 가 입력된다.. +. In case of + vowel conversion key, ㅖ is input and vowel conversion key +. +. In the case of ㅒ, ㅒ is input.

하나의 키가 두가지의 기능을 담당하는 입력방식으로 이 또한 한글의 가장 큰 장점인 직관적으로 보고 이해하면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방법과는 거리가 있다 하겠다.One key is the input method that takes charge of two functions. It is also far from the input method which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who intuitively understands and understands the biggest advantage of Hangul.

또한 최근에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인 "하날 글" "모아키" "딩굴"등의 방식은 모두 드래그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각 자음 또는 모음 키를 터치하게 되면 각 자음(모음) 주변으로 다른 모음 키가 팝업되고, 팝업된 모음 키를 드래그하여 최종적으로 글자를 완성시키게 되어 있다.In addition, recently developed applications such as "Hahnalg", "MoaKi" and "Dinggul" all adopt the drag method. When each of the consonants or the vowel key is touched, another vowel key is popped around each consonant , The pop-up vowel key is dragged to finally complete the character.

하지만 이 방법들은 일부 몇몇 글자는 한글 창제의 원리인 가획원리등을 따르고 있어 직관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 이외의 대부분의 글자는 한글 창제 원리를 따르지 못해 결국 글자의 위치를 외워야만 글자 입력이 가능하다.However, some of these methods are intuitive because some of them follow the principles of Hangul Creation, which is the principle of Hangul Creation. Most of the other characters can not follow the principle of Hangul Creation and eventually they have to memorize the position of the letters.

그리고 각 자음(모음) 키 패드의 주변에 모음이 팝업되었다가 사라지고 다시 팝업되었다가 사라지는 반복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눈의 피로가 가중되는 단점이 있으며, 자음 위치에 따라 모음 팝업의 위치도 시시각각 변동되게 되어 있어 혼란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yes are fatigued due to the repetitive screen configuration in which the vowel pops up and disappears around each consonant (vowel) key pad and disappears again and disappears, and the position of the vowel pop-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onfusion increases.

결국 한글의 창제원리와 가획원리를 논리적이면서 과학적인 규칙을 바탕으로 누구나 설명없이 즉시 사용이 가능한 글자 입력방법은 사실상 없는 실정이다.In the end, there is virtually no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that can be immediately used without any explanation based on scientific rules and logical principles of Korean Hangul.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고 한글에서 사용하는 모든 모음 21글자를 기존의 천지인 창제원리 방식은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성능은 뛰어난 새로운 천지인 창제원리인 1.5배, 2배 천지인 방식을 발명하여 논리적인 오류나 충돌없이 직관적으로 모든 사람이 별도의 설명없이 쉽게 사용하도록 함에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 completely and invented the 1.5-fold and 2-fold wide-angle method, which is the new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uitively easy to use without any explanation, without logical errors or conflict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천지인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장치는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자음의 선택을 위한 자음 선택부, ·(천), ㅡ(지) 및 ㅣ(인)의 선택을 위한 제 1 모음 선택부 및 :(천천)을 포함하는 제2 모음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판이 배열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음 선택부, 제1 모음 선택부 및 제2 모음 선택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모음 또는 자음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모음 ㅛ는 상기 :(천천) 및 ㅡ(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모음 ㅠ는 상기 ㅡ(지) 및 :(천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는 ㅣㅣ(인인), ㅢ(지인) 및 ㅢㅣ(지인인) 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는 ㅢ(지인), ㅐ 및 ㅘ 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는 상기 ㅐ 자판을 두번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ㅔ 자판으로 변경되고, 상기 ㅘ 자판을 두번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ㅝ 자판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는 ㅚ, ㅒ 및 ㅙ 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는 ㅚ 자판을 두번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ㅟ 자판으로 변경되고, 상기 ㅒ 자판을 두번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ㅖ 자판으로 변경되고, 상기 ㅙ 자판을 두번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ㅞ 자판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의 상기 :(천천) 자판은 드래그 방향에 따라 ㅛ, ㅑ, ㅠ 및 ㅕ가 배당되는 자판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의 전 또는 후에 상기 제1 모음 선택부가 조합되는 경우, 조합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 중 어느 하나의 자판에 구성된 ·(천), ㅡ(지) 및 ㅣ(인) 중 어느 하나를 감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의 ㅚ 자판 다음에 상기 제1 모음 선택부의 ·(천)이 조합되는 경우, ㅚ 자판에서 ·(천)을 감획한 ㅢ 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ul input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anner of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the Hangul input device comprising a consonant selection part for selecting consonants, A first vowe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first vowel selection unit, a second selection vowel selection unit, and a second vowel selection unit including a vowel selec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mbination of a vowel or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onsonant selector, the first vowel selector, and the second vowel selector.
Further, the vowel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low) and (-), and the vowel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 () and (slow).
In addition, the second vowel se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keypad, a keypad, and a keypad.
In addition, the second vowel se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keyboard, a keyboard, and a keyboard.
The second vowel selector may be changed to a keyboard when the touch panel is touched or dragged twice, and the touch panel is changed to a keyboard when the touch panel is touched or dragged twice.
In addition, the second vowel se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keyboard, a keyboard, and a keyboard.
The second vowel selector may be changed to a keyboard by touching or dragging the keyboard twice or by touching or dragging the keyboard twice. If the keyboard is touched or dragged twice, the keyboard is changed to a keyboard .
Further, the (slow) keyboard of the second vowel sel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anged to a keyboard which is divided into ㅛ, ㅑ, ㅠ and 에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And (vii) when the first vowel selection unit is combined before or after the second vowel selection unit, when the first vowel selection unit is combined with the first vowel selection unit,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first vowel selector of the second vowel selector is followed by a second vowel selector, the first vowel is output from the second vow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방법은 기존 방식의 천지인 문자입력 방법에 비해 입력속도가 빨라지며, 오타율이 감소하고, 가장 중요한 한글 창제원리의 직관적인 사용이 모든 글자에 완벽하게 적용되므로 별다른 설명없이 쉽게 배울 수 있어 새로운 입력방법을 배우는데 전혀 부담을 느끼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peed is faster, the miss rate is reduced, and the intuitive use of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creating Korean characters is applied to all letters, It is easy to learn without explanation, so you can use it without any burden to learn new input method.

특히 모음중 획수가 많은 ( ㅑ,ㅕ,ㅛ,ㅠ,ㅚ,ㅟ,ㅢ,ㅐ,ㅔ,ㅒ,ㅖ,ㅘ,ㅝ,ㅙ,ㅞ )의 경우 기존의 입력획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vowels having a large number of strokes (ㅑ, ㅕ, ㅛ,,, ㅚ, ㅟ, ㅐ, 된다, ㅔ, ㅒ, ㅘ, ㅘ, ㅝ, ㅙ, ㅞ), the existing input strokes can be drastically reduced .

도 1은 삼성전자의 종래 기술에 따른 천지인 방식의 입력장치의 예이다.
도 2는 LG전자의 종래 기술에 따른 나랏글 방식의 입력장치의 예이다.
도 3은 어플리케이션인 모아키 입력방법의 예이다.
도 4는 기존 천지인(1배 천지인)과 배수 천지인(1.5배 및 2배 천지인)등의 내용과 창제원리 및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기존 천지인(1배 천지인)과 파생 응용글자의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배수 천지인(-1배 천지인, 감획원리)의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기존 천지인과 배수 천지인(터치 방식 및 드래그 방식)의 비교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배수 천지인)에 따른 입력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배수 천지인)을 활용한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감획원리)에 따른 입력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감획원리)에 따른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1 is an example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Samsung Electronics.
2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input device of a ring type according to LG Electronics.
FIG. 3 shows an example of a Mojo input method as an applica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ents and the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a conventional one (one-time-of-the-century person) and a water-circulation person (one-and-a-half times and two-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tents of a conventional heavenly person (one-fold heavenly person) and a derivative application letter.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ent of the drainage ceiling (-1 times the ceilin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angul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omparison chart between the conventional heavenly person and the drainage heavenly person (touch method and drag method).
FIG. 9 shows an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utilizing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the principle of repud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the principle of repud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삼성전자의 종래 기술에 따른 천지인 방식의 입력장치의 예이다.1 is an example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Samsung Electronics.

천지인 방식의 모음 입력은 한글 창제원리를 그대로 적용시킨 입력방법으로 필기획순과 동일하게 입력되고 초성,중성,종성이 보이는 그대로 직관적으로 선택하면 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입력방법이다.The vowel input method is a typed input method that adopts the principle of Hangul creation as it is typed in the same way as a handwritten stroke order, and it is the most representative input method that can be easily learned because it is intuitively selected as it is seen in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키 패드는 보통 4행 3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키 패드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자음이 배정되어 있고, 1행에는 천( · ), 지( ㅡ ), 인( ㅣ )을 배열해서 이것을 조합하여 단모음과 복모음을 만들어 입력하는 방식이다.The keypad is usually arranged in 4 rows and 3 columns, and each keypad is assigned a plurality of different consonants. In the first row, a combination of a short vowel, a short vowel, It is a method to create and input a diphthong.

한글 창제원리에 가장 충실하고 직관적이며 쉬원 장점이 있으나 복모음등의 경우 너무 많은 입력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It is the most faithful and intuitive to the principle of Hangul Creation, but it has the merit of Siwon.

도 2는 LG전자의 종래 기술에 따른 나랏글 방식의 입력장치의 예이다.2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input device of a ring type according to LG Electronics.

나랏글 방식은 획 추가 키(*)와 쌍자음 키(#)가 특징으로 ㄱ 키를 누른 후 ㅏ 키를 누르면 가 글자가 입력되고, ㄱ 키를 누른 후 획 추가 키(*)를 누르면 ㅋ 이 입력되고 ㅏ 키를 누르면 글자 카 가 입력된다.In this method, a stroke is added by pressing the a key and then a key by pressing the a key and then pressing the a key and then the stroke addition key (*). If you press a key, letter key is input.

ㄴ 키를 누른 후 획 추가 키(*)를 누르면 ㄷ 이 입력되고, 다시 획 추가 키(*)를 누르면 ㅌ 이 입력된다.After pressing the 키 key, pressing the stroke addition key (*) will input ㄷ, and pressing the stroke addition key (*) will input..

모음의 경우도 ㅏ 를 입력한 후 획 추가 키(*)를 누르면 ㅑ 가 입력되고 계속해서 ㅣ 를 누르면 ㅒ 가 입력된다.In the case of a vowel, also enter a, then press the stroke addition key (*) to enter ㅑ and press ㅣ to enter ㅒ.

ㄱ 을 누른 후 쌍자음 키(#)를 누르면 ㄲ 이 입력되는 방식이다.If you press a key and then press the consonant key (#), ㄲ is input.

도 3은 어플리케이션인 모아키 입력방법의 예이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 Mojo input method as an application.

드래그 위주의 입력방식으로 자음을 터치하면 그 주변에 모음이 팝업되며, 상하좌우로 밀고 당기는 방법이다.When you touch a consonant with the drag-oriented input method, the vowel pops up around it, pushing it up and down and right and left.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밀면 "아", 다시 당기면 "애", 또 다시 밀면 "야" For example, if you push it to the right, it will say "ah"

또 다시 당기면 "얘"가 입력된다.If you pull again, "Hey" is input.

밀고 당기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한글 창제원리보다는 모음의 위치와 드래그 방법을 외워야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우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Because it uses pushing and pull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memorize the position of the vowel and the dragging method rather than the principle of Korean language creation, so it takes a long time to learn.

도 4는 기존 천지인(1배 천지인)과 배수 천지인(1.5배 및 2배 천지인)등의 내용과 창제원리 및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ents and the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a conventional one (one-time-of-the-century person) and a water-circulation person (one-and-a-half times and two-

우리는 1443년 훈민정음 창제이후 아무런 불편없이 한글을 사용해오고 있다.We have been using Hangeul without any inconvenience since the establishment of Hunminjeongeum in 1443.

하지만 IT 기기, 특히 휴대폰등에 적용시키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However, it is true that there are some inconveniences to apply to IT devices, especially mobile phones.

본 발명은 한글 창제원리 및 정신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새 천지인(배수 천지인)을 새로이 발명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newly invented a new Chun Ji-in (Chun Ji-jin)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the new era while at the same time inheriting the principle and spirit of Hangul.

기존 천지인인 천( · ), 지( ㅡ ), 인( ㅣ )을 1배 천지인으로 정의한다면 1.5배, 2배,3배, -1배로 확대, 감소시키는 새로운 천지인 개념도 가능하다는데 착안하여 논리적이며 체계적으로 글자 창제과정을 도출하였다.It is logical to note that the concept of a new heavenly person can be expanded and reduced to 1.5 times, 2 times, 3 times, -1 times as long as the existing heavenly people are defined as one-time heavenly people. We systematically developed the process of character creation.

즉, 천( · ), 지( ㅡ ), 인( ㅣ )을 기준으로 2배로 확대 적용하면 천천( :), 지지(

Figure 112014027230216-pat00013
), 인인( ㅣㅣ )이 가능하고, 1.5배로 확대적용하면 천지지(
Figure 112014027230216-pat00015
), 천인인(
Figure 112014027230216-pat00016
), 지인인( ㅢㅣ), 천천지(
Figure 112014027230216-pat00018
), 천천인(
Figure 112014027230216-pat00019
),지지인(
Figure 112014027230216-pat00020
)등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if you apply 2 times magnification based on cloth (ㅡ), cloth (ㅡ), cloth (ㅣ)
Figure 112014027230216-pat00013
), And person (ㅣ ㅣ) are possible, and when it is expanded 1.5 times,
Figure 112014027230216-pat00015
,
Figure 112014027230216-pat00016
), Acquaintances (ㅢ ㅣ), thousands of thousand
Figure 112014027230216-pat00018
), A thousand people
Figure 112014027230216-pat00019
), A supportive person
Figure 112014027230216-pat00020
).

천천( : )의 경우는 하나의 천(· )은 태양, 또 하나의 천(·)은 달을 의미한다.In the case of a thousand (:), one cloth (·) means the sun and the other cloth (·) means the month.

도 5는 기존 천지인(1배 천지인)과 파생 응용글자의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tents of a conventional heavenly person (one-fold heavenly person) and a derivative application letter.

마찬가지로 1.5배, 2배 천지인도 가능하지만, 기존 천지인의 직관적인 장점을 이용하여 새로운 파생 응용 글자의 생성도 가능하다.In the same way, it is possible to create 1.5 times and 2 times as many characters, but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new derivative application characters by utilizing the intuitive merits of existing ones.

즉 태양이 비추는 상태에 있는 사람(인, ㅣ)과 그로 인해 생기는 그림자를 형상화한 파생 응용글자인 "태양이 있는 상태의 사람과 그 그림자" 글자인 "인 + 음영(

Figure 112012076135638-pat00024
)" 글자도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person who is in the state of the sun (in, ㅣ) and the derivative application that characterizes the shadow resulting from it, "the person with the sun and its shadow"
Figure 112012076135638-pat00024
) "The letters are also possible.

도 6은 배수 천지인(-1배 천지인, 감획원리)의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ent of the drainage ceiling (-1 times the ceiling).

도 4의 설명에 따라 1.5배, 2배 천지인이 가능하므로 당연히 -1배, -2배 천지인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4, it is possible to have 1.5 times and 2 times as wide aisle, so it is possible to be -1 times and -2 times as wide.

-1배 천지인은 "가획원리"가 아닌 "감획원리"라고 할 수 있다.A factor of -1 can be said to be "principle of separation" rather than "principle of separation".

즉, 천( · ), 지( ㅡ ), 인( ㅣ )을 이용해서 조합하여 글자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조합하여 만들어진 모음이 천( · ), 지( ㅡ ), 인( ㅣ )과 결합하면 반대로 해당 천( · ), 지( ㅡ ), 인( ㅣ ) 글자만큼 감획하는 "음"의 개념이다.In other words, if you combine vowels made by combining vowels with vowels, vowels, and vowels, instead of combining vowels with vowels, vowels, and vowels, It is the concept of "sound" which is wrapped up by the corresponding cloth (·), ground (ㅡ), and person (ㅣ).

물론 조합하여 만들어진 모음과 천( · ), 지( ㅡ ), 인( ㅣ )이 만나는 경우에 한하여 감획원리가 적용되는 것이고, 천( · ), 지( ㅡ ), 인( ㅣ )끼리 만나면 가획원리가 적용된다.Of course, if a combination of vowels and cloths comes into play, then the principle of deportation is applied only when it meets, and when a cloth is encountered between cloths, Is applied.

예를 들어 모음 "ㅚ" 가 천( · )을 만나면 천( · )을 감획하여 "ㅢ"가 된다.For example, if the vowel "ㅚ" meets the cloth (·), the cloth (·) is wrapped and becomes "ㅢ".

마찬가지로 모음 "ㅒ"가 천( · )을 만나면 모음 "ㅐ"가 되고 천( · )이후에 모음 "ㅒ"를 만나면 모음 "ㅔ"가 되는 것이다.Likewise, if the vowel "ㅒ" becomes a vowel "ㅐ" when it encounters a thousand (·), then it becomes a vowel "ㅔ" when it comes to a vowel "ㅒ" after a thousand (·).

또한 모음 "ㅖ"가 천( · )을 만나면 모음 "ㅔ"가 된다.Also, when the vowel "ㅖ" meets a cloth (·), it becomes a vowel "ㅔ".

도 7은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angul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모음의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input method of the vowel is as follows.

모음 ㅑ의 경우는 ㅣ + :, ㅕ의 경우는 : + ㅣ를 입력하면 된다.You can type ㅣ +: for vowel.: + ㅣ for..

ㅛ,ㅠ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The same is true for ㅛ, ㅠ.

모음 ㅒ의 경우는 ㅣㅣ + :, 모음 ㅖ의 경우는 : + ㅣㅣ를 입력하면 된다.In the case of vowel, you can input ㅣ ㅣ +: and in case of vowel. You can input: + ㅣ ㅣ.

모음 ㅘ의 경우는 : + ㅢ, 모음 ㅝ의 경우는 ㅢ + : 를 입력하면 된다.In the case of vowel:: + ㅢ, in case of vowel ㅢ: ㅢ +:

모음 ㅙ의 경우는 : + ㅢㅣ, 모음 ㅞ의 경우는 ㅢㅣ + : 를 입력하면 된다.In the case of the vowel ㅙ: + ㅢ ㅣ, in the case of the vowel ㅢ, input ㅢ ㅣ +:.

즉, 직관적으로 보이는대로 입력하면 모든 글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you enter it as intuitively, you can easily enter all the letters.

자음의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input method of consonants is as follows.

키 패드 하나에는 복수개의 자음( ㄱ,ㅋ / ㄴ,ㄹ )이 배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consonants (a, b / b, d) are arranged on the keypad.

첫번째 자음(ㄱ)은 한번 터치, 두번째 자음(ㅋ)은 두번 터치, 경음(ㄲ)이 있는 경우는 세번 터치하는 기존의 입력방식도 그대로 사용가능하며, 환경설정 메뉴에서 별도로 지정하면 첫번째 자음(ㄱ)은 한번 터치, 두번째 자음(ㅋ)은 오른쪽 드래그, 경음(ㄲ)이 있는 경우는 아래쪽 드래그, 키 패드에 할당된 숫자(4)는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방법을 적용시킬수도 있다.If the first consonant (a) is touched once, the second consonant (k) is touched twice, and if there is a tune (ㄲ), the existing input method that touches three times can be used as it is. ), The second consonant (ㅋ) is the right drag, the bottom drag (ㄲ) if there is, and the figure (4) assigned to the keypad can be dragged upward.

도 8은 기존 천지인과 배수 천지인(터치 방식 및 드래그 방식)의 비교표이다.FIG. 8 is a comparison chart between the conventional heavenly person and the drainage heavenly person (touch method and drag method).

모든 모음 21자를 입력할 경우 기존 천지인은 총 62타, 배수 천지인 터치 방식은 총 39타, 배수 천지인 드래그 방식은 총 21타가 소요되어 기존 타수에 비해 약 1/3 수준으로 획기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In case of entering all the vowel 21 characters, it is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existing cheonjiin is 62, the total number of touching method is 40, and the dragging method of drainage method is 21, .

도 9는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배수 천지인)에 따른 입력장치의 실시예이다.FIG. 9 shows an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5행 4열로 배열하면서 1행에는 인인(23) 또는 태양이 있는 상태의 사람과 그 그림자(32),천천(21a) 또는 천천(21b), ㅢ, 지인인(13)을 배열하고, 2~5행에는 기종의 천지인 배열을 준용하는 경우와 2~5행에는 기존의 나랏글 배열을 준용하는 경우의 예이다.A person who is in a state of having a phosphorus 23 or a sun and a person whose shadow 32 is arranged in a row of 5 rows and 4 rows and a person 21a is placed in a row, Line 5 is an example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ceiling of models is used in common, and in the case of lines 2 to 5, the conventional arrangement of the ring arrangement is applied.

나랏글의 경우는 획추가가 천( · )과 같은 역할을 한다.In the case of Naragle, the stroke addition plays the same role as cloth (·).

이외에도 어떠한 배열을 준용하여도 기존보다는 월등한 효과를 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superior effects even if any arrangement is applied.

도 10은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배수 천지인)을 활용한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utilizing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5행 4열로 배열하면서 1행에는 "ㅢ, :, ㅐ(ㅔ), ㅘ(ㅝ)"를 배열하고 2행~5행에는 기존 천지인 배열을 준용하는 하나의 실시예이다.(ㅢ), ㅐ (ㅔ), ㅘ (ㅝ) "are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the existing arrangement is applied in the second row to the fifth row.

모음 ㅐ의 경우는 한번 터치, ㅔ의 경우는 두번 터치 또는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면 된다.In case of vowel, touch once, or touch twice, touch or right.

모음 ㅒ의 경우는 ㅐ + . , 모음 ㅖ의 경우는 . + ㅐ 또는 . +

Figure 112012076135638-pat00025
In the case of vowels ㅐ +. In the case of a vowel, + ㅐ or. +
Figure 112012076135638-pat00025

모음 ㅚ는 . + ㅢ, 모음 ㅟ는 ㅢ + . 모음 ㅙ는 ㅘ + ㅣ, 모음 ㅞ는 ㅣ + ㅘ 또는

Figure 112012076135638-pat00026
+ ㅣ 를 입력하면 된다.The vowel. + ㅢ, vowel ㅢ +. The vowel is ㅘ + ㅣ, the vowel is ㅣ + ㅘ or
Figure 112012076135638-pat00026
You can enter + ㅣ.

도 11은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감획원리)에 따른 입력장치의 실시예이다.11 is an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the principle of repud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행 4열로 배열하면서 1행에는 ㅚ(ㅟ), : , ㅒ(ㅖ), ㅙ(ㅞ) 를 배열하고 2행~5행에는 기존 천지인 배열을 준용하는 하나의 실시예이다.(ㅟ),:, ㅒ (ㅖ), and ㅙ (ㅞ) are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the existing heavenly row arrangement is applied in the second row to the fifth row.

도 10과 다른 점은 가획원리가 아닌 감획원리가 적용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The difference from FIG. 10 is that the principle of deception is applied instead of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1행의 모음 ㅚ(ㅟ), ㅒ(ㅖ), ㅙ(ㅞ) 이 천지인( · ㅡ ㅣ )과 앞뒤에서 결합되는 경우에만 한하여 해당 천지인( · ㅡ ㅣ )만큼 감획되는 방식이다.(ㅡ ㅣ) and the vowels ㅚ (ㅟ), ㅒ (ㅖ), and ㅙ (ㅞ)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는 기존의 천지인의 가획원리를 준용한다.The vowel ㅑ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existing Tianjin.

ㅚ의 경우는 한번 터치, ㅟ의 경우는 두번 터치 또는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면 된다.In case of ㅚ, touch once, and in case of ㅟ touch twice or drag right.

ㅢ의 경우는 ㅚ - 천( · )을 입력하면 된다.In case of ㅢ, you can input ㅚ - cloth (·).

ㅒ의 경우는 한번 터치, ㅖ의 경우는 두번 터치 또는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면 된다.In case of ㅒ, touch once, and in case of ㅖ touch twice or drag right.

ㅐ의 경우는 ㅒ - 천( · ), ㅔ의 경우는 - 천( · ) + ㅒ 또는

Figure 112014027230216-pat00027
- 천( · )을 입력하면 된다.In the case of ㅐ, ㅒ - cloth (·), in case of ㅔ - cloth (·) + ㅒ or
Figure 112014027230216-pat00027
- Enter cloth (·).

ㅙ의 경우는 한번 터치, ㅞ의 경우는 두번 터치 또는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면 된다.In case of ㅙ, touch once, and in case of ㅞ touch twice or drag right.

ㅘ의 경우는 ㅙ - 인( ㅣ ), ㅝ의 경우는 - 인( ㅣ ) + ㅙ 또는

Figure 112012076135638-pat00028
- 인( ㅣ )을 입력하면 된다.In the case of ㅘ, it is ㅙ-in (ㅣ), in case of ㅝ it is - in (ㅣ) + ㅙ or
Figure 112012076135638-pat00028
You can enter - in.

도 12는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감획원리)에 따른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FIG. 1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the principle of repud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경우에서 ( : ) 대신에

Figure 112012076135638-pat00029
로 교체한 경우의 실시예이다.In the case of FIG. 11, instead of (:)
Figure 112012076135638-pat00029
As shown in Fig.

우측 드래그는 "ㅑ", 좌측 드래그는 "ㅕ", 아래쪽 드래그는 "ㅠ", 윗쪽 드래그는 "ㅛ"가 입력된다.The right drag is "ㅑ", the left drag is "ㅕ", the lower drag is "ㅠ", and the upper drag is "ㅛ".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배수 천지인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입력장치와 기기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alter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배수 천지인 방식을 적용한 배열의 예
2 : 배수 천지인 방식을 적용한 배열의 다른 예
3 : 배수 천지인 글자키를 구비하는 입력창
10 : 1.5배 글자 11 : 천지지
12 : 천인인 13 : 지인인
14 : 천천지 15 : 천천인
16 : 지지인 20 : 2배 글자
21a : 천천(태양+태양) 21b : 천천(태양+달)
22 : 지지 23 : 인인
24 : 천천지지 25 : 천천인인
26 : 지지인인 30 : 파생글자
31 : 태양을 비추는 상태의 땅과 그 그림자
32 : 태양을 비추는 상태의 사람과 그 그림자
33 : 기타 파생글자군 40 : -1배 글자
41,42,43 : 완성된 모음 51 : 첫번째 자음
52 : 두번째 자음 53 : 경음
54 : 숫자 61 : 첫번째 모음
62 : 두번째 모음 65 : 화살표가 표시된 키패드
100 : 천( . ) 200 : 지( ㅡ ) 300 : 인( ㅣ )
1: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using a multiplier method
2: Another example of an array with a multiples method
3: Input window with letter key
10: 1.5 times letter 11: cloth support
12: Ten thousand people 13:
14: Thousand thousand piles 15: Thousand thousand pines
16: Supporting 20: 2 times letter
21a: Thousand (Sun + Sun) 21b: Thousand (Sun + Moon)
22: support 23: person
24: Thin support 25: Thousand people
26: supporter 30: derivative
31: The state of the sun and its shadow
32: People in the sun and their shadows
33: Other derived character group 40: -1 times letter
41, 42, 43: completed vowel 51: first consonant
52: second consonant 53: punctuation
54: Number 61: First collection
62: Second collection 65: Keypad with arrows
100: A thousand (). 200: A () 300: A ()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자음의 선택을 위한 자음 선택부, ·(천), ㅡ(지) 및 ㅣ(인)의 선택을 위한 제 1 모음 선택부 및 :(천천)을 포함하는 제2 모음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판이 배열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음 선택부, 제1 모음 선택부 및 제2 모음 선택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모음 또는 자음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모음 선택부는 ㅣㅣ(인인), ㅢ(지인) 및 ㅢㅣ(지인인) 자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음 선택부의 ㅣㅣ(인인), ㅢ(지인) 및 ㅢㅣ(지인인) 자판은 상기 제1 모음 선택부의 ·(천) 또는 상기 제2 모음 선택부의 :(천천)과의 결합에 의해 ㅚ, ㅟ, ㅐ, ㅔ, ㅒ, ㅖ, ㅘ, ㅝ, ㅙ 및 ㅞ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자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천지인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 장치.
A Hangul input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anner of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A consonant selection section for selection of consonants, a first vowel selection section for selection of (thousand), - () and (ln), and a second vowel selection section including: An interface unit arranged in the main body; And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mbination of a vowel or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consonant selector, the first vowel selector, and the second vowel selector,
The second vowel se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keypad that is a (I person), an I (an acquaintance), and a I (a person)
The keyboard of the second vocabulary selection unit may be a combination of a vowel of the first vowel selection unit and a vowel of the second vowel selection unit, Wherein the keyboard is a keyboard that generates at least one vowel of at least one of ㅚ, ㅟ, ㅐ, ㅔ, ㅒ, ㅖ,., ㅝ, ㅙ and ㅞ.
삭제delete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자음의 선택을 위한 자음 선택부, ·(천), ㅡ(지) 및 ㅣ(인)의 선택을 위한 제 1 모음 선택부 및 :(천천)을 포함하는 제2 모음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판이 배열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음 선택부, 제1 모음 선택부 및 제2 모음 선택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모음 또는 자음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모음 선택부는 ㅢ(지인), ㅐ 및 ㅘ 자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음 선택부는 상기 ㅐ 자판을 두번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ㅔ 자판으로 변경되고, 상기 ㅘ 자판을 두번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ㅝ 자판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천지인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 장치.
A Hangul input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anner of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A consonant selection section for selection of consonants, a first vowel selection section for selection of (thousand), - () and (ln), and a second vowel selection section including: An interface unit arranged in the main body; And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mbination of a vowel or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consonant selector, the first vowel selector, and the second vowel selector,
The second vowel se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keyboard, a keyboard, and a keyboard,
Wherein the second vowel selector is changed to a keyboard when the touch panel is touched or dragged twice, and when the touch panel is touched or dragged twice, the touch panel is changed to a touch panel.
삭제delete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자음의 선택을 위한 자음 선택부, ·(천), ㅡ(지) 및 ㅣ(인)의 선택을 위한 제 1 모음 선택부 및 :(천천)을 포함하는 제2 모음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판이 배열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음 선택부, 제1 모음 선택부 및 제2 모음 선택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모음 또는 자음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모음 선택부는 ㅚ, ㅒ 및 ㅙ 자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음 선택부는 ㅚ 자판을 두번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ㅟ 자판으로 변경되고, 상기 ㅒ 자판을 두번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ㅖ 자판으로 변경되고, 상기 ㅙ 자판을 두번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ㅞ 자판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천지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A Hangul input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anner of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A consonant selection section for selection of consonants, a first vowel selection section for selection of (thousand), - () and (ln), and a second vowel selection section including: An interface unit arranged in the main body; And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mbination of a vowel or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consonant selector, the first vowel selector, and the second vowel selector,
The second vowel se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keyboard, a keyboard and a keyboard
The second vowel selector is changed to a keyboard by touching or dragging the keyboard twice or by touching or dragging the keyboard twice, and when the keyboard is touched or dragged twice, the keyboard is changed to a keyboard The Korean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he multi-channel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의 상기 :(천천) 자판은 드래그 방향에 따라 ㅛ, ㅑ, ㅠ 및 ㅕ가 배당되는 자판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천지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low) keyboard of the second vowel selector is changed to a keyboard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keys such as ㅛ, ㅑ, ㅠ and 에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의 전 또는 후에 상기 제1 모음 선택부가 조합되는 경우, 조합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 중 어느 하나의 자판에 구성된 ·(천), ㅡ(지) 및 ㅣ(인) 중 어느 하나를 감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천지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8,
Wherein when the first vowel selection unit is combined before or after the second vowel selection unit, any one of (thousand), (), and () And a second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second input sig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의 ㅚ 자판 다음에 상기 제1 모음 선택부의 ·(천)이 조합되는 경우, ㅚ 자판에서 ·(천)을 감획한 ㅢ 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천지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first vowel selector of the second vowel selector is followed by a vowel of the second vowel selector, the first vowel is output from the second vowel, Device.
KR1020120104267A 2012-09-19 2012-09-19 The method and apparatus adapting multiplication Chunjiin system for inputing Hangul Expired - Fee Related KR101466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267A KR101466939B1 (en) 2012-09-19 2012-09-19 The method and apparatus adapting multiplication Chunjiin system for inputing Hangu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267A KR101466939B1 (en) 2012-09-19 2012-09-19 The method and apparatus adapting multiplication Chunjiin system for inputing Hang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732A KR20140037732A (en) 2014-03-27
KR101466939B1 true KR101466939B1 (en) 2014-12-03

Family

ID=5064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2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6939B1 (en) 2012-09-19 2012-09-19 The method and apparatus adapting multiplication Chunjiin system for inputing Hangu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93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716B1 (en) 2015-03-05 2015-11-12 김영길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KR20240080882A (en) 2022-11-30 2024-06-07 유다빈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finger spel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865B1 (en) * 2014-12-08 2016-09-22 한철희 Input device of korean character and 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443A (en)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Apparatus for inputting Hangeul i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060045101A (en) * 2006-04-26 2006-05-16 원종윤 Mobile terminal with Korean inp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443A (en)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Apparatus for inputting Hangeul i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060045101A (en) * 2006-04-26 2006-05-16 원종윤 Mobile terminal with Korean inpu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716B1 (en) 2015-03-05 2015-11-12 김영길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KR20240080882A (en) 2022-11-30 2024-06-07 유다빈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finger spelling
KR102738156B1 (en) 2022-11-30 2024-12-05 유다빈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finger spel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732A (en)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72058B (en)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4793774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CN101504585B (en) Sliding type input method of touch screen
CN104808807A (en) Method and device for Chinese phonetic input
WO2014142499A1 (en) Visual feedback for highlight navigation
US11907741B2 (en) Virtual input device-based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PC
CN104281398A (en) Touch keyboard key variable method and terminal
KR101466939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adapting multiplication Chunjiin system for inputing Hangul
CN102566934A (en) Sliding autofilter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CN106168880B (en) A kind of method and terminal of input control
Romano et al. Understanding touch and motion gestures for blind people on mobile devices
KR2013007038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idle screen
CN105094416B (en)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KR20100121218A (en)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CN104699409A (en) Information inputting method and information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of touch screen
CN103955342A (en) Sudoko English keyboard
CN106201003B (en) Virtual keyboard based on touch screen equipment and input method thereof
US20150012866A1 (en) Method for Data Input of Touch Panel Device
KR1020947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CN104424303A (en) Input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CN103902156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6201004B (en) Virtual keyboard based on touch screen equipment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TWI450129B (en) Electronic device with chinese input system and touching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04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3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1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1015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321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0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3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1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0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3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5